草雨는 풀밭에 내리는 비라는 뜻이며, 이별의 슬픔으로 흐느끼는 울음소리를 이에 빗대어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초우 草雨>는 정진우 감독, 신성일-문희 주연의 1966년작으로 영화 속 가득한 '가짜'와 '허세'가 주 관람 포인트인데, 가난한 청춘남녀가 서로의 출신을 잘 나가는 기업가, 대사의 자식이라고 포장하며 만나 서로 속고 속이는 연애 드라마로, 어떻게 말하면 거짓으로 본인을 치장하기도 하는 요즘 인스타그램 허세병(남에게 잘 보이고 싶은 청춘의 가식병이라고 해야 하나)에도 비유할 수도 있을지 모르겠다 ㅎㅎ.
대표적 인스타 허세 류: 사진 출처 MCARFE
음... 청춘영화긴 한데, 나름 파국의 반전을 가지고 있고, 유튜브 영상은 초반의 해피한 부분들만 뽑았다. 비가 와야만 예쁜 레인코트를 입고 외출할 수 있어 비 오는 날만 기다리는 여주의 그런 행복에 들뜬 감성과 여름에는 유독 시원하게 느껴지는 비라는 테마가 '여름밤'이라는 노래를 들을 때마다 생각이 나서 편집해봤다. 워낙 음악이 상큼하고 시원하다 보니 그 독한 여름밤 내리는 시원한 비 같은 느낌이 많이 떠오른다. 오래된 흑백 영상과 상큼한 요즘의 청춘 사운드가 전혀 안 어울릴 것 같기도 하지만 뭐 개취라 나는 좋다 ㅎㅎ (자꾸 영화는 칙칙한데 상큼한 노랠 왜 가져다 붙였냐라는 소릴 계속 들어서...ㅜㅜ) 사실 영화를 보면 66년작이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만큼 세련된 영상미로 그 시절 프랑스 누벨바그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어서 전혀 촌스러운 느낌이 들지 않는다. 이 이유 때문에 55년이 지난 지금 봐도 몰입하는데 크게 힘들지가 않다.
시청, 명동 등 당시의 힙한(?) 서울의 시티 라이프를 엿볼 수도 있다
<초우>의 주제가는 패티김이 불렀는데 당시 미국진출을 꿈꾸던 패티김을 본격적으로 한국에 적을 두고 활동하게 만든 만큼, 그녀의 일생과 한국의 대중음악 역사에서도 중요한 노래가 아닐까 싶다. 영화의 시작과 마지막에 두 번 흐르는데 스토리의 반전 때문에 그 듣는 맛이 다르기도 하다. 영화처럼 패티 김의 노래도 일반 트로트가 아닌 왈츠리듬이 섞이며 상당히 세련된 사운드를 들려준다. 대체 1966년 한국에 무슨 일이 있었길래 이런 세련된 콘텐츠가 등장했을까?
나윤선 - '초우' [윤도현의 러브레터, 2002] - 영화나 음악도 프랑스 느낌이 많이 나서 그런지 재지한 나윤선의 버전도 꽤 괜찮다
아래는 <초우>를 볼 수 있는 유튜브 링크인데, 이 한국 고전영화 채널에 들어가면 상당히 많은 옛 한국 걸작 영화들 (심지어 레스토레이션 버전도 많음)을 만나 볼 수 있다. 패티김의 노래는 재생 버튼을 누르자마자 시작되고, 후반부의 노래는 (1:39:02)부터 들을 수 있다.
초우(1966) 복원본 / Early Rain ( Chou ) Restoration Ver - 한국고전영화 Korean Classic Film
초묘의 discography
인디 팝 밴드, 초묘 超妙의 디스코그래피 소개
2018년 결성되어 지금까지 총 10개의 Single을 발표했다. '여름밤'이란 곡은 이미 2016년 허즈 밴즈의 곡으로 소개된 적이 있다. 초묘나 허즈밴즈나 그렇게 많은 정보들이 있는 게 아니어서 어떤 관계인진 모르겠지만, 일단 허즈밴즈와 초묘의 '여름밤' 두 곡 모두 이주현이라는 동일한 보컬 피처링 타이틀이 올라가 있다.
chomyo Instagram
밴드의 이름의 정확한 뜻은 모르겠지만, 대충 보면 超는 초사이언인의 초처럼 초월하다, 뛰어넘는다는 의미고, 妙는 절묘하다 오묘하다처럼 아름다움과 관련 있는 의미다. 밴드의 소개를 보면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고자 결성한 팀입니다"라고 하는 것을 보니 아마도 위 한자의 의미와 연관이 있을 것 같다.
허즈밴즈의 '여름밤' 2016, 이 좋은 음악에 누가 싫어요를 하나 눌러놨을까??? 😕
그리고 허즈밴즈의 신용희 베이시스트가 초묘팀에도 속해있고, 이 '여름밤'이라는 곡의 작사/작곡가로 이름이 올라가 있는 것으로 보아 허즈밴즈 이후 다시 초묘란 팀을 꾸린 것 같다. 초묘 오피셜 유튜브의 [작업실 쿵짝쿵짝]을 보니 이 이주현이란 분도 붙박이 보컬로 활동하시는 듯. 암튼 약간 재즈와 포크 느낌이 더 했던 원곡을 좀 더 꽉 찬 느낌의 시티팝 풍 편곡으로 재탄생시켰다. 원곡도 한 번 들어보자!
(1:01:14에 초묘의 '덮어가요'가 있음)
지난 몇 년 간 한국에서 유행한 레트로 K-Pop에서 단연 눈에 띄는 인디그룹 중 하나다. 비슷한 느낌으로는 behindthemoon도 추천한다. (이번에 나온 신곡, '그림일기'의 청춘 감성 완전 굿!) 하지만 우리가 아는 밝고 빠른 템포의 청량한 전형적 시티팝이라기보다는 좀 더 소울이 담겨있으면서도 포크적 느낌이 더 돋보이는 멜로우 웨이브 사운드로 들린다. ㅇㅇ, 포크 성향이 강한 인디 팝 사운드가 이들을 설명하기에 더 맘이 편하다. 그렇다고 시티팝이 아니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 이런 멜로우 웨이브 느낌 때문에 도시 감성을 잘 담고 있기도 하다. 그래서 지금 유튜브에 하고 있는 시티뮤직솎아보기 시리즈의 플셋에도 지속적으로 이들의 음악을 추가하고 있다.
이들의 10개 음악을 강약으로 분류해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빠름 류, 미드 템포 류, 약간 느리지만 그루브 있음 류, 느린 류.빠름 류로는 단연 '여름밤'이 원탑이고 그래도 포크 성향이 강하긴 한데 가장 시티팝에 가까운 노래다. 촉촉함 상큼함 상쾌함 청량함, 심지어 감미로움도 느껴질 감성으로 무장한 이 러블리한 곡을 뛰어넘을 싱글은 아직 없는 듯하다. 그만큼 정말 좋은 노래다. (갠 적으로 좋아하는 청춘 감성도 오지고 말이지...)
'손을 잡고 걸어요' Live
미드 템포 류로는 '손을 잡고 걸어요', 'Blind', '2시 51분'인데, '2시 51분'은 이들의 첫 데뷔 타이틀곡이자 'Blind', 'Good night'과 함께 남성 보컬이다. 이 역시 포크 느낌이 강한 미드템포 인디 팝 사운드들인데, 이 중 '손을 잡고 걸어요'가 아마도 '여름밤'에 취해 초묘의 음악을 찾은 리스너들을 약간이나마 달래 줄 트랙이 아닐까 싶다.
별빛아래
약간 느리지만 그루브 있음 류부터는 소울 특유의 미드나잇 그루브스러운 느낌 때문에 감미로움이 더해진다. '별빛 아래', '너라면 웃어 줄텐데', '덮어가요'가 요 분류에 속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별빛 아래'는 좀 더 비트가 있는 그루브와 함께 감미로움을 느낄 수 있는 감성적 음악이다. 초묘의 가장 최신 싱글인 '덮어가요'도 특유의 맑은 보컬과 잘 어우러지는 곡인데 오히려 동트기 바로 전 새벽녘에 들으면 참 잘 어울릴 것 같다. 이 곡을 듣고 있노라면 이슬 한 방울 한 방울이 느린 듯 뚝뚝 떨어지는 느낌이다.
느림 류들이 트랙들은 포크/락 느낌이 훨씬 더 강하고 때로는 텅 비어 허공 속에 둥둥 떠다니는 느낌의 드론 drone 감성이 많이 들어있다. 이 분류에서는 '여기 있을래'를 가장 추천하는데 촉촉한 보컬의 감성이 여기서도 한 몫하고 있다. 초묘라는 팀의 음악에서 이주현의 보컬이 감성을 더하는 부분이 정말 어마어마한 것 같다. 오케스트랄 버전으로 웅장하게 만들어도 참 괜찮을 것 같은 트랙이다. 그 외 '그 봄은 그 봄이 아니고, 그 여름은 그 여름이 아니었다', 'Good Night' 이 있다.
하다보면서 계속 느끼는건데, 남성보컬 쪽은 사정이 어떨진 몰라도, 여성 보컬 쪽은 댄스 비트 부분이 포션이 참 낮은 것 같다. 지금 하고 있는 발라드랑 미드/다운/인디 쪽이랑 보면 뭘 빼야 할지 항상 고민인데, 이 쪽은 뭘 집어 넣어야 할 지 항상 고민이다. 개인적으론 댄스가 더 좋은데...
댄스판에선 역시 ITZY가 3월을 접수하신 듯 하다. [IT'z ME]에 수록되어 있는 "WANNABE", "I Don't WANNA DANCE", "TING TING TING" 모두 좋다.
그리고 한국 아티스트와 전 세계의 전자음악 아티스트 (혹은 DJ)와의 콜라보가 컨셉인 듯한 CONNECTED의 첫 번째 프로젝트인 (미스에이) 민과 AFSHEEN과의 "지려"도 괜찮았다. 오히려 아찌한 방향보다는 좀 뻔한 사운드라도 약간 대중적으로 나가도 괜찮은 프로젝트이지 않을 까 싶다.
그리고 슈가맨은 양준일의 임팩트 정도는 아니였지만 자자의 "버스 안에서"로 지속적인 상한가를 때려 준 듯 싶다. 역시 나이트 쌈마이 사운드는 한국에서만 느낄 수 있는 고유의 매력인 것 같다. 흐흐흐....
여성 힙합 쪽도 좀 더 부흥이 되었으면 하는 곳이긴 한데, 이번에는 키썸의 "Primero"가 나름 팝 적인 사운드로 가볍고 즐겁게 다가온 듯 싶고, Club33과 J!N x DJ Juice의 음악도 알엔비 소울이 부각된 팝적인 사운드를 잘 들려준 것 같다.
그리고 댄스 쪽에 넣지 말고 그냥 MID 쪽으로 넣을 까 고민 되는 락 쪽에서는 코어매거진의 "It's On" 하나 정도가 있었다. 2월 20일에 이미 발표 되었던 앨범 <Titbit>이 곡이 추가 되어 재 발표 되었다. 옛날 한 때 여성 보컬 댄스락이 흥한 적도 많았었는데.... 한 20년 주구장창 전자댄스 음악만 듣다 보니 요즘 다시 락 사운드에 귀가 반응하고 있어, 옛날 처럼 여성보컬 댄스락 쪽도 다시 한 번 부흥이 있었으면 좋겠다. 리즈 페어처럼 솔로액트는 물론이고, 팝락 성향으로 돌아버린 밴드, 버루카 솔트도 좋고 말이다. 아 옛날이여.....
리즈 페어는 물론이고, 팝락 성향으로 돌아버린 버루카 솔트도 좋고... 계속 느끼는건데, 남성보컬 쪽은 사정이 어떨진 몰라도, 여성 보컬 쪽은 댄스 비트 부분이 포션이 참 낮은 것 같다. 지금 하고 있는 발라드랑 미드/다운/인디 쪽이랑 보면 뭘 빼야 할지 항상 고민인데, 이 쪽은 뭘 집어 넣어야 할 지 항상 고민이다. 개인적으론 댄스가 더 좋은데...
그리고 역시 2월에도 발라드는 넘치고 넘쳤다. 좋은 것들 골라내는 것도 그 만큼 힘들었다. 47곡이다.
발라드는 정말 물량이 너무 많아 힘들고, 미드템포는 장르가 갈려서 힘들고... 그나마 댄스가 곡에서 곡으로 연결 시키기도 쉽고 숫자도 적고 뮤비도 충분하고 그나마 제일 나은 것 같다 ㅋㅋ
발라드는 숫자도 숫자지만 MV 없는 음악들도 굉장히 많아 멈칫 멈칫 할 때가 많다.
근데 그랬던 만큼 좋은 노래들도 정말 많았다.
연 초부터 드라마 OST 발라드의 강세는 여전하다. (이 포스팅에서는 여성 보컬 기준)
작년 [호텔 델루나] OST의 왕관은 2020년 누가 이어 받을지 나도 궁금한데,
[사랑의 불시착]이 종영된 지금 [이태원 클라쓰]의 독주가 한 창이다.
[사랑의 불시착]은 2월 1일 부터 세정의 '나의 모든 날'로 1월에 난무했던 감성터치를 그대로 이어 갔고 2월15일 마침내 아이유의 '마음을 드려요'와 함께 화려한 대미의 끝을 장식했다.
[이태원 클라쓰] 또한 남성 보컬의 라인업도 훌륭하지만 여성 보컬 또한 상다한 퀄리티를 자랑하는데,
손디아가 예쁘면서도 묵직한 파워있는 보컬로 '우리의 밤' '우린 친구뿐일까'로 두 개의 타이틀을 가져갔고,
윤미래의 'Say' 또한 강력했다.
2월의 드라마 OST 판을 보면 위 두 드라마 외,
[간택 - 여인들의 전쟁] (체리베리, 이시은), [우아한 모녀] (리디아, 천소아), [낭만닥터 김사부2] (청하), [꽃길만 걸어요] (송푸름, 이층버스)에 좋은 수록곡들이 릴리즈 되었고... (특히 [간택]OST 두 곡이 상당히 괜찮았다. [더 게임] (플루디)과 [하와유 브레드] (친자매)도 살짝 눈에 띄였다.
특히 작년 초에 '12시' 하나로 1년을 잡숴 드신 청하가 2월에 두 번이나 발라드로 감성을 적셔 줬는데,
2월 초에 [낭만닥터 김사부2]의 '나의 그대' 그리고 2월 29일 조보아의 MV 영상과 함께한 개인 싱글, '솔직히 지친다'로 2월의 마지막에 도장을 찍어 주셨다.
3월에도 드라마 OST의 강세는 여전할 텐데 어떤 음악들이 나올지 기대가 된다. (3월 1일자로 벌써 [하이바이, 마마!]가 박지민과 함께 출사표를 던졌다!)
그 외 파워풀한 보컬이 인상적인 '강한(?)' 발라드를 보면,
일단 마지 Mazi의 '우리 여기까지만 하자'가 2월의 갓발라드인 듯 싶다. 듣고 듣고 또 듣고 싶다.
윤하의 '해요' 슈가맨 리메이크도 인상적이였는데 리메이크라고 안 느껴지고 그냥 윤하의 새로운 싱글 발표회같았다.
'나의 겨울에게'의 최예근은 시티팝 계열의 'Virtual World'로만 익숙했던 가수였는데 이렇게 내짓는 발라드도 꽤 잘 어울림에 살짝 놀랐다. 아마도 작년 말의 '첫 눈'을 들어보지 못해서 그랬나보다. 이제야 들어봤다. 3월에 컨서트가 잡혔던데... 코로나 사태 속에 잘 치러질까 우려된다... 연기를 하는 것도...
015B 그리고 객원가수 필 Fil의 '324km'는 작년에 나온 곡이긴 하지만 <2019 Yearbook> 앨범을 내면서 '19년 곡들을 모두 리마스터 해서 나왔다. 역시 그 중에 최애는 이 '324km'라... 옛날 공일오비가 한창이던 시절의 발라드 감성을 느낄 수 있는 곡이다. 막 뻥 뚫리도록 내 뱉진 않는데 그래도 굳이 절제하진 않는 발라드류다.
강고은의 '별무소용' 또한 조용조용하다 하일라이트에서 내 뱉는 그 절정이 꽤 강렬했다.
그리고 니아 '감기 조심하고'와 경다솜 '나만 아픈거니 왜'도 빼놓을 수 없겠다.
잔잔하게 빌드업 하면서 파고 드는 류,
그러니깐 빌드업 하면서도 정점에서 굳이 질러 내뱉지 않고 절제의 미학을 보여주는고구마(?)류 발라드중에선,
한살차이의 '먼훗날'... 이 노래가 왜 이렇게 감성을 자극하는지 모르겠다. 나이가 들어가서 그런진 몰라도... 듣고 있노라면 나도 모르게 상당히 눈물샘 자극이 되는 음악이다. 이들이 노래하는 가사 또한 아련하고 애틋하기도 하지만 이 감성 전체가 천천히 빌드업 하면서 드라마틱한 클라이맥스 없이도 잔잔하게 마음을 움직이는 감성 플레이가 너무 좋았다. 어떻게 노래를 이렇게 예쁘게 만들고 불렀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수복의 '어느샌가 이별이 되고'는 전형적인 발라드라기 보다는 알엔비 블루스에 더 가깝게 들리기도 하지만.. 쨋든.. 잔잔히 하지만 깊게 파고 드는 감성의 맛이 장난 아니었다.
들으면서 취한다는게 이런 느낌일지 모르겠다.
그리고 아래 곡들도 같은 류로서 지속적으로 잘 듣고 있는 음악들이다.
차소연 '약속'
바이미 '아무 일 없었던 것처럼'
허은결 ' 사랑이었을까'
더 데이지 '사랑 참 어렵지 않니'
페퍼민트 '나보다 조금 더 아파하기를 (ft. Blusher)'
루나'아프고 아파도'
애즈원 '2월 29일'
걸그룹 아이돌들의 발라드도 괜찮은 것들이 몇 있었는데,
로켓펀치의 '종이별'과 아이즈원의 '언젠가 우리의 밤도 지나가겠죠'이 그냥 지나치기에는 아쉬운 화려한 댄스 타이틀 속 숨어 있는 띵발라드 곡들이다.
솔직히 애즈원의 촉촉한 '2월 29일'에서 2월의 발라드가 아름답게 대미를 장식하는 줄 알았는데 (영상 음악도 일부러 여운을 남겨보려고 노래 끝나는 최종부로 잡았는데...), 실제 2월 29일에 갑자기 청하가 조보아와 함께 감성저격 '솔직히 지친다'를 가지고 나오며 2월의 발라드 판이 끝맺음 되었다...
청하의 '솔직히 지친다'는 [이태원 클라쓰] OST 안에 들어 있었어도 꽤 어울렸겠다는 생각이 든다.
뮤비 릴리즈와 함께 훈훈한 철도덕후들의 반향을 일으킨 여자친구는 이번에도 리스너를 위한 걸그룹 앨범다운 앨범을 보여주었고,
아이즈원 또한 자본의 공들인 티가 팍팍 나듯 앨범의 퀄리티가 좋았다. 조작 논란과 더불어 팬들이 어떻게 판단할지만 남았다.
물론 여자친구와 아이즈*원이라는 거대 존재가 각각 월초, 월중반에 등장하여 걸그룹 판을 나눠 먹는 듯 했지만 나머지 참전한 13팀 중 꽤 선전한 팀들이 많았던 것 같다. 이달의 소녀는 전작, 퀄리티가 '버터플라이'를 따라가기 힘들었던 것 같지만 나름 준수했고, 특히 여고생의 경우 상당히 Funky한 컨셉으로 리부팅 되며 꽤 큰 임팩트를 날린 것 같다.
드림캐쳐도 또 한번 진화한 그들의 아이덴티티를 잘 보여줬고 무엇보다도 오랜만에 엘리스를 다시 만날 수 있어 반가운 달이었다.
로켓펀치, 에버글로우의 컴백도 빼 놓을 수 없겠는데 특히 에버글로우의 경우 이번 'Dun Dun'과 함께 비슷한 시기에 데뷔한 신인걸그룹 중 (대형 기획사 신인 아이돌 제외) 가장 앞서가는 듯 할 모습을 보여줬다.
저번 달에는 락 쪽은 거의 락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였는데 2월에는 눈에 띄는 액트가 3개 있었다.
쥬디엔 메어리 식의 친근한 팝락 스타일의 '그곳에 닿아줘'의 크리스탈 티, 얼터너티브 시절을 떠올리게 하며 한 층 더 강력해진 수준의 사운드를 들고 나온 새소년의 '심야행', 그리고 코어 매거진의 'Tracy'.
마지막으로 신기했던건 댄스 사운드에서는 보기 드문 드라마 OST가 두 개 들어있다.
EDM 댄스 스타일의 선미의 '가라고'와 김다미의 박서준에게 키스하려는 권나라 주둥이 틀어막기 씬에 삽입된 박성일 프랙탈의 경쾌한 하우스 리듬의 'Defense'
여기까지가 요약
1월의 매마른 걸그룹 판을 적셔주듯 2월 1일이 되자마자 (여자)아이들이 슈가맨 김동률 커버를 통해 첫 시작을 알렸고 뮤지컬스러운 경쾌한 튠에 귀여운 안무가 꽤 매력적이었다.
슈가맨은 발표 전 항상 전체와 멤버별 리허설 직캠 영상이 올라오는데, 실제 무대 모습이 아니라서 그런지 약간 어색한 안무 동작도 있고 의상도 편하게들 입고 나와서 뭔가 더 풋풋?한 이미지가 있어서 좋다. 그래서 이 6 영상들을 하나 씩 챱챱 자르면서 교차로 편집해 봤다. 나중에는 좀 더 자연스러운 이펙트를 넣는 것도 실험해봐야 겠다.
이어 에버글로우가 컴백하는데 전작들에 이어 진화한 듯 더 강력한 훅을 가진 EDM 사운드로 돌아왔다. 비슷한 설정의 1월의 ANS와 비교하면 에버글로우의 승. 'Dun Dun'의 안무도 상당히 볼만한데, 아마도 많은 댄스커버 영상들이 나올 것 같다.
이대로만 나간다면 이 팀은 걸그룹 판에서 상당한 입지를 구축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여자친구는 <回:Labyrinth>을 선보이며 다시 한번 완성도 높은 앨범을 선보였다.
빅히트와의 결과물이라고 버즈가 좀 많긴 했는데 앨범만 두고는 좋긴 하지만 작년의 두 앨범들이 좀 더 퀄리티가 좋지 않았나 싶다 적어도 리스닝 측면에서... 근데 여자친구 앨범들은 하나하나 워낙 좋아서 뭐가 좋다나쁘다 얘기하는게 의미가 없긴 하다.
암튼 타이틀 곡, '교차로' MV 영상은 크게 내부와 외부씬으로 나늬는데,
내부는상당히 일본스러운 배경과 세트 느낌을 가지고 있는 반면 외부씬은 서울과 인천 등의 지하철씬들을 대거 삽입했고 발표하자마자 국내철도덕후들에게 심심치 않은 반향을 일으켰다.
그 사이 유튜브 크리에이터 김미소가 강애리자의 '분홍 립스틱'을 커버 했는데, 워낙 커버가 많이 된 음악이라 기대했지만 독특함은 없었다. 하지만 '분홍립스틱' 자체는 언제나 사랑이기에 영상에 추가... (영상은 영화 <광복절 특사>의 송윤아가 노래방에서 '분홍립스틱'을 부르는 장면이다.)
댄스 판에서는 잘 볼 순 없지만 2월에는 엄청 많은 실력파 인디 아티스트들이 주옥 같은 음악을 선보인 달이기도 했다.
그 중 댄스튠에 19NANA의 '꽃잎동전세탁소'가 계속 귀에 맴 돈다.
앨범 <예쁜오류>를 통해 이전 유튜브나 싱글로 발표 했던 음악을 수록해 발표 했는데 상당히 어린 친구인 것 같은데 이런저런 실험적인 시도를 하는 아티스트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음악은 인디튠이지만 영상은 80년대 레트로 및 베이퍼웨이브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은 것 같다.
2월 초가 가시기 전 이달의 소녀, 선미, 밴디트가 컴백 했다.
이달의 소녀는 <#> EP 앨범으로 돌아왔는데, 타이틀 'So What'을 통해 작년과 마찬가지로 "난 나야, 볼일 있으면 니가 와 봐라" 식의 어디에도 의지하지 않는 강한 '나'의 컨셉이 걸그룹 노래에 있어 중심 요인으로 확실히 자리 잡았음을 알려주는 것 같다.
작년의 '버터플라이'가 노래고 안무고 너~~~무 좋았어서 (개인적으로 2019년 최고의 걸그룹 송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타이틀이 좋은 노래긴 하나 좀 약하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난 아직도 '버터플라이'를 즐겨 듣고 본다.
선미의 경우 컴백이라기 보단 <xx> 드라마 OST 삽입곡인데 역시 베이스가 강한 EDM 사운드다.
제목은 '가라고 Gotta Go'로 전 작에 이어 영어와 한글의 언어유희에 재미를 붙인 모습을 보여준다.
2019년 데뷔한 걸그룹 중 눈에 띄는 모습을 보여줬던 밴디트도 'Cool'싱글을 가지고 왔는데 모두 영어로 되어 있어 첨에 살짝 부담스럽긴 했는데,
나름 실험적이라고 해야할까? 암튼 MV 영상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그리고 핑크문도 작년에 이어 여성 객원 보컬을 통한 80년대 레트로 댄스 사운드를 지속적으로 들려주었다. 이번엔 EXID의 정화가 참여했다.
10일께가 되서는 다시 걸그룹의 공세가 이어지는데,
러블리즈의 동생 그룹, 로켓펀치가 'Bouncy'로 컴백하는데 상당히 경쾌하고 나름 훵키한 느낌도 가지고 있는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이다.
숨쉴 틈 안주고 몰아치는 댄스 비트 속의 안무를 보면 아... 이 친구들 춤 진짜 잘 춘다...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역시 어리니까 에너지가 넘치는 것 같다.
수록곡인 'So Solo'도 Bouncy처럼 쉴 새 없이 몰아치진 않지만 꽤 괜찮은 띵곡이다.
여자친구, 아이즈*원이라는 거대 존재들이 2월 초중반을 나눠먹은 이 한 달 속에서 크진 않았지만 나름 임팩트 있는 한 방이었던 것 같다.
바로 다음 날 체리블렛이 '무릎을 탁 치고'로 컴백 하는데, 나름 나쁘진 않았다.
다만 작년에 보여줬던 이전 작들처럼 8,16비트 레트로 게임과 연계되는 팀의 대표 테마가 이번엔 좀 끊긴 느낌이라 지금까지 만들어 온 아이덴티티 상에 약간 금이 간 듯 한 느낌이다.
여성 보컬 락 사운드가 그 나마 몇몇 나온게 2월인데,
가장 먼저 만날 수 있었던게 '그 곳에 닿아줘'의 크리스탈 티다. 뮤비를 통해 들으면서 반갑게도 옛날 2000년대의 Judy and Mary가 상당히 많이 떠올랐다.
힙합도 당연한 댄스긴 하지만 흐느적 거리는 느린 BPM과 힙합이라기 보다는 어반 RnB 사운드가 많아 Mid Tempo 쪽으로 많이 들어가 있는 상황이다.
벨의 'BC'도 마찬가지로 흔드는 댄스튠이라고 하기엔 그렇지만 댄스 음악으로 분류해도 괜찮을 힙합 사운드인 것 같았다.
영상은 살짝 잔인하기도 하여 놀랐던 일진 영화, 2006년작 <폭력써클>의 한 장면으로 10대를 연기한 조진웅의 모습도 살짝 볼 수 있다. 하.. 역시 그 시절 연제욱의 사악하고 독한 일진 연기는 아무도 따라갈 수 없을 것 같다....
그리고 2월 중순, 이번 달에 가장 눈에 띄는 걸그룹 액트가 있었는데,
조작에 대한 온갖 논란을 정면돌파하고 나온 아이즈*원의 컴백이었다.
예상했던대로 앨범의 음악들은 거의 모두 좋은 퀄리티를 자랑한다. 하나 하나 다 좋은 곡들이다.
개인적으로는 'Open Your Eyes'가 타이틀 'Fiesta'보다 좋았고 ' '우연이 아니야' 경우 가벼운 걸리락댄스 튠에다가 '벛꽃' 가사까지 들어가 있는 걸로 봐서 일본 정서도 꽤 고려하여 발란스를 마추련 듯 보인다.
슈가맨을 통해 여자친구가 또 한 번 모습을 드러내었는데, 이번엔 마로니에의 '칵테일 사랑' 커버였다.
(여자)아이들에 이어 슈가캠 직캠 리허설 영상들로 또 챱챱 짜집기 편집을 시도 해 보았다.
나름 재밋어서 중독될 것 같다.
누가 감히 아이즈*원과 맞짱 뜰가 싶을까 했는데 꽤 많은 겁 없는 걸그룹들이 이어서 신곡 발표들을 했다.
이 중 가장 인지도가 낮을 여고생의 경우 'Timing'이라는 타이틀로 컴백했는데,
개취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좀 Funky한 컨셉으로 돌아선 듯 한데, 타이틀 곡도 상당히 중독성 있는 힙합댄스튠으로 2월 여자 아이돌 노래 중에 가장 인상깊게 들었던 곡 중 하나다.
암튼 지금까지 보여준 그들이 모습들을 보면 얼마 안가 사라질 듯 위태 해 보였는데 정말 강한 임팩트 한 방으로 돌아왔다.
미드템포로 넘기긴 했지만 수록곡 또한 정말 funky하다.
드림캐쳐.
초기 때만 해도 프리츠와 비교할 정도로 메탈을 표방하기에는 너무 소녀 사운드로 약해 보이긴 했는데,
해가 지날 수록 꾸준히 자신들의 아이덴티티(어두운 다크한 악몽 컨셉)를 잘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특히 이번 EP 앨범은 지금까지 보여준 앨범 중 퀄리티도 가장 좋은 것 같다.
새소년의 신곡 소식이 또 있었다. '심야행' 옛날 즐겨들었던 락이 '얼터너티브'라 불리워지던 시절이 향수가 났다. 슈게이즈나 펑크 계열의 락밴드들이 다시 떠오르게끔 한 시원한 인디락 사운드였다.
락계열은 새소년의 소식과 더불어 비슷한 느낌의 코어 매거진의 'Tracy'도 꽤 인상적이었다.
위키미키... 전 작 '티카타카'만 해도 꽤 좋았는데... 이 팀은 신기하게도 딱 싫을 만큼도 아니고 막 좋을 만큼도 아닌 것 같다.
작년의 <호텔델루나>의 OST의 왕관을 2020년엔 누가 이어갈지 상당히 궁금하긴 한데,
2월이긴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태원 클라쓰>가 제일 강력한 후보군인 것 같다.
그리고 이번 <이태원 클라쓰>는 좀 특이했던게 보통 드라마 OST에서 댄스 튠은 듣기 힘든 편인데 전자댄스 음악을 들을 수가 있었다.
박서준과 권나라가 키스씬에 거의 임박하자 권나라의 주둥아리를 사정없이 손으로 틀어막아버리는 김다미의 씬에 수록된 'Defense'는 경쾌한 하우스 사운드를 들려준다. 박성일 프랙탈의 곡으로 올라가 있다.
이어지는 곡은 피자보이와 치킨걸스의 '사랑은 언제나 배고프다'.영상은 MV가 없어 2017년 작 [우리들의 시간]에 나이트클럽씬이 있어 약간 닭장 시대 철이와 미애 타임라인이랑 그나마 맞출 수 있을 것 같았다.
음악은 상당히 레트로삘인데, 그 시절 철이와 미애의 '너는 왜'를 벤치마킹 한 듯.
마지막 댄스판의 솔로 액트는 eunA의 'B-Day'인데 보컬이 나름 소울풀 하다. 영상은 드라마 <트라이앵글>의 클럽씬.
그리고 2월 말에 다달아 걸그룹은 써드아이, 데이드림, 엘리스가 나왔는데,
써드아이는 계속 약간 무서운 이미지와 무거운 튠인데, 이번 뮤비 컨셉은 갑자기 야꾸자 컨셉 같아서 살짝 ... 부담 스럽기도.. 이전 작이 아마 교도소 컨셉이었던 듯...
데이드림은 아직 공식데뷔는 안 한 것 같은데, 꽤 많은 길거리 공연 직캠들이 나와 있어서 교차 편집 재료로 또 챱챱 영상편집을 해봤는데,
너무 많이 잘라놔서 그런지...RAM이 달리는 건지 내 노트북에서 상당히 버벅거린다.
렌더링 걸고 놔서 봐도 버버벅 거려서 편집이 잘 된건지 확인하기가 어렵다...-_-
저번 주에 8기가로 겨우 업그레이드를 했는데 이 정도의 챱챱 잘라놓은 영상들에게는 아직 역부족인가 보다.
꽤 오랜만에 듣는 엘리스의 댄스 튠이었던 것 같다.
오랜만에 듣는 만큼 몇 개 안되는 EP지만 나름 중박은 하는 것 같다. 좋은 곡들로 짜여져 있다.
미드템포에서는 각종 미드템포 및 기타 (알엔비, 힙합, 인디 등등 댄스와 발라드가 아닌 모든 것들)...다루고 있다.
그나마 간편하게 댄스, 발라드, 미드 이렇게 3개로만 나눠서 그런 것도 있고, 특히나 2월은 너무나 많은 아티스트들이 쏟아져 나왔다.
발라드야 원래 공급과 수요가 모두 많아서 그렇다 치지만,
1월과 대비하면 미드/인디 쪽에서도 상당히 많은 음악들이 나왔고 꽤 눈여겨 봐야할 아티스트와 팀들도 많이 출연했다.
일단 가장 주목했던건 아래 아티스트들이다.
어른아이, 한희정, 수복, 최유리, 로와, 19나나, 우주
어른아이(황보라)가 11년만에 <토닥토닥>이라는 3집을 발표했다.
2000년대 드라마 OST의 황금기를 열어버린(?) [커피프린스]에도 수록되어 대중의 사랑을 받았던 어른아이는,
지난 11년동안 연애도 하고, 복학도 하고, 결혼도 했다고 한다. (2년전 인터뷰 내용)
2018년 9년만에 발표했던 '토닥토닥'을 시작으로 발표되었던 싱글들과 새로 추가된 곡들로 Full 앨범을 발표했는데,
국내음악이건 외국음악이건 통틀어 정말 오랜만에 앨범 한 장을 처음부터 끝까지 들어본 것 같다.
싱글과 EP라고 쓰고 싱글+쓰레기 수록곡들이 난무하는 요즘 세상에 앨범을 듣는 경험이라니... 정말 오랜만이었던 것 같다.
Psych-Folk라고 해야할지 음악 자체도 꽤 몽환적이어서 한동안 헤어나오지 못했던 것 같다.
특히 새벽 운전길에 정말 아스트랄하니 잘 어울렸던 것 같다.
유튜브 영상엔 3곡만 삽입했는데, 이것도 정말 골라 골라 3곡이다.
어른아이의 이번 앨범은 말 그대로 앨범을 들을 것을 추천 한다.
간만에 아티스트를 접한 기분이었다.
어른아이 최고.
영상편집할 때는 딱히 MV가 없어서 단편 영화 [이것이 우리의 끝이다], 영화 [꿈의 제인]과 [뷰티풀 뱀파이어]가 들어갔다. 나름 어울릴만한 걸로 생각한 건데..
한희정의 <두 개의 나> 앨범이 나왔다.
어른아이로 이미 2월 초에 한 방 맞아서 얼얼 했는데 한희정이 또 앨범 같은 앨범을 들고 나와버렸다.
옛날 공연하는 거 볼 때마다 "와... 저 사람은 신내림 받는다고 해도 안 이상하겠다.." 생각했는데 역시 아티스트 기질이 여전히 다분했다.
이번 앨범 음악은 무슨 아트락 같은 느낌인데, 바이올린 때문인진 몰라도 벨벳언더그라운드 출신 존 케일의 음악을 많이 연상 시켰다.
어른아이와 마찬가지로 이번 한의정의 음악도 전체 앨범을 듣는게 훨씬 좋다.
2월 중순에 또 앨범다운 앨범이 나왔다, 바로 수복의 <Can You Save Me?>.
거의 전체 곡을 두고 뭐를 영상에 집어 넣을지 고민을 참 오래했다.. 2월 달 음악 중에서 어른아이와 함께 가장 오래 고민했다.
결국 발라드에 두 개 보내고 미드템포에 두 개를 넣었다.
수복의 음악은 발라드/인디/포크이면서도 무엇보다도 알엔비 블루스 느낌이 강하게 들어가 있다.
약간 오바해서 비유하면 톰 웨이츠 식의 술에 취한 듯한 몽환적인 느낌이 들어가 있다.
뭔가 취한 듯 흐느낀다고나 할까..
[ 영상은 단편영화, [Pragma]인데 요즘 갑자기 퀴어 영화에 꽂혀서... 이 영상이랑도 꽤 잘 어울릴 것 같다고 생각됬다. ]
유재하 가요제 대상에 빛나는 최유리의 '동그라미'가 수록된 <동그라미> 앨범도 주목할 만 했다.
그 동안 발표되었던 싱글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동그라미'도 작년 노래긴 하지만.... 쨋든 앨범이 발표되면서 3개의 라이브 영상도 함께 유뷰브에 올라왔는데 들을 때마다 이 짠....한... 느낌이 진짜...
와... '동그라미'가 들려주는 이 미묘한 감정떨림이 장난 아니다...
간만에 초딩시절의 그 무더운 여름 밤으로 돌아간 느낌이 들었다. (지극히도 개인적인 느낌)
19NANA도 그 동안의 싱글들을 모아 담은 <예쁜오류> 앨범을 발표 했다.
그녀의 유튜브를 들어가보면 이것저것 아찌한 실험을 많이 하는 것 같다.
색상은 주로 파스텔 네온.. 80년대 레트로와 베이퍼웨이브가 그녀가 작업하는 영상에 많은 영감을 준 것 같다.
음악은 딱 인디 사운드로 위 두 트렌드(?)와는 큰 상관은 없는 것 같다.
시티팝의 유행은 약 2017년 즘부터 시작되어 무르익을 대로 무르익었다고 봐도 될텐데 이번 달에도 괜찮은 시티팝 몇 개가 귀에 들어왔다.
먼저 우주는 다시 한번 시티팝 사운드로 무장한 EP를 발표 했는데,
개인적으로는 타이틀, 'Metro88' 보다 '그대만의 것이니까요'가 그 동안 우주가 들려줬던 로맨틱한 도시의 감성이 더 잘 들어가 있는 느낌이다.
이 밖에 소울라이츠의 '청춘의 순간'은 그들이 지속적으로 유지 해 온 알엔비 훵크 느낌으로,
시티팝의 시그니쳐와 다름없는 도입부의 청량함을 만끽할 수 있다.
로와 또한 '그때의 아주 작은 행동은'을 통해 작년 'Balloon'에 이어 멜로우한 느낌의 시티팝을 잘 이어준 것 같다. 2월 달의 잊을 수 없는 Top 10곡 중 하나다.
우주와 함께 인디계열의 여성 시티팝의 양대산맥이라고 해도 속색없을 레인보우노트의 '소행성' 싱글 발표도 있었다.
전작들에 비해 살짝 아쉬운 느낌이 어딘가 있기도 한데, 어쨋든 난 이들이 사용하는 노드 스테이지2 EX인가.. 이 신디사이저 소리가 너무너무 좋다.
4/11 레인보우노트의 첫 돌 콘서트를 예약 해 놓았는데... 그것도 앞에서 3번 째 자리로... 이 눔의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갈 수 있을 지 모르겠다...ㅜㅜ
알엔비, 어반, 힙합, 다운템포 느낌의 음악들도 괜찮은게 많았는데,
힙합 계열은 소울렛의 'Frypan'과 벨의 'Got my Ex'가 기억에 남는데,
둘 다 약간 다운템포 특유의 어두운 이미지가 비슷한 것 같아, 단편 영화 [human Form]을 영상으로 이어봤다. 뭔가 그로테스크하기도 한 느낌이 잘 맞기도 한 것 같다.
그리고 언제부턴가 계속 눈에 띄던 유시온의 'You wanna die'도 있었는데 MV가 없어서 작년 작인 Jealousy 뮤비로 대체 했다. 음악은 힙합인 반면 영상미는 퓨쳐펑크의 그 것을 흠뻑 느낄 수 있다.
2월엔 마마무 문별이 개인 활동을 시작했는데,
타이틀인 'Dark Side of the Moon'은 덥스텝이나 퓨베 같은 EDM 성향인데 비해 'mirror' 그리고 펀치가 피쳐링한 '낯선날'은 좀 더 다운템포 알엔비 성향을 느낄 수 있다. 이와 비슷한 계열로는 진저의 'young girls', 키디비의 'psycho', 수연이의 'lovely white', 모트의 'Elevator', 최첼로의 '네가 없는 밤을 상상해', 유라의 'Night Running', 금조의 '손끝으로'가 있는데 멜랑꼴리한 밤 분위기 젖어 들게 연속으로 틀어놓기 좋은 음악들이다.
그리고 SAAY의 '겨울탓 (ft.우원재)'는 좀 더 가벼운 알엔비 소울에 가까운데,
SAAY의 전작들을 들었을 때는 약간 기괴스러운 느낌이 좀 있었다. 뭔가 특이한 걸 하는 것 같긴 한데 (하우스 느낌의 'Rainbow Car'정도만 개취에 딱 맞았었다) 딱히 꽂히는 곡은 없었는데, 이번 '겨울탓'은 음악이 어렵지도 않고 상당히 가볍게 듣기에도 괜찮다. 귀에도 쏙쏙 들어오고 뮤비에서 보이는 안무 제스쳐도 좀 특이하고... 암튼 상당히 따듯한 느낌의 노래다.
마지막으로 2월 초에 나온 비비의 '신경쓰여'의 경우 다운템포 라운지풍의 몽롱한 사운드가 상당히 매력적이다. 알엔비/소울 느낌에선 이번 달 SAAY와 함께 이 노래가 제일 좋았다.
꽤 반복해서 들은 것 같다. 들으면서 이자벨라 롯셀리니가 바에서 '블루벨벳'을 부르던 씬이 계속 생각났다. 되게 멜랑꼴리하니 중독성이 있다.
인디팝쪽에서는 마멀레이드 키친의 '이상고온 현상'이 딱 인디팝 하면 떠오를만한 느낌의 경쾌발랄함을 느낄 수 있었다. 이 곡도 MV가 없어서 단편영화 [미안해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를 넣었는데, 최근 퀴어 영화에 빠진 이유가 이 영화 때문이었다.
그리고 퀴어 이전에 너무나 그 때의 그 풋풋한 감성이 잘 들어가 있는 청춘 영화로 너무너무 매력적이었다.
개인적으로 몇 년전 안녕하신가영 백가영의 탈퇴 이후로 잘 듣지 않게 되었던 좋아서 하는 밴드의 신곡 '까맣게'도 굉장히 좋았다. 천천히 빌드업하는 느낌도 너무 좋은데 끝까지 듣다 보면 마음까지 숙연해지더라는....
오랜만인 것 같은 동경소녀와 유지희는 아, 통기타를 맨 인디가수의 소리는 이런거지~ 하는 느낌이다.
인디팝으로 분류해야할진 모르겠지만 발라드로 빼기도 좀 애매했던 유민 (of 멜로디데이)의 '이별 끝에도 여전히 너야'는 약간 재지한 느낌의 로맨틱한 라운지 풍이다. (아마 중간에 피아노 파트 때문에 그런듯)
그리고 아프리카 BJ 앵지가 꾸준히 싱글을 발표하고 있는데 언제부턴가 음악이 되게 괜찮아졌다.
마지막으로 제이화와 수잔.
이 둘은 뭔가 음악성이 굉장히 깊은 듯한 아티스트들인 듯... 앞으로도 대형 인디 아티스트로 잘 성장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제이화의 'Zoo'는 약간 사잌포크 느낌으로 상당히 몽환적이고 아련하다... 이게 조용조용하니 막 졸릴 것 같은 느낌의 튠인데... 끝까지 빠져 듣게 되는 마력을 지녔다
수잔은 약간의 소울 감성도 지니고 있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타이틀 곡보다는 '이 밤의 영혼들은 웃지 않아'가 더 좋았다.
아, 그리고 정바스가 편집한 이고도의 '겨울밤'! 빼 놓을 수 없겠다.
드라마 OST는 댄스와 마찬가지로 미드템포 쪽에서도 크게 눈에 띄진 않았다.
정말 발라드 쪽으로 상당히 편향 되어 있는 것 같긴 하다. 뭐 그도 그럴 듯이 감성공감 때문이지 않을까...
암튼 [응답하라] OST에서 강수지의 '보라빛 향기'를 커버하며 맑고 산뜻한 시티팝 사운드를 선사해 줬던 친자매 팀 와블이 [점점점] OST, 'Always with You'를 통해 찾아왔는데, 역시 이 자매들의 목소린 청량 넘침이다.
그리고 F(x) 이후 잊혀지지 않을 만큼(?) 꾸준한 활동을 하고 있는 루나도 [포레스트] OST를 통해, 아직 겨울이긴 하지만, 트로피칼 하우스 팝 사운드를 들려줬다 .
그 밖에 아이돌팀, 리브하이가 [하와유브레드] OST에 참여 했는데 영상이랑 같이 보면서 들으면 나름 귀엽다.
마지막으로 아이돌 걸그룹의 미드템포들...
역시 걸그룹 아이돌들은 대부분 댄스 사운드로 승부를 걸기 때문에 발라드나 미드템포의 곡으로 타이틀이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래서 묻혀 버리는 좋은 미드템포 곡들도 꽤 많은 편이다.
에버글로우의 'No Lie',이달의 소녀'Number 1',이브는 정말 춤을 잘 추는 것 같다. 그 각!각! 잡히는 각안무가 볼 때마다 매력적이다... 여자친구'Here we are', 드림캐쳐'Jazz Bar' 로켓펀치의 'Fireworks' 아이즈원의 'Dreamlike' 'Daydream' 모두 괜찮았고,
특히 엘리스의 'No Big Deal'이 세련되고 괜찮았는데 약간 EXID 느낌도 난다.
무엇보다 가장 좋았던 건 여고생의 'Love, Pure, Passion'. 정말 Funky하게 이미지 사운드 모두 확 바뀐게 너무 맘에 든다. 미드템포라기 약간 댄서블한 Funky한 사운든데 줄곧 들으면서 옛날 정말 좋아했던 슈퍼훵키그루비 했던 일본 인디 걸그룹, Especia가 계속 생각났다. 앞으로 이렇게만 계속 나가주면 소원이 없겠다.
A급인 여자친구, 아이즈원, B급인 이달의 소녀, 드림캐쳐 및 떠오르는 신예 로켓펀치, 에버글로우 등 걸그룹의 기세가 나름 거셌던 2월에 지나가면서도 가장 기억 속에 남는 2월의 아이돌 사운드, 여고생이었다.
이본, 태라
Yvone, tera
Better Day
Better Day
02월 02일
HR Enter, SB Snter
Mid/Rap
비비
BiBi
신경쓰여
Listen 035 신경쓰여
02월 02일
미스틱스토리
Mid/RnB/Lounge
어른아이
Adult Child
나는 너의 강아지
토닥토닥
02월 03일
album
애프터눈레코드
Mid
단편: 이것이 우리이 끝이다
어른아이
Adult Child
햄스터, 그 녀석이 내게 들려준 이야기
토닥토닥
02월 03일
album
애프터눈레코드
Mid/Down/Drone
영화: 꿈의 제인
어른아이
Adult Child
내 보석은 너
토닥토닥
02월 03일
album
애프터눈레코드
Mid/Folk
영화: 뷰티플 뱀파이어
진저
g1nger
young girls (ft. Western Kite)
SUNBEAMS
02월 03일
goodtomeetyou
Mid/RnB/Down
진저 타이틀 MV
키디비
KittiB
psycho
1718 [psycho]
02월 03일
브랜뉴뮤직
Mid/Rap/Downtempo
한희정
Han Heejeong
비유 (feat.김사월)
두 개의 나
02월 03일
EP
한희정
Mid/indie/Art Rock
두 개의 나
한희정
Han Heejeong
불안
두 개의 나
02월 03일
EP
한희정
Mid/indie/Art Rock
두 개의 나
한희정
Han Heejeong
두 개의 나
두 개의 나
02월 03일
EP
한희정
Mid/indie/Art Rock
에버글로우
Everglow
No Lie
reminiscence
02월 03일
위에화엔터테인먼트 코리아
Midtempo
여자친구
Gfriend
Here we are
回:Labyrinth
02월 03일
EP
쏘스뮤직
Midtempo/Down
19(NANA)
19 NANA
am I violet?
예쁜오류
02월 04일
EP
19
Midtempo/Dance
문별
Moon Byul
낯선날 (ft.펀치) (Weird Day)
낯선날
02월 04일
RBW
Mid
제희
Jaehee
달빛 하늘
02월 05일
arumi
Mid/Electronica
루나
Luna
Take Me Now
포레스트 OST Pt.1
02월 05일
가지컨텐츠
Mid/Electronica
SAAY
SAAY
겨울 탓 (Ft.우원재)
겨울 탓
02월 05일
Universal Music Ltd.
mid/Rnb
이달의 소녀
LOONA
Number 1
#
02월 05일
Midtempo/Pop
수연이
Sooyeoni
lovely white
lovely white
02월 07일
AllBlue RECORDS
Mid/Down
영화: 양자물리학
스위치
Sweetch
Love me do (ft.혜지)
love me do
02월 10일
JAJORIG RECORDS
Mid
영화: 순애보
로켓펀치
Fireworks
Bouncy
Red Punch
02월 10일
울림엔터
Mid
금조 (나인뮤지스)
Geumjo
손끝으로
손끝으로
02월 12일
제이스21, 일리니엄1
Mid/Down
금조 직캠
소울렛
Soullette
Frypan (ft.O'Domar)
Mama told me
02월 13일
먼데이브런치
Mid/Rap/Hip Hop
단편: Human Form
벨
Belle
Got My Ex
BC (Ft.27Ring)
02월 13일
SoFlo Records
Mid/Rap/Hip Hop
단편: Human Form
마멀레이드 키친
Marmalade Kitechen
이상고온현상
이상고온현상
02월 13일
제오엠엔터
Mid/Indie Pop
단편: 미안해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
로와
Lowa
그때의 아주 작은 행동은
Violet
02월 14일
일로파라다이스
Mid/Indie
로와
Lowa
violet
Violet
02월 14일
일로파라다이스
mid/indie
문별
Moon Byul
Dark Side of the Moon
Dark Side of the Moon
02월 14일
RBW
Mid/RnB
문별
Moon Byul
mirror
Dark Side of the Moon
02월 14일
RBW
Mid/RnB
이고도
lee Godo
겨울밤
겨울밤
02월 15일
Piece of Cake
mid/City
레인보우노트
Rainbow Note
소행성
송행성
02월 15일
루비레코드
mid/City
유튜브: Arrow Of Time - Milky Way Time Lapse Collection. The Milky Way, A
Journey Through The Sky (4K) - A Yosemite Channel Film, Milkyway Timelapse
Compilation - 2016 - in 4K
발라드 같은 경우는 언제나 과유불급으로 많아서 추천 뽑는데 힘이 드는데 댄스의 경우 옥석 가리기는 커녕 발표된 곡들을 다 소개해도 모자를 지경이다.
결국 총 시간은 3분33초로 잘 떨어지긴 했는데 7 아티스트와 팀 정도다.
윤하의 '26'은 이번 앨범의 타이틀곡은 아니지만 전통적인 윤하표 신나고 경쾌한 락사운드로 이전 팬들이라면 들으면 반갑고 즐겁거도 남을 튠이다. 곡의 경쾌한 분위기는 바로 제목, '26(이륙)'이 힌트다. 막 창공을 날아야 할 것 같은 느낌이다.
그리고 1월은 아이돌 두 팀만 모습을 보였는데,
1월8일 드림노트가 역시 그들이 그 동안 들려주었던 귀엽고 신나는 걸그룹 댄스튠의 '바라다'로 포문을 열었다.
그리고 이틀 뒤 그 뒤를 이어 갠적으로 생각하기에 에버글로우와 항상 라이벌 처럼 겹치는 ANS가 'Say My Name'으로 1월의 마지막! 걸그룹 사운드를 들려주었다.
ANS도 작년에 들려 주었던 베이스 강한 퓨베 사운드의 EDM곡을 들고 나왔는데 좋은 댄스튠이긴 하나 충분한 임팩트를 주기는 아직 약간 모자른 듯 싶어 아쉽다. 하지만 이 기세로 계속 잘 커 간다면 언젠가 강하게 한 방 때려주지 않을 까 싶다.
여성랩 쪽은 뜻 밖에도 BJ양팡 쪽에서 발표 되었다. 뭔가 하고 별 기대없이 확인 차 들어보기만 했는데, 듣다 보니 꽤 캐치하니 좋았다.
일렉트로니카 쪽에서는 국내의 올타임 하우스 레젼드라 불러도 좋을 하우스룰즈의 'Tik Tok'이 있었다. 전형적인 하우스튠의 하우스룰즈 사운드^^라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카나베잇도 베이스 강한 EDM 계열의, 각각 하우스와 퓨베에 가까운 사운드인 'When I Feel Love'와 'Befit'이 귀에 잘 달라 붙었다. 크게 분류는 인디계열이 되긴 하겠지만 이 정도면 인디계열에서도 꽤 팝적이고 캐치한 시도라고 본다. 대중들도 듣기 거북하지 않을 양산형 일렉트로니카 댄스 음악이라고 해야 하나?
마지막으로 요즘 형(?) 트로트 댄스인 샾, 이지혜의 '긴가민가'가 있었다. 뮤직비디오는 나름 B-급 코미디 분위기로 제작 되었는데, 음악은 UV의 뮤지가 만들었다.
이지혜가 무슨 망나니같은 목소리로(!?!?! 표현할 방법을 모르겠다) 치고 나오는 "하!"가 꽤 귀에 맴돈다.
2019 아이돌을 한 이후에 힘들었으니 숨이나 돌리자 하고 10분짜리나 해 볼까 하고 가볍게 시작했는데,
어떡하다보니 또 결산이 되어 버렸다 ㅜㅜ
이번엔 187곡이 들어가 있다.
아이돌 할 때는 거의 다 댄스 음악이었는데 이번엔 발라드, 미디엄템포 등등 장르가 상당히 혼합되어 있어서 음악 이어주는데 조금 힘들었다.
암튼 여성 솔로 아티스트 기준으로 그 달마다 좋았던 음악들을 뽑아 놓은 거니 틀어 놓고 있기 좋을 것 같다.
특히 음악 끝까지 못 듣고 액기스만 듣는게 좋으면 더 괜찮을 듯.
뭐 여느 시절과 다름 없이 발라드가 대부분이긴 했지만,
음원 사재기 논란 때문일까... 술, 난 못지내 넌 잘지내 ㅅㅂ, 이런 류의 가사가 담긴 음악에 피로를 토로하던 사람들이 특히 많았던 한 해이었던 것 같기도 하다.
영상 편집하고 나니, 이루리-헤이즈 각각 5개,
백예린-우은미-태연-요요미 각각 4개,
케이시-송하예-박봄 각 3개로
가장 다채로운 곡들을 즐겼던 아티스트들인 것 같다.
특히 이루리나 요요미 같은 경우는 일반적인 보컬 커버를 넘어 하나의 새로운 컨텐트로 받아들여도 무방한 음악들을 선보였다.
특히 이루리는 종종 메이져 아이돌 음악 커버를 하는데,
일반적인 보컬 커버를 넘어 편집으로 인한 재생산으로 개념으로 들어가는 컨텐트를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더 그 의미가 큰 것 같다.
요요미는 이제 정말 기획사가 요요미 본인이 부를 음악만 잘 챙겨주기만 하면 될 것 같다. 제발.
백예린은 그 공기에 섞인 물방울 마냥 신비로운 목소리로 1분기와 4분기를 접수했다고 해도 무방할 만큼의 뛰어난 활약을 보여준 한 해였다.
음악은 참 좋았는데 연말 사재기 논란으로 인해 폭풍의 핵으로 포지셔닝 되버린 송하예가 갠적으론 안타까웠고... (사실이라면 굳이 사재기를 안했어도 하는...)
그리고 2019년을 돌아보니 옹? 이렇게 많이 즐겨 들었었나 싶을 정도로 우은미와 케이시의 음악들이 있어서 놀랐다.
고인물(?) 중에서는 박봄과 태연이 여러모로 많은 활동을 통해,
한 번 눈에 띄고 한 방에 단 물 쏙 빼먹고 지나가는 그런 고인물들의 나쁜 모습을 보여주지 않은 모범 케이스라 볼 수 있겠다.
특히 태연의 '춘천가는 기차'는 2019년의 정말 잊을 수 없는 순간 중 하나였다.
곡은 많지 않거나 하나라도 나름 임팩트있는 순간들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2019년은 청하의 한 해라고 해도 무방할 만큼, 꼭두새벽을 연 "벌써12시"는 연말까지 그 생명력을 이어갔다.
또한 여름시즌에 집중된 [호텔델루나] OST 시리즈의 파급력은 실로 어마어마 했다.
전직 아이돌 혹은 아이돌 유닛 액트로는,
일단 2019년엔 보이진 않았지만 해빈과 세정을 통해 구구단의 생존신고는 확인 되었고,
러블리즈의 케이가 솔로앨범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리고 fx의 루나가 연초에 2018년의 연말의 취기를 이어주는 듯한 라운지 사운드는 물론,
효린 또한 특유의 가창력으로 지속적인 솔로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인디 씬에서는 우주, 우효, 민수, 이유림, 서예안, 송희란, 로와 등이 눈에 띄였는데 (개취라 거의 시티팝 사운드이긴 하다...ㅎㅎ)
그 중에서도 90년대 레트로의 박문치가 여러모로 많은 활약과 함께 두각을 내 보인 한 해인 듯 싶다.
다만 좀 아쉬웠던 것은 여성 솔로 댄스 가수의 기근 현상이다.
청하와 선미, 그것도 청하의 대박이 있었긴 하지만 이 판 만큼 다채로운 풍성함이 없던 여성 솔로 판은 없었다.
하긴 근데 안 그대로 가창력 좋고, 댄스 실력으로 무장한 아이돌팀에게 유리한 난이도 높은 요즘 댄스 음악을 상대로,
솔로로서 혼자 그 벽을 맞 부딪히며 맞짱 뜨기에는 아무래도 힘들지 않을 까 하는 생각은 해본다.
마지막으로 설리의 유작, [Goblin]이 발표되었던 한 해이기도 하다.
고블린이란 단어와 그녀의 상황들을 매칭시키다 보면 참 뭔가 사람을 애잔하게 만드는 부분이기도 하다.
왜 이런 제목을 택했고, 왜 이런 사운드를 택했을까....
그래서 더욱 그럴까, 그 안에 수록곡으로 들어 있던 'On the Moon'은 참 예쁘고 아련한 사운드로 자리잡는다.
1월
2019년 꼭두 새벽부터 청하의 '벌써 12시'가 울려터졌다. 그리고 이 기새는 2019년의 마지막까지 쭈우욱 흘러갔다. 마치, 달을 넘어, 화성을 넘어, 목성을 넘어, 토성을 넘어... 마치 태양계를 이탈할 것만 같이 그렇게 12시야는 연료통이 닳지도 않는 듯 2019년 내내 쭉쭉 쏘아 올라간 것 같다.
그리고 라운지와 훵크 사운드 느낌의 루나의 '운다고'도 12월 말의 연말 분위기가 아직 가시지 않은 느낌의 시점에서 꽤 괜찮은 곡이었던 것 같다.
1/3 벌써 12시 - 청하
1/4 운다고 - 루나
1/8 Twilight - 김주나
1/22 신청곡 - 이소라
1/29 2cm - 민서
1/30 다 핀 꽃 - 로시
2월
개인적으론 유키카의 네온이 정말 강렬한 한 방이었다. 11개월이 지나가는 지금 시점에도 즐겨 듣고 있는 곡이다. 계속 일어나고 있던 시티팝 물결에 편승하듯 들려준 그 때 그 시절 사운드. 2월은 솔직히 유키카의 네온 밖에 기억이 나질 않는다.
2/13 멍청이 - 화사
2/14 오롯이 - 헤이즈
2/18 25 - 황예린
2/22 Neon - 유키카
2/28 오늘 뭐했는지 말해봐 - 권진아
3월
나름 다채로운 한 달이었다.
2019년 내내 자주 모습을 비추어 준 이루리의 선미 '사이렌' 커버가 있었고, 홍진영의 '오늘밤에'가 역시 뽕땐스로는 재격인 사운드를 들려 주며 트로트와 기존 대중가요 판을 자유롭게 넘나 드는 포지셔닝을 보여주었다.
타이틀은 아니지만 수록곡으로서는 상당히 괜찮았던 박봄의 '창피해'가 어떻게 보면 2019 솔로 여성 보컬로서는 제대로된 첫 전자댄스 사운드의 포문을 열어 주었다.
'혼자'를 통해 역시 거미는 거미다...라는 걸 느끼게 해 주었었고,
트로트 가수인 설하윤이 우읭?한 괜찮은 발라드 곡을 들려주었다.
하지만 역시 3월은 백예린의 [Our Love is Great] 앨범이 평정한 달인 듯 싶다. 하아... 이 공기 속으로 녹아들을 것만 같은 백예린의 보컬... 정말 어쩔건가....
3/5 민수는 혼란스럽다 - 민수
3/7 사이렌 (커버) - 이루리
3/8 오늘밤에 - 홍진영
3/12 괜찮다고 말해줘 - 장재인
3/12 청춘 - 임현정
3/12 비가내려 - 김윤희
3/13 창피해 - 박봄
3/14 스물에게 - 예리
3/18 혼자 - 거미
3/18 물감 - 김연지
3/18 그건 아마 우리의 잘못은 아닐거야; 지켜줄게 - 백예린
3/19 사각사각 - 설하윤
3/19 그러니까 - 헤이즈
3/19 사계 - 태연
3/25 가끔 - 박송이
3/28 진심이 담긴 노래 - 케이시
3/29 빨간 꽃 - 이바다
3/29 초속5cm - 키디비
3/31 아미 - 바램
4월
인디 아티스트들이 눈에 띄였던 달이다.
데뷔 앨범부터 심상치 않았던 우효는 [성난 도시로부터 멀리]를 통해 벌써부터 무러익어갈만한 내공을 보여준듯 싶고,
레트로 컨셉과 시티팝+알엔비 사운드가 조합된 아이디 역시 전 작에 이어 묵직한 사운드의 '&NEW'로 돌아왔다.
4/8 토끼탈; 테니스 - 우효
4/16 The First Love - 민서
4/16 다 거짓말 - 우은미
4/25 Time Slip - 비스윗
4/26 4분40초 - 하루나
4/26 &NEW - 아이디
4/27 Lonely - 지수
5월
축구 경기 전반전 후 TV 광고를 통해 요요미란 가수를 처음 접했다. 신선한 충격이었다.
이후로도 혜은이와 매칭을 시킨 같은 회사 광고로 10월에 '저축' 음악 시리즈를 내게 된다. 그래서 이건 굳이 따로 안나누고 하나로 모아 보았다.
그리고 플러스, 요요미의 수 많은 커버송들 중에 단연 가장 임팩트 있었던 블핑의 '사랑은 불장난' 커버도 같이 넣었다. 이건 2월에 업로드 되었었다.
요요미가 처음 만나 가장 반가웠던 가수라면, 소녀시대 탱구의 아름다운 반전?아닌 반전 같은 발표가 있었으니 그것은 월간 윤종신의 시티팝 사운드 5월의 김현철의 '춘천가는 기차'의 커버송이었다. 윤종신의 시티팝 사랑도 잘 알려져 있긴 하지만 사실 그 때까지도, 지금까지도 월간 윤종신 시리즈에서 나온 어느 사운드 중에 이 태연의 5월호 별책부록처럼 눈에 띄는 곡은 없었다.
와... 이건 정말 태연의 재발견이 아닌가 싶다. 개인적으로는 태연이 모노의 '넌 언제나'를 커버 해 주는 오는 날을 꿈꿔 본다. 정말 잘 어울릴 듯 하다.
그리고 지금은 음원 사재기 논란의 핵으로 자릴 잡아 버린 송하예의 '니소식'이 나왔었다. 노랜 참 좋았는데 말이지....
이런 일이 있었나 싶을지 모르겠는데, 여성 아티스트 판에서 이런 프로페셔널하고 러블리하고 멋있는 지대로된 하우스 사운드를 들은 건 처음인것 같다.
뮤비도 상당히 신박한데 ... 뭐랄까...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그로테스크하게 느껴질 만큼...뭔가 한국 사람이 보는 한국이 아닌 '어떤' 외국인이 바라 본 한국의 느낌이 다분히 나는 것도 굉장히 신기했다. 거기다가 유아인은 덤.
그리고 뭔가 방송하면서 드로잉 미션하면서 만든 노래인 모양인데, (여자)아이들의 소연은 '애정결핍'을 통해 또 한번 싱어송라이터로서의 좋은 자질을 선보여 줬다.
반년 즘 무르익으니 청하는 다시 'Snapping'을 발표하며 2019년 가장 독보적인 여성 솔로 댄스 액트 임을 각인 시켰다.
인디 베이시스트 이루리는 이번 달에도 '환상'을 발표하며 2019년 내내 바삐 좋은 모습들을 보여줬다.
마지막으로 설리의 [Goblin] 싱글 앨범이 나왔는데, 앨범에서 만날 수 있는 마지막 설리의 유작이 되었다.
정작 타이틀곡은 대중이 따라가기 약간은 허들이 있는 곡이었지만, 수록곡 'On the Moon'은 아기자기하니 귀여운 신디팝 사운드로 꾸며져 있다.
노래 자체도 꽤 몽롱한 편이어서 지금 듣고 있으니 더 애련하기까지 하다. 영상은 뮤비가 없어 Fan-Made 영상으로 대체 했는데 이것도 묘하게 애틋하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좋은 곳에서 편히 쉬기를...
6/4 Starry Night (Original Mix) - 페기구
6/4 Feedback - 보아
6/8 애정결핍 - 소연
6/9 솔직하게 말해서 나 - 김나영
6/12 나비 - 비비
6/12 Balance - 라미
6/13 Birthday - 전소미
6/14 Better this Way - 지젤
6/19 멀리 (OnStage2.0) - 모트
6/19 어느새 - 백예린
6/21 진짜 마음 - 민채
6/24 Snapping - 청하
6/29 On the Moon - 설리
6/30 환상 - 이루리
6/30 NIDA - 이별할까요
7월
정말 오랫동안 롱런 하는 윤하가 간만에 또 윤하다운 파워풀 발라드를 들고 나왔다.
그리고 솔의 '지금껏 그랬듯 앞으로도 계속'의 커버를 했는데, 남성 보컬의 원곡과는 또 다른 느낌을 선사해 주었다. 참고로 저 노래 제목은 정말 외우기가 불가능한 제목이다.
유키카가 2월의 '네온' 이후에 다시 시티팝 스타일의 싱글을 발표했다. 일본인이 한국에서 부르는 시티팝의 컨셉인 유키카는 한국말도 너무 잘해서 신기하긴 했는데, 7월 중순 일본 불매 운동이 몰아치며 철퇴를 맞은 듯 아직까지 모습을 볼 수는 없다.
또 다른 시티팝 아티스트인 우주도 '미운 사람만 가득한 이 도시에'를 통해 좀 더 70년 느낌의 훵크나 디스코에서 느낄 수 있었던 그 따뜻함의 감성을 잘 전해준 것 같다.
'4분40초'에서 들려줬던 이런걸 낭랑한...목소리라고 해야 하나? 암튼 그런 발라더 하루나의 '내 친구의 남자친구에게'라는 음악이 발표되었는데, 오히려 뮤비 내용이 멍멍이막장 스타일 컨셉이어서 뮤비를 더 재밋게 본 기억이 난다.
태연의 '그대라는 시'와 함께 [호텔 델루나] OST 시리즈가 사람들의 눈에 띄기 시작하기도한 시점같다.
7/1 I Do I Do - 박봄
7/2 안읽씹 - 솔희
7/2 Midnight - 에일리
7/2 비가 내리는 날에는 - 윤하
7/3 헤어져줘서 고마워 - 벤
7/4 지금껏 그럤듯 앞으로도 계속 (커버) - 솔
7/7 We Don't Talk Together - 헤이즈
7/9 좋아하고 있어요 - 유키카
7/14 내 친구의 남자친구에게 - 하루나
7/14 미운 사람만 가득한 이 도시에 - 우주
7/18 조금 더 외로워지겠지 - 김나영
7/21 그대라는 시 - 태연 (호텔 델루나)
7/26 싶으니까 - 박보람
7/31 솔직한 순간 - 로와
8월
8월부터는 아마도 본격적으로 [호텔 델루나 OST]가 독식하 듯 마수를 뻗여나가기 시작하는데, 8월은 거미-벤-송하예의 3연 속 호텔 델루나 발 3연속 폭판이 떨어진 달이다. 그 중, 거미의 '기억해줘요 내 모든 날과 그때를'의 도입부는 정말 너무 강력했다. 거미가 대형 폭탄을 떨어뜨리고, 벤과 송하예가 연착하면서 차차차차착착 정리해버리는 느낌이랄까?
보통 여성 솔로 아티스트 판에는 발라드가 절대적으로 차지 하는 분량이 큰데, 나름 'Be Your Breeze'라는, 시즌에 어울리는 트로피칼 사운드를 접할 수 있었고,
이거 뭐... 청하 밖에 없나...하는 여성 솔로 댄스판에도 선미가 '날라리'를 들고 컴백했다.
8/3 Virtual World - 최예근
8/4 기억해줘요 내 모든 날과 그때를 - 거미 (호텔 델루나)
8/8 Be Your Breeze - 윤새
8/11 내 목소리 들리니 - 벤 (호텔 델루나)
8/13 소나기 - 이루리
8/16 같이 - 박정현
8/17 Say Goodbye - 송하예 (호텔 델루나)
8/20 술이야 - 키썸
8/27 날라리 - 선미
9월
2019년 대형히트는 없더라도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여준 아티스트들이 있는데, 그 중 3명이 9월에 보였다.
케이시, 우은미, 민서 모두 괜찮은 곡으로 9월을 만족 시켜준 것 같다.
다만 케이시나 민서는 뮤비도 제작되고 이런 저런 영상물도 많은데 우은미의 경우 뮤비는 커녕 영상물들이 거의 전무하다시피 한 편이라 좀 안타깝긴 했다. 뭐 셋의 제작/기획사 이런 레벨을 비교하자면 할 말은 없을 수도 있겠지만
그리고 눈에 띄는 건, 댄스 장르의 Pony인데, 댄스/발라드를 불문하고 아직까지도 국내 시장에서 모두 영어로 가사가 제작된 노래 중 성공적인 케이스가 있나 싶다... (다만 2019년 막판에 백예린을 통해 이 공식이 잠깐 깨지긴 한다)
정신 없었던 호텔델루나의 광풍의 미스트 속에서 풀려난 느낌의 달이기도 했다.
9/4 헤어지자 - 휘인
9/5 우리 사랑이 저무는 이 밤, 가을 밤 떠난 너 - 케이시
9/7 싸운날 - 여은
9/16 널 잊는다는 건 - 우은미
9/18 가끔 이러다 - 펀치
9/24 성장 - 민서
9/26 Miro - 후디
9/27 Divine - Pony
9/27 여자를 몰라 - 김보경
10월
정말 좋은 음악들이 풍성했던 10월이었다, 댄스만 없었다...
제일 인상 깊었던 건 솔의 'Slow (Parkmoonchi remix)'인데, 여기서 주인공은 박문치로 최근 90년대 레트로 컨셉으로 상당한 두각을 보여준 신인이었는데, 솔의 알엔비 감성에 박문치의 레트로 감성이 만나니 이렇게 또 폭발력이 상당할 수 있다니... 여러모로 박문치란 이름을 여기저기 각인 시키기에 충분했던 한 해인 듯 싶다.
'바람의 노래'라는 다소 뜬금 없는 사운드와 뮤비가 나왔는데 노래 자체가 상당히 괜찮아서 찾아보니 제주 생태문화 컨텐츠의 버디프렌즈 주제곡으로 제작 된 곡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음악 자체도 상당히 '건전?'하고 경쾌하고 꿈과 희망과 긍정의 힘이 가득 들어있다 ㅎㅎ
아이돌 출신들의 솔로 액트들은 항상 눈에 보이는 거긴 한데, 앤씨아는 유독 2019년에 댄스가 아닌 괜찮은 감성 발라드를 통해 찾아왔다. 그리고 구구단의 해빈과 러블리즈의 케이는 덤.
조금 놀랐던 것은 AKB48 출신 미유의 월간 윤종신 시리즈를 통한 시티팝 사운드, '내 타입' 데뷔였는데, 음악은 둘 째치고 일본 불매 운동의 시기에 강행이라는 것에 다소 놀라긴 했다. 시티팝 하면 이제 거의 매 달 들을 수 있는 사운드인 것 같은데, 이번에도 우주는 '내 맘에 담을 거에요'라는 러블리한 사운드로 찾아왔다. 그리고 훵키하고 청량하기 그지 없는 도입부와 함께 시작하는 송희란의 밝으면서도 애틋한 느낌의 'Starry Night'도 뺄 수 없겠다.
헤이즈도 2019년 역시 활발한 활동을 보이는데, 갠적으로는 이 '만추'와 '떨어지는 낙엽까지도'에 와서 정말 완숙한 절정의 사운드를 들려준 것 아닌가 싶다.
그리고 '민수는 혼란스럽다' 이후로 다시 한번 민수의 곡을 들을 수 있었는데, 이 분의 음악을 듣고 있노라면... 뭐랄까.. 인디팝이라고 부르기에 정말 이 정도로 안성맞춤일 사운드가 또 있을까 싶다. 민수는 정말 이 세상 모든 민수들이 응원해 줘야 한다.
10/1 그건 말이야 - 민세영
10/1 오지 않는 널 - 해빈
10/1 잊어요 - 박지윤
10/2 석양산책 - 심규선
10/2 마음이 닿아 - 강시원
10/2 넌 아름다워 - 이상은
10/3 커다란 - 민수
10/8 I Go - 케이
10/10 War - 꼴라
10/11 헤어질 자신 있니 - 앤씨아, 박혜원
10/12 새 사랑 - 송하예
10/13 만추; 떨어지는 낙엽까지도 - 헤이즈
10/14 끝인사 - 유진경
10/14 바람의 노래 - 강민희
10/15 처음이고 싶어 - 김진아
10/18 Slow (Parkmoonchi Remix) - 솔
10/20 이웃에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 모모
10/22 미친 소리인 거 알지만 - 클로이
10/23 내 맘에 담을 거에요 - 우주
10/23 내타입 - 미유
10/24 널 좋아하고 있어 - 박문치
10/28 Starry Night - 송희란
10/29 안녕히 - 후디
10/30 그 정도 - 우은미
10/31 우연의 기적 - 박새별
11월
갠적으로 시티팝을 좋아하다 보니 11월의 시작과 더불어 가장 기억에 남는건 서예안의 'Wonder'다. 시티팝 특유의 청량함과 훵키함 속에 넘쳐나는 그루브, 그리고 도시... 정말 매력적인 트랙이었다. 그리고 이와 함께 좀 더 멜로우웨이브 스러운 로와의 'Balloon'도 빼놓을 수 없겠다.
'그래도 겨울이 따뜻한 이유'를 통해 안녕하신가영은 언제나처럼 언제나 속삭이듯 옆에서 수필 읽어주는 듯한 감성을 잘 전달 해주었다.
그리고 올리와 루리가 댄스음악을 들고 나왔는데, 딱히 나쁘진 않았지만... 그래도 청하, 선미의 양두산맥을 끝으로 맥을 찾아보기 힘든 여성솔로댄스의 명맥을 이어나가기엔 좀 역부족이었던 것 같아 아쉬웠다.
박경의 음원 사재기 발언이 터진 달이다. 안 그래도 발라드에 있어서 술, 뼈저린(?) 이별, 찢어져버린 마음의 나, 난 이모냥인데 넌 잘니지내냐..통곡... 뭐 이런 키워드들의 음악들에 사재기 의혹을 떠나서부터 사람들이 많은 피로함을 토로하던 시기였던 것 같기도 한데, 이 시점을 통해서 그 역풍이 엄청나게 몰아치기 시작한 것 같다.
11/1 Wonder - 서예안
11/2 123사랑 - 안녕하신가영
11/5 그 날의 우리에게 - 루
11/6 그 무렵 - 김나영
11/8 Balloon - 로와
11/9 Fresh - 후디
11/11 그래도 겨울이 따뜻한 이유 - 안녕하신가영
11/12 막차; 차가워진 이 바람엔 우리가 써 있어 - 박혜원
11/12 미칠것 같아 - 겨울언니
11/13 다른 사람을 사랑하게 된 것 같아 - 마끼아또
11/13 터닝포인트 - 솔비
11/15 아무도 받지 않는 전화 - 썬워즈히어
11/15 쉿 - 루리
11/16 우리 참 예뻣어 - 차가을
11/16 너의 하루는 어때? - 앤씨아
11/17 술을 한잔 했어 - 앵지
11/17 Crush on You - 올리
11/18 Blueming - 아이유
11/20 우리 왜 헤어져야 해 - 신예영
11/25 내가 있다는 걸 - 박지민
11/27 바람에 흩날리는 꽃잎처럼 - 로린
11/27 너의 Pink - 핑크문
11/27 WBWY - 김유나
11/29 널 기다리고 있을게 - 수란
12월
2019년 구구단의 모습은 볼 수 없었지만, 해빈과 세정의 달달한 발라드를 확인할 수는 있었던 해였다. 12월 초 뜬금없이 '꽉 막힌 하루 끝에서 널 기다릴게' 라이브 영상을 올린 세정, 역시 요즘 아이돌들의 실력이란... 하며 느낄 수 있었던 세정의 가창력이었다.
2019년 내내 좋은 모습을 보여줬던 우은미는 12월까지도 트랙을 발표하며 좋은 유종의 미를 거둔 것 같다.
마찬가지로 이번 년도 지속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던 이루리 역시 본인 이름과 같은 우주소녀의 '이루리'를 커버했다. 인디 아티스트들의 이런 대중가요의 커버도 괜찮은 것 같다. 그리고 이루리의 경우, 단순한 보컬 커버가 아니라 직접 편집을 해서 하나의 컨텐트로 재 생산하는 것이라 그 의미가 더 있는 듯 싶다.
린지의 "Shining"이라는 경쾌하고 청량한 느낌의 곡이 나왔는데 훵키한 느낌의 이 곡은 비유얼이나 오디오나 시원한 느낌이 여름에 나왔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맘도 있었다. 그 옛날 이정현의 "한 여름 밤의 크리스마스"가 떠오르는 순간이기도 했다... 음... 호주 같은 나라라면 그럴 수도 있겠지... (어서 빨리 호주의 화재 진압이 되었으면 한다...ㅜㅜ)
훵키함과 청량함 얘기가 나와 시티팝 사운드들을 또 뺴 놓을 수 없는데,
아이리스의 러브게임이 있었고, 무엇보다도 이유림의 '슬픔이 없는 그 곳에 기다릴게'는 2019년 마지막으로 느낄 수 있었던 감성폭발 아름다운 취저곡이었다.
시티팝은 아니지만 뭔가 옛 브릿팝/영국 인디팝 느낌이 물씬 살아 있던 아녹의 비밀사진도 좋았다.
그리고 이 맘때 즘이면 항상 기대되는 시즌 송이 있는데, 옛날엔 "풉.. 또 이런 노래로 감성팔이 하냐.."라고 생각하던 시절도 있었는데 계속 또 시간이 지나다 보니 이런 노래들이 없으면 또 서운한 맘이 든다. 이런 부분에선 조하, 보아, 여은이 부족하게나마 감성을 채워 준 듯 하다.
음... 백예린의 'Square'가 시즌송은 아니어도 뭔가 연말 감성을 터지게 해 준 측면도 있는 것 같다. 특히나 이번 백예린의 발표는 영어가사로 내수 가요 시장에서 성공한 케이스로는 거의 독보적이 아닌가 싶다.
살아가면서 항상 느끼는게 우리는 항상 복고 트렌드를 달고 사는 것 같다. 요즘은 '레트로' 단어를 더 많이 쓰겠지만, 암튼 복고 트렌드는 언제나 발생했었고 다만 그게 몇 년도의 복고인거냐가 중요했었다.
이번만 그런건 잘 모르겠지만 꽤 오랜시간 80년대 레트로가 펼쳐진 것 같다. 음악씬만 봐도 이미 10여년이 더 흐르도록 80년대의 레트로가 계속 해서 탄력을 받고 있다. 거기에 신스웨이브와 퓨쳐펑크의 시조격인, (2010년대 등장한) 베이퍼웨이브 또한 이제 상업적 수면 위에서 단어가 언급되면서 전반적으로 바이올렛 계열의 네온 색상으로 일관되는 80년대 레트로는 비쥬얼적인 면까지 먹어 들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 시간이 오래된 만큼, 80년대 레트로도 곧 후반과 90년대의 초반 분위기를 많이 따라가고 있는 모습도 보이는 것 같기도 하다. 특히 요즘 길거리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스키니를 벗어나) 통이 커진 바지와 쟈켓 등의 패션들도 이를 대변하고 있는 것 같다.
이 쯤해서 레트로의 유행은 20년마다 찾아온다는 레이버의 법칙을 다시 한 번 들여다 봐도 재밋을 것 같다.
암튼 개인적으로도 80년대 후반 및 90년대의 음악들을 요즘 많이 즐겨듣는 입장에서 요런 플레이 리스트도 괜찮을 것 같다 싶어 90년대의 댄스팝 장을 열어준 시조겪의 사운드를 담고 있는 80년대 후반의 여성 보컬 댄스팝 음악들을 살펴 보았다.
개인적으로 플레이 리스트 짤 때 (포스팅 할 때도 그렇고), 12곡 정도가 적당해 보여 이번에도 12곡이다... 그래서 아쉽게 올려 놓지 못한 음악도 많긴 하다..
자, 그럼 80년대를 마무리하고 90년대의 새로운 에센스를 열어주었던 그 사운드들을 찾아 들어가 보자.
[Dance Pop]80년대 후반 여성 댄스팝 12선:
90년대의 에센스
Ft. Paula Abdul | Cathy Dennis | Martika | Sonia | Eighth Wonder | Mandy Smith | Alisha | Regina | E.G. Daily | Belinda Carlisle | Samantha Fox | Kim Wilde
[YouTube Playlist]
1. Forever Your Girl by Paula Abdul
2. Just Another Day by Cathy Dennis
3. More than You Know by Martika
4. You'll Never Stop Me from Loving You (Extended) by Sonia
5. I'm Not Scared by Eighth Wonder
6. I Just Can't Wait by Mandy Smith
7. Baby Talk by Alisha
8. Baby Love by Regina
9. Say it, Say it by E.G. Daily
10. Heaven is a Place on Earth by Belinda Carlisle
11. Nothing's Gonna Stop Me Now by Samantha Fozx
12. You Came by Kim Wilde
Paula Abdul
Forever Your Girl, 1988
미국 프로 농구팀, LA 레이커스 스 및 쟈넷 잭슨, 죠지 마이클 등의 인기 가수 안무가였던 폴라 압둘의 데뷔 앨범에 수록된 곡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백댄서나 안무가 출신의 가수들을 종종 만나볼 수 있는데 이런 루트를 걸은 가수들 중에서는 아마도 폴라 압둘이 넘사벽 전설일 것이다.
이 데뷔 앨범은 엄청난 히트를 기록 했는데, 이 앨범에만 빌보드 넘버원 싱글이 네 곡이 터져 나왔고, 당시까지의 버진 레코드가 발매한 앨범 중 가장 성공한 앨범으로 뽑힐 만큼 폴라 압둘의 입지를 한 방에 다져 놓았다. 이 이후로 그녀는 그렇게 그냥 댄스팝계의 전설이 되어버렸다.
기록 상으로 가장 큰 성공은 아마도 'Straight Up'이 크게 거론될 것인데 이 'Forever Your Girl'은 가벼운면서도 경쾌한, 90년대로 향해 가는 모던한 댄스팝의 정형을 보여주는 것 같다.
Cathy Dennis
Just Another Dream, 1989
위 폴라 압둘과 함께 이 플레이 리스트에서 사실 80년대 후반 아티스트라기 보다는 90년대로 넘어 가는 딱 그 시기에 걸쳐 있는 아티스트라 봐도 무방하겠다. 그도 그럴듯이 80년대의 사운드가 들려주던 익숙한 사운드 보다는 어딘가 더 모던한, 하우스 댄스 성향이 가미된 90년대 초반의 향수를 더 느낄 수 있다.
'Too Many Walls', 'Touch Me (All Night Long)'과 함께 캐시 드니스가 가장 기억되는 음악 중에 하나가 바로 'Just Another Dream'일 것이다. 특히 이 곡은 'Touch Me'와 함께 그 시절 고급진 매력을 뿜어냈을 만한 세련된 클럽 댄스 사운드를 들려준다. 89년 발표 당시 UK 차트 진입에 실패 했지만 90,91년 다시 릴리즈 되며 US 빌보드 차트에서 Top 10에 들며 히트했다.
그녀는 싱어송라이터로서는 다른 가수들에게도 많은 히트곡들을 선사해 주었는데, 대표적으로 2001년 전 세계에 다시 한번 카일리 미노그의 존재를 부활시켰던 대히트곡, "Can't Get You Out of My Head"와 브리트니 스피어즈의 "Toxic"등을 들 수 있겠다.
Martika
More than You Know, 1988
우리에겐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Toy Soldiers"란 곡으로 친숙한 아티스트다. 마티카의 두 번째 싱글로 2주간 빌보드 1위를 기록하며 1989년 여름을 강타했던 히트곡이었다. (그녀도 싱어송라이터로서 본인이 만든 곡이다) 암튼 "More than You Know"는 "Toy Soldiers" 바로 이전에 발표된 가수로서의 마티카를 처음으로 세상에 알린 곡이다. (이미 그녀는 82년부터 배우로 활동 중이었다)
물론 '토이 솔져스' 만큼의 대박 히트는 아니었지만 준수, 평타 이상의 성공을 기록한 80년대를 떠나 90년대의 에센스를 맞이할 수 있는 경쾌한 모던 댄스팝이다.
1991년의 2집 이후 정규 앨범 발표가 없었지만, 2000년대 초반 에미넴 Eminem이 "Like Toy Soldiers"에서 "토이 솔져스"를 샘플링하며 코러스에도 마티카 본인이 참여하며 다시 대중에게 모습을 들어냈었다.
Sonia
You'll Never Stop Me from Loving You, 1989
이 때의 팝 음악은 미국의 독주체제는 아니었고 영국 출신의 아티스트도 특히 많이 접할 수 있는 시기였다. (90년대 초중반에 들어서는 소위 '브릿팝'이 다시 한 번 전 세계를 들썩이게 한 시대기도 했다) 암튼 그래서 그런지 이 플레이 리스트에서도 미국/영국 가수들이 왔다갔다 하는데, 아무래도 축구를 좋아해서 그런지 영국 출신의 가수들이면 영국 '어디?'를 많이 확인하기도 했다.
미국의 경우 시애틀의 그런지, 캘리포니아의 펑크락, 채플힐의 인디락.... 뭐 이런 식으로 고장을 구분하기는 했지만 음악적 장르 특성 상 그랬던 거지 미국의 어느 도시 출신... 이런 건 그리 신경을 쓰지 않았던 것 같다.
암튼 먼저 소개한 캐시 드니즈는 노위치 Norwich이고 지금 소개하는 소니아는 이번에 손흥민의 토튼햄을 꺽고 유러피안 챔피언스 리그 우승컵을 차지한 리버풀 출신이다. 리버풀 또한 '팝의 도시'라 불리우며 타 영국의 도시들처럼 많은 아티스트들을 배출했는데, 가장 대표적으로는 비틀즈, 아토믹 키튼, 스파이스 걸스의 멜라니 C 등이 있다.
소니아의 유일한 넘버원 싱글인 이 곡은 계속 들으면 따라하게 되는 후렴부가 약간 마약성이다. "워우워어어, 워우워어어, never stop~ never stop~" 그래서 이 부분을 실컷 즐길 수 있도록 Extended된 리믹스 버전으로 올려본다.
Eighth Wonder
I'm Not Scared, 1988
영국 런던 출신의 밴드로 펫샵보이즈가 써준 그들의 최대 히트곡이다. 이 곡은 [Introspective]앨범에서 펫샵보이즈 본인들이 직접 커버하기도 했다. 암튼 앞서 소개한 폴라 압둘, 마티카, 캐시 드니즈 등의 80년대 후반 음악들은 모두 모던한 90년대 댄스팝의 새로운 에센스를 담고 있는 반면 뾰뵤뿅뾰뵹하는 신디사운드가 매력인 이 'I'm Not Scared'는 80년대를 대표하는 뉴웨이브 사운드의 발자취를 그대로 따라 가고 있다.
뉴웨이브 사운드의 곡인데다가, 밴드형태이기도 하고 블론드의 섹시한 보컬리스트 패치 캔짓 Patsy Kensit 까지 가세된 이들의 분위기를 보면 어딘가 블론디를 떠올리게도 한다. 굉장히 아름다운 마스크의 소유자인 만큼 에잇스원더의 보컬 말고도 팻치는 모델, 배우 활동을 같이 했는데 1997년에는 영국 밴드 오아이스의 리암 갤래거와 결혼하여 아이를 두기도 했다. (둘은 이후 이혼, 아이의 대모는 엘리자베스 헐리였다고.....)
암튼 패치 켄짓의 보컬이 엄청 섹시한 아주 요여미요여미한 요염한 곡이다.
[Patsy의 명언록: "전 평생에 4명의 남자친구를 만났고, 그들 모두와 결혼했죠"]
Mandy Smith
I Just San't Wait, 1987
에잇스원더에서 약간 복고스러운 사운드로 접어들어서 80년대 중후반으로 좀 더 기어 들어가 본다. 에잇스원더의 팻지 켄짓처럼 딱 보면 모델 포스 뿜뿜 뿜어내는 맨디 스미스의 1987곡이다.
'완전대박'이라 부를 수 있는 대 히트곡은 없지만 맨디 스미스의 이런 소소한 숨겨진 사운드를 만날 수 있다. 80년대 음악인 만큼 주구장창 흘러 나오는 신스 사운드와 그닥 빠르지만은 않은 편~한 느낌의 미디엄템포의 댄스팝이다.
영국의 런던/토튼햄 출신의 맨디 스미스도 독특한 사생활 이력을 가지고 있는데, 어린 시절 수도원 교육을 받았었고, 무엇보다도 영국의 전설적 밴드, 롤링 스톤즈의 베이시스트 빌 와이먼과의 관계가 가장 유명하다. 그 둘이 관계를 맺은게 불과 그녀가 13살! 그리고 19세가 되던 해 그 둘은 결혼하지만 2년 후 다시 이혼의 길에 접어든다.
Alisha
Baby Talk, 1985
87년까지 때렸으니 85년의 중반까지 들어가 보자. 프리스타일 음악의 매력을 흠뻑 느낄 수 있는, 시작과 함께 음악 전체를 아우르는 도발적인(?) 리듬 사운드가 인상적인 이 곡은 원래 그레그 브라운이 1984년에 발표한 곡이다. 미국 뉴욕의 브룩클린 출신의 앨리샤가 좀 더 클럽튠 성향의 강렬한 느낌으로 커버하며 나름 히트한 곡이다.
지금 들어도 그루비하게 몸을 들썩이게 만들 만큼, 당시 클럽튠으로 많은 인기를 얻었었고 발표 당시 빌보드 100 68위, 그리고 빌보드 댄스 차트 1위를 기록했었던 곡이다. 당시 분명 엄청 멋지고 힙하고 쿨한 사운드였으리라!
같은 프리스타일류의 댄스팝이자 리듬 사운드 때문에 그런지 이현우의 '꿈'을 연상케 하는 곡이기도 하다.
Regina
Baby Love, 1986
프리스타일이 나왔으니 한 곡 더 듣고 들어가자. 위 앨리샤와 마찬가지로 미국 뉴욕 브룩클린 출신의 레지나의 유일한(?) 히트곡이자 대표적인 프리스타일 클럽튠 중에 하나다. 프리스타일은 미국, 특히 뉴욕과 마이애미를 중심으로 한 댄스 음악 장르로 하우스 음악과 힙합이 본격적으로 상업적 흐름을 타기 전 그들의 유전자를 지니고 있던 라틴 커뮤니티 중심의 클럽씬 및 댄스 사운드로 보면 될 것 같다.
아마도 뉴웨이브로 대표되던 유럽의 사운드씬에 대항할 수 있는 80년대 후반 및 90년대 초반의 미국의 카운터씬으로도 볼 수 있을 것 같다.
이 시절 프리스타일 하면 무엇보다도 Shannon의 1983년 작, "Let the Music Play"가 가장 표준적인 사운드로 꼽히며, 우리나라 가요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이현우의 90년작, "꿈"을 들 수 있겠다. 프리스타일씬이 90년대 초반까지 그 인기를 구사한 것을 고려해 보면 이현우는 당시 상당히 힙하고도 트렌디한 사운드를 들고 나온 것 이었다.
[꿈 by 이현우]
E.G. Daily
Say it, Say it, 1986
뮤직비디오는 "아... 이거 위험한데..."류의 타부 식의 느낌을 주는 상당히 도발적인 분위기의 스토리로 이끌어 가는데, 바로 블라디미르 나보코프가 미국 코넬 대학교 교수 시절 썼던 원작을 영국의 스탠리 큐브릭 감독이 영화화한 1962년작, [롤리타]의 패러디다.
언제나 그랬고 요즘 같은 시기엔 더더욱 논란 거리가 될 수도 있는 내용의 작품이긴 하지만... 어찌하였건 블라디미르의 화려한 언어의 마술이 수놓았던 이 문학작품을 팝댄스음악의 뮤직비디오에서 패러디를 하며 그 원작을 얼마나 따라갈 수 있었을 까하는 비교는 좀 무리인 듯 싶고...
암튼 누구나 아는 도발적인 내용의 롤리타의 아우라가 일단 덮어지니 이 곡의 제목이 가지게 되는 임팩트는 훨씬 더 강력하게 작동 하는 것 같기는 하다.
[역대 들로리스와 험버트들: 1997 에이드리안 라인 영화, 1986 뮤비, 1962 스탠리 큐브릭 영화]
Belinda Carlisle
Heaven is Place on Earth, 1987
마블의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Spider Man: Far From Home]을 본 80년대 키즈 아재라면 이 영화의 엔딩에 정말 아주 정말 아주 정말 아주 반가운 곡을 들었을 텐데, 바로 미국의 올여성 뉴웨이브 밴드 더 고고스 (The Go-Go's)의 80년대 히트송, "The Vacation"이다. 청춘 하이틴 영화틱한 수학여행 간 스파이더맨 에피소드의 엔딩송으로 너무나 잘 어울렸다!
그리고 이 고고스가 해체한 후 리딩 보컬의 솔로 액트가 바로 벨린다 칼리슬리다.
이 노래도 여러 가수에게 커버 될 만큼 정말 많은 사랑을 받았던 음악으로 고고스가 가지고 있던 뉴웨이브/락 성향은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긴 하나, 대중적인 행보인 만큼 팝크로스오버에 더욱더 들어가 누구나 편하게 즐길 수 있는 달콤한 멜로디가 매력적이다.
[The Vacation by The Go-Go's; 스파이더맨 파 프롬홈 엔딩송]
Samantha Fox
Nothing's Gonna Stop Me Now, 1987
어느 정도 나이가 있는 사람이면 가수가 누군진 몰라도 어린 시절 어디선가 들어봤을 만큼 1987년을 크게 강타했던 사만다 폭스의 여름에 딱 어울리는 댄스팝이다. (곡은 봄에 발표되기는 했다만...)
항상 미국인으로 착각했었는데 사만다 폭스는 영국 런던 출신이다.
Kim Wilde
You Came, 1988
이런 류의 플레이 리스트에 80년대 여성 뉴웨이브/댄스팝을 대표하는 이 중 하나인 킴 와일드를 빼놓을 수는 없다.
그녀의 대표곡으로 자주 거론되는 "Kids in America", "Chequered Love", "You Keep Me Haning' On" 모두 뉴웨이브 성향이 강한 동시에 블론디의 데비 해리의 유전자에서 시작되는 80년대 특유의 그 강려크한 금발의 뉴웨이브 여전사의 이미지가 다분한데, 이 "You Came"의 경우 그녀의 다수의 히트곡들 중에서도 가장 소프트하면서도 팝-친화적 사운드를 들려주는 아주 낭만적인 미디엄 템포의 댄스팝이다.
정석원의 군대 논란 이후로 이 팀은 없어진듯 했으나 몇 넌 전부턴가 복고 컨셉으로 싱글을 발표 하며 스물스물 다시 모습을 들어 내기 시작했다.
전성기 시절 공일오비의 디스코그래피를 살펴보면 객원 보컬이 전부 남성인데 최근은 여성 보컬들이 많이 편입 되었다.
이가희 시절의 논란은 없었고 편안한 그 때 그 시절 공일오비 발라드다.
뮤비 또한 시대에 편승하여 신스웨이브와 베이퍼웨이브에서 차용한 비쥬얼이 보인다.
2. All Day by Cheeze
치즈는 계속 발표하는 노래마다 좋긴 한데, '어떻게 생각해'의 충격이 너무 컸던 나머지 그 노래를 뛰어 넘을 곡이 더 이상 나오지 않고 있다.
암튼 이 노래도 달총의 상큼새콤달달한 보컬을 맛 볼 수 있다.
3. 널 떠올리는 밤 by 김나영
2019년 발표 노래 포스팅인데 굳이 2018 11~12월을 껴 넣은건 바로 김나영 때문이다.
꼭 플레이 리스트에 넣고 싶었음.
4. 사랑한 적 없죠 by 래미
전형적 아재 발라드에서 발견할 수 있는 싫어할 수 없는 류의 발라드다.
5. 니 소식 by 송하예
헤어진지 얼마나 되었다고 딴뇬을 만나 이 나쁜새키하면서도 그리운 그 감정을 감추지 못하는 전형적인 저주를 퍼붓지만 난 니가 그리워 류의 발라드다.
6. 아프기만 하죠by 더 데이지
전형적인 데이지표의 아재형 발라드다. 나쁜 말로 하면 같은 걸로 주워 먹는 고인물 발라드고 좋은 말로 하면 아이덴티티가 확실하다. 더 데이지, 비비안 류의 발라드는 공통점이 노래 하나 하나 다 좋은데, 노래 하나 하나 비슷하게 들려서 구별하기가 힘들다.
어찌 되었건 신곡이 발표 될 때마다 구입/다운로드 버튼을 누르고 있는 나를 발견한다.
7. 안되죠 by 비비안
전형적인 비비안표의 아재형 발라드다. 나쁜 말로 하면 같은 걸로 주워 먹는 고인물 발라드고 좋은 말로 하면 아이덴티티가 확실하다. 비비안, 더 데이지 류의 발라드는 공통점이 노래 하나 하나 다 좋은데, 노래 하나 하나 비슷하게 들려서 구별하기가 힘들다.
어찌 되었건 신곡이 발표 될 때마다 구입/다운로드 버튼을 누르고 있는 나를 발견한다.
이 글은 복붙복이 아니다.
8. 비가오면 by 제이미
전형적인 발라드이면서 중간에 나오는 재지한 사운드가 편안한다.
9. The First Love (사이코메트리 그녀석 OST) by 민서
10. 4분 40초 by 하루나
1녀이나 사귀었는데 겨우 4분40초 안에 이별통보와 안녕을 말했나보다. 그게 서러운 이야기.
11. 감정낭비 (Ft. 허니애플) by어반폴리
어반폴리 앨범도 전체적으로 들어볼만 하다. 모두 발라드로 채워져 있고 객원가수제로 구성된 앨범이다. 인디포크 감성
12. 조각달 by 베이비소울
걸그룹, 러블리즈 멤버 중 가장 싱글 발표가 잦은 멤버다. 안 그래도 가창력 좋은 아이돌 팀인데 아마도 그 팀 보컬 원탑인듯?
13. 바램 (농부사관학교 OST) by 아미
TV를 잘 안 봐서 모르겠는데 은근 드라마 OST에서 띵곡들이 많이 보인다. 이 드라마도 보진 않아서 내용은 모르겠지만 꽤 괜찮은 노래들이 수록되어 있던 걸로 기억한다.
14. 그대 동네 by 식스밤
AV야구동영상의 깊은 고증은 물론, 기괴하고도 그로테스크한 섹시 컨셉으로 반감과 욕도 많이 먹었던 걸그룹이다. 최근 발라드곡으로 계속 싱글을 발표 하는데, 이전부터 그들의 음악에 대한 욕심은 종종 털어 놨었다. 그들도 사람인데 그런 컨셉을 좋아서 하기엔 쉽지 않을 일일터,..... 그들도 좋아서 한 것 아니었을 것이다. 아마도 기획사에서 밀어부쳤겠지....
15. 가끔 by 박송이
영상을 볼 때마다 왜 계속 전화박스 앞에서 노래만 하고 있을까... 제발 수화기를 들어라...하는 이상한 생각을 하게 된다.
16. 모르죠(ft. 기니) by에스프레소
전형적인 에스프레스표의 아재형 발라드다. 나쁜 말로 하면 같은 걸로 주워 먹는 고인물 발라드고 좋은 말로 하면 아이덴티티가 확실하다. 에스프레소, 비비안, 더 데이지 류의 발라드는 공통점이 노래 하나 하나 다 좋은데, 노래 하나 하나 비슷하게 들려서 구별하기가 힘들다.
어찌 되었건 신곡이 발표 될 때마다 구입/다운로드 버튼을 누르고 있는 나를 발견한다.
이 글은 복붙복이 아님니다.
17. 한강 by 류세라
걸그룹, 나인뮤지스의 리더였던 세라세라굳세어라리따류세라의 솔로 액트다. 화려한 방송의 스포트라이트 속을 떠나 고달픈 언더그라운드에서의 싱어송라이터로서 새출발하고 있는 그녀의 모습이 더 좋아 보인다. 화이팅!
18. 그러니까 (ft. Colde) by 헤이즈
무슨 말이 필요합니까. 헤이즈 입니다.
19. 혼자 by 거미
무슨 말이 필요하리요. 거미 입니다.
20. 시든 꽃에 물을 주듯 by 박혜원
간만에 만나는 뻥 뚫리는 듯한 느낌의 시원한 보컬의 발라드.
21. 그 한마디 by 김나영
하아... 김나영... 최근 들은 발라드 가수 중에서는 제일 좋다.
22. 내가 널 닮아서 by 뮤지
마지막 곡은 남성 발라드로 넣어본다. 그 동안 줄기차게 시티팝 사운드로 발표하다가 이번엔 왠일로 정통 발라드로 모습을 들어냈다. UV는 또 언제 나오남???
암치료도 끝나고 날씨 또한 좋아지니 갑자기 방방 뛰는 음악이 땡겨서 프랑스 예-예 Ye-Ye의 아이콘, 프랑스 걀 France Gall의 음악들을 다시 끄집어 냈다.
샤방샤방 방방한 프랑스 걀의 음악을 들으니 다시 신이 나서 사운드 클라우드를 통해 괜찮은 리믹스 버젼들이 있나 찾아 보았다.
와우~ 리믹스 버젼들도 꽤 괜찮은 놈들이 많아서 오리지널 음악들을 모아 보려다가 리믹스 버젼들의 플레이 리스트를 추가하여 더블프렌치즈버거 포스팅으로 나가 본다.
잠깐 소개 하자면, 60년대 프랑스 예-예 ye-ye의 아이콘이나 다름 없는 여가수로서 2007년 퀜틴 타란티노 감독의 [데스 프루프 Death Proof]에서 "Laisse tomber les filles"가 에이프릴 마치의 'Chick Habit'이란 리메이크로 삽입곡으로 쓰여 다시금 그 시대의 사람들로 하여금 프랑스 걀을 재 발견 하게 해주었다.
16세에 데뷔, 이듬해 유로비젼 컨테스트에 우승하며 화려한 커리어를 시작했고, 그녀를 예-예의 상징으로 만든 배후에는 바로 영원한 쿨-아재의 아이콤, 서지 갱스부르그 Serge Gainsbourg가 있었다.
예-예 스타일의 음악으로 화려한 데뷔와 전성기를 이룬 그 녀지만 이후 팝 음악 등으로 성향을 옮겨갔다.
그리고 2018 1월, 2년 간의 유방암 투병 끝에 안타깝게도 세상과 이별을 하였다. RIP... ㅜㅜ
Yé-yé!!
France GallDoubleFrencheez Burger 01: TheRemixes
먼저 프랑스걸의 리믹스 플레이 리스트다.
예-예 시절 이후의 곡도 있긴 하지만 워낙 샹방방한 오리지널들이다 보니 리믹스들도 굉장히 업비트 분위기다.
대부분 디스코/하우스 리듬의 리믹스들이며, 6곡의 짧은 플레이 리스트지만 1부터 6까지 롤러 코스터를 타는 기분으로 책임지겠다!
갠적인 최애인 "Musique"부터 시작해서 "Musique"으로 끝나는데, 특히 마지막의 Le Gout Du Son Edit은 곡의 마지막 피날레가 인상적이다. 6곡 이후의 롤러코스터 라이드 후 모든 걸 접는 후반부 사운드... 그러면서 다시 하늘로 간 프랑스 걀이 그리워지게 만든다.
Yé-yé!!
France GallDoubleFrencheez Burger 02: The Originals
추천하는 프랑스 걀의 오리지널 음악들이다. 유튜브로 감상해 보자~
Le Premier Chagrin D'Amour, 1964
리믹스 플레이 리스트의 롤러코스터 라이드가 끝났으니 좀 조용한 버전으로 먼저 가 본다.
불어를 잘 몰라서 잘 모르겠는데, 영어 번역 후 보니 우리 말로는 '첫 사랑의 슬픔'의 제목이 되겠다.
후렴부에서 계속 외치는 부분이 바로 , 첫사랑의 슬픔~ 첫사랑의 슬픔~ 이다.
제목을 알고 들으면 더 애틋해지는 곡이다.
Avant la Bagarre, 1968
Ye-Ye 스러움을 잘 느낄 수 있는 곡이다. 예-예의 샤방함과 나름 쁘띠뀨띠한 쥐랄맞음은 바로 이런 것이다. 이게 매력이다.
곡 중에 니빠빠~ 니빠빠~ 뭐 이러는데, 나의 불순한 뇌 속에선 자꾸 ㄵㄱㄹ ㅆㅃㅃ가 떠오르고 그렇게 흥얼 거리기도 한다. 나는 나빳다.... 암튼 제목은 "싸우기 전에" 이다.
Ye-Ye는 전적으로 유럽 안에서 폭발한 유러피안 페노메논이긴 한데, 역시 50년대 부터 시작된 미국의 락큰롤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 눈으로 보인다. 사운드도 물론이고. 신나는 예예~ .... 그리고 TMI, 예-예의 의미는 걍 영어의 Yeah~ Yeah~다. 우리 말로도 "예이~ 예이~" 참 잘 어울리는 단어다.
poupeé de cire poupeé de son, 1965
다시 한 번 흥겨운 음악으로 가 본다.
뮤비를 통해 프랑스 걀의 애 띤 모습을 볼 수 있다. 64년 데뷔했던 당시 나이가 불과 16세였다.
1965년 유로비젼 콘테스트에서 우승을 안겨준 곡인데, 제목은 '꿈꾸는 샹송 인형'으로 그녀의 아버지가(!) 작곡해 준 곡으로 발표 당시 프랑스에서 차트 2위까지 오르는 기염을 토한 음악이다.
지금으로 보면 아이돌인 셈 인거다.
Zozoi, 1970
브라질의 넬슨 앙겔로 Nelson Angelo (앙헬로가 맞나?)와 그녀의 아버지가 써 준 곡이다. 브라질 작곡가의 작품 답게 보사노바 풍의 흥겨운 리듬과 멜로디를 장착 한 곡이다.
제목의 조조이가 뭔 의민진 모르겠는데, 곡 전반에 걸쳐 qu'est-ce que c'est? qu'est-ce que c'est? 하며 "이건 뭐얌? 이건 뭐얌?"를 반복 하는데, 그녀는 그게 '조조이'라 말하는 것 같고, 인터뷰에서 말하는 것을 보아 조조이는 걍 아무것도 아닌, 아무런 그런거인 듯 하다.
갑자기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이 떠오르는 건 왜일까....
Laisse tomber les filles, 1964
포스팅 서두에 언급했듯, 이 음악은 2007년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데스 프루프 Death Proof]영화에서 에이프릴 마치 April March의 영어 버젼으로 삽입 되었고, 모두들 이 쿨한 사운드는 대체 머야???? 하고 갸우뚱 하게 만들었고, 기어코 프랑스 걀을 재 발견하기 시작했다.
에이프릴 마치의 버전도 좋지만, 그 만큼 원곡자체가 좋다. 바로 쿨가이 아재, 세르지 갱스부르그의 작품이다.
이 아저씬 정말..... ㅋㅋㅋㅋㅋ
제목을 좀 과해석 하자면 '여자애들한테 찝적질 좀 그만해!"다.
Chanson Pour Que Tu M'aimes Un Peu, 1967
다시 좀 조용한 노래로 돌아가 본다.
잔잔한 음악인데 나름 60년대 고고와 사이키델릭 락의 느낌도 들어가 있는 것 같은 느낌인데, 나름 신비롭다면 신비로운 묘~한 사운드의 음악이다.
제목은 '당신의 나를 조금이라도 사랑해 줄 노래' 정도로 해석이 되는데(맞나?), 아마도 짝사랑에 관한 노랠거다. 그 아련한 마음만큼 사랑의 비명을 외치는 듯 마무리하는 후반 부가 인상적이다. '당신에게 난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하지만 난 항상 거기 있어!"
Musique, 1977
더블프렌치즈버거 (내가 생각해도 유치한 포스팅 제목이다만....) 파트 1의 플레이 리스트에도 두 곡이나 집어 넣었을 만큼 갠적으로 가장 사랑하는 프랑스 걀의 음악이다.
곡이 발표된 년도가 년도인 만큼 Ye-Ye라기 보다는 기성가요에 가까운 곡이긴 한데,
음악의 제목처럼 음악을 사랑하는 맘이 절로 되살아 나는 아름다운 곡이다.
언제나 이 음악을 들으면 기분이 좋아지고 행복해 진다.
모처럼 시티팝과 아이돌음악에서 벗어나 (앗... 프랑스 걀도 아이돌이었는데...-_-), 다른 류의 음악으로 다시 돌아가 보았다. 옛날 포스팅 하던 것 처럼 이것 저것 다뤄야 겠다. 한 쪽만 쏠리니 좀 지겨워 지기도 하고....
일단 더블플렌치즈버거에 페티 하나 더 올리는 셈치고, 'Laisse tomber les filles'의 House Remix 영상으로 마무리 한다.
영화 속의 인상적인 여캐들, 그러니까 팜므파탈들을 모아 짜집기 한 영상인데, 영화들도 꽤(?) 아니, 굉장한 영화들로만 모아놔서 임팩트 또한 강한 아이캔디같은 영상이다.
제대로 된 팜므파탈로만 모아놓다 보니, 귀염을 떨던 프랑스걀 원곡의 뮤비 보다 제목에 더 충실해 지는 것 같다. '여자한테 찝적대면 죽는다잉' 하는 그런 메시지인 만큼 (사실 이 메시지로 음악을 만든 갱스부르그 본인의 괴팍하고 고얀 뇌 속의 진정한 의민 잘 모르겠다) 강한 베이스 비트 또한 한 몫한다. 편집자의 의민 잘 모르겠지만, 파격적인 큐브릭 감독의 시계태엽 오렌지에서 시작해서 시계태엽 오렌지로 마무리 된다.
편집 영상에 나온 팜므파탈 Femme Fatale들은 하기와 같다. (유튜브에서 퍼 옴)
00:00Sine Nomine (Gillian Hills) - Clockwork Orange (1971)
00:07Sofie Fatale (Julie Dreyfus) - Kill Bill 1 (2003)
00:15Gogo Yubari (Chiaki Kuriyama)- Kill Bill 1 (2003)
00:23 Amy Dunne (Rosamund Pike) - Gone Girl (2014)00:30 Mia Wallace (Uma Thurman) - Pulp Fiction (1994)
00:38 Elvira Hancock (Michelle Pfeiffer) - Scarface (1983)
00:46 Catherine Tramell (Sharon Stone) - Basic Instinct (1992)
00:54Elle Driver (Daryl Hannah) - Kill Bill 1/2 (2003/2004)
01:01Angela Hayes (Mena Suvari) - American Beauty (1999)
01:10 Naomi Lapaglia (Margot Robbie) - Wolf Of Wall Street (2013)
01:17 Xenia Onatopp (Famke Janssen) - Golden Eye (1995)
01:25Apollonia Vitelli Corleone (Simonetta Stefanelli) - The Godfather (1972)
01:33Goldie/Wendy (Jaime King) - Sin City (2005)
01:40O-Ren Ishii (Lucy Liu) - Kill Bill 1 (2003)
01:56Miho (Devon Aoki) - Sin City (2005)
02:03Octopussy (Maud Adams) - Octopussy (1983)
02:11Lynn Bracken (Kim Basinger) - L.A. Confidential (1997)
02:19Kathie Moffat (Jane Greer) - Out Of The Past (1947)
02:27Gilda Mundson Farrell (Rita Hayworth) - Gilda (1946)
02:35Evelyn Cross Mulwray (Faye Dunaway) - Chinatown (1974)
02:42Madeleine Elster / Judy Barton (Kim Novak) - Vertigo (1958):
02:50Elektra King (Sophie Marceau) - The World Is Not Enough (1999)
02:58Alex DeLarge (Malcolm McDowell), Sine Nomine (Katharina Kubrick), Sine Nomine (Gillian Hills) - Clockwork Orange (1971)
사와 코우치 河内 沙和가 본명인 사와는 983년 11월 6일 생으로 지금 34살의 나이를 맞았다. 4살와 10살부터 각각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하며 음악과의 인연을 맺었고, 원래 2003년 Star Management 소속의 Jack Knife라는 그룹으로 먼저 데뷔를 한 이력이 있다. (참고로 스타더스트는 YUI부터 시작하여 야마자키 켄토, 혼다 츠바사, 코마츠 나나등 엄청난 스타들을 거누리고 있는 무서운 소속사이다...)
이 Jack Knife란 그룹은 2004년 아무런 앨범 릴리즈 없이 해체된 관계로 자료가 없다.... 탭댄스로 무장한 아이돌들이였다 한다...ㄷㄷㄷ...
어렵게 찾은 자료인데, 당시 Jack Knife에서의 사와 코우치의 소개는 아래와 같이 적혀 있다.
확고한 자기 세계를 가진 천재. 즉 타인과 같은 수가없는 곤란한 사람. 취미로 단련 한 강력한 성량과 절도있는 댄스, 그리고 유일한 행동은 보는 사람을 매료시켰다. 정신을 차려 보니 그녀 밖에 인상에 남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주의가 필요합니다.
역시 사와의 화려한 2008년 데뷰는 짠쿵쾅!하고 나타난 것이 아니었다. 잭나이프 이후 다시 2005년 Front Men 엔터테인먼트로 소속을 옮기고 SK-V (Sk5로 후 개명)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다가 다시 그녀의 성인 코우치 Kouchi로 기획된다.
이때 남자 고교생의 시선으로 만든 '방과후의 언덕'이라는 노래가 뮤비까지 제작되었던 것 같은데 지금은 그 흔적을 찾을 수 없어 안타깝기만 하다.
그리고!
2008년 Cyclops라는 인디 레이블로 소속을 옮기며 그녀의 음악 인생 최고의 사운드로 기록될 만한 두 개의 미니 앨범을 발표하게 되는데,
바로 밑의 두 영상이다.
ManyColors, <Colors>, 2016.06
2008년 6월 18일, 사와라는 이름은 알린 데뷰 미니 앨범이다. 사실 그 다음 미니 앨범이었던 Stars를 통해 사와를 첨 알게 되었고, 그 이후 뒤져서 찾아 만난 앨범이었다.
ManyColors를 타이틀로 Blue, Yellow, Pink, Green이라는 색상의 트랙 타이틀로 구성 되어 있는데, 시부야케이 아티스트로 국내에서도 전설급으로 알려져 있던, 프리템포 FreeTEMPO의 한자와 다케시가 적격 프로듀스 한 앨범으로, 이 타이틀 곡은 정말 어마무시하게 세련된 사운드를 장착하고 있다.
뮤비에서도 볼 수 있듯 옛날 시부야케이 문화가 자리잡던 시절 많이 차용 했던 프랑스의 60년대 예예 분위기가 2000년대의 테크노팝과 어우러진 새로운 세련됨으로 무장하고 있다. 가사의 칼라 칼라, ~라, ~라 거리는 라임또한 죽여준다. 기미 칼라, 이쯔 칼라, 유메 날라, 소꼬 칼라, 미에타라~~
그리고 사와의 시그니쳐나 나름없는 디스코볼. 영어강사라는 특이한 전직을 가졌던 디스코팝 아이돌 사와의 등장을 세상에 알린 장대한 서막이었다.
Stars, <Time & Space>, 2016.12.10
이전 작이 프리템포의 프로듀스로 화제를 모았다면 이번에는 램라이더 Ram Rider, 후쿠토미 유키히로, 나카츠 카타케시, A HUndre Birds, 타키자와 켄타로가 곡 당 프로듀스를 맡으며 또 한번의 화제를 낳으며 당시 유행하기 시작하던 일본의 여성 테크노팝 계열에 사와라는 이름을 강하게 각인 시켰다.
그녀의 평생 킬러 트랙답게 릴리즈 당시 iTunes와 일본 댄스 차트를 휩씁고 다녔다. 1위 등극! 아마도 그녀의 인생 트랙이 아닐까 싶다.
그 중에서도 이 'Stars'는 램라이더가 프로듀스한, 지금까지도 '사와'하면 떠오르게 만드는 희대의 명작 사운드였다. 이 트랙을 통해 사와를 처음 알기도 했고, 당시 이 달콤 샤방한 사운드를 정말 무한 반복하며 들었었다.
그녀의 시그니쳐인 디스코볼이 이 곳에서도...ㄷㄷㄷ...
I Can Fly, <I Can Fly>, 2009.07.24
2009년 그녀는 다시 Sony Music Entertainment로 거처를 옮기고 거기서의 첫 미니 앨범을 발표한다. 전작들인 ManyColors나 Stars에는 못 미치지만 당시 유력한 신진 테크노팝 (사실 그 당시 퍼퓸에 맞짱 뜰 수 있는 테크노팝 아이돌은 사와 밖에 없었다고 봄...) 아이돌 답게 발랄한 디스코 하우스 감성 풍만한 사운드를 선사 해 주었다.
가벼운 곡이긴 하지만 그녀의 여리여리한 보컬 사운드와 잘 맞아 떨어진다. 뮤비 또한 이전 작들의 에센스를 많이 담고 있다. 디스코 볼까지... (대형 레이블 데뷔여서 그런지 화장도 좀 많이 진해 진 것을 목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앨범에는 1999년 Modjo의 'Lady'와 함께 시대를 씹어 먹고도 모잘랐던 Moloko의 대형 히트곡 'Sing it Back'을 라틴 하우스 풍으로 커버한 트랙이 들어 있는데, 몰로코의 원작이 워낙 원자기었던지라... 기대 이하의 사운드를 들려준다. 앨범 초회판에는 DJ 믹스를 위한 Extended 버젼들이 들어 있는데 당시 사와의 음악을 국내에서 구할 수 없었던 관계로...ㅜㅜ.... 들어 보지는 모하였다... OTL.....
여기서부터가 유튜브로 만날 수 있는 사와의 영상들...
Swimming Dancing, <Swimming Dancing> 2009.11.25
2009년 그녀의 캐리어의 정점을 기록할 만한 행보를 하게 되는데, 스위밍 댄싱 앨범의 프로듀서로 엠플로 M-Flo의 타쿠 타카하시가 참여하게 된다. 이 것부터가 사건의 시작이었고, 그녀의 무비 또한 테크노팝 여제로서의 강력한 인상을 남긴다. 나름 에더리얼한 느낌을 담고 있는 전형적인 아르페지오 성향으로 클라이맥스에서 꽝 하고 터지는 분위기의 음악이다.
솔직히 이렇게 정점을 찍어버리는 듯한 행보로 인해 그녀가 메이져로 흡수되어 이제 변하게 되는게 아닌가 소심한 덕팬의 걱정까지 했었다.
이 앨범에서는 이전작들의 다양한 리믹스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Stars의 경우 워낙 원곡의 아우라가 어마어마한 나머지, 별로다. ManyColors의 Lounge 라운지 풍 리믹스도 원곡보다는 못하지만 들어줄 만 하고, Swimming Dancing의 RYUKYUDISCO Remix 버젼은 나름 하드한 것이 들을 만 하다.
あいにいくよ, <あいにいくよ>, 2010.04.07
사실 ManyColors 제외하고는 앨범 (미니앨범이라도)으로서의 곡 구성들이 그리 맘에 들진 않았다. 타이틀 곡들만이 귀에 쏙 들어오는 그런 케이스였는데, 이 あいにいくよ 만나러 가는거야 앨범에서는 나름 ? 최초로 ? 준수한 구성의 음악들을 보여준다.
이 아이니이쿠요 라는 타이틀 트랙도 사와 특유의 귀엽고 샤방한 일렉트로팝 사운드를 보여주긴 하는데, 이 앨범에서 Stars의 히로인, 램 라이더와 다시 만나 작업 한 'Super Looper'라는 트랙이 수록되어 있는데 아이니 이쿠요에 버금갈 만한 (혹은 더 좋은) 사운드를 선사한다.
원래 앨범 당 한 곡 씩 올리는게 원칙이긴 하지만, 사와의 최고 히트곡을 만들어준 램라이더와의 재회이지 워낙 숨겨진 명곡이라 올린다.
Super Looper! 램라이더의 음악에서만 느낄 수 있는 그 소녀같은 감성과 사와의 케미는 정말 죽인다.
<Welcome to Sa-World>, 2010.07.07
2010년 드디어 대망의 풀앨범이 발매된다. 그녀의 그 동안의 히트곡과 신곡을 무려 17개나 수록한.... 그리고 신곡에 가까운 7개 트랙은 사와 본인이 직접 프로듀스를 하게 된다.
다만 무슨 문제가 있었는진 몰라도 램라이더와 작업한 Stars와 Super Looper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
그녀의 기존 히트곡 외, 'Dream About', 'Eat it All', 'Planet T', 'Night Bus', 'Merry Go Round'등을 통해 사와의 메이져급의 주류 일렉트로팝 사운드를 경험할 수 있다.
이 중 세 개의 곡이 CM송에 발탁 되는 기염을 토하기도 한다.
이 짧은 영상에서 사와 초기의 히트곡들의 에센스를 느낄 수 있다.
그리고 2010년 그녀의 첫 셀프 프로듀스 곡인 Good Day Sunshine을 발표하게 된다. 첫 셀프-프로듀스라는 상징성 정도... 곡은 걍 일본스러운 헬로키티 하지메키티마시타하는 마칭곡 스러운 디즈니랜드 훌랄라 하는 곡이라 굳이 올리지는 않았다.... 나름 난해한 그녀만의 실험작이라 해야 할까... 그저 '사와짱 간바레'를 외치는 정도 였을 까나...
2010년 다시 FM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과의 콜라보인 'Mysterious Zone'이라는 곡을 발표 했는데, 그녀가 작사/작곡 모두를 했다. 괜찮은 팝튠이다.
사와로서는 어쩌면 아티스트 인생의 터닝 포인트였던 것 같다. 그 동안의 스타 프로듀서와 레이블의 힘을 함께한 테크노팝 여제로서의 상징성을 고사하고 본격 셀프-아티스트의 길을 걷기 시작한 것이다.
거기다가 2011년 부터는 DJ WASA라는 이름으로 DJ잉까지 시작하고, 같은 해 5월에 발매 되었던 마츠다 세이코의 봄의 명곡 커버집인 [MemorieS ~ Goodbye and Hello]에서 いちご畑でつかまえて 딸기밭에서 잡아 ㅋㅋㅋ 라는 수록곡 활동을 한다. 막상 들어보면 요즘 들을 수 있는 일렉트로팝의 나해한 버젼이라고 보면 된다... 왜 이곡을 들으면서 트리키네코와 네온버니가 생각 났을까... (암튼 두 분의 음악이 훨씬 더 낫다....ㅎㅎ)
불안불안 하지만 그나마 좀 라이브를 잘 소화 한 겪에 속한 영상이다.....ㄷㄷㄷ....
그리고 2012년 4월, 일본의 또 다른 여신, 사사키 노조미의 Colorful World를 통해 본인이 직접 작사.작곡.프로듀스한 곡을 대중 앞에 시전한다.. 하지만 위 광고에서 살짝 들리다 시피... 그 닥.... ㅜㅜ
Try Again, <Soprano Rain>, 2012.12.19
2012년 12월 19일 그녀는 [소프라노 레인] 앨범을 발표하게 된다. 아마도, 무명의 1기, 화려한 디스코 하우스 일렉트로팝 여제로의 2기, 그리고 그 다음을 여는 3막의 여정으로서 싱어 송라이터로 거듭나는 시대에 들어선다.
이전 혼자로서의 활동을 보였던 Good day Sunshine과 Mysterious zone이 (드디어!) 들어있고, 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언제 굿데이선샤인 곡 같은 곡을 만들었냐고 질문 할 만큼, 상콤한 캔디캔디 스러운 샤방팝을 선사 해 주었다. 이 Try again은 NNN 스트레이트 뉴스 웨더 코너의 곡으로 흘러 나왔고, 소프라노 레인의 경우 NHK 모두의 노래에서 1개월 동안 쓰였다.
특히 조용한 피아노 반주와 함께 하는 '마음의 눈'이라는 마지막 트랙은... 와.... 사와의 보컬을 다시 보게 되는 기회를 만들어 주기도 하였다...
암튼 그녀의 커리어에 있어 기념비적인 첫 홀로서기... 진격의 한 걸음이라고 볼 수 있는 앨범이다. 앨범 쟈켓도 맘에 들어서 사진도 올린다.
Mr.Brown, <Mr.Brown Single>, 2014
사실 좋아하는 곡도 아니고 이 때 사와는 이제 팬질을 그만 둬야 할까... 하는 그런 시련을 주었던 곡이다. 아마도 이 떄 즘 많은 기존 팬들이 떠나가지 않았을까 싶다. ... 우리의 기억 속에는 항상 테크노 팝의 여제 였으니까.... 하지만 그녀의 홀로서기 프로젝트의 너무나도 중요한 역사의 한 장이라 올릴 수밖에 없었다. 스윙~틱한 노래다.
2013년 9월에는 그 전 달 일략 사시하라 리노의 센터 차지라는 (마유를 물리치고) 쿠데타와 다름 없는 혁명적 행보를 보여주고 AKB48를 다시 최고의 궤도로 올려 놓은 전국히트송, 恋するフォーチュンクッキー 사랑하는 포츈 쿠키의 커버를 인터넷에 공개하기도 했다. 피아노 반주와 함껳는 사와의 여리여리한 보컬이 매력적이다. (개인 의견이지만 데뷔 시 여신강림의 아우라에서 빠져 나오는 느낌을 받았던 해 였던 것 같다...)
그리고 그 이후 10월부터는 Rainbow Town FM에서 "듀 베티 컷 플라이 어웨이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고 2014년 1월 부터는 지금까지도 명맥을 지켜 나가고 있는 기획 이벤트, サワソニ 사와소닉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본격 B급 ?!?!?!? 아이돌 라이브 이벤트인데, 아마도 섬머 소닉에서 따온 이름이 아닐까 한다)
'サワソニ'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하면 각종 유튜브 영상들이 나올 텐데,
사실 한국 아이돌과 달라서 라이브에 대한 환상은 가지지 않는 것이 좋다. 다만 그 때의 바이브 Vibe를 느낄 수 있는 좋은 조각들이다.
특히 サワソニ海の家, 로 검색하면 (비록 몸은 이 곳에 있어 가보지는 모하였지만) 2017년 바닷가에서 펼쳐진 야외 이벤트였는데, 개인적으로 가장 맘에 드는 분위기였던 것 같다.
막 아이돌이랑 바닷가로 당일치기 소풍하는 분위기? ㅎㅎ
걍 막 생각한건데 '팬들과 캠핑하는 아이돌'.... 와... 컨셉 좋다. 아재들한테 인기 있을 듯... 삼겹살 막 구워 주고 ㅋㅋ
울나라는 그룹 풍뎅이가 이런 컨셉 어울릴 듯 ㅋㅋ
암튼 하기 링크로 가면 경악을 금치 못했던 러닝타임 7시간이 넘어가는 사와소닉 바닷가 이벤트 영상이 있는데 추천은 하지 않는다.
2014.09.14 <Ringa Ringa>를 통해 좀 더 원숙한 홀로서기의 모습으로 우리를 찾아온다. 특히 Funk로 총무장한 ㅆㅅㅌㅊ 아이돌팀 Especia에게 써줬던 Midnight Confusion의 셀프커버곡이 들어있따! (하지만 에스페치아 버젼이 훨 낫긴 하다...ㄷㄷㄷ...) 그 만큼 에스페치아가 대단 하셨음....
이 앨범의 '한밤의 사람들' 트랙에서는에스페치아가 직접 모습을 들어낸다... 완~소!!!!
[2013년 시부야 WWW 원맨 라이브 후 에스페치아와 한 컷한 사와 (가운데)]
그래서 영상은 에스페치아 찬조 출연으로... 얼굴 예쁘다고 아이돌 되는게 아니라 아이돌도 음악으로 승부한다...라는 모습을 보여줬건만...ㅜㅜ 2014년 해체한... ㅜㅜ ㅋ 그리고 이 뮤직 비디오는 정말 짠~하다... 이 회사원 아재의 모습이... ㅜㅜ ... 저기서 표현하는 건 마치 독신의 그런 소심하고 힘없는 아재의 그 모습인 것 같다... 하지만 노래는 밝아... 너~어무 밝은 사랑스러운 트랙임... 하아... ㅆ밨ㅂ....ㅆㅂ 나이 먹기 싫다....ㅜㅜ 아... 아재 싫어 ㅜㅜ
암튼 홀로서기의 3막 치고는 꽤 괜찮은 앨범이었다.
Last Snow Flake, 2015.02.04
비록 본인 작곡의 곡은 아니지만, Sawa와의 셀프 프로듀스 홀로서기 3막이 열린 이후 가장 안정적인 사운드를 들려준 곡이며 사와의 음악을 사랑한 팬들에게, "타다이마~"하며, 우리가 사랑한 그 시절 사와의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던 것 같다. 오까에리... 흑흑 ㅜㅜ
뮤비 또한 (돈 안들인 티는 나지만) 지금까지의 사와의 뮤비 중에서도 잘 찍힌 것 같고, 특히 제목과 연관된 스노우 플레이크의 CG 처리가 촌시럽지 않고 오히려 세련됨과 아련함을 더 해 준다.
2015년은 그 동안 해 오던 TV CM에서의 활동이 더욱 두드러진 해이기도 했다. 마츠이 아이리의 Line Pay, 메이지 요구르트, 이케아 웹, 가오 버스 매직 린, 아리나민 7 세루휘 피로 (이건 2016년이긴 하다) 까지... 좋은 활동을 보여준 한 해였다.
그리고 그 해를 마무리라도 하듯, 12월 30일에 2016년 1월 16일에 발매될 チャイニーズは突然に (대만은 갑자기) 싱글 영상을 발표한다. 밝고 경쾌한 일렉트로팝인데 뭐.... 굳이 음악까지 올릴 필요는 없을 듯 ㅎ
踊れバルコニー, <戦えバルコニー>, 2016.01.13
1막 2막 3막을 지내며 다시 일렉트로팝으로 돌아올 때까지... 정말 기나긴 여정의 종지부를 찟는 듯한 트랙이다. 일본 일렉트로팝 춘추 전국 시대의 얼마 안되는 생존자라는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듯, 앨범의 커버는 중세 기사로 변신한 사와가 방패와 칼을 들고 있다. 제목도, '싸워라 발코니!'
프로듀스의 전체적인 작곡은 3막 이후로 함께 한 히사시 나와타가 담당하고 있따.
おぼろげダンシン아련한 단신, 2017.02.14
스마트폰을 의식한 것이였을까, 2017년 2월 14일 그녀는 [고집쟁이 공주] 앨범 발표와 함께 돌연 세로 뮤직비디오를 내놓았다. 음악은 약간 Hi-NRG의 느낌이 약간 풍기는 일렉트로팝. 한편의 칼라풀 수묵화 분위기에 무한 다다미방 오픈하기의 느낌이 들어 있는 뮤비다.
이 프로젝트에 같이 참여한 노토 아리사의 영향이였을까.. 안무와 의상이 조금 변한듯한 인상을 준다.
2017년 2월 14일 발렌타인 데이에 발매된 통산 9번째 미니앨범, [いじっぱりマーメイド 고집쟁이 인어공주]의 앨범 쟈켓이다.
いじっぱりマーメイド, <いじっぱりマーメイド>, 2017.02.14'
'おぼろげダンシン 아련한 단신'도 그나마 괜찮았지만, 역시 킬러 트랙은 이거였다. 누가봐도 영화 플래시댄스를 떠 올릴 뮤비, 그리고 펼쳐지는 디스코 하우스풍의 사와판 일렉트로팝 대향연!
유튜브의 Ken Nakaji라는 유저는 친절하게도 이런 답글을 올려 주었다. 무지하게 생산적인 댓글이다.
5월에 내 놓은 뜬 금없는 가벼운 팝송이다. 이게... 제목이 양배추인데... 뮤비 내내 양배추를 드고 거리를 해매인다... 뭔가 병맛의 에센스를 담고 있으면서도 존나 귀여운데... 그렇게 좋지는 않은데 계속 들으면 계속 듣게 되는 마약같은 곡이다. 양배추, 양배추, 양배추.... 소화가 잘 되는 양배추.....
天体観測 (Bump of Chicken Cover), 2018.01.27
3/14일 발매 될 高貴愛されスタンス 앨범의 홍보를 위해 처음으로 공개했던 뮤비다. 난데 없는 하이 에너지 사운드에 식겁 했었다.... 커버 음악이라 노래가 나쁘지는 않다만... 기존 사와팬들에게는 실망이 더 컸을 싱글....
高貴愛されスタンス, <高貴愛されスタンス>, 2018.03.14
아무래도 앨범과 제목이 같으니 타이틀곡이라 생각되는데, 역시 사와는 우리를 실망 시키지 않았다. 달콤하고 샤방한 디스코 하우스 풍의 일렉트로팝... 역시 사와! 진짜 10년의 체증이 확 풀리게 만드는 곡이다.
불혹의 나이라는 30대 중반에 접어 든 그녀라 언제까지 저 카와이~한 캐릭을 유지할 수 있을 진 모르겠는데... (벌써 나의 연륜이 묻어 나고 있긴 하지만...)요즘은 사람들이 하도 관리들을 잘 해서 마흔은 되야 옛날 사람들이 부르던 30살의 느낌이 살기 때문에... 뭐... 사와짱 화이팅~!
발라드 음악은 거의 포스팅 해 본 적이 없는 것 같긴 한데, 암튼 항상은 아니더라도 가끔 들으면 괜찮아서 쌓아 놓고 있는 편이긴 하다.
10~11월 발표된 음악들인데, 다 평타 이상은 치는 곡들이라 플레이 리스트로 걸어놔도 괜찮을 음악들이다.
가을/겨울이 오다보니 댄스 음악 보다는 이런 음악들이 많이 치고 들어 오는 것 같기도 하다...
유튜브 기준으로 정식으로 안나온 음악들은 올리진 않았다...
이런밤이면 by 샤넌
[나만 알고 싶은 가수], 20171110
뭔가 딱 케이팝스타, 보코.. 그런 류의 출신들이 부르는 발라드의 구조다. 나쁘다는 얘기는 아니고, 뭔가 그들이 내보내는 음악들의 그런 공식들이 있다는 얘기일 뿐이다. 가슴 후비는 그런 스타일의 요즘 발라드다. 좋은데, MV가 없다...
꿈에 by EXID (솔지 Solo)
[Full Moon], 20171107
덜덜덜 타이틀로 한 EXID의 Full Moon 앨범곡이다. 혜린 솔로 발라드도 좋긴 한데, 솔지 활동 중단이 아쉬운지라... 이걸로 소개. 당연히 뮤비는 없어서 티져로 올린다.
괜찮나요 by 박지민
[멜로홀릭 OST Part.2], 20171107
Funky한 박지민 사운드도 괜찮지만, 역시 발라드 박지민 사운드가 갑이긴 하다. 음색이 너무 좋다 보니 달달달 다 녹아내리는 듯한 곡이다.... 겨울에 들어도 괜찮을 것 같고, 괜히 중2병 코스프레 하며 혼술할 때 들어도 좋을 것 같다. 보컬이 열라 맘을 후벼판다....ㅜㅜ 뭐 저리도 목소리가 좋나.....
잘가요 오빠 by 장충동 소녀
[잘가요 오빠], 20171030
이 피아노 반주... 어디선가 많이 즐겨 들었던 튠이랑 비슷한데... 기억이 나질 않는다... 참 좋은 튠....
어찌하였건... 짝사랑 후에 혼자이별을 준비하고 맞은 딱 그 어린 소녀의 이야기, 그리고 그런 순정 만화 이야기 사운드다...
Dream by 심규선
[고백부부 OST], 20171028
심규선의 음악은 그냥 사랑임. 심규선의 지난 10년간 발자취가 궁금하다면 하기 링크 참조~
파니니 브런치는 첨 들어보는데, 이런 계열의 음악 세계의 새로운 주자라면 환영이다. 이름만큼 상큼하진 않지만, 연애의 힘든 그 무게감이 느껴지는 곡이다.
서울의 밤 by 랄라스윗
[Hidden Valley], 20171026
굳이 1분 미리듣기 안해도 믿고 구매하는 그런 그룹들이 있다. 그 중에 하나가 랄라스윗. 이번에도 실망시키지 않고 주옥같은 음악이 실린 미니 앨범을 선사해 주었다. 이 곡말고도 '낮이 되고 싶어요'도 괜찮음
[다날엔터 유윱 페이지에서 퍼옴]
You are My Everything by 우이경
[돌아온 복단지 OST], 20171025
이 사람 음가 괜찮네? 괜찮네? 괜찮네? 어? 나왔네? 하면서 그냥 믿고 듣는 가수가 되버린 케이스. 목소리가 좀 굵긴 한데 굉장히 사람 끄는 매력이 있다. 우이경 음악은 모두 다운 받은 듯 하다....
바보야 (With 이해리 of 다비치) by 스탠딩에그
[바보야], 20171025
스탠딩에그 음악은 왜 거의 여자 보컬 음악이 더 좋은 걸까? 그 귀여운 차 계속 타고 다니시는지 모르겠다 ㅎ 뮤비가 없다....ㅜㅜ
진심 by 이예준
[진심], 20171025
이예준의 음악을 들으면 항상 핵폭탄 맞는 느낌이다. 잔잔하게 나가면서 천천히 끌고 올라가며 때릴 때 확 때려버리는 그런.... 폭탄 같은 폭발적인 보컬을 가진 가수인 듯 하다. 아.... 봄버걸...(죄송합니다....ㅜㅜ) 비련맞은 음악이 정말 잘 어울리는.... 이 음악도 너무 좋지만, 역시 '나쁜년'이 최고인 듯.
가지 말아 달라 해요 by 임창정, JINIQ
[그 사람을 아나요], 20171023
갓창정 발라드....'가지 말아 달라 해요,' '너를 끄내는 이유'도 다 갓창정표 좋아한다면 다 좋은 발라드들.
영상에서 나오듯이, 일반인들이 노래방에서 부를 수 있도록 난이도 신경 쓴 노래라고 함.
홍예문의 밤 by Big Baby Driver
[인천 - Sound of Incheon (Part.2)]. 20171023
Sound of Incheon의 두번째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락/포크 밴드로 구성되어 있고, 요것은 차분한 포크 사운드. 가보진 않았지만 홍예문은 산을 깎아 만든 무지개 모양의 문으로 인천유형문화재 제 49호로 나름 관광 명소라고 한다.
나만 없다면 by 제아
[LISTEN 017 나만 없다면], 20171021
성인돌 답게 아재들을 위한 전형적인 기성 발라드 스타일.... 가라오케 땡길걸....?
여름옷 by 사이드 포니 테일
[여름옷], 20171020
3/4 박자 왈츠 스타일의 뮤직 박스를 연상 시키는 간주 때문인건지... 약간 캬바레 느낌도 나고 동화같은 느낌의 음악이다.
피움 by 오윤혜
[피움], 20171029
음악은 좋은데 이것도 약간 성인 발라드 삘이니 개취임.
가을비 by 주비
[가을비], 20171018
써니힐 주비의 음색이 좋다.... 힘 안들이고 부르는 것 같은데도 호소력이..... 정말 가을을 노리고 만든 듯... 아쉽게 가을은 이제 갔다....
그저 바라보면 by 천소아
[Love Affair], 20171011
원래 비비안 출신인데, 요즘은 (언제부턴가) 아프리카 BJ 하는 모양인데 솔로 앨범은 꾸준히 내고 있다. 요런 발라드들이 은근 많음.
피어나 by 예원
[피어나], 20170930
이태임 사건 한 방으로 훅 간 쥬얼리 예원 맞다. SNL로 이미지 세탁 되는 것 같다 싶더니 세탁 돼지 않아... 많이 안타까웠음... 10,11월은 아니지만 9월 끝자락 릴리즈되어서 스리슬쩍 끼워 넣었음. 예원 화이팅~~ 연예인이 스캔들 하나 정도는 있워줘야지, 안그래? 흠흠...
미래 (未來) by 줄리아 하트
[서교], 20171024
발라드 포스팅이긴 하지만 너무 발라드가 많아서... 잔잔한 포크 하나 끼워 넣었다. 엔딩곡으로 좋은 듯 10월 앨범 릴리즈 중 가장 반가웠던 이름, 줄리아하트, 당연히 10월은 물론 2017년 베스트 앨범 중 하나라 불러도 전혀 어색하지 않다. 앨범 노래도 다 좋다. 이 곡은 김나은이 보컬을 했는데.... 역시나 흐느적 달달 흐느적 달달...
メランコリー (Melancholy) by サイダーガール Cider Girl. 2017.10
사이다걸 (사이다 갸루)밴드의 홈피를 살펴 보니 '청량감' 있는 음악을 추구한다고 한다. 막상 들어보니 약간은 무한리필 사이다 마시는 청량감 정도이지만, 뭐 그럭저럭 혐오스럽게는 안 들리는 가볍게 듣고 넘길 튠이기는 하다. 너무 악평인 것 같은데, 걍 쏘쏘...하다는 말이다.
그런데 뮤비가 눈에 너무 들어와서 포스팅을....ㄷㄷㄷ....
뮤비가 좀 귀엽게 잘 만들어 졌는데 정말 일본스러운 군무를 여중딩들이 소화하고 있다. 가벼운 발랄한 음악 분위기에 잘 맞게 떨어졌다. 밴드의 이전 디스코그라피랑 뮤비들을 좀 더 살펴보니, 대문에 항상 여중딩들이 있다. 아마 그 나잇대의 소녀시대스러운 감성이 이 밴드의 컨셉인 것 같은데, 나름 발랄맞다.
여기의 주인공은 2017 사이더걸이케마 나츠미 池間夏海. 보이다시피 아직 애다. 2002년 월드컵 베이비인 것 보니 이제 중2 정도 되었을라나... 일본 Color's 기획사 소속으로 해당 소속사의 롤리팝 Lollipop이라는 그룹 일원이다. 그리고 '17년 사이더걸로 나름 '메이져(?)' 데뷔를 했다.
노래보다 뮤비와 이 소녀가 더 사이다스럽게 청량감이 있게 느껴진다.
아직 한창 경력 쌓아야 할 커리어이지만, 장래 영화든 뭐던, 큰 피겨로 자라는 걸 조심스럽게 점 쳐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