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여기서 또 하나 문제 삼고 싶은 것은 국내의 하우스 밴드들의 사운드를 들어보면 (솔직히 많이 듣진 못했기 때문에 어폐가 심할 수도 있다) 분명 유럽이나 미국의 하우스 사운드 보다는 일본 시부야 케이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다. 그도 그럴 것이 음악 뿐만이 아니라 광고, 디자인, 예술 등 온갖 문화가 일본에서 영향을 지대적으로 받아왔기 때문에 이를 한마디로 좋다/나쁘다 딱 잘라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가 아직도 문화적 식민주의 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만은 인정을 해야 하지 않을까?

물론 하우스 음악이라는 말 자체는 틀리지 않다. 하지만 들리는 사운드를 보면 대략 공식은 하우스 > 시부야케이 > House를 표방하는 Kpop 순으로 들 수 있을 것 같다. 근데 여기서 "과연 한국적인 HOUSE 음악은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너무 고리타분해 보인다. 물론 까대기를 위한 것이라면 더욱더 없이 좋은 시작이지만 말이다. (한국형 XX, 한국형YY 등등....머리가 아플지경이다.) 하지만 쓸데없고 시간낭비의 탁상공론으로 빠져버릴 것이라면 그런 심오한 질문을 함부로 내뱉는 것도 많은 문제가 있지 않을까? 오히려 여기서는 결론을 내고 대안을 찾는 것보다 서로가 어떤 관계 속에 또 어떠한 연장선 안에 놓여져 있는지 관찰하는 것이 더 먼저이고 흥미롭지 않나 한다.
예를 들어 한국 일렉 가요와 시부야 케이의 접점을 가장 확실하게 만들어주는 부분 중 하나가 여성 보컬에서 온다고 생각한다. 같은 동양인이라 유사한 발성의 영향력 안에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전주나 시작 부분에서는 강한 하우스 사운드를 표방할 지는 몰라도 보컬이 시작되면 영락없는 시부야케이로 (시부야 케이 필터링이 들어간 하우스 음악)으로 변하게 된다.
또 한 예는 벗어나기 힘든 M-Flo 사운드의 영향과 댄스 펑크나 일렉트로 팝 음악 사운드와 결합되는 한국식 시부야 케이 사운드의 현상들 (예를 들어 클래지콰이의 Lover Boy라던지..)



* 시부야 케이의 여성 보컬에서 느낄 수 있는 문화적 다양성/깊이의 한 예는 그들이 만들어 내는 복고 미학을 차용하면서 미래를 껴안는 테크놀로지를 향한 괴상하고도 솔직한 테크네적 페티시즘이다. 이 맥락을 이해하면 I-Pod에 의한 전 세계적 스캔달이라던지 Mondo 2000/Wired/Stuff 등의 하이테크놀로지와 하이 스타일을 지향하는 잡지들이 그려내는 기계찬양적, 기계일체적, 기계를 향한 현대인의 성적 페티시즘

이러저러한 상황을 맘대로 갈겨써보았는데...
가장 큰 걱정은 그게 아니었다 싶다...
결국은 언론매체...
솔직히 UCC란 생 단어로 어필하는 것 보고 놀랐는데...
지금 음악 미디어를 보니 일렉트로니카와 하우스의 언어 남발이 장난이 아닌게 의심스럽다...
결국 수십, 수백, 수천만의 블로그에서는 아무 생각 없이 '국내 일렉트로니카의 선두주자 누구누구" 혹은 "하우스 음악의 선두주자 누구누구"라는 식으로 포스팅 될게 뻔하다.
사실상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우리가 듣는 사운드는 오히려 시부야케이에 더 가깝지만 하우스와 더욱 큰 대분류인 일렉트로니카로 알려진다.
분명 장르 놀이는 환영받지 못하는 짓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쓸데없는 나눔이지만 갑자기 하루아침에 절대적으로 성장하게 된다면 그 동안 그것을 인지해왔던 사람들의 선입견은 무시무시한 오류를 범하게 될 뿐이다.

728x90
반응형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w Young Pony Club_Ice Cream Remixes (2) | 2007.07.30 |
---|---|
Girls Girls Girls (0) | 2007.07.30 |
[Electro Pop] Vive La Fete (2) | 2007.07.01 |
[Electro Pop] The Brown and Red Divide by Ladybirds (0) | 2007.06.30 |
[HIP HOP]Bonnie & Clyde (Ft. LeToya Luckett) by Mike Jones (0) | 2007.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