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 플셋 재생~ ㄱㄱ

 


 

6~7월에는 유난히 청량하고 시원한 여름 사운드가 많이 나왔다

유로 2020, 폭염으로 인한 체력과 정신력 저하 및 기타 사유로 이번에도 게을러졌다. 그랬더니 밀린 곡이 너무나 늘어나서 이번엔 61곡 ㅜㅜ. 플레이리스트 편집 자체는 다행히 이틀 걸리긴 했지만 렌더링 시간도 오래 걸리고, 이번 6,7월은 특히 또 여름 시즌에 어울리는 좋은 음악들이 많아 뭘 베스트로 뽑아야 할지도 힘들었다.

암튼 이번 정보 용량이 커서 이번 포스팅은 두 개로 나누기로 했다.

<1/2>
1. 플레이리스트 정보
2. 성장을 위한 용기있는 도약: 레인보우 노트 & 유키카 🎸🌐🥤
3. 2% 아쉬운 왕의 귀환, 김현철 그리고 시티팝 🥤🍸
4. 그 때 그 시절의 복고풍 발라드, 이별여행과 후암동을 찾아서 - 부소정🎙

<2/2>
1. 오랜만에 들리는 밴드 락 사운드와 신스팝의 향연 - 페퍼톤스, 루시, UZA, 이루리 외 🎸🌴
2. 걸그룹의 Summer Season Tracks - Girlkind, 라붐, 태연, 세리 외 🌐
3. 멜로우웨이브,인디 팝, 미드나잇 그루브 - 초묘, 최유리, behindthemoon, Ra.D 외 🍺

* PLAYLIST 정보: 

🥂:베오베
🥤: 사이다처럼 청량한 전형적인 시티팝
🍸: 감미로운 미드나잇 그루브 (R&B, Soul, Lofi, Jazz Lounge, Funk, Hip Hop, Down Tempo)
🌴: 상큼한 열대 트로피칼리아, 라틴 보사노바
🍺: 시원하고 프레시한 인디팝, 멜로우웨이브, 포크
🌐: 댄서블한 팝, 디스코, 하우스, Funk, 신스웨이브, EDM
🎸: 락, 신스팝, 블루스. EDM (Down/Midtempo)
🎙: 복고감성 AOR, 레트로 발라드 

Playlist:
(00:00) 1. 시시 ft. 수잔 - sucozy  7/17 🍺
(02:00) 2. 바다는 우리를 Remaster - 하우스룰즈  7/16  🌐
(03:00) 3. 여름꽃 - Behindthemoon  7/15 🍺🥂
(05:30) 4. 밤 바다의 파도보다 더 높게 ft. Yellboy - Wildberry  7/15 🍸
(07:49) 5. 폴라로이드 ft.UZA - Alive Funk   7/15 🎸
(09:30) 6. 사랑 후에 남는 것 ft. 반광욱, 정영은 - 홍수정  7/15 🍺
(10:35) 7. 이별여행 - 부소정  7/14 🎙🥂
(12:52) 8. 잘 지내자, 우리 - 최유리  7/14 🍺🥂
(14:17) 9. Summertime ft.김효은 - HA:FELT  7/14 🌴
(15:37) 10. Secret ft.BehwY - Jiselle  7/11 🌐
(17:29) 11. Lonely Night ft.해람 - 오병길  7/11 🍸🥂
(19:11) 12. 메모리 시트 - 그네, 최수빈  7/9 🥤
(20:50) 13. 구름을 타고 - mu.b  7/9 🍺
(22:14) 14. 두근대지마 - 융단  7/9 🍸
(23:51) 15. 레스토랑 - 정다운, 김정연 7/8 🎸
(25:57) 16. Film Love ft.스텔라장 - 페퍼톤즈  7/8 🎸🥂
(27:59) 17. 품 ft.픽보이 - 최우식  7/8 🎙
(29:50) 18. 그때 우리 말이야 - 왁스  7/8 🍺
(31:27) 19. 이분위기에 취해 - 걸카인드  7/7 🌴🥂
(32:57) 20. Stronger - 루하  7/7 🌐
(34:41) 21. Weekend - 태연  7/6 🌐
(36:23) 22. Your Summer - 이민규  7/6 🍺
(37:30) 23. Way Back Home 2021 - Lunch  7/4 🌴
(38:48) 24. Scene 메이드 인 루프탑 OST - cott  7/2 🍺
(40:20) 25. You ft. 홍지은 Night version - Ra.D  7/2 🍸🥂
(42:17) 26. Tonight - GOLD  7/2 🌐
(43:23) 27. 그라데이션 (the movement) - 유키카, Pat Lock  7/1 🌐🥂
(45:22) 28. summer, night - 전진희  7/1 🎸🥂
(47:15) 29. 선생님 사랑해요 (라켓 소년단 OST) - 효정, 미미, 비니 of 오마이걸  6/29 🍺
(48:46) 30. 0251 - 초묘  6/28 🍸
(50:17) 31. 잘될거야 - 노사연   6/28 🥤
(52:24) 32. 수면 - 레인보우 노트  6/24 🎸🥂
(54:02) 33. Rule - 레인보우 노트  6/24 🥤🥂
(56:29) 34. Fantasy - 비트크림  6/24 🥤
(58:25) 35. Let's Get Lost - 키티비  6/23 🍸
(59:46) 36. End Night - SYWORL 🍸
(01:01:40) 37. 오늘 밤 뭐해? - 유키카  6/19 🥤🥂
(01:03:36) 38. 같은 꿈, 같은 맘, 같은 밤 - 세븐틴  6/18 🎙
(01:05:09) 39. 내 맘을 - Levan  6/18 🎸
(01:07:23) 40. Pool Party ft. 이찬 of DKB - 브레이브걸스  6/17 🌐
(01:08:28) 41. 나랑가자 - 지진석  6/17 🍺
(01:09:39) 42. 허기사랑 - 세리 (달샤벳)  6/17 🌐
(01:11:00) 43. 광안리에서 - JusKiddin  6/17 🍸
(01:12:54) 44. One by One - Lucy  6/16 🎸🥂
(01:14:17) 45. 봄인지 여름인지 - Lucy  6/16 🍺
(01:15:30) 46. This Love - 차소연  6/16 🍺
(01:16:21) 47. Drive ft.Leellamarz - 정엽  6/14 🍸
(01:18:37) 48. City Breeze & Love Song - 김현철  6/14 🍺
(01:19:27) 49. 눈물이 왈칵 - 김현철  6/14 🎙🥂
(01:20:44) 50. HOWL - 이루리  6/14 🌴🥂
(01:22:28) 51. 아직은 낭만 - MRCH  6/13 🎸🥂
(01:23:53) 52. In Summer Day - 문연  6/13 🍺
(01:25:38) 53. HIGH - Unfair  6/11 🎸
(01:27:05) 54. First Time - 트와이스  6/11 🍸
(01:27:48) 55. Baby Blue - 트와이스  6/11 🌐
(01:28:54) 56. Strangeworld - Effie  6/11 🍸
(01:29:58) 57. Goodbye Boy - YUNHWAY  6/10 🍸
(01:30:58) 58. 홍은동 334-10 - HeMeets  6/10 🎙
(01:32:11) 59. 떠나든가 Love is over - WH3N  6/9 🎸
(01:33:48) 60. Bae Bae - My-Q 6/8 🎸
(01:34:39) 61. Nonlove - Acy Blu  5/2 **Missed from the last playlist 🍸

*Video credits:
돌아이 1, 레인보우 노트 MV (광안리, 샛별, 소행성, 여름 안의 추억), 비트크림 콘서트 빽투더 1990 홍보영상,  세븐틴 Ready to Love MV, 죠지 오랜만에 MV, Effie Highway MV, 20191221 히미츠(Hemeets) "홍은동 334" @네스트나다 - Cool Jay C


| 성장을 위한 용기 있는 도약: Rainbow Note & Yukika 

이 시리즈에서 항상 단골손님들이다. 물론 그만큼 시티팝 스타일 사운드 중심으로 한 생산성도 다른 아티스트들 대비 월등한 아티스트들이다. 눈에 띄고 귀에 잘 들리는 건 다 이유가 있다. 

Gradation by 유키카 & Pat Lok (좌), 레인보우 노트 <Animation> 앨범 (우)

이번 플셋에서 각각 아티스트마다 두 곡 씩을 소개하는데 맥락이 약간 비슷하다. 하나는 그들이 지금까지 추구해온 전형적인 시티팝 스타일이고 다른 하나들은 시티팝에서는 확연히 벗어나 있지만 그동안 보여주었던 DNA는 느낄 수 있는 스타일이다. 하나의 장르에 충실한 것도 좋지만 아티스트의 DNA, 아이덴티티 관점에서 넥스트 스테이지로 이동할, 그러니까 또 한 번의 성장을 보여주는 위대한 도약 같은 느낌이었다. (특히 이번 레인보우 노트의 '수면'이 그러하다)

레인보우 노트 '수면' 라이브

처음 레인보우 노트의 '수면 水面 '을 들었을 때는 이제 사운드를 락밴드 성향으로 확 바꾸는 건가? 시티팝 버리는 건가? 하고 갸우뚱했었다. 하지만 음악이 끝나갈 때즘 약간의 소름과 전율까지 느껴질 만큼 여운이 남았었다. 음악도 좋았지만 그동안 들려주던 시티팝 ('얘 얘' 같은 외도도 있긴 했지만) 사운드에서 구축한 그들의 아이덴티티가 이 아련한 락밴드 음악에 고스란히 남겨있는 걸 느끼면서 "와... 이건 또 넥스트 레벨이구나..." 하며 감탄했다. 보컬 안슬희는 항상 노란색 염색머리가 익숙했는데 이번에 라이브 영상에서 선보인 검은 머리도 끊임없이 성장할, 이러한 위대한 도약을 향한 그들의 행보의 한 상징으로 느껴지기도 하는 이유다. 

'수면' 외 플셋에 들어가 있는 곡은 전형적인 레인보우 노트 풍의 시티팝, 'Rule'이다. 

유키카 & Pat Lok의 '그라데이션'(좌), 노르웨이숲이 프로듀스한 유키카의 '오늘 밤 뭐해' (우)

항상 하는 얘기지만 유키카에게 'Neon'은 아직까지도 저주받은 걸작과 같은 느낌이다. 2019년 한국 시티팝 신에서 엄청난 임팩트를 안겨주었던 그 곡 이후 벌써 2년 차가 다 돼가면서 활동을 꾸준히, 열심히 했고 좋은 노래들도 많았지만 "그, 망할 곡의 존재감"은 아직도 크게 드리워져 있는 느낌이다. 이번에도 그 'Neon' 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유키카의 변화와 성장에 있어 새로운 청사진을 제공했다.

  

Pat Lok & Party Pupils - So Fine; '21년 5월에 나왔는데 딥 디스코 하우스의 그루비함이 느껴진다

바로 DJ Pat Lok과 콜라보한 '그라데이션 (the movement)'이다. 요즘 클럽 DJ 사운드의 레이더는 그다지 키고 있지 않아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Pat Lok의 곡들을 몇몇 들어 보았는데 매스컴용으로 풀린 기사에서는 EDM DJ/프로듀서로 소개되어 있는데 (모든 음악들을 들어보진 못해서 그런진 몰라도) 오히려 정통 딥 디스코 하우스 성향이 더 크게 느껴졌다.

유키카 YUKIKA - MV 촬영현장 스케치 Making of 「Yesterday」, 2020

암튼 90년대 후반/2000년대 댄스팝 성향이 들어간 'Yesterday'처럼 시티팝의 범주에서 벗어나려 한 움직임이 없던 것은 아니지만 이번 '그라데이션'에서는 그동안의 유키카의 아이덴티티를 이질적으로 침범하진 않으면서도 뭔가 부담 없이 Dua Lipa 같은 EDM 팝 장르도 어울리는 그림을 보여주었다. 앞서 말했듯이 Pat Lok의 음악 때문인지 내가 아는 그 세고 박력 있는 EDM이라기보다는 디스코 풍의 딥하우스의 깊고 따듯하면서도 스무스한 느낌의 그루비한 감성 댄스 음악으로 느껴졌다. 

 

'오늘 밤 뭐해?' 경리&이츠 버전; 유튜브로 검색 해 보니 둘의 콜라보 버전도 있었다. 3년 전이다

두 번째는 노르웨이숲의 '오늘 밤 뭐해'의 리메이크 버전이다. 이건 시티팝 스타일로 꾸려져 있는데, 이전 인디포크 느낌의 효빈 보컬 버전이 있었고, 이츠의 버전의 경우 보컬 특유의 스타일 때문에 미드나잇 그루브의 소울 감성이 좔좔 넘쳤었는데, 유키카가 보여주는 기교 없고 여린 보컬은 상당히 대조적이다. 암튼 이 곡이 시티팝의 아우라로 감싸진 유키카에게 넘어오니 상당히 새로운 느낌으로 재 탄생했다.  심지어 "잘난 네 말투 이젠 꼴 보기 싫어.." 이 가사가 나오는 부분은 그 시절 김현철의 어느 노래가 오버랩되기 까지 한다. (아니, 김현철 빙의가 느껴졌었다.)  

'14년 이츠의 '오늘밤 뭐해'(좌), '15년 효빈 보컬 버전이 들어있는 노르웨이숲 앨범

팬으로서 좋아하는 아티스트들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는 것처럼 행복하고 희열을 느낄 때가 또 없는 것 같다. 이들의 다음 행보가 다시 또 기다려지는 이유다. 부디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고 쭉쭉 성장해 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 2% 아쉬운 왕의 귀환, 김현철 그리고 시티팝 🥤

김현철의 이번 11집

가장 기대되는 컴백 중 하나가 6월 중순의 김현철의 11집, <City Breeze & Love Song> 앨범이었다. 한국에서 시티팝의 사운드가 유행을 타며 가장 많이 언급되었던 그 시절의 사운드라고 하면 단연 김현철이었다. 이에 부스트를 얻어 전 곡을 시티팝으로 꾸몄다던 앨범이 공개되었다. 

 

최애곡 중 하나인 '95년 4집의 '왜그래'; 배우 고소영의 나레이션 "그만 만나"가 그 시절 약간 버즈를 이끌었다

하지만 기대가 너무 커서일까... 옛날 김현철 1집, 2집, 3집, 4집...으로 넘어가면서 받았던 임팩트는 찾을 수 없었다. 오히려 너무 낭만주의에 빠져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솔직히 말해 그저 그런 트랙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걸 욕할 수는 없다. 낭만주의에 빠져있다고 언급한 것만큼 김현철 옹의 앨범에 대한 헌신이라던가 감사 행복 이런 감성들은 여지없이 앨범 안에서 느낄 수 있다. (다만 너무 자신에게 더 가까워서 나 같은 타인이 그가 느끼는 그 곳까지 다가가기는 힘들었던 듯하다) 이 중 그래도 보석 같은 트랙이 하나 들어있으니 그건 바로 '눈물이 왈칵'이다. 제목에서 느껴지듯 애절하고 아련한 소울의 감성이 깊고 진하게 느껴지는 곡이다. 이번 앨범이 별로였다고 투정 부리기는 싫다. 그 나이에도 불구하고 음악에 대한 사랑으로 다시 한번 사랑하고 기다리던 팬들에게 앨범을 선사한 이 아티스트에게 감사를 올린다. 

그 외 시티팝 사운드들

 여름 시즌이라 그런지 시티팝 사운드들이 많이 나왔다. 위 김현철의 컴백도 있었지만 1989년 '만남'으로 대한민국을 흔들었던 선임 가수 노사연의 시티팝 컴백도 눈에 띄었다. 위 이미지 좌상 단부터 시계방향으로 '메모리 시트' - 그네, 최수빈, '잘 될 거야' - 노사연, '밤바다의 파도보다 더 높게' - 와일드베리, '시시' - 수코지, 'Fantasy' - 비트크림, 'In summer day' - 문연, '레스토랑' - 정다운, 김정연, 'Lonely Night' - 오병길인데, 거의 다 청량한 느낌의 곡들이지만 오병길의 'Lonely night'은 딥한 가성의 소울 보컬이 감미로우면서도 강렬한 미드나잇 그루브스러운 사운드로 상당히 매력적이다.

 

フィロソフィーのダンス「テレフォニズム」Lyric Video (Illustrated by tamimoon)2021.7.14

시티팝 얘기가 나와서 요즘 J-Pop에서 흘러나온 곡 하나를 소개한다. 옛날처럼 J-Pop에 크게 흥미를 느끼지 못해서 가끔 뭐 좋은 노래 있나 슬쩍 보는 정도인데, 2012~2015년 사이 시티팝/재즈 훵크/힙합 등의 사운드로 흥겨운 그루브를 선사했던 B급 아이돌 팀, Especia 이후 약간 그 향수를 느끼게 해주는 필로소피노 댄스 (댄스의 철학)라는 팀은 채널 구독 해 놓고 즐겨 듣고 있었는데 이번에 꽤 시티팝스러운 사운드를 내놓았다. Especia가 좀 더 정통 Funk에 가까운 아이돌 팀이었다면 필로소피노댄스는 Funk에 디스코가 좀 더 많이 가미되어 있는 색깔이다. 이번 '텔레포니즘' 싱글을 들어보면 꽤 나 괜찮은 시티팝이다. 보통 일본 유튜브 영상은 자기들 채널에서만 볼 수 있게 해 놔서 이것도 어쩌면 올리자마자 잘릴 수도 있겠다. (잘리더라도 시티팝을 좋아한다면 채널 가서 한 번 들어볼 만한 노래다)

 

| 그때 그 시절의 복고풍 발라드, 이별여행과 후암동을 찾아서 🎙

부소정(좌)와 원미연(우)의 '이별여행' 앨범 (발랄한 댄스곡 '조금은 깊은 사랑'도 지금들으면 추억돋는 곡이다.)

시티팝 및 레트로가 주목을 받으며 그 때 그 시절 사랑받았던 아름다운 곡들의 리메이크도 하나의 현상처럼 자리 잡았는데, 이번에 가장 반가웠던 리메이크는 바로 부소정의 '이별여행'이다. 1991년 원미연의 히트곡으로 여름바다에도 어울리고 겨울바다에도 어울리는 그런 감성의 슬픈 음악이었다. 그 시절 장난으로 불륜커플들의 주제가이기도 하다고 장난치듯 얘기하던 기억이 난다. 금사...라고 하던가... 금사의 종지부를 찍는 뭐 그런... 암튼...

[1991] 원미연 - 이별여행

8,90년대의 한국의 AOR을 찾아간다는 다날엔터테인먼트의 리메이크 프로젝트라는데, 그 <Playback>의 첫 번째 싱글이다. 원곡의 원미연 감성이 워낙 절대적이었던 관계로 부소정이 원미연을 뛰어넘는 버전을 내놓았다고는 말할 수 없겠지만 (그런 비교를 하는 게 무의미하기도 하고), 부소정 나름대로의 맑고 영롱한 보컬은 그 나름대로2021년에서 바라보는 '이별여행'의 감성을 잘 전해주고 있다. 공허한 듯한 공기 속 청량함을 선사하는 부소정의 매력을 느끼고 싶다면 '20년의 '우리의 밤'과 '21년의 'Baby Good Night'도 추천한다. 

 

임백천 - '마음에 쓰는 편지' 【KBS 쇼 토요특급】 '90 - Again 가요톱10 : KBS KPOP Classic

이별여행을 다시 듣고 있으니 그 시절의 늦은 시간 도시 느낌의 아련 감성 발라드가 하나 더 떠오른다. (저녁 9시가 참 늦은 밤이라는 기준의 90년대 초반) 바로 임백천의 '마음에 쓰는 편지'. 어찌나 어린 마음을 그리 후벼 팠었는지...그 시절 남산타워 배경에 이처럼 잘 어울리는 음악이 또 있었을까? 이 노래도 당연히 리메이크들이 다수 있는데, <다시 쓰는 차트쇼 지금 1위는?> 의 기교 없이 청량하고 맑은 목소리와 화음으로 일관하는 옥상달빛 버전도 상당히 감미롭다. 말 나온 김에 이것까지 들어보자.

[HOT] Lim Baekcheon X OKDAL 'Letter to Heart' ♬, 다시 쓰는 차트쇼 지금 1위는? 20190510

출처: 남산 서울타워 홈페이지

남산 하면 또 유명한 게 해방촌인데 지금은 핫플레이스가 된 해방촌이 있는 후암동 자체도 꽤 인상 깊은 동네다. 남산에 인접하여 산책이나 운동 코스로도 갈 수 있고...(아주아주 살짝 멀긴 하다) 요즘의 인스타 갬성을 따라가기엔 좀 올드할 수도 있고, 지금은 그래도 어느 정도 (?) 개발이 되어 있어 그 옛날의 향수를 100% 느낄 수는 없겠지만 군데군데 아직 우리나라로 치면 근대 같은 현대라고 해야 하나? 느낌의 감성이 아직 살아 있다. 한 번 더 가보고 싶은 곳. 위 임백천의 복고풍 도시 감성 AOR이 참 어울리는데 90년에 나왔던 도시감성 발라드를 하나 더 들으면서 후암동의 추천 동선을 봐보자, 박선주와 조규찬이 부릅니다. '소중한 너'

 

박선주&조규찬 - 소중한 너 '90
2020년대의 재해석 판으로 내놓아도 좋을 도시감성 음악의 금광 같은 1990년: 
임백천의 '마음에 쓰는 편지'와 조규찬 & 박선주의 소중한 너'가 나온 해가 바로 1990년인데, 이 해 또한 AOR과 시티팝을 사랑하는 리스너들을 홀 딱 반하게 할 명곡들이 많이 나온 해이기도 하다. 몇 개 언급해 보자면 (89년과 걸칠 수 있음), 빛과 소금 1집의 '그대 떠난 뒤'와 '샴푸의 요정', 유재하 가요제 1회 대상에 빛나는 조규찬의 '무지개', 박영미의 '나는 외로움 그대는 그리움', 강수지의 '보랏빛 향기'와 '나를 사랑하겠어요', 장혜리의 '남겨진 시간을 위하여', 이상우의 '나만의 그대', 박강성의 '장난감 병정', 김민우의 '입영열차에서', 이상은의 '사랑할 거야', 소방차의 '사랑하고 싶어', 이승철의 '마지막 콘서트', 신해철의 '안녕', 변진섭의 '숙녀에게', 김지연의 '찬 바람이 불면', 이정현의 '한 여름의 크리스마스', 박성신의 '한 번만 더', 김현철의 '춘천가는 기차', 장필순의 '잊지말기로 해', 최성원의 '솔직할 수 있도록', 박학기의 '자꾸 서성이게되' 까지 멜로우웨이브, AOR, 시티팝 러버들에게는 금광을 캐는 듯한 기분의 해 중 하나다. 

1990년의 대표 도시감성 음악들이 수록되어 있는 앨범들

 

암튼 음악을 들으며 후암동으로 돌아가 보자. 개인적으로 서울의 새벽 드라이브 코스로 좋아는 게 바로 남산 하얏트호텔부터 시작되는 남산 소월길 코스다 그리고 저걸 타고 쭉 남대문 > 광화문을 지나 북악 스카이웨이까지 찍고 부암동 내리막길의 야경까지 보고 돌아오기... 암튼 이건 자동차 이야기고, '걷기'로 보자면 후암동 추천 동선은 아래 이미지 상 주황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후암로 34길로' 오르막 길이다. (이 오르막 길은 후암시장을 건너서 서울역 방향으로 올라오다 후암 우체국을 우측으로 끼면 마주할 수 있다) 저 오르막을 오르며 좌우로 보이는 골목길들로 빠져 봐도 근근이 옛 흔적들을 찾아볼 수 있다.

후암동의 동선 (주황색)

쥬황색 동선은 남산도서관을 건너로 한 횡단보도까지 이어지는데 여기에는 시련의 계단이 두 곳 있다. 가장 유명한 것은 남산으로 이어지는 [후암 전망대]가 있는 계단일 것이다. 지금은 전망대도 있고 엘리베이터도 생겼지만 그 옛날엔 얄짤없이 걸어 올라갔다가 내려와야 하는 무릎 작살 건강?운동 코스였다. 그 시절의 로맨티시스트들과 아이들은 가위바위보를 하며 올라가기도 했다. (참고로 그 삼순이 계단으로 알려진 실제 연인 계단은 근처 남산도서관(분관)에서 남산 케이블카 방향으로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가 그 두 번째 시련의 계단을 암시하는 미니 버전의 좁은 후암동 34길에서 용산도서관으로 이어지는 첫 번째 시련의 계단 코스다. 용산도서관으로 오르면 남산으로 직행하거나 후암초등학교 방향으로 해서 해방촌으로 빠질 수도 있다. 두 번째 시련의 계단에서 강북 방향으로 돌아보는 야경은 많이들 봤겠지만, 이 첫번째 시련의 계단으로 올라가다 뒤돌아 보는 야경의 맛도 소소하니 괜찮다.

레드박스가 후암동34길 동선, 블루박스가 108계단쪽

오르막이 많은 옛날 동네라 그럴까? 후암동은 은근 계단들이 많다 위에 언급한 저 두 개 말고도 드라마 촬영지로도 유명한 108계단이 있다. 후암동 34길 코스와는 조금 떨어져 있는데 일반버스 32번과 45번이 이어주는 동선에 있었다. 108계단은 아래의 블로그에서 인상 깊은 사진들과 함께 감상할 수 있다. 이 108계단은 이제 홍콩 미드레벨 에스컬레이터 느낌의, 에스컬레이터는 아니지만 승강기가 설치된 모양이다!

 

108계단으로 유명한 후암동길

후암동에 있는 108계단을 다녀왔습니다. 예전 드라마 발리에서 생긴 일의 촬영지로도 유명한 곳입니다.이곳은 지하철 숙대입구역 2번 출구를 나와 남산을 바라보며 그대로 직진하면 이차선도로

paraddisee.tistory.com

 

마지막으로 후암동의 정보를 인터넷에서 좀 더 찾아보다가 아래와 같은 블로그를 발견하여 소개해 본다. 1900년 초반부터의 주거 건축 역사의 흔적을 찾아 나섰던 소풍 같은 포스팅이다. 

 

이미지 출처:  아래 최예선의 근대문화유산 기행 블로그에서 갈무리

아래가 홈피 링크 (후암동에 더 궁금하다면 클릭)

 

서울의 시간 여행- 후암동에서 찾아본 1930년대의 풍경

새건협(새건축사협의회 www.kai2002.org)에서 매달 서울의 골목을 돌아보는 답사 프로그램이 있어서 얼른 신청하고 다녀왔습니다. 개화기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시대별로 살펴보면서 도시가 어

sweet-workroom.khan.kr

 

..... 그럼 2부에서......

2021.07.21 - [MUSIC/City Pop, City Music] - [7월 2/2] City Music 솎아보기 52: 한국 레트로&시티팝 61곡 (6월8일~7월17일) - <2/2>

 

728x90
반응형

 이 글은 7월13일 올렸다가 관리자에 의해 삭제 되었었다.

삭제되었을 때 메시지

그리하여 관리자에게 메일을 보냈고 사유는 아래와 같았다. 

<랑종> 개봉 전의 언플이 너무 심해서 영화에 대한 악평 관련 이런 쩌리 블로그까지 인터넷 검열을 하나 오해까지 할 뻔 했으나 일단 사유는 위와 같았다. "여성의 신체 노출 이미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연히 삭제 했지만, <랑종>에서 강아지를 유해하는 장면이 꽤 불필요하게 느껴졌었고, 적어도 그런 '불쾌한' 씬을 넣을 거면 영화의 맥락이나 서사와 맞아야 하는게 아는게 하는게 개인적인 생각이었다.

그래서 네크로포비아 영화의 클래식 중 하나인 <네크로맨틱>을 언급하며 그 포스터 이미지를 삽입했었는데 그 포스터 자체가 청소년 유해 정보로 규제된 것 같다. 다른 티스토리 블로그보면 더 야한 이미지도 본 것 같은데 말이지.. 그래도 나름 그 계열 클래식인데... 암튼 해당 사유로 포스터 이미진 삭제하고 포스팅은 재업한다. 

아래부터가 <랑종> 포스팅


 

내 평가는 0.5다, 이런 말도 안되는 버즈가 없었더라면 1.5점이라도 줬을 것이다

영화가 끝나자마자 느낀 건 심각하게 끓어오르는 배신감이었다. 개봉 전부터 인터넷에 퍼지던 시사회의 일반인들 후기뿐 아니라 평론가들과 각종 매체에서 쏟아지던 찬사와 버즈들. '나홍진'이라는 이름 하나로 신뢰감은 충분하였으나 이런 버즈들이 오히려 더 분위기를 핫하게 달구었다. 하지만 그렇게 내세워진 '나홍진'이라는 이름은 신뢰가 아닌 그냥 바이럴을 위한 브랜드일 뿐이 아니었나 싶다. 적어도 이 영화, <랑종>에서는...

 

인터넷에 퍼지던 감상평 중 하나... 출처는 위에

 

평론가 평

일반인과 평론가들의 평이 엇갈리는 경우도 많은데 이렇게 서로 극찬하는 경우는 <기생충>처럼 대중성, 작품성 모두 잡은 경우가 꽤 많다. 그래서 더 믿음이 가게 마련이다. 그래서 더 보고 싶고 아무 거리낌 없이 내 지갑을 열게 되기도 하고.

하지만 <랑종>은 보고 나니 이 모든게 대 사기극이었고, 극한 배신감과 나홍진이라는 감독에 대한 실망감, 그리고 (100% 증거 없는 뇌피셜) 이 제작사에서 얼마나 돈을 풀었으면 이런 엄청난 버즈를 만들었을까.. 그리고 이 어그로와 낚시에 제대로 걸려버린 현실이 너무 화나고 짜증이 났다. 정말 이 영화가 잘 만든 작품이라고 느끼고 공포스러웠다면 그건 정말 '나홍진'이라는 새로운 맹목적 오컬트의 종류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그래도 왓챠에는 제대로 된 평들이 있겠지 하고 뒤져봤는데 여기도 왓챠 뱃지를 단 상당수의 네임드들이 3,4,5점의 높은 평가를 하고 있기도 했다. 근데 그나마 제대로 된 평가들도 찾을 수 있었다. 바로 아래와 같은!

<랑종>에 대한 아주 상식적인 평가 중 하나; 인터넷에서 랑종 욕하면 다구리 당한다는 글도 어느 커뮤니티에서 읽은 기억이 있어 주인장의 아이디는 지웠음; 93의 좋아요가 있는 것 보니 이 세상에 희망은 조금 보인다

그나마 위의 평가가 <랑종>에 대한 모든 걸 잘 말해주고 있는 것 같다. "이 정도까지 심각할 거라고 예상도 못 했으며"... 이게 킬포다. 정말 그 정도의 버즈면 그나마 뭐라도 있을 줄 알았는데 아무것도 없는, 영화라고 말할 수 없는 그냥 쓰레기였다. 몇 가지 느낀 점을 말해보자. 

1) 이질적인 포맷:

페이크 다큐멘터리 형식을 취한다. 근데 이게 정말 영화 초반부터 끝까지 이질적이다. 차라리 그냥 일반 영화처럼 드라마 포맷으로 찍으면 낫지 않았을까? 후반부 좀비 개 때들에게 물어 뜯기면서도 죽기 직전 놓친 카메라를 찾아 찍고 있는 직업 정신... 하아... 그리고 배우들은 연기를 하고 있다. 이건 다큐인데 말이지? 발란스가 너무 안 맞아도 너무 안 맞는다. 더군다나, 이 영화의 여주인공이 진짜 예쁜데, 거의 도촬 수준으로 이 여주를 찍고 있는 상황까지 벌어진다. 예쁜 건 맞는데 그렇게 엉덩이와 허벅지와 다리를... 그리고 살짝 열려 있는 여자 화장실 문 사이로 찍고 있는 상황은, 뭐 히치콕의 <이창>에 오마쥬라도 받친 거냐? 이런 도촬 각도가 나오는 샷도 영화의 맥락이 있다면 이해가 될 수 있을 텐데 전혀 그런 게 없다. 차라리 관음으로 시종일관 태도를 유지했다면 고개라도 끄덕거렸을 것이다. 

그리고 좀비때가 후반부에 막 튀어나올 때는 그동안 몰랐던 카메라맨들의 숫자도 꽤 많았구나라는 걸 알 수 있다. 와... 이건 뭐 (약간 과장하자면) 공영방송 "런닝맨" 찍는 수준으로 큰 규모였구나...

페이크 다큐멘터리가 보고 싶다고? <블레어위치>를 보거나 <개를 문 사나이 Man Bites Dog>를 보라. 아주 잘 만든 페이크 다큐의 정석이다. 

2) 대체 뭘 말하고 싶으셨는지???

맥락도 없고 서사도 없고 장르도 불분명하다. 그냥 막판에 어디서 (그것도 최근에) 다 본 듯한 공포 장르물의 장면들이 총 출동하는데 그냥 어이없고 어질어질할 뿐이다. 이걸 정말 순화 순화해서 "더러운 거 징그러운 거 무서운 거 다 있는 호러 비빔밥"이라고 표현 한 모양인데, 비빔밥은 맛있기라도 하지 이건 그냥 맛이 더럽게 없다. 제작비가 일반 태국영화의 두 배 가까이 된다고 쓴 기사를 기억하는데... 그냥 뭐든 다 해보고 싶었던 걸까?? 다소 수위에 넘는 잔인하다거나, 야하다거나 이런 장면들이 호러/고어 영화에서 큰 문제가 될 건 없는데 이건 뭐 명분도 없고 맥락도 없어서 그냥 시종일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불편하게만 한다. 

출처: 그레이브 인카운터 페이스북; 네크로맨틱 포스터는 이걸로 대체함

갑자기 캐릭터들이 좀비화 되면서 보이는 움직임은 비평에 자주 나오는 <그레이브 인카운터>의 그것과 비슷할 수도 있는데 아무리 봐도 재네는 강아지 들이다. 영화에서 한 서너번 뜬금없는 중앙에 자막이 붙는데 그것은 '천상의 맛'이라는 개 고집 집 이름이다. 캐들에게 들러붙은 영혼들은 아마도 시장에서 팔려나간 식용 강아지들의 원한들인 것 같다. 하지만 이게 꽤 기괴함으로 다가오지도 않는다. 상상 그 이상의 찝찝하고 더러운 기괴함을 느끼고 싶다면 그냥 <네크로맨틱 Nekromantik>가 있다. 강아지는 아니지만 고양이를 죽이는 씬이 영화의 맥락을 끊거나 이질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그리고 동양의 호러? 그냥 <월화의 공동묘지>랑 <여곡성 1986> 보세요. <전설의 고향>의 DNA가 어디서 왔는지를 느낄 수 있는 한국 호러 영화의 클래식입니다.

일단 고어 혹은 호러의 타이틀이 붙으면 용서되는게 바로 맥락과 서사다. 맥락과 서사 그리고 개연성이 어느 정도 부족하더라도 고어/호러 영화의 맛을 잘 살리면 관객들도 호응하는 게 이 장르의 특성이다. 근데 이건 뭐 맥락도 없어 서사도 없어 개연성도 없어. 그냥 지루한 전반부 (혹은 그놈의 버즈들 때문에 뭔 일이 나중엔 생기겠지 하는 기대감으로 일관되는) 후반부의 우당탕탕 탕 끝. 

                                                                                 피터잭슨 감독의 초창기 고어 영화

그리고 무조건 잔인하다고 사람들이 (최소 매니아들이) 열광하는 게 아니다. B급이건 저예산 인디 호러/고어 영화건 지금까지 사랑받고 유명한 작품들은 적어도 '그들만의' 작가정신이라는 게 담겨 있다. 근데 <랑종>은 머냐? 아무것도 없다. 그냥 무조건 잔인하다. 그래서 불필요한 씬들이라고 사람들이 느끼는 거다. 

팀 버튼의 배트맨2

동양판 <콘스탄틴>이라고? 정말 ㅈㄹ하고 자빠졌다 진짜.. 누가 썼는지 .. 하...  정말 저게 순도 100 아니 20%의 진심이라도 들어있는 표현이라면 난 정말 저 글쓴이의 정신 상태가 의심이 간다. 정말 양심이 하나라도 있습니까???? 그리고 랑종의 선과 악 사이에서의 줄타기? 차라리 그런 류의 고민은 팀 버튼의 배트맨 시리즈가 더 신선했다.

영화 <랑종>

그리고 추가적으로 글 쓰는 김에, 이동진 평론가가 이런 졸작에 두 번씩이나, 그것도 30분 이상을 할애하여 유튜브 영상을 올리는 것도 이해가 가지가 않는다. 갠적으로 굉장히 좋아하고 귀기울여 들을 말씀도 많이 하는 분이라 그의 유튜브와 평론들을 자주 접하기 때문에 무슨 얘길 하는지 이 두 번째 <랑종> 콘텐트를 봐 보았다. 곡해의 여지는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이미 나는 랑종에 대해 무지하게 화가 나있는 상태) 영화는 어차피 글렀으니 나홍진이라도 살리자라는 느낌이었다. 

이동진 평론가의 두 번째 <랑종> 컨텐츠, 그는 이 콘텐트에서 영화 평론가로서 영화가 아닌 시나리오를 설명 해 준다.

뭔가 시나리오 자체는 <곡성>의 세계관과 연관지어 굉장히 대단했으나 모자른 연출이 문제라는 뉘앙스, 그리고 또 가정하여 좋은 시나리오였다 치더라도 그것을, 시나리오를 왜 영화 평론가가 설명하고 있는 것인지도 전혀 이애학 가지 않았다. 그건 연출가인 감독의 몫 아닌가? 영화는 실패했으니 (이동진 평론가가 단정짓진 않았지만)  시나리오는 여러분들이 모르는 깊은 맥락과 의미들이 숨어 있었다. 좋았다? 이런건가? 

매불쇼 시네마지옥, 라이너와 전찬일 평론가의 <랑종> 리뷰 02:00:00부터

그나마 유튜브에서 매불쇼의 라이너와 전찬일 평론가가 진행하는 시네마지옥 코너에서 다룬 <랑종>이 그나마 좀 정상적이었던 것 같다. (물고 빨던 다른 매체들에 비해). 02:00:00 부터 시작인데 첨의 반은 <곡성>의 대단함을 설명하는데 "굳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다음 반을 <랑종>을 설명하고 있는데 전찬일 평론가는 감독의 인성 관련 발언까지 하시는데 그래도 괜찮나 모르겠다...ㄷㄷㄷ... 

정말 말도 안되는 버즈에 낚여서 기대하고 이 영화를 보고 후회할 희생자들이 한 명이라도 더 줄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냥 별 얘기 없이 나왔다면 이렇게 까지 욕은 안 했겠건만, 이건 정말 희대의 개 사기극이다. 아무리 돈만 되면 최고인 무한경쟁 자본주의 세상이라지만,,,, 이 모든 촌극들이 정말 씁슬하고 너무하다는 생각만 들게 한다. 찢었다, 미쳤다, 진짜이유, 솔직후기 등등등 사람만 모으면 장땡인듯 알맹이는 없고 어그로만 끄는 과장과 자극적 유혹만 난무하는 이런 슬픈 세상에 우린 지금 살고 있다. (코로나만 해도 엿같은데 말이지...) 

아, 그리고 중요한거 하나 더, 공포영환데 무섭지도 않다

마지막으로 <랑종>에 대한 그나마 양심적인 영화리뷰 기사가 하나 있어 링크를 남긴다

 

‘곡성’ 빼고 노잼 넣은 ‘랑종’[한현정의 직구리뷰]

관객이 죄 졌냐...

www.mk.co.kr

 

 

728x90
반응형

 

YuTube 플셋 ㄱㄱ~

 


 

아래는 플레이리스트와 베스트 싱글들

🥂:베오베
🥤: 사이다처럼 청량한 전형적인 시티팝
🍸: 감미로운 미드나잇 그루브 (R&B, Soul, Lofi, Jazz Lounge, Funk, Hip Hop, Down Tempo)
🌴: 상큼한 열대 트로피칼리아, 라틴 보사노바
🍺: 시원하고 프레시한 인디팝, 멜로우웨이브, 포크
🌐: 댄서블한 팝, 디스코, 하우스, Funk, 신스웨이브, EDM
🎸: 락, 신스팝, 블루스. EDM (Down/Midtempo) 🎙: 복고감성 AOR, 레트로 발라드 Playlist:

(00:00) 1. Good Luck - HEYNE(헤이니) 6/7 🥤
(01:16) 2. Sneakers - 하성운 6/7 🌐
(01:47) 3. Good Night - DEUL 6/7 🍸
(02:51) 4. 첫 만남 - 늘섬 6/7 🎸
(03:38) 5. 꿈에서 (마인 OST) 6/6 🍸
(04:33) 6. What You Love ft.김완선 - DiDi Han 6/4 🌐🥂
(05:29) 7. 점 - 전동욱 6/4 🍸
(06:31) 8. 내일의 너, 오늘의 나 Another Day - 마마무 6/2 🎙🥂
(07:55) 9. 해줄래 - University 6/2 🎸
(08:40) 10. 정리해 - University 6/2 🌐
(09:22) 11. 마음의 숙제 - 마린 6/2 🍺
(10:29) 12. 지금처럼 (라켓소년단 OST) - The Boyz 6/1 🎸
(11:07) 13. We - Yucherish 6/1 🍸
(12:25) 14. 닿을 듯 말 듯 - 바이유어사이드 5/30 🍺
(13:17) 15. Now or Forever - VORANAH 5/28 🎸
(14:44) 16. Butterfly - Rich 5/28 🍸
(15:21) 17. Telephone - TeRish 5/27 🥤🥂
(16:48) 18. Like it Hot - 공원소녀 5/26 🌐
(17:21) 19. Don't Ask Don't Tell - Everglow 5/25 🌐
(18:35) 20. 꿈 - 김수영 5/23 🌴
(19:22) 21. Why - 헤이즈 5/20 🍸
(20:34) 22. Son of Beast - TO1 5/20 🌐
(21:10) 23. The Moon - PIXY 5/20 🌐
(21:48) 24. 파란 - 김마리 5/20 🍺
(22:49) 25. 우산을 들어줄게 - 김마리 5/20 🍺 🥂
(23:49) 26. 너의 이름은 맑음 - 김마리 5/20 🍺
(24:45) 27. 영원을 걷자 - 김마리 5/20 🍺
(25:28) 28. déjà vu (유튜러버 OST) - SoRi 5/20 🍺
(26:30) 29. Bad Boy Anthem ft.Puff Daehee - SFC.JGR 5/18 🍸
(27:58) 30. City Light - Vanilla Mousse 5/18 🥤🥂
(29:03) 31. Finder - UZA 5/18 🍸
(30:26) 32. Airplane Mode - fromis_9 5/17 🌐🥂
(31:38) 33. 너는 어때? - OoOo 5/16 🍸
(32:01) 34. Baby Baby -윤영아 5/14 🥤
(33:10) 35. 그때의 너를, 그때의 나를 - EZE 5/14 🌴
(33:47) 36. 니가 4시에 온다면 with 옥상달빛 - 포이트리 5/13 🍺🥂
(35:44) 37. Easy - 우주소녀 The Black 5/12 🌐
(36:56) 38. 너를 모르던 그때로 가 - Soulstar, Giryeon 5/11 🎸
(37:33) 39. 당신의 1g - 안녕바다 5/11 🥤
(38:39) 40. Drive Thru - 윌콕스 5/11 🍸
(39:54) 41. 빈 마음 - 레코드 벨 5/10 🍺
(41:20) 42. 참 뜨거웠던, 좀 모자랐었던 - Vandy City 🎸🥂
(42:27) 43. Dun Dun Dance - 오마이걸 5/10 🌐🥂
(43:16) 44. Drive - KOYO 5/9 🍺
          45. 빨간 이별 - 니콜이 5/9 🍸

 

역대급 롤러코스터 느낌을 안겨준 죽음의 F조 마지막 동시경기, 헝가리 진짜 모든 경기 졌잘싸

6월의 마지막을 향해가는데 포스팅이 좀 늦었다. 유튜브 업로드도 늦었고. 이 모든 게 유로 2020 때문이다. 유로 2020에 미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한 달이다. 유럽에서 펼쳐지니 새벽 시간 대 보는 것도 힘들고. 그래도 역시 미니 월드컵답게 엄청 재밌다. 특히 죽음의 F조 동시에 펼쳐진 마지막 경기 프랑스 VS 포르투갈과 독일 VS 헝가리의 경기는 네 팀이 돌아가며 한 골 씩 넣다 보니 정말 10분마다 2,3,4위가 바뀌는 레전드 급 롤러코스터 경기였다. 유로 2020이 끝나면 좀 더 분발해서 유튜브와 블로그를 다시 챙겨 가겠다는 마음이다. 

 

| 맑고푸른 청춘, 김마리 : 우산을 들어줄래  5/20  🍺 🥂

김마리 EP 淸, 靑

 

이번에 단연 돋보였던 아티스트는 김마리의 EP [淸, 靑]이다. 얼핏 보면 청춘 (青春)으로 읽힐 수도 있는데 맑을 청과 푸를 청이 들어간 '청, 청'이다. 이 앨범의 제목에 인디 아티스트 김마리가 추구하는 음악의 색과 감성을 모두 담고 있다. 오히려 거기에 '청춘'을 더해 맑고 맑은 청춘만이 가지는 행복, 슬픔, 고뇌, 기쁨, 우울, 희망을 담고 있는 게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아티스트의 음악들을 듣고 있노라면 옛 시절로 소환당하는 듯한 향수와 힐링받는 느낌이 참 강하다. 참 맑고 착한 음악을 한다. 

김마리의 Discography 출처:  Melon

 

그녀의 그 동안의 자취를 찾아보면 꾸준히 이 느낌이 담겨 있다. 데뷔 해였던 2018년의 '그대를 찾아낼 거야'를 들어보면 2000년대의 Tori Amos의 영향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그 외의 곡들은 지금까지 보여주고 있는 김마리 특유의 감성들을 잘 담고 있다. 그러다가 가장 큰 인상을 안겨주었던 건 아무래도 2020년에 발표한 두 싱글, '나의 세상을 보여주고 싶어'와 '너와 나의 우주 속에'가 아닌가 싶다. 다른 노래들은 모두 슬로우하고 멜로우한 느낌의 포크 음악인데 이 두 곡은 상당히 밝고 청량한 느낌을 지지고 있다. 특히 그녀가 주 무기로 사용하는 피아노/키보드의 맑으면서도 인상적인 느낌의 임팩트를 잘 사용한 곡 같다. 어떻게 보면 벤 폴스 파이브 Ben Folds Five 등등  90년대와 2000년대를 수놓았던 피아노 리딩의 인디 포크 밴드와 아티스트들의 음악들을 떠올리게 하는 레트로적 느낌도 있다.

 

2020 [MV] 김마리 (Kim Marie) - 너와 나의 우주 속에 (Our Universe) / Official Music Video || POLCANOS

 

이후 발표한 것이 바로 이 2021년 5월 말의 두 번 째 EP [淸, 靑]다. 첫 번째 EP였던 '19년 의 [Forest]도 괜찮았지만 이번 [청, 청]의 앨범은 그녀가 지금까지 보여 주었던 감성들을 잘 섞어 놓은 듯한 다이내믹한 선곡들이 특징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앨범의 제목, 앨범 쟈킷 사진, 음악 모두가 삼위일체가 되어 앞서 말했던 청춘의 맑고 푸른, 청청한 느낌이 생동감 있게 잘 살아있다. 아직 데뷔한 지 3년밖에 되지 않아 앞으로의 성장이 더더욱 기대되는 아티스트다. 이 앨범의 모든 트랙을 추천한다. 


| 청량한 CITY POP의 느낌 🥤🥂 : TeRish, 포이트리, Vanilla Mousse 

Vanilla Mousse, 포이트리x옥상달빛, TeRish

돌풍처럼 느껴졌던 2018년 이후와는 달리 최근에 들어서는 약간 트랜드에서 벗어나고 있는지 우리가 사랑하는 그 청량한 오리지널 느낌의 시티팝 릴리즈들이 계속 줄어드는 느낌이다. 그래도 달마다 간간히 나오고는 있고, 특히 여름으로 향해가는 만큼 청량하면서도 센티멘탈한 감성이 주 무기인 시티팝이 너무나도 잘 어울리는 시즌이라 계속 기대해 본다. 6월 17일에는 전 곡이 시티팝으로 짜인 김현철의 [City Breeze & Love Song] EP가 발표되기도 했다. 원래 이 앨범까지 기다렸다가 유튜브 플셋은 편집하려고 했지만 플셋이 너무 길어져서 편집이 너무 힘들까 봐 그냥 6월 7일 HEYNE의 'Good Luck' 시점에서 끊어 버렸다.

서울의 시티팝 스폿: (시계방향) 북악스카이웨이 - 잠수교 - 하베스트 남산 출처: ohmynews.com; superkts.com; timeoutkorea.kr

 

이번 플셋에서는 3곡이 눈에 띄는데 바로 바닐라 무스, 포이트리 그리고 테리쉬다. 이 중에서도 바닐라 무스의 'City Lights'와 TeRish의 'Telephone'은 미디엄 템포의 '딱' 그런 시티팝 송들로 한강을 배경으로 한 새벽 드라이브, 남산 소월길이나 북악 스카이웨이를 뚫고 가는 새벽 크루즈 혹은 이러저러한 서울의 야경을 배경으로 한 루프탑에서의 청량한 맥주 한잔에 좋은 사이드킥이 될 만하다.

 

2020 리마스터곡이다. [MV] TeRish (테리쉬) - It;s Okay (REMASTER) (괜찮은거야 (REMASTER)) - iamTeRish

TeRish의 경우 전격 시티팝 풍의 아티스트는 아닌 것 같고, 소울, 발라드, 일렉트로닉 등 아직 명확한 스타일 굳히기에 들어가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시티팝 풍은 이번의 'Telephone'이 유일하긴 한데, 2018년 데뷔 EP에 수록된 '괜찮은거야'라는 음악을 추천한다. 살짝 소울 감성이 들어간 발라드 곡인데 블루스는 아니지만 블루스가 가진 그 텅 비고 공허한 듯한 느낌이 잘 전해지는데 왠지 지금 하고 있는 City Music 솎아보기 플레이리스트에도 어울릴 것 같다.

 

[Sound K] 바닐라무스 (Vanilla Mousse) - Addiction, Regret || Arirang Radio K-PopArirang Radio K-Pop

Vanilla Mousse는 2015년 데뷔한 인디듀오로 꽤 많은 싱글들을 발표했다. 마찬가지로 정통 시티팝 (그 스타일만 구사한단 단순한 의미로 그냥 편의상 이렇게 표현한다) 팀은 아니고, 포크-재즈-팝-발라드 곡들이 섞여 있는데 특히 재지 하고 프레시하고 경쾌한 🍺 인디팝 느낌의 곡들이 많다. 특히 'Addiction'이란 곡은 이들의 재지 함이 무언지 알려주는 트랙인데 Paris Match가 연상되기도 한다. 암튼 'City Light'의 곡을 듣고 이 팀이 궁금해졌다면 아래의 곡들을 추천한다.

🍺 느낌 : Love Reissue, Rainy Day (2015), Won't be Long (2017)

🍸 느낌: Addiction (2015), Flower (2016), Goodbye Summer (2020)

 🎤 발라드 느낌: Regret (2015), Goodbye (2017)

 

 

2012 POETREE (포이트리) - 잊을 날 (feat. Joo Yi) - AsianDream2019

포이트리는 영문으로 Poetree로 쓰던데 아마도 시를 뜻하는 Poetry를 원형으로 삼고 거기에 나무 Tree의 의미를 이어 붙인 것 같다. 시의 숲 같은 느낌일까? 이름에서 느낌이 오듯 서정적인 분위기를 추구하는 팀인 것 같다. 2012년 데뷔 이후 소 9년 뒤 돌연 'Organic Love'라는 멜로우 웨이브 느낌으로 다시 나타났다 (이 곡은 3월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다시 두 달 후 [니가 4시에 온다면] EP를 발표했는데 2012년 첫 앨범 [열대야] 이후 두 번째 옥상달빛과의 콜라보다. 전형적인 시티팝일까 하면 또 약간 애매한 부분이 있긴 한데 어느 정도 멜로우 웨이브의 무게가 담긴 시티팝의 느낌이다. 그들의 이전 음악들 중에서는 '아주' 약간 어둡고 다운템포의 일렉트로닉 음악인 2012년 곡, '잊을 날'을 추천해 본다. (약간 캐스커 감성도 들어있는 곡이다)

 

a scene at the sea by Hisaishi Jo - Zihao Du YouTube

그리고 이번 플셋 썸네일과 MV가 없는 몇몇 곡의 영상으로 쓴 영화는 기타노 타케시 감독의 1991년작, <그 여름 가장 조용한 바다>다. 90년대 초여서일까, 80년대의 도시적 요소 말고 시티팝이 가진 그 두 번째 요소, 바다-트로피칼리아의 감성을 느낄 수 있을뿐더러 기타노 타케시 감독 영화 중 뺄 수 없는 수작이기도 하다. 실제 음악은 <하울의 움직이는 성>과 같은 대부분의 지브리 OST와 <하나비>, <키즈 리턴>, <기쿠지로의 여름> 등 타케시 감독의 OST를 맡았던  히사이시 조가 맡았었다. 개인적으로도 좋아하는 영화지만 지속적으로 나오는 그 정처 없이 '행진'하듯 행보하는 캐릭터들의 씬 바이 씬들이 참 인상에 깊게 남는 영화이기도 하다. 시티팝 음악은 정작 나오진 않지만 무더운 한 여름 바다와 함께하는 시티팝의 그 또 다른 감성을 느껴보고 싶은 이들에게 자신 있게 추천하는 영화다.


 | 오랜만에 만나는 🌐딥하우스와 Epic한 🎸신스팝 DiDi Han & Vandy City 🥂

DiDi Han & 김완선

코로나는 물론이요, 이제 클럽에 갈 체력도 없고 심지어 입밴 당할 나이의 능선도 지난지라 요즘 최근 클럽 구경 해 본지가 언젠지도 모르겠다. 그냥 방구석에서 듣는 음악들이 대부분. 그래도 70년대 이비자로부터 시작하여 2000년대의 클럽 문화를 정성을 다해 잡지의 글을 통해 다루었을 만큼 그 분야에 대한 사랑은 여전히 변치 않고 있다. 그런 와중 EDM 풍으로만 독식되던 요즘 세상에 옛날의 향수를 자극하는 딥하우스풍의 음악을 이번 6월에 맞게 되어 참 반가웠다.  갑자기 2000년 초 미친 듯이 열광했던 대중적 하우스인 Modjo의 lady, Moloko의 Sing it Back, Dimitri from Paris도 막 생각나고 ㅜㅜ (아... 세월이여...) 보니까 DiDi Han이라는 DJ와 김완선의 콜라보였는데, 완선 누님은 십 몇여년 전에 트랜스 할 때도 잘 어울렸는데 하우스 음악도 잘 어울리는 것 보니 인생이 댄스에 특화된 가수인가 보다. 

 

약간 비슷한 느낌의 옛 추억의 음악을 소개한다. 항상 백색의 수트와 중절모가 섹시하고 매력적인 오스트리아의 루이 오스텐 옹의 Glamour Girl이다

 

이제는 그 쪽 계열에 그리 레이더를 켜고 있지 않다 보니 국내 여성 DJ는 그냥 페기 구 정도나 알고 있었는데 이번에 김완선과의 "What You Love" 콜라보를 듣고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디디 한의 몇몇 믹스셋 영상을 들어봤는데 꽤 좋은 선곡들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그중 하나 들어보자. 한 낯의 샴페인이 주는 신비로운 버블버블 한 '흥'의 맛을 아는 분들은 언제나 환영이다. 

Didi Han • Bring me to the rooftop party - DJ mix set (디디한) - DiDi Han

다음은 신스팝의 이야기다. 

VANDY CITY

신스팝은 매력적이지만 동시에 아주 오래된 레트로 장르다. 신디사이저라는 이름이 들어가서인지 마치 무슨 정통 일렉트로닉 음악처럼 느껴질 수도 있는데 (꼭 틀린 말은 아니지만) 락 음악에서의 일렉트로닉의 이동이라던가, 아니면 더 나아가서 그토록 서로 반대하던 (아날로그 vs 디지털) 락과 일렉트로닉의 크로스오버를 일구어 냈던 장르이기도 하다. 영국 락 음악의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맨체스터의 조이 디비전 Joy Division이 리드 보컬 이언 커티스가 'Love will Tear us Apart'란 전설의 록 음악을 내고 자살한 후 나머지 멤버가 이어간 뉴오더 New Order는 영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신스팝의 열풍을 불러왔었고 동시대적으로 이 신디사이저를 위시로 한 락과 일렉의 찬란한 크로스오버의 향연이 전 세계를 뜨겁게 달구었다. 그리고 그 기세를 통해 춤이라는 중요 요소와 함께 현대 클럽 문화라는 것이 유럽을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성행했고 이는 곳 미국 등으로 퍼졌다. 이러한 일렉과 락의 아름다운 크로스오버는 2010년대 댄스펑크라는 장르로 인해 다시 회자되며 또 다른 전성기를 맞으며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영국-미국의 독점이 아닌 전 세계에 동시 다발적으로 펼쳐 졌었다. 그리고 시티팝도 여러 현대 장르의 짬뽕 스타일인 것만큼 신스팝도 아주 중요한 재료 중 하나다. 

 

New Order - Bizarre Love Triangle (Official Music Video) [HD Upgrade] | 2004년 롤링스톤즈 선정 가장 위대한 음악 500선에서 204위를 랭크했던 이 레전드 음악의 뮤비는 로버트 롱고가 연출하였는데, "Men in the Cities"라는 "도시의 삶에서 한 개인이 도시, 기업, 미디어, 테크놀로지 등을 중심으로 구현된 문화와의 충돌"을 그려낸 80년대 리소그래피 걸작 작품의 에센스가 영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어떻게 보면 단순한 탈출이나 여유로움을 넘어 좀더 진지한 시선에서 도시를 바라보는 시티팝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뉴오더 vs 왁스의 포스팅을 참고.
 

New Order VS 왁스의 "그대는 눈물이다"...대략 안습...ㅜㅜㅋ

그대는 눈물이다? Bizarre Love Triangle? 오 마이 갓! 얼마전 애견 카페에 갔다가 흘러나오는 음악 중에 상당히 귀를 자극하는 음악이 있었다. 누군지는 모르겠으나 분명 New Order의 "Bizarre Love Triangle"의

electronica.tistory.com

 

 

Vandy City의 청춘 3부작 중의 전편을 들어보자; 반딧불이의도시 City of Lightning Bugs (feat.승언 SeungEon) - Vandy City 반디시티 2020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완전 모던한 느낌의 일렉트로닉 팝보다는 그 시절의 향수를 자극하는 레트로 신스팝을 만날 때의 반가움은 이루 말할 수 없다. Vandy City는 이러한 신스팝을 추구하고 있고 거기에 항상 '청춘'이라는 키워드가 자리 잡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서서히 점진하는 아르페지오 전개와 신디사이저 사운드가 만들어내는 이 에픽한 느낌은 그 '청춘'이라는 알 수 없는 미래를 향해가는 약간의 떨리는 불안함과 희망의 교차, 그리고 아련함이 나름 의도된 것처럼 잘 그려지고 있다. 

 

Weki Meki 위키미키 - Butterfly M/V 2018

그리고 밴디 시티와 비교하긴 좀 그렇긴 할수도 있겠지만, 아주 아주 개인적인 생각의 범주인데, 이 '참 뜨거웠던, 좀 모자랐던' 같은 에픽하면서도 점진적 아르페지오가 특징인 노래들을 들으면 올림픽 같은 그 빌드업과 환의 열정 같은 느낌이 생각난다. 그래서 들어보자. 비운의 (비) 메이저 걸그룹의 몇 안 되는 괜찮은 곡, 위키 미키의  2018 평창올림픽 성공 기원 음악 '버터플라이'다. 이 노래는 신스팝보다는 옛날 트랜스 Trance의 감성을 더 가지고 있긴 한데 암튼 뭔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약간 있다. 이렇게 자연스럽게(?) 마지막 걸그룹의 이야기로 넘어가 보자. 


| 🥂걸그룹의 🌐 Funky 한 사운드: 오마이걸, 프로미스나인, 그리고  🎙 마마무

 

OH MY GIRL, fromis_9, Mamamoo

플셋은 출퇴근하거나 어디 가면서 드라이브 용으로 만드는 개인적인 사유가 크기 때문에 굳이 정통 시티팝 스타일에 한정 하진 않았다.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도시적이거나, 드라이브에 어울리거나 하는 음악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훵키 하거나 디스코, 클럽댄스 풍의 음악들 중에서 어느 정도 생각했던 원형에 어울린다 싶으면 넣고 있어서 남녀 아이돌의 음악들도 꽤 들어가는 편이다. 신나고 드라이브할 때 정말 좋거든 ^^

 

[MV] P.O.P _ Catch You(애타게 GET하게) 2017: 데뷔 노래 수록곡 3개 다 좋았는데 사라져서 아쉬웠던 팀

이번에도 오마이걸, 프로미스나인, 마마무, 우주소녀 더 블랙, 에버글로우, 픽시스, 공원소녀의 타이틀 및 수록곡들이 포함되어 있다. 보통 아이돌 음악은 정말 시티팝스럽거나, 그루비/훵키 한 디스코 거나, 에픽한 EDM팝, Electro가 가미된 Synthwave나 Electro House (주로 우주소녀가 구사하는..) 류로 많이 듣는다. 이 중에서 베스트 픽은 오마이걸, 프로미스나인, 마마무 3개다. 에버글로우의 수록곡, 'Don't Ask Don't Tell' (옛날로 치면 B-Side라고 불러야 하나)도 꽤 괜찮았는데 이번 타이틀 곡 뮤비가 영 맘에 걸려서 그냥 패스하기로 했다. 

 

레전드 곡, 소나기는 너무나도 많이 얘기했었으니 2018년의 Funky한 오마걸 음악을 들어보자 ||| OH MY GIRL (오마이걸) - TWILIGHT [han|rom|eng color coded lyrics/가사] - SecretlyRian YuTube

항상 하는 얘기지만 오마이걸은 거의 한두 앨범 건너 식으로 레전드급까진 아니어도 정말 좋은 음악을 내놓는 패턴을 보이는데 (실망 > 환호 > 실망 > 환호... 뭐 이런 패턴), 이번 'Dun Dun Dance'는 오마이걸이 최근에 구축한 그 발랄한 이미지의 상당한 부스트를 넣어 줄 만큼 신나고 경쾌한 아주 뛰어난 디스코 댄스 사운드를 들려주었다. 그냥 그들의 행복바이러스가 주입되어 뿅뿅되는 느낌이다.

 

잭슨파이브가 연상되는 기타리프의 도입부가 인상적인 2020 물고기를 들어보자 ||| 프로미스나인 '물고기(Mulgogi)' Special Video - Official fromis_9Official fromis_9

프로미스나인도 데뷔부터 지금까지 (기억으론) 한 번 빼고는 매 발표 싱글들이 동시대 활동하는 걸그룹 대비 아주 괜찮은 퀄리티의 음악을 보여주고 있다. 3대장 빼고 춤, 비주얼 다 떠나서 음악만으로도 즐거움을 안겨주는 걸그룹을 뽑자면, 러블리즈, 우주소녀, 프로미스나인, (가끔) 이달의소녀 정도가 아닐까 싶다.  이번의 타이틀 곡은 아니지만 수록곡인 'Airplane Mode'는 코인 그래프 마냥 위로 질렀다 중 저로 빠졌다 다시 킥과 함께 신나는 훵키 한 댄스 튠으로 이어지는 다이내믹한 구성이 아주 매력적인 곡이다. 한 여름 동해안 특유의 몰아치는 푸른 바다의 파도와 함께 펼쳐지는 해안 드라이브와 함께 듣고 싶은 곡이다. 

 

작년의 Water Color도 무시무시 했지만 2018년의 Easy도 한 번 들어보자 [MV] Whee In(휘인) _ EASY (Feat. Sik-K)

마마무의 'Another Day 내일의 너, 오늘의 나'는 이번 플셋의 유일한 발라드 풍 음악으로 마마무 특유의 소울과 함께 잔잔한 감성이 어느샌가 듣는 사람도 모르게 몰래 훅 치고 들어와 계속 빠져들게 하는 매력이 있다. 뭔가 이별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는 듯한 느낌이라 어느 날 마마무가 해체한다면 이 노래 듣고 눈물 쏟을 팬들도 많지 않을까 싶다. 마마무는 역시 실력의 팀이다. 그리고 퀄리티 있는 음악들. 소울을 베이스로 한 훵키함 디스코 그리고 발라드. 아이돌로서 좋다기보다는 그냥 음악이 좋은, 항상 무시무시한 매력의 음악을 들려주는 그런 팀이다. 

 

암튼 음악들 시점이 너무 많이 늦어서 빨리 유로2020이 끝나고 다시 캐치업을 해야 겠다...ㅜㅜ

 

 

 

 

 

 

   

 

 

728x90
반응형

유로2020 대전표: 역시 죽음의 F조에 눈길이 먼저 간다

미니월드컵이라 불리는 유로 2020이 코로나로 인한 연기에 이어 드. 디. 어. 다음 주,  6/12 토요일 새벽 4시! 이탈리아 로마의 스타디오 올림피아 경기장에서!  터키 vs 이탈리아 전을 시작으로 그 성대한 막을 올린다. 55개 참여국 중 최종 엔트리에 오른 유럽 24개국 별들이 모인 이 경기는 31일 간 11개의 도시와 경기장에서 51번의 매치를 선사할 것이다. 7월 11일까지 딱 한 달 간이다. 

개인적으로 바이에른 뮌헨의 승리로 끝난 2020 챔피언스리그 이후로 축구 경기 보는 거에 좀 흥미를 읽고 있었다. 일단 현질 유도의 극혐 피파 게임 손절했고, 대한민국 A 매치도 꽤 별로였고 (이번 일본 전 정말 최악) 무엇보다도 코로나 때문에 무관중 경기로 인한 그 관중의 열기를 느낄 수 없었던 이유도 컸다. 

1990 월드컵 결승전: 이번 유로2020의 첫 경기장인 로마의 스타디오 올림피코에서 열린 서독(1) vs 아르헨티나(0)| 출처: getty images 

딱히 민족주의인 것 같진 않은데... (아닌가..) 어렸을 때 월드컵 보면서 큰 기억 때문인지 아직도 클럽 경기보다는 국가 대항전이 좋다. 실질적인 연고를 느낄 수 없는 클럽 경기에서 느낄 수 없는 그 국가 간의 치열한 자존심의 열기가 좋다. 그래서 그런지 월드컵 이전 이 미니 월드컵 같은 유로 2020이 더 기다려 지는 이유기도 하다. 다만 전 경기가 한국 시간 새벽과 아침 오전으로 편성되어 있어 얼마나 많이 라이브로 볼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되도록 많이 챙겨 보려 한다. 

암튼 시간이 한국 입장에서는 개떡 같고 51 경기다 보니 그 날마다 체크하거나 기억하기도 힘들어서 그냥 구글 캘린더에 넣어놨는데 알람도 되고 스케줄 관리도 되니 공유할만해서 올려본다. 

|| 캘린더에 유로 2020 일정 추가하기

 

England fixtures for your digital calendar, stays up to date!

Download England games into your calendar application. Game results and changes in schedules are updated automatically.

fixtur.es

 위의 링크를 눌러서 들어가면 구글 캘린더 뿐만 아니라 애플, 아웃룩 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한다. 그냥 버튼 누르고 따라가면 된다. 물론 공짜다. 

1) 링크 누르면 보이는 첫 화면

링크를 누르면 위의 첫 화면을 누르고 [Pick Your calendar software to subscribe - it's free!] 카테고리 밑에 보이는 버튼들 중 본인이 원하는 캘린더를 선택하면 된다. 나 같은 경우 안드로이드 폰을 쓰기 때문에 Google Calendar를 누른다. 

 

2) Google Calendar를 누르고 이어지는 화면

누르면 위 화면이 펼쳐지는데 화면으로 이동하면서 자기 혼자 동기화 작업에 들어간다. 계속 '체크' '체크' 아이콘이 뜨는 걸 확인 할 수 있다. 

 

3) 동기화 작업이 끝나면 나오는 화면

동기화가 알아서 다 진행되면 위 Done, all went well! 문구가 뜬다. 작업이 다 끝났다. 심플하다. 본인의 구글 캘린더에 가서 확인하면 된다. 혹시 보이지 않는 다면 캘린더 설정의 '동기화 synchronization' 옵션이 켜져 있는지 확인한다. 

위에 그림은 '유로 2020' 일정이 자동으로 깔린 내 구글 캘린더의 이미지다. PC 기준 좌측 [다른 캘린더] 아래를 보면 외부에서 끌어온 캘린더 섭스크립션들이 보이는데 저기 "Euro 2020" 이 생성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유로2020 경기장 위치   출처: https://www.stadiumguide.com/tournaments/uefa-euro-2020/

그럼 한 달 간 즐거운 축구 페스타! 를 즐겨보자

728x90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당파싸움의 축복과 저주 by 강준만  (0) 2007.10.08
타야마 코이치 정견발표  (0) 2007.04.18
Hard Gay-라멘 샵 살리기 (일본)  (0) 2007.03.22
Geobeats---cool 여행 가이드  (0) 2007.02.26
타 암 대비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암이라 정보가 많지 않다. 인생에 흔치 않은 경험이라 나도 기억할 겸, 지난 투병 중 기억나는 것들이나 후유증 관련하여 올려 본다. (비인강/비인두암 3기 - 항암 7회 방사선 (토모테라피) 33회) (폐전이의심 - 항암(시스플라틴+5FU) 6세트)

중이염 증상 일러스트  출처: www.verywellhealth.com

최근 비인두암 후유증 중 일상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 중 하나가 귀에 물이 차는 증상이다. 비인두암 전 증상이 바로 이 귀에 계속 차는 삼출성 중이염이라 상당히 신경쓰인다. 

튜브 삽입 시 고막 사진 (오른쪽)   출처: www.eulji.or.kr
보통 귀에 튜브를 삽입하는데, 너무 자주 하면 나중에 고막피부가 잘 안 아물어서 튜브가 헐랭 해 지는 리스크가 있다고 한다. 지난 3년 간 튜브를 두 번 삽입했고 올해 1월에 두 번째 튜브가 헐어서 뺏다. 그리고 지금까지 튜브 없이 지냈는데 거의 3~4주에 한 번씩 물이 찬다. 뭐 조심할 방법도 없는 것 같다. 그냥 어느 순간 물이 차 있다. 
코막고 바람불기, 이관이 나쁘면 일상에서 저걸 자주 하는게 도움이 된다고 한다  이미지출처: m.taechoclub.com
이비인후과에 갈 때마다 코를 손가락으로 막고 바람을 불어서 양 쪽 귀에 바람이 들어오나 안 오나를 체크하는데 언제가부턴가 비인두암이 발생했던 왼쪽 귀에 바람이 들어오지 않는다. 이관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서 공기가 통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물이 계속 차고 빠지지 않는 거라고.
출처: www.iconfinder.com
그동안 항생제를 먹거나, 고막을 째고 물을 빼고 했었는데 최근 또 물이 차서 다니던 동네 이비인후과에 갔더니 의사 선생님이 "큰 병원에 가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라고 하신다. 튜브를 삽입하면 되겠지만 또 1년 후 튜브를 교체할 때 고막 피부에 대한 문제도 깊이 고려해 봐야 할 것 같다고... 과를 불문하고 동네 작은 병원 다니면서 가장 듣기 두려운 말이다. 나쁜 쪽으로는 책임전가에 대한 문제도 있겠지만 (살면서, 특히 비인두암에 대해 얘기하고 나서는 그런 느낌을 받았던 적이 꽤 있다), 환자의 증상에 대한 빠른 혹은 더 효과적인 조치를 위한 것이 있겠다. 이번에 다니던 이비인후과 선생님은 다행히 후자로 계속 케어를 잘해주셨었다. 
대학병원들   출처: http://biz.newdaily.co.kr/
암튼 당장 귀는 불편 해 죽겠는데 (들리지도 않고 먹먹하고) 대학병원은 빠른 예약이 거의 불가능해서 좀 큰 이비인후과 전문 병원으로 갔다. 비인두암 처음 발견하고 조직 검사를 했던 병원이다. 여기 선생님들은 상당히 젊은 편인데 믿음이 가는 스타일이다. 
튜브심기   출처: http://nocoworld.com/
뭐 원인이야 알고 있는 이관 문제고, 결국 튜브를 심었다. 원래 고막 피부가 약하기 때문에 매스로 살짝 째면 쑥 벌려져서 거기다가 튜브를 쏙 끼면 되는데...  "어, 좀 질겨졌네요 다시 손 좀 대겠습니다" 하심. 결국 그 부드러운 세포가 벌써 질겨지기, 딱딱해져 가기 시작했다는 말 아닌가... 그리고 매스로 좀 더 한 두 번 찢어서 구멍을 냈다.
출처: http://kormedi.com/
두 번째 튜브를 제거한 후 6월까지 4번인가 5번째로 고막을 짼 거다...  근데 이거 아프고 상당히 공포스럽다... 물론 귀에 마취를 하고 하는데 약하게 할 때도 있고 세게 할 때도 있나 보다 어쩔 때는 많이 아프고 어쩔 때는 느낌만 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마취도 물약을 뿌리거나 주사를 놓는 경우가 있는데 주사 놓을 땐 물론 아프다 ㅜㅜ 그리고 고막 쨀 때도... 물론 아프고. 그리고 무엇보다 물 빼기 위해 귓속에 석션을 집어넣어서 취이이이이이 잉~ 하는 소리가 귀 안에서 울려 퍼지는 그 기분은 정말 공포스럽기 그지없다. (아프진 않다) 근데 튜브 잘 붙었는지 한 일주일 후에 다시 가서 보면 선생님이 튜브를 잡고 깔짝깔짝 흔들어 보는데 이거 아프다.... ㅜㅜ

|이관 풍선 확장술?

암튼 튜브를 심고 선생님이 '이관 풍선 확장술'을 고려해 보자고 하신다. 보통 완치 판정 이후에 받으니 나는 아직 1년 정도를 더 기다려야 한다. 그러면서 시술 영상을 보여 주시는데 좀 혐이다... ㅜㅜ 콧 속으로 풍선 카데터? 뭐 이런 걸 쑥쑥 이관까지 집어넣어서 막힌 이관을 팽창시켜서 제 기능하게 만들어 주는 것 같다. 

출처: Mega Medical Co., Ltd
나 같은 비인두암으로 인한 후유증 환자들 말고도 일반인들도 나와 같은 증상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꽤 많은 것 같은데 신규 의술로 보이는 이 수술은 지금까지 발표된 결과로는 (모수는 모른다) 성공률이 90%라고 한다. 다만 비인두암 환자들에게는 좋지 않은 소식이, 비인두암을 겪었던 환자들 대상으로 한 수술 결과 데이터는 거의 찾을 수 없고 그나마 외국 논문 중 아래를 찾을 수 있었는데 58명 (74개의 귀)로 대상으로 2년 간 추적 검사한 결과, 완전히 회복된 환자는 단 1 명, 그리고 부분적으로 회복된 환자가 5명에 불과했다. 1%가 조금 넘는 수치다.  
NLM 비인두암 환자에 대한 이관확장술 논문 캡쳐
해당 논문의 결과: 1명 완전회복, 5명 부분회복

 

아래 링크로 들어가면 볼 수 있다. 

 

Efficacy of balloon dilatation of the eustachian tube in patients with refractory otitis media with effusion after radiotherapy

BDET can only significantly improve efficacy of refractory OME after radiotherapy for nasopharyngeal carcinom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the 2-year follow-up.

pubmed.ncbi.nlm.nih.gov

 

암튼 아직 1년 정도 더 남은 시간이 있으니 그때까지 기다려보고 생각해보자고 한다. 지금 데이터로는 수술하면 좀 좋아졌다가 1년 정도 후에 다시 원복 되는 거긴 한데 시간이 있으니 그 때까지 의미 있는 데이터가 더 나올 수도 있고... 뭐 그러하다. 

구글 검색 화면 갈무리
이 풍선 확장술이란 게 신규 의술이다 보니 일반 수술처럼 그냥 덜컥 결정하고 실행할 건 아니어 보인다. 살짝 찾아보니 더군다나 전신마취로 시술이 진행되는 것 같다. 비용도 수술만 한 50여만 원 들어가 보이고. 위는 '이관 풍선 확장술 비용' 키워드로 구글 검색했을 때 화면이고, 아래는 올해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다는 건강보험 적용 상황이다, 본인 부담률 90%.

 

출처: AN HSI Company 홈페이지
이래저래 항암치료 이후의 삶은 항상 다이내믹하다. 뭐든 멈추지 않는 롤러코스터~다만 코스터 타는 것처럼 즐겁지가 않은 게 흠...

 

728x90
반응형

동네에서 먹을 수 있는 스테이크 집 두 곳 중 마지막 <팬파이어>에 다녀온 내용이다. 처음에 팬파이어라고 들어서 우읭? 뱀파이어? 이런 생각 하다가 가게 이름을 보니 Panfire였다. 프라이팬 할 때 팬일 테니 아마도 '불타는 팬' 이런 식으로 해석하면 되지 않을까? 스테이크 먹을 의도로 가는 집이니 이름에서 오는 기분이 좀 기대하게 만든다.

테이블에서 바라본 내부 뷰

일단 엘레베이터의 문의 열리면 바로 내부로 이어지는데, 왼쪽에 프런트 + 정면에 오픈 키친으로 해서 굉장히 고급진 인테리어 뷰가 펼쳐진다. 보통 엘베 내려서 복도 길 타고 가서 가게 문 열고 들어가는 게 일반적인 경험인데 여기는 그냥 엘베 열리자마자 세련된 뷰가 쫙 펼쳐지는 이 경험이 상당히 파워풀하다. 전 포스팅에서 <케니스>가 상당히 밝고 캐주얼한 분위기라면 여긴 정 반대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무게감 있고 럭셔리한 분위기다. <케니스>도 그랬지만 <팬파이어>도 이 동네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느낌이라 이런 곳이 생겨서 굉장히 반갑다. 아직 해가 좀 있는 초저녁에 방문해서 커튼 사이의 공간으로 빛이 들어오고 있었는데 저녁에는 훨씬 더 분위기가 좋을 것 같은 느낌이다. 

 

Overdrive - Conan Gray: 특유의 에픽함을 가지고 있는 EDM 팝송이다

내가 갔을 때만 그랬는진 몰라도 흘러나오던 음악들도 꽤 엄근진 스타일인데, Adele의 "Skyfall"과 Conan Gray의 "Overdrive"가 나오던게 특히 기억에 남는다. 위 음악을 들어보면 딱 느낌이 올거다. 옛날 말로 해보면 꽤 어센틱하면서도 장엄한 느낌. 공간이랑 상당히 잘 어울린다. 

오픈키친

 저렇게 중앙에 키친이 오픈되어 있는데 역시 오픈키친의 매력은 좀 더 넓은 공간감도 있지만 신뢰 또한 한 몫하는 것 같다. 암튼 저곳이 불타는 팬의 그곳. 개인적으로 음식 아무리 맛있어도 불친절한 곳은 무조건 손절해버리는 편이다. 그리고 요즘 사람들도 기본적인 예의에 많이 예민(? <---원래 이게 맞는 건데)해져서 대부분 음식점들이 다 친절한 느낌이긴 하지만 그래도 그 와중에도 더 친절함이 느껴지는 곳들이 있다. 팬파이어가 그런 곳이었다. 굉장히 친절하시다! (가보면 느낄 것임) 

(좌)등심, (우)안심

팬파이어도 케니스처럼 두 번 방문했는데, 날짜 순서와는 상관없이... 일단 스테이크부터 ^^ 여기는 스테이크 메뉴가 3개다. 등심/채끝/안심. 세 개 모두 5만 원 대 가격이고 모두 250g에 맞춰져 있다. 가격은 당연히 등심 < 채끝 < 안심 순이다. 암튼 250그램이라 그런지 나는 상당히 배부르게 먹었다. 

등심

첫날 방문했을 때 최애 안심 스테이크를 먹었는데 이 날은 허겁지겁 먹어서 익은 상태를 찍진 않았는데, 등심 먹은 날은 찍어 두었다. 미디엄-레어인데, 250g이면 적은 양은 아닌데 고기 익힘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잘 되어 있는 느낌이었다. 간은 약간 짠 짭조름한 느낌인데 참고로 나는 원래 저염식에 입맛이 맞춰져 있어서 일반인들한테는 그렇게 짠 느낌은 아닐 수도 있겠다. 원래 저 날 하루에 둘이서 스테이크 하나 씩 시켜 먹어보려고 했던 건데 양 때문에 한 접시만 시키길 잘했다는 생각이다. 다 못 먹었을 듯.

뇨끼, 리조또

 스테이크 말고도 파스타, 리조또, 샐러드, 시푸드, 뇨끼, 피자와 같은 다른 이탈리안식 메뉴를 많이 제공하고 있다. 이 중에 우리는 감자 뇨끼와 머시룸 리조또를 먹었는데 당연히 느끼한 애들이긴 하지만 얘네들도 꽤 괜찮게 먹어서 나중에 가면 간단하게 파스타와 피자도 맛보면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샐러드도 맛있었음

 

매주 수요일 휴무라 하고, 위치는 풍무역 뒤 쪽 (트레이더스 건너편)에 위치하고 있고, 지하 주차장을 이용하면 되는데 여기 주차장이 나름의 험한 각도를 요하고 있으니 주의. 암튼 이런 고급진 분위기의 정통 이탈리안 레스토랑이 생겨서 넘 반갑고 맛있게도 먹었지만 일단 친절함이 무엇보다도 기억에 남는 곳이다. 

 

Skyfall - Adele MV

중간에 음악 얘기가 나왔으니 먹고 있을 때 흘러나오던 Adele의 "Skyfall"도 들어보자. 정말 지금까지의 모든 007 영화들의 클리셰와 전통을 거부하고 용감하게 캐릭터를 재해석하고 새로운 길을 제시한 시리즈 중 최고의 작품이라 생각한다. 그 <007: Skyfall>의 주제가다. 

728x90
반응형

 

유튜브 영상 ㄱㄱ~
(00:00) 1. RUB-A-DUM - TRI.BE 5/18
(00:06) 2. Next Level - aespa 5/17
(00:24) 3. We Go - fromis_9 5/17
(00:39) 4. Airplane Mode - fromis_9 5/17
(00:56) 5. Ring Ring - Rocket Punch 5/17 (01:20) 6. 작은 손길 [우리의 노래 OST] - Hi Cutie 5/17
(01:36) 7. 첫 만남 [연애의 참견 OST] - saturday 5/16
(01:44) 8. Shadow [다크홀 OST] - 시연, 다미 of Dream Catcher 5/14
(01:58) 9. Starry Night - Fanatics 5/14
(02:17) 10. Giant - 우기 of (여자)아이들 5/13 (02:30) 11. Easy - 우주소녀 The BLACK 5/12
(02:50) 12. Kiss Your Lips - 우주소녀 The BLACK 5/12
(03:08) 13. Dun Dun Dance - 오마이걸 5/10
(03:32) 14. Call Me [이미테이션 OST] - Imitation x Omega OIII 5/8
(03:45) 15. 모호 - Hi Cutie 5/4
(04:05) 16. 여자친구 Tribute: 8번 넘어지고도 끝까지 공연…'여자친구'에게 보내는 박수 / YTN 2015 YTN 뉴스 영상 2015 #전여친 으로 컴백하라

원래 그랬었는진 몰라도 지난 2,3년간 상황과 패턴을 보면 걸그룹의 전체적인 퀄리티 (음악+안무)는 상당히 올라갔을지언정 그 위세는 점점 약해지고 있는 느낌이다. 물론 블핑에나 트와 같은 S급 들에는 해당 안될 이야기일 수도 있겠으나 그들은 걸그룹이라는 전선을 오래전에 넘어서 그냥 그들만의 리그에서 활약 중인지라, 전체적인 걸그룹 신을 보면 옛날보다는 정말 많이 위축된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고퀄이 되어가는데도 계속 망해나간다니... 정말 각박한 현실이다.

https://cornellsun.com/2019/01/18/traveling-to-cornell-in-a-winter-storm-all-you-need-to-know/

암튼 1년이라는 시기를 두고 보면 365일 전반에 걸쳐 추운 1분기, 4분기는 확실히 걸그룹 활동이 적은 편이다. 봄도 거의 패스 해 버리고 어느 정도 여름에 가까워지는 날씨부터 시작해서 가을 즈음해서 활동하다가 사라져 버리는 패턴의 느낌이다. 2021년도 별 다르지 않다. 별 볼일 없던 작년 12월은 2020년이라 그렇다 쳐도 2021년 1월부터 3월까지는 거의 가뭄이었고 그나마 햇빛이 비추기 시작한 3,4월 살짝 반짝거렸는데, 역시 여름으로 점점 가까워져 가는 5월이 되니 이제사야 신나는 걸그룹 음악들이 모습을 드러내었다. 솔직히 4월도 써드 아이 3YE의 "Stalker"외에는 기억나지도 않을 정도다. 

오마이걸, 로켓펀치, 우주소녀더블랙, 프로미스나인, 에스파

1월은 뭐 최근 원숙한 모습을 보여주는 드림캐쳐의 [Dystopia: Road to Utopia]가 비교불가 원탑이었고, 2월은 최근 멤버 학폭 논란으로 주춤하는 (여자)아이들의 '화', 3월은 우주소녀의 비교불가 [Unatural] EP, 4월은 써드 아이의 "Stalker" 정도로 달마다의 베스트를 뽑을 수 있겠는데 와.,.. 5월은 혼전이다. 꽤 많이들 튀어나왔다. 5월 초부터 시작하면, 오마이걸, 우주소녀 더블랙, 로켓펀치, 프로미스 나인, 에스파까지 주옥같고도 훵키 한 2021년 5월의 걸그룹 신을 만들어 주었다.


NEXT LEVEL - aespa  5/17

걸그룹의 하락세라는 얘기는 물론 S급에는 해당 안 될 이야기일 수도 있겠으나 SM의 경우 레드벨벳이 갑질 사건 이후 한 방에 날아가고 후속 팀, 에스파를 내놓았으나 얼마 되지도 않았고 핫샷 데뷔 같은 이슈는 없었기 때문에 음악+비주얼의 퀄리티는 고퀄일지언정 기존 S급 레벨에 두어야 할지는 모르겠다. A급 탑티어라고 봐도 무방할, 팬덤의 힘으로 이슈 따윈 개나 주고 힘차게 달리던 아이즈원도 이제 해체되고 나니 이젠 뭐 블랙핑크와 트와이스 정도 남은 걸로 보인다. 

 

Forever - aespa 2021.2: 신생 그룹이라 숨겨진 띵곡 같은게 없어서 그나마 괜찮았던, 아직 겨울 느낌이었던 2월의 싱글을 소개한다. 이건 뭐 음악이고 뮤비고 레벨이 불렀어도 하나도 안 이상할 느낌의 SM 겨울 소울 발라드다

그나마 걸그룹 삼국지의 조나라 같은 SM이 내 놓은 것이 에스파인데 데뷔부터 지금까지 음악들이 나쁘진 않지만 아직까지 뭔가 확실한 한 방을 꼽아준 느낌은 없다. 다만 이번의 "Next Level"은 지금까지의 발표곡 중 제일 괜찮게 들린다. 


[9 WAY TICKET] - Fromis_9  5/17

이 분들도 프로듀스101처럼 논란에 휩싸이는 듯했으나 꽤 무난하게(?) 정국을 헤쳐나가고 있는 컴페티션 걸그룹이다. 근데 자본 투자가 꽤 잘 된 건진 몰라도 초기부터 지금까지 어디 내놔도 꿀리지 않을 상당히 괜찮은 사운드를 들려주는 걸그룹이다. 상큼, 발랄 + Funky 함이 어우러진 사운드가 이들의 특색인데 팀의 인지도를 떠나서 그 옛날부터 팬들이 원해왔던 혹은 즐겨왔던 걸그룹사운드의 DNA가 현재 시대의 감성에 맞추면서 진화한 딱 알맞은 걸그룹사운드를 들려주는 것 같다. 처음에는 훵키 하면서도 걸그룹 특유의 그 소녀 감성의 지분이 더 컸는데 요즘은 소녀 감성보다는 훵키함이 더 지분을 넓혀가고 있는 느낌이다. 매 발표마다 띵곡들을 수록하고 있다. 2017년 데뷔 이후 4년에 걸쳐 나름 주옥같은 디스코그래피를 보유하고 있는 팀이다.

 

fromis_9 - 환상 속의 그대(You in my fantasy) (Stage mix/교차편집) - 보석수집가 >> 보다 보면 서태지와 아이들의 환상속의 그대를 오마쥬한 듯한 안무가 들어있다. 머리 위로 휙~휙~

이번 플셋에는 타이틀 곡인 "We Go"와 "Airplane Mode"를 넣었는데 갠 적으로는 훨씬 더 훵키 하고 도시적인 느낌의 "Airplane Mode"를 더 추천한다. 논란만 잘 돌파할 수 있다면 상당히 기대되는 팀이다. (이미 사그라진 듯) 위 빅 3 밑에 있는 A급 (오 마이걸, 이달소, 러블리즈, 우주소녀) 레벨에 충분히 올라갈 수 있는 실력이다. 2018년의 "환상 속의 그대"를 들어보자.

 

RING RING - ROCKET PUNCH   5/17

아마도 최근의 대표 대형 신행 걸그룹이라고 하면 JYP의 ITZY와 이 울림의 로켓펀치일텐데, 아무래도 기획사 맷집이면 ITZY가 더 버프를 가져가는 형국이긴 했지만, 심지어 데뷔부터 음악도 상당히 좋았지만 정말 아주 잘 나가다가 3월의 "마피아"로 완전 대실망 떡락이 되어버린 상태다. 로켓펀치도 한 번 약간 좀 의심스러운 구간이 있긴 했지만 나름 꾸준한 띵곡들을 계속 발표해 주고 있다. 요즘 트렌드가 이젠 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의 하이틴 감성으로 옮겨갔다긴 하지만 일단 이번 로켓펀치의 "링링"은 80년대 신스팝 디스코 사운드를 보여주고 있다. 이미 트와이스가 한 번 훑고 간 느낌이 없지 않아 있는 뮤비긴 한데 그래도 지금까지 꾸준히 보여주는 모습이 있기 때문에 애정이 가는 곡이다. 이름처럼 귀엽고 상쾌하고 청량한 아이덴티티를 쭉 이어나가길 바란다. 

 

Funky한 로켓펀치를 느껴보자! : Rocket Punch(로켓펀치) 'THE THE' Special Choreography Video

 

[My Attitude] - 우주소녀 더블랙 

 작년 10월 맛있는 녀석들의 문세윤과 함께했던 "흥찟뿡"의 우주소녀 쪼꼬미에 이은 두 번째 우주소녀 유닛 그룹이다. 우주소녀는 처음 언급했던 빅 3 밑의 A급에 해당하는 걸그룹으로 이달소, 오 마이걸, 러블리즈, (여자) 아이들과 함께 5호를 책임지고 있다. 이 팀도 상당히 불안 불안해 보였던 게 처음부터 중국과의 합작 팀인 관계로 중국 멤버들과 함께 13인 체제로 데뷔했으나 이런저런 일로 중국 멤버였던 성소, 미기, 선의가 뜬금없이 한국 활동 없이 중국으로 가버리는 등, 급기야 그 셋은 신장 면화의 지지글까지 올린 상태다. 하지만 이미 우주소녀로 컴백하지는 않고 그럴 리도 없을 것 같은 상태긴 하다.

성소, 미기, 선의: 성소는 나도 알아서 가운데인데 미기 선의는 잘 모르겠음

데뷔 시절에는 그 중국 멤버인 성소가 팀의 인지도를 끌어 올려가는 구도이긴 했지만 성소와 그 외 두 명이 사라진 상태에서 뛰어난 사운드와 그에 어울리는 안무로 꾸준히 명맥을 잘 이어 나오고 있다. 그때는 팬들 모두가 걱정했지만 이제는 그들이 돌아올 필요도 없는 팀으로 성장한 상태다. 오히려 이 팀에겐 성장통으로서 잘 된 경험일 수도 있겠다. 

 

우주소녀 쪼꼬미의 경우 팀의 가장 키가 작은 멤버들로 구성된 반면 우주소녀 블랙 유닛은 키 큰 심지어 팀 내 언니들로만 구성된 쎈 사운드로 밀어붙이는 캐릭터로 나왔다. 우주소녀 쪼꼬미 발매 당시 수록곡이었던 추억의 베이비복스의 "야이야"를 들어보자. 당시 나이트에서 꿀 타임에 살짝 흘려줬었던 상큼 발랄 노래였다. 

우주소녀 쪼꼬미와 모리카카 치사토 [17]

그리고 우주소녀 쪼꼬미는 의상 디자인의 논란이 또 있었는데, 일본 아이돌 덕후의 들의 거의 성역의 영역에 존재하는, 그러니까 덕후의 세상에서는 거의 X-Men의 피닉스, 진 그레이 급이라고도 볼 수 있는 아이돌 모리타카 치사토의 17세 당시 의상의 표절이라는 논란이 있었다.

 

모리타카 치사토 - 내가 아줌마가 되어도 Stage Mix - 보물모아

암튼 이로써 또 모리타카 치사토가 떠올라 한 번 듣고 가자. 쌩쌩한 모습의 2018 라이브 영상을 올리고 싶었는데, 참.. 일본은 유튜브 활용을 잘 못하는 듯... 딴 데서 트는 건 제한을 걸어 두어서 그냥 거기 가서만 봐야 한다. 이건 뭐 내 조회 수 올리고자 하는 것도 아닌데.. 쩝... 암튼... 그 와중에 그 시절 영상으로 스테이지 믹스드된 영상으로 올린다. 아마 스테이지 믹스란건 유뷰버 '김살구'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고 있다 (아니면 죄송). 유튜브로서 참 참신한 돌파구의 영상 공식이 아닌가 싶다. 스테이지 믹스 화이팅!!!!

원래 모리타카 치사토가 이런 아이돌 덕후 같은 이미지도 있긴 하지만 드러머로서도 음악 인생을 펼치던 분이었는데, 나도 CD를 분실해서 정말 안타까운데 이 누님의 딥한 음악적 캐릭터를 느낄 수 있는 희대의 레어 명반, [Mix Age* Moritaka Chiasato rare tracks and remixes] 앨범이 유튜브에도 없다... 정말 덕후들 뭐 하는 거냐... 이 절판된 앨범 다시 살려내라고!!!!!!!!

 

Funky Opening - Twins At St Claires: Zenzen Sakina

그리고 당시 SBS에서 절찬리 방영했던 <쌍둥이 대소동>의 일본판 주제가도 모리타카 치사토가 불렀었다. 이것도 들어보자! 당시 비디오 테이프로 녹화까지 해가며 봤던 애니메이션, <쿠레아 학원 이야기>.  다시 보고 싶은 애니 ㅜㅜ "공부는 안 하는 것보다 해두는 게 좋아요!"

 

Baby V.O.X (베이비복스) Loser Consolation (패자 부활전) - Han/Rom/Eng Lyrics (가사) [1998]: OldschoolKpopLyrics

갑자기 모리타카 치사토 얘기가 나오니 옛날 덕질 추억이 떠올라서 두 곡이나 올렸는데 베이비복스도 얘기가 나온 마당에 숨겨진 띵곡 하나 듣고 가자. 


DUNDUN DANCE - OH MY GIRL   5/10

오마이걸은 정말 건너 건너 괜찮은 곡 하나씩 선사해 주는 팀이다. 최근에는 약간 그 뭐시냐 애니메스러운 하이 에너지 사운드에 쏠려 있어서 걱정했는데 (정말 이런 건 좀 안 했으면 ㅜㅜ) 역시나 몇 번 건너뛰니 또 괜찮은 곡을 하나 내놓았다. 뭐 몇 개만 열거하자면, "비밀정원". "Closer", "다섯 번째 계절", "소나기" 등이 있겠다.

 

작년의 "기억해"를 들어보자, Official MV보다느 나은 것 같아 FMV로 올려본다: [FMV] 오마이걸(OH MY GIRL) - 기억해 - 츨러

이번엔 발표한 건 정말 훵키한 디스코도 약간 가미된 정말 신나는 사운드의 던던댄스다. 사실 이달소, 러블리즈, 우주소녀, (여자) 아이들보다는 약간 모자란 듯싶던 B급 아닌가 싶던 팀이긴 했으나 이 건너 건너 발표되는 띵곡 덕분인지 앞으로도 기대가 꽤 되는 팀이다. 이 B급들은 아마도 A급을 넘보는 B+급의 팀들이었을 텐데 오 마이걸 외에 엘리스, 모모 랜드, 에이프릴 정도 있었던 것 같은데, 모모 랜든 연우가 나가면서 힘이 쭉 빠졌고, 에이프릴은 왕따 이슈로 나락으로 치달았고 엘리스는 아직도 불타오르지 못해서 안타까운 상황인데 여기서 오 마이걸이 힘차게 박차고 나가면서 A급 타이틀은 잘 가지고 간 것 같다. 


 

여자 친구 해체

5/18 갑자기 여자 친구 해체 소식이 전해졌다. 근데 말이지... 여자 친구라 하면 S급을 넘보긴 힘들긴 했어도 줄 곧 A급의 퀄리티를 잘 이어오던 팀이면서도, 매년 1년에 적어도 두 번의 앨범을 발표할 만큼 꾸준히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준 팀이라 좀 충격적이었던 뉴스였다. 아니 여자 친구만큼 7년간 지속적으로 높은 퀄리티 있고도 좋은 음악과 안무를 보여준 팀이 어디 있나? 없어요 정말 없어요. JYP, SM, YG의 그 자본 파워의 결과물 빼고는 정말 없어요. 혹은 종종 그들보단 훨 나은 적도 많음. 여자 친구는 정말 대한민국 걸그룹 역사에서 길이 남을 만한 상징성을 지닌 존재였다고 생각한다. 종종 보여주는 여자 친구의 힙합 리듬은 그 시절 SES를 항상 연상시켜줬었다.  7년 간 저평가 우량주랄까... 하아 진짜.. 무슨 생각으로 이런 상황을 낳았는지 정말... 안타까울 뿐이다. 그 8번 넘어지던 현장과 영상으로 움직였던 덕들의 마음을 어떻게 치유할 수 있을까! 말도 안 됨. 이들이 솔로로 잘 활동하더라도 팬들은 항상 여자 친구라는 팀을 바랄 것이다. 

 

[MV] GFRIEND(여자친구) _ LOVE WHISPER(귀를 기울이면) (Choreography Ver.) 2017

 

 

 

728x90
반응형
타 암 대비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암이라 정보가 많지 않다. 인생에 흔치 않은 경험이라 나도 기억할 겸, 지난 투병 중 기억나는 것들이나 후유증 관련하여 올려 본다. (비인강/비인두암 3기 - 항암 7회 방사선 (토모테라피) 33회) (폐 전이 의심 - 항암(시스플라틴+5FU) 6세트) 

 

치료 이후 시간이 지나 전체적으로 몸이 오르긴 하지만 잘 고쳐지지 않는 후유증도 많다. 그 중 하나가 귀에 물이 자주 차는 현상이다. 이게 비인두암 치료 환자들에게 굉장히 짜증 나는 증상인데, 바로 비인두암의 전조가 귀에 물이 차서 발전되는 삼출성 중이염이기 때문이다. 보통 귀 안에 고막을 살짝 찢어서 튜브를 껴 놓는다. 그럼 귀에 물이 안 차는데 문제는 이 튜브도 수명이 있다는 것.

보통 튜브는 1~2년 심어놓고 빼거나 바꾸거나 하는데 나는 꽤 오래가서 한 2년 좀 넘게 심고 있었다. 근데 자주 빼고 심고 하는게 안 좋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고막을 찢어야 하기 때문에 찢어 놓은 조직도 약해져서 나중에는 잘 아물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일단 2년 심고 뺏다가 다시 1년 좀 넘게 심었는데 다시 닳고 헐랭 해져서 물이 또 차기 시작해서 결국은 뺏다. 

쓸데없는 TMI: 당연히 이비인후과에서 시술을 하는데, 뭔가 의사들의 리그에서는 튜브를 심은 사람이 다시 그 튜브를 빼는 것이 일종의 관례(?) 같은 거라고 한다. 그래서 보통 딴 병원 가는 것 보다는 심었던 의사분께 가서 빼는 게 좋다고... 들었습니다. ㅎ

역시 튜브를 빼니 귀에 물이 자주 찬다. 나는 거의 한 두달에 한 번 식으로 물이 차서 불편했다. 한두 번 정도는 그냥 고막 살짝 째고 물을 뺏는데 너무 자주 빼면 안 좋으니 이번에는 항생제로 진행하자고 하심. 근데 문제는 항생제를 먹어도 딱히 나아지지 않고 결국 다시 째고 뺌. 이 패턴이 너무 자주 반복되다 보니 안 좋긴 하지만 조만간 또 발생하면 다시 튜브를 심는 것을 고려해 보자고 하심.

튜브를 다시 심는거야 심으면 되는데 결국 장기적으로 봤을 때 귀에는 안 좋은 거라 신경이 좀 쓰이긴 한다. 그렇다고 귀에 물이 차는 걸 막을 수 있느냐? 그런 건 또 아니고... 이것도 은근 신경 쓰이게 하는 부분이다. 수영 같은 건 안 하지만 뭐 샤워할 때 조심하는 정도긴 한데 결국 물에 차면 차는 거고... 그냥 악순환...

안 그래도 청력도 조금씩 안 좋아지고 이관도 별로 안 좋아서 손으로 코를 막고 바람을 훅 불면 오른쪽 귀에는 바람이 들어가는데 왼쪽은 안 들어가고 있다. 일단 이관은 시간 날 때마다 자주 코를 막고 바람을 불어주는 것이 그나마 도움이 된다고 한다. 인위적으로라도 바람으로 밀어주는 거라...  

IMAGE: https://www.tranquiltms.co.uk/winter-depression-or-sad-what-is-it-and-how-can-you-treat-it/

 

728x90
반응형

저 극찬들은 모두 이 영화가 아닌 <박화영>에 속한 말로 들린다

2017.12.25 - [CINEMA/Cinematheque] - [청춘은 아름다워] 년도별 일본 학원물 영화 추천: 2010

몸 상태와 코로나에도 불구하고 2020년 10월 부산 국제 영화제에 이 영화가 올라온단 소식을 듣고 비행기 타고 내려가서 이 영화만 후딱 보고 올라와야 하나 하는 고민을 심각하게 했었다. 뭐 접기는 했지만 가기로 결정했더라도 이미 그 시점에 표는 매진이었을 것 같다. 암튼 이렇게 아 기다리고 기다리던 영화를 결국 보게 되었는데... 너무 실망했다. 결론은 5점 만점에 2점이다. 감독의 전작 <박화영>이 너무 좋았기 때문에 이후 작품에 대한 기대 때문에 0.5점 더 준거다. 솔직히 말해 Z세대의 <키즈>를 바랐지만 결국 남은 건 공허한 공간 속 헤매고 있는 OST 뿐이었다. 

영화의 엔딩송: VINXEN(빈첸) _ How Do You Feel(그대들은 어떤 기분이신가요) ft. 우원재 Lyric

빈첸의 그대들은 어떤 기분이신가요는 영화의 엔딩송이다. 아마도 영화에서 내 보내고 싶었던 감성이 바로 이 음악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이다. 일단 들어보며 시작하자. 우원재의 파트가 정말 좋은 음악이다. 영화보다 OST를 먼저 들었는데 정작 이 음악은 OST 앨범엔 들어있지 않다. 

2018 <박화영>, <어느가족>

 2018년의 문제작이었던 <박화영>을 빼놓고는 <어른들은 몰라요>를 논할 수 없다. 이환 감독의 전작이기도 하고 <박화영>에서의 세진 캐릭터의 스핀오프가 <어른들은 몰라요>이기도 하고, 한국에서는 보기 드문 충격적인 청소년들의 사회고발(?) 영화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박화영>은 정말 인상깊게 본 영화다. 분명 내가 겪어본 세상은 아니지만 리얼리티에 대한 느낌이 굉장한 압박으로 다가오기도 했고 이를 계기로 '가출팸'이라는 사회 현상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해 주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같은 해 개봉되어 그 해 깐느 최고상을 수상한 <어느 가족>과 함께 현재 사회에 이미 출현한 다양한 형태들, 이에 이제는 '가족'이라는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하지 않는가에 대한 고민을 안겨준 영화이기도 하다. 

가출팸에 대해서는 아래 기사들을 참고해 보자.
 

[르포] 갈 곳 없는 가출청소년, 거리 헤매다 '내일' 잃다

1일 오후 대구 2'28기념공원에서 대구청소년종합지원센터 직원들이 청소년들을 상대로 가출 예방 홍보 활동을 하고 있다. 성일권기자 sungig@m…

news.imaeil.com

 

스카이데일리, 집 대신 모텔, 공부 대신 밤일 택한 ‘거리의 10대들’

스카이데일리, [이슈 포커스]-가출 청소년 실태 르포(上-현상) 경기도 수원시 수원역 로데오거리에서 18세 동갑내기 양 모군과 김 모양을 만났다. 이들이 집을 나선지도 벌써 한 달째였다.

www.skyedaily.com

 

<어른들은 몰라요>에서도 영화에서 주로 이야기하고 싶은 부분은 아니었긴 하지만 캐릭터들의 구성 자체도 어느정도 이 새로운 가족형태의 구조를 따라가고 있다. 다만 그들이 하나의 가족 구성원으로서 인지 되기에는 서사나 개연성이 부족하긴 하다.

<박화영>

<박화영>이라는 영화자체가 굉장히 현실적이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어떤 청소년 르포를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기대가 컸다. 영화 줄거리를 요약하자면 주연 캐릭터인 세진의 낙태 어드벤처(?)인데 이번에는 르포보다는 드라마 극영화 같은 전개와 연출 때문에 그런지 리얼리티가 확 떨어져 보였다. 그리고 더 문제는 아직 신예 감독이어서 그런진 몰라도 장편 드라마의 연출에 있어서 굉장히 부족한 연출의 한계점을 보여주고 있다. 

<어른들은 몰라요>

영화는 크게 두 개의 덩어리로 나늬워져 있는 듯한 느낌인데 영화 초중반은 학교 선생의 아기를 가져버린 세진의 낙태를 위해 거리에서 만난 친구들과의 고군분투 기고 다른 하나는 이후 힘없는 이들의 모든 노력은 어른들의 그물 같고도 난폭한 시스템에 모두 수포로 돌아가 결국 이별하고 어느 기독교 가정에 입양을 하기 위해 그 집에서 보호를 받는 후반부의 이야기로 나늰다. (정말 이건 영화가 새로 시작하는 수준의 기분이고 세진 혼자의 독무대다)

<어른들은 몰라요> 세진의 2막시작의 바로 전

이야기의 전개로 보면 이 후반부의 미혼모 입양의 과정이 훨씬 마음에 와 닿았고 차라리 드라마를 하고 싶었다면 초중반 부는 다 버리고 이 후반부의 이야기를 단편 영화로라도 다루어 줬으면 훨씬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영화가 되지 않았을까 싶다.

(위) 90년대 다이 티셔츠, OST의 Bryn (아래) 영화속 롱보드, OST의 빈첸

초중반은 일단 너무 개연성도 없고, 이야기에서 이야기로 이어지는 씬은 툭툭 끊어지듯 연결이 되는 것 같지도 않고, 재미도 없고, 그닥 충격적이기도 않고 하다 보니 작가가 내세우려는 그 리얼리즘은 전혀 관객에게 전달되지도 않는다. 그냥 모든 캐릭터들이 남발하는 "씨발 씨발"은 왜 또 그렇게 하나같이 다 똑같이 들리는지 나중엔 듣기 지겨울 정도다. 그러다 보니 영화적 요소로서 인상에 남는 건 3가지 정도인데, 1) 세진의 롱보드 씬 (하이틴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스케이드 보드!) 2) 90년대 및 2000년대 초반의 패션 감성 (특히 90년대 빈티지 다이 Dye 티셔츠나 듀스의 김성재를 연상케 하는 남캐 등등) 3) 이를 감싸고 흘러나오는 힙합 OST다. 이 세 부분들은 참 좋았는데 연출과 전개가 오락가락하니 이 좋은 요소들이 전혀 스토리에 젖어들지 않고 있었다.

<집>

<박화영>은 아무래도 그 전 <집>이라는 단편영화라는 베이스가 있었고 무엇보다도 장편 처녀작으로서 그에 따라 관객에게 다가오는 프레시함과 혼신을 다해 만든 부분이 겹쳐 있어 장편 전개에 있어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어른들은 몰라요>는 심각할 정도였다. <박화영>의 포텐셜을 봤을 때 이 부분은 지속적으로 보완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미국 대표 하이틴 영화들, 여기서 3번 째 <헤더스>는 요주의! 명작 중 명작임

<어른들은 몰라요>는 못 만든 영화지만 이 영화를 그냥 쓰레기 취급하기 싫은 이유는 이런 류의 영화나 영상 콘텐츠는 지속적으로 나와주었으면 하는 마음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청춘', '하이틴'이란 걸 너무나도 그리워하고 좋아한다. 그래서 청춘 영화도 참 좋아하고. 근데 청춘이란 단어가 참 숭고한 건지 고귀한 건진 몰라도 '청춘영화', '하이틴' 영화 하면 무언가를 향해 달리고 달리는 고군분투의 이미지는 비슷할지언정 항상 뭔가 밝고 희망적인 느낌이 지배적이다. 이들은 뭔진 몰라도 끝없이 움직이고 움직인다. 에너지가 아주... (이때 즈음... 헤더스를 다시 언급하는 것도 좋을 것 같긴 하지만 ㅋㅋ)

이외 청소년을 다룬 영화들 중 어두운 영화도 분명 있지만 대부분 일진 관련이다. 일진미화부터 시작해서 일진과 관련된 문제들. <비트>, <폭력서클>, <말죽거리 잔혹사>부터 <파수꾼>, <죄 많은 소녀> 등 까지 굉장히 다양한 서사와 고발 등이 존재하지만 언제나 캐릭터들은 어른들이 아이들을 위해 마련해준 '학교'라는 공간에 갇혀 있다.

물론 학교라는 공간에서 다루는 청춘영화들이 고리타분하다는 건 아니지만, 그 '학교'라는 사회적 보호장치(?)에서 빠져나와 바라보는 소위 '비행청소년'이라 정의하는 이들의 삶과 공간에 대한 고찰은 그리 많지 않다. 마치 우리 사회의 치부를 덮어 놓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노랑머리>, <나쁜 영화>,  <눈물>, <바이준>, <마이 제너레이션> 등 정도가 떠오른다. 이 영화들은 무언가 사회, 특히 기성세대인 어른들로 하여금 상당히 불편하게 만드는 불안전한 감성의, 우리가 피땀 흘려 일구어 놓은 이 자랑스러운 사회가 아직도 불편하다는 것을 폭로하는 불편한 영화들이다. 그리고 그런 이야기들이 미성년자 레벨로 내려갈 경우 불편함은 곱이 된다.

래리 클락

이런 영화들이 주는 메시지는 사회적으로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몰입이라는 특성을 가진 영화보기에서 이런 주제들을 다룰 때 관객에게 주는 파급력이 굉장히 크기 때문이다. 이런 외곽의 청춘들의 삶을 다루는 감독으로서는 아마도 래리 클락 Larry Clark이 가장 유명한 사람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키즈>

세상을 떠들석하게 만들었던 문제작 <키즈>에서 그는 실제 거리에서 캐스팅한 소년소녀들을 메인 캐긹터로 앞세워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그들을 따라다니며 10대들의 어두운 카운터 컬처의 세상을 중계한다. 그것은 섹스와 마약을 넘어 에이즈까지... 너무나도 현실적인 이 르포 같은 폭로는 관객에게 충격 이상으로 다가왔다. 이 때는 1995년으로 밀레니엄을 앞둔, 당시 지금과 같이 이해할 수 없는 미친놈들로 여겨지던 X 세대의 10대 상이 었다. 그리고 <박화영>을 보았을 때도 이런 현실 같은 하이퍼 리얼리즘의 성격 때문에 <키즈>를 떠올렸고 <어른들은 몰라요>에서도 이런 (형식을 아니더라도... 솔직히 말하면 형식도... ㅜㅜ) 감성을 바랐던 것이다. x세대는 그렇게 그려졌지만 지금 z세대의 어두운, 사회적으로 소외된 세상은 대체 어떤 모습일지.

지금이라 치면 VLOG라 해야하나? 래리 클락의 <Tulsa> 사진작품들

<키즈>의 OST 포스팅은 아래를 참고해 보자.
 

암울한 X-세대를 위한 잔혹 세레나데, [Kids 키즈] OST, 1995

항상 그 시대를 대표하는 '세대'가 있다. 말하자면 그 시절의 급식충들... 아니 청춘들. 그 중에서도 X-세대... 왜 그 세대는 그렇게 암울한 청춘으로 많이 그려졌었을까? 청춘들이야 인간으로서

electronica.tistory.com

 

<고백>

이 외에도 나카시마 데쓰야 감독의 <고백>처럼 청춘들의 숭고하고 희망적이거나, 혹은 비행청소년으로서 소외 받는 그런 '보호' 해줘야 할 대상으로서의 사회고발이 아닌, 촉법소년 살인범죄를 다루는, 사회의 밸런스를 맞추는 기준에 있어 그들의 선을 넘는 행위가 위험하지는 않는가라는 의문을 던지면서 냉정하게 그들을 바라보는 주제와 같은 영화도 사회를 살아가는 구성원으로서 적어도 한번 이상은 고민해야 봐야 할 '현재 진행형' 사회적 이슈를 곱씹게 해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본다. 

근데 참.. 이렇게 잘만든 청춘영화들은 하나 같이 탁월한 OST가 같이 따라온다는 사실! <고백>의 사운드트랙 이야기도 들어보자
 

[청춘은 아름다워] 년도별 일본 학원물 영화 추천: 2010

OVERVIEW: (* 핸드폰에서는 리스트 좌/우로 돌려 봐야함; PC는 이상없음)  ♥ = 어후!ㅅ.ㅂ.  ♥♥ = 뭐 걍 심심풀이땅콩  ♥♥♥ = 재밋음  ♥♥♥♥ = 아주 재밋음  ♥♥♥♥♥ = 마스터피스  2017

electronica.tistory.com

<어른들은 몰라요>는 망이지만 어쨌든 던져진 메시지 중 화두가 없는 것은 아니다. 바로 낙태와 입양이다.  이건 뭐 최근이 아니라 아주 오래전 인간의 역사 속에서 항상 논란이 되어오던 것일뿐더러 여기에 '미성년자'라는 요소가 하나 더 붙으면서 논란의 불은 더 커진다.   

살면서 느끼는 것은 이 사회는 정말 약자를 위한 세상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문명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 속에서 미약하던, 모자르던 적어도 사회 안에서 발생하는 갖가지 문제들에 대한 장치들은 마련되고 발전해나가고는 있다. 다만 미흡한 것이 너무 많을 뿐... 불편한 곳은 어쩔 수 없이 외면하고 싶은 게 인간의 본능 일진 몰라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도 맞는 게 아닐지. 이런 질문과 관심을 조금이라도 가지게 한 것에 대해서는 이환 감독이 <어른들을 몰라요>를 통해 이룬 아주 작은 성공이라면 성공이다. 후속작은 영화적으로 더 발전한 모습으로 찾아볼 수 있기를 바라본다.

미성년자들의 임신 후 가장 자주 발생하는 반응은 낙태와 입양이라고 한다. 결국 "네가 키울 수 있어?"라는 질문의 연속인 것이다. 그것은 남이 나에게도 하는 것이지만 자신에게도 하는 것이고 잔인한 사회적 현상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영화 막판에 세진이 아이를 원하는 어느 가정에게 입양을 선택하는 것도 꽤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하는데 여기서도 문제가 굉장히 많은 것 같다. 특히 미혼모 시설 같은 곳에서 무조건적으로 입양이 권해지기도 하고 거의 뭐 고민이고 뭐고 할 것 없이 정신없는 사이에 '반강제적'으로 입양 문서에 도장 찍고 애도 못 보고 갓난아이는 어디론가 전해지고 하는 문제들도 많았다고 한다. 이 외 낙태나 입양을 반대하고 직접 아이들을 키우려는 미혼모들에 대한 부족한 지원과 안전장치들 그리고 미혼모들의 그런 미흡한 지원조차 받지 못하는 미혼부들, 그리고 낙태와 입양에 대한 이슈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목소리를 높이지만 정작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상당히 불편한 모순적인 우리들의 모습까지 이 사회에는 우리가 구태여 보고 싶지 않을 수도 있는 그런 불편한 모습들이 만연하고 있다. 이 영화를 계기로 아래와 같은 몇 가지 기사를 살펴보았다.

 

 

​[고립된 10대 미혼모] ① 청소년 산모가 낳은 아이 '5년 간 8000명'

[사진=게티이미지뱅크]다양한 가족 형태를 인정하고 지원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청소년 미혼모가 학업을 마치고 자립할 수 있도록 가정방문서비스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www.ajunews.com

 

 

"낙태죄 사라졌지만" 산부인과 의사들에게 닥친 혼란 - 의약뉴스

올해 1월 1일부터 형법상 낙태죄가 폐지됐지만 산부인과 의사들에겐 또 다른 ‘혼란’이 닥쳐왔다. 임신중절 수술이 불법이 아니지만, 관련 법안이 마련되지 않아 완전한 합법이라고 할 수 없어

www.newsmp.com

 

‘아이 판매 충격’에…입양 동의시 산모 개인정보 비공개 추진

정부가 한 중고 거래 플랫폼에 ‘아이를 거래하겠다’는 글이 올라와 논란이 됐던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미혼모가 입양에 동의할 시 산모의 인적사항 노출을 최소화하는 ‘보호출산제’를…

www.donga.com

 

 

출생신고 거부된 미혼부, 아빠 되기를 포기하지 않는다

[토요판] 커버스토리 | 미혼부의 아빠 되기세 아빠가 들려주는 출생신고의 ‘낡은 벽’홀로 아이 키우는 미혼부들아이 출생신고 못해 큰 고통‘사랑이법’ 사각지대의 아이들건강보험·아동수

www.hani.co.kr

 

Slint - Good Morning, Captain (with lyrics)

마지막으로 위에서 언급한 영화 <키즈 Kids>의 OST 수록곡 중 하나인  Slint의 "Good Morning Captain"을 소개한다. 빈첸의 "그대들은 어떤 기분들이신가요"와 함께 청춘의 밝고 희망적인 모습과 정반대 선상에 자리 잡은 어둡고 깊은 불안한 심연의 감성을 느끼게 해 주는 명 곡이다. 1990년 <Spiderland> 앨범에 수록되었다.

728x90
반응형

TMI: 인구 6만의 작은 동네, 이 동네 출신 유명인으론 김구라와 풍무중학교를 졸업하신 <인간수업>의 정다빈이 있다고 한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진짜 아무것도 없다시피 한 동네였는데 작은 신도시 마냥 뭐 이래저래 많이 생기긴 했다. 참 신기한 동네다. 뜬금없이 트레이더스 김포점도 생기고.. 그리고 오래전부터는 승려 대학교도 있고, 유네스코 지정 문화지인 장릉도 있고, CGV 중 가장 작은 규모의 미니 영화관을 보유하고 있는 곳이기도 함. (지금도 있으나 좀 더 건너편 더 넓은 곳으로 이전 예정이라 곧 전설로 기록될 거고 ,동네 사람이면 기념으로 한번 즘 가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정말 가족영화관 같은 분위기다)

풍무동 POI: 이마트 트레이더스 김포점, 장릉, 중앙승가대학교 (일반인 못 들어감), CGV 미니 영화관 

한식도 한식이지만 양식집들도 꽤 생겨서 반가운데, 나도 왜 그런진 모르겠지만 병원 다녀오면 이상하게 스테이크 바람이 부는데 이번에도 그 바람은 다시 불었고 이번엔 풍무동 스테이크 집 두 곳을 다녀와봤다. (현재 파악되기론 풍무동 안에서 스테이크 먹을 수 있는 곳은 케니스와 팬파이어 두 곳인듯) 일단 먼저 다녀온 케니스 후기부터.

맛있는 🥩🥩🥩 냠냠 : Pinterest 검색 캡쳐

 


<Kenny's Dining Bar>

저 2층에 발코니가 있는 집인데, 주차장은 차 대고 둘째 이미지처럼 돌아서 다시 계단으로 올라가는데, 좁은 골목 잠깐 돌아 계단 올라가는 360도 동선이 움직일 때 꽤 아기자기한 기분이다. (이런 사소한 동선 놀이 참 좋아함 ㅋ)

그리고 저 2층 발코니가 아마 케니스의 가장 큰 매력일 텐데 두 번 갔었을 때마다 선점하고 있는 팀들을 보았다. 역시 발코니에서 먹는 분위기가 좋긴 할 거다. 실내에도 따로 인테리어 조명들이 좋긴 한데 저러게 발코니를 확 개방해서 자연광이 들어오니 다이닝 바의 밝고 캐주얼한 감성이 더 사는 것 같다. 두 번 밖에 못 가긴 했지만 손님층은 젊은 층부터 중장년 층까지 꽤 다양하게 모일 수 있는 좋은 분위긴 것 같다. 데이트 온 중년 커플, 어린 커플들도 꽤 보이더라. 데이트하기 좋은 플레이스임. 진짜 아무것도 없던 동네에 이런 곳까지 생기다니 참 신기방기 🤓

실내 인테리어는 요런 느낌인데 초 저녁에 와서 그런데 밤에는 더 예쁠 듯하다. 그리고 와인들이 진열되어 있는데 아마 와인 리스트에 포함된 와인들을 진열 해 놓은 것 같다. 가게에서 이것저것 세세히 확인하는 편은 아닌데, 화장실 갈 때 슬 보니 스파클링 와인 리스트들은 다 맞는 것 같았다. 

기본 세팅은 이런 느낌? 

여긴 이탈리안식 레스토랑이다. 근데  스파클링도 그렇고 음식도 스페인 느낌 나는 것들이 꽤 있는 것 같았다. 암튼 그 날 너무 배고파서 바로 먹느라고 초점은 저 세상으로 날아간 리코타 치즈 샐러드. 리코타니 뭐.. 달달하니 맛있게 후딱 비웠음. 이것 말고 아보카도 글레이즈, 닭가슴살, 훈제연어 등 4개 메뉴가 더 있던 걸로 기억한다.

역시 스테끼는 큰 아스파라거스와 토마토가 듬뿍 있어야 함

케니스에서 하나 아쉬운 건 고기 🥩 스테이크 메뉴가 요 페퍼 스테이크 하나밖에 없는 거. 워낙 주식이 스테이크라... (나머지는 연어 스테잌인데 이건 담에 갈 때 꼭 먹어보려고 함.) 근데 다른 메뉴들은 골고루 있어서 취향 따라먹으면 될 듯하다.  🍝 파스타 외에 감바스, 이탈리안 조개요리, 리조또 (필라프였나...-_-) 등도 있는데 사이드 디쉬 메뉴 보니 샤퀴테리가 있다. 갠 적으로 살라미 엄청 좋아하는데 반가운 메뉴였다. 이 곳이 또 하나 좋아 보이는 게 밝고 상쾌한 느낌이라 굳이 식사 말고 간단한 사이드에 와인 하기도 좋아 보여서, 스파클링 좋아하는 분들은 한 낯에 여유 있게 🥂 스파클링 와인과 🐷샤퀴 테리 한 접시 해도 좋을 것 같다.

요건 첫 번째 가서도 먹고, 두 번째 방문 때도 먹었던 이탈리안 조개 요리인데 맛도 괜찮고 양도 꽤 괜찮은 편이다. 그리고 4000원인가 추가하면 파스타 추가가 가능한데, 조개 요리 거의 다 먹고 파스타 추가 요청하면 오른쪽처럼 🍝거의 새로운 파스파 요리 한 접시가 되어 다시 나온다. 

이놈의 기억이 가물한데 아마 필라프였던 것 같은데 찍은 사진 보니 밥알이 드라이하지 않고 좀 죽스러운 게 리조또였던 것 같기도 하고... 암튼 볶음밥, 필라프, 빠에야, 그라땅, 리조또, 짐발라야 등등 세상의 볶음밥류는 참 다양하고 헷갈리는 것도 많다. 암튼 난 요알못임.  암튼 리조또가 거기서 거기지 하는 맘으로 시켰는데 기대 이상으로 맛있어서 좋았다. 서너 종류 있었던 것 같은데 나머지 종류를 모두 섞은 듯해 보이는 '케니스 스페셜'로 시켰는데 꽤 괜찮았다. 일단 베이컨이 들어가서 쫍졸함이 만들어내는 대중적인 자극적 맛이 좋고, 버섯향도 꽤 잘 어울리고, 위의 조개요리도 마찬가진데 (페퍼스테이크에도 들어감) 여기도 너무너무 좋아하는 시금치가 쓰여서 좋았다. 아무래도 셰프님이 시금치를 많이 활용하시는 듯. 암튼 파스타 별로 안 좋아하는데 끌려가신 밥돌이분들은 이 메뉴로 하면 좋을 듯. 근데 약간 느끼한 것이 매력이라 역시 스파클링에 어울릴만한 메뉴다. 

페페론치니 퍼온이미지: https://www.pinterest.co.kr/pin/576742296013417562/visual-search/

비빔의 민족답게 위 조개요리의 국물 좀 섞어서 떠먹어도 맛있고, 무엇보다 🌶️ 페페론치노 따로 달라고 해서 조개 요리에도 좀 넣어 먹고, 리소토에도 살살 뿌려서 살짝 매콤하게 먹어도 맛있다. 약간 좀 쑥스러워서 페페론치노 하나 더 달라고 요청하진 못했다 ㅜㅜ 

앞서 얘기했지만 분위기 좋은 감성 플레이스가 생겨서 많이 반갑고 음식도 맛있게 먹어서 기분이 좋았다. 뭐 재방문 의사는 100%고 다른 메뉴들도 조금씩 좀 먹어봐야겠다. 근데 워낙 스테이크 아니면 볶음밥 채질이라 가능할지는 모르겠지만...

 

암튼 위치는 아래와 같고 화요일은 휴무라고 함. 그리고 주차장은 약간 협소한 편이니 참고.

주차장은 4칸이다: 카카오맵 스트리트 뷰가 2층 케니스로 아직 업뎃이 안된듯


2편 <팬파이어 Panfire>는 아래 링크 참조

 

풍무동 🥩 스테이크 먹을 수 있는 두 곳을 가보았다 2/2 : <팬파이어>

동네에서 먹을 수 있는 스테이크 집 두 곳 중 마지막 <팬파이어>에 다녀온 내용이다. 처음에 팬파이어라고 들어서 우읭? 뱀파이어? 이런 생각 하다가 가게 이름을 보니 Panfire였다. 프라이팬 할 때

electronica.tistory.com

 

728x90
반응형

장어는 초벌되서 나옴

재발검진 결과 때문에 엄습한 이 불안감으로 인해 뜬금없이 밥을 나가서 먹었다. 머릿 속에 그냥 장어가 생각나더라. 암치료 끝나고 도시에 있을 수가 없어 이사 온 이 동네가 개인적으로 참 좋다. 자동차가 없으면 살기가 불편한 부분은 있는데 어차피 거의 자가로 생활을 하다보니 크게 불편하진 않다. 그렇게 외진 곳이고 편의점이 생긴지도 몇 년 안 된다. 그래서 그러진 몰라도 2,3분 안에 걸어갈 수 있는 사정거리 안에 음식점들이 약간 건강식 분위기다. 다행히 맛들도 다 괜찮다. 버섯전골, 추어탕, 곤드레, 삼계탕... 이런 식임 ㅋㅋ  (원래 낙지한마리 풀로 넣어주는 대박 해물 칼국수 집도 있었는데 문을 닫고 딴게 들어와서 상당히 아쉬움)

직접 잘라주심

그 중에서 장어구이집을 자주 가는 편인데, 정말 암치료하기 전 내 평생 장어구이를 먹어본 적이 없는 장알못이었다. 심지어 초밥은 좋아해도 장어초밥은 먹지 않을 정도였다. 하지만 암치료 직후 떨어진 체력때문에 (집 바로 앞이기도 하고) 큰 맘 먹고 장어를 먹어보기로 했다. 

먹을 때마다 느끼는건데 항상 갈 때마다 장어의 퀄리티가 좋다. 토실토실하고 졸깃졸깃함

생각보다는 꽤 맛있었고, 일단 당시는 일주일에 거의 두 세번, 많게는 네 번 이런 식으로 두 세달 동안 장어만 미친듯이 먹었다. 현재는 실제 몸이 많이 좋아진 편이긴 한데 이게 전부 이 장어의 덕분이다~라고 100퍼센트 확신은 못하겠지만 어느 정도 부분에 많은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하고 생각한다. 

젓가락질 대문에 생강이 많이 안잡혔는데 생강은 무조건 듬뿍듬뿍 같이 먹는게 좋더라

몸이 좋아지기 위해 먹는 것도 있었지만 실제로 맛도 있었어 더 먹었던 것 같다. 당시 입맛도 거지 같았고 먹는 것도 힘들고 했었는데 장어는 별미처럼 맛있었다. 그리고 실제 주식처럼 먹게 되어 버린... 이제는 옛날처럼 매일 같이 가진 않지만 종종 들러서 맛나게 먹고 온다. 

기본 상은 저 정도인데 셀프바에 백김치, 무 등 반찬류가 좀 더 있고, 시즌마다 살짝 바뀌긴 한다 (김치)

그리고 이 집에서 장어구이란걸 처음 먹었고 또 맛있다 보니 딱히 다른 음식점에서 장어를 먹을 니즈도 못 느낀다. 그래서 이집에서만 장어구이를 먹는다 ㅎ. 그리고 장어가 꽤 비싼 음식으로 알고 있는데 1kg에 39,900이다. 딴 집서 안먹어봐서 이 가격이 얼마나 싼 건지는 모르겠지만 토실토실하고 쫄깃한 장어 퀄리티와 맛있는 밑 반찬들을 고려하면 상당히 괜찮은 가격이라 생각한다.  

듬뿍듬뿍 생강

장어먹을 때 보통 소스묻힌 생강과 먹거나 백김치 또는 쌈무랑 같이 먹는걸 좋아하는데 역시 최애는 생강이다. 뭐 전통적으로 소화에 도움이 되기도 하고 향도 더 해주고 아삭한 식감까지 있어 생강은 무조건 많이 먹는다. 아로마도 진저(생강)이 들어간 블랜드들이 좋던데, 진저 에일도 좋고... 생강은 정말 너무너무 좋다. 가끔 음식점 안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모여서 여러 소쿠리에 담긴 엄청난 양의 생강들을 직접 가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상하게 그 모습을 보면 신뢰감이 더 가서 더 먹게 된다. 모자르면 셀프바에서 맘 껏 퍼올 수 있다. 

장어탕

필수코스처럼 항상 같이 시키는 장어탕. 쫄면 물 부어서 다시 먹고 다시 먹고 하는데, 된장찌개 먹는 것 보다는 이거 먹는게 더 건강한 느낌이 든다. 된장찌개의 꽤 높은 상위호환개념으로 먹는다. 심지어 이것도 맛있다. 여긴 뭐든 다 맛있다. 둘이 가서 장어 1키로 시키고 장어탕에 밥한공기 나눠 먹으면 우리한텐 양이 얼추 맞아 들어간다. 

안쪽 뷰와 음식점 텃밭

안에 들어가면 커다란 파노라마 창문을 통해 장릉산의 배경을 볼 수 있다. 이제 날씨가 좋아져서 푸르러지니 삶에 활기가 도는 것 같다. 그리고 바로 뒤에 저렇게 텃밭이 있는데 저기서 직접 기른 채소로 반찬이 세팅되어 나온다.

식당 내부 50퍼센트

여기 최고 장점 중 하나가 넓은 실내다. 위 사진은 반 정도고 그 앞으로 저만큼의 공간이 또 있다. 코로나 이전에도 100퍼센트 꽉꽉 차는 광경은 본 적은 없긴 한데 요즘 코로나 영향도 있긴 해서 이런 넓은 공간이 좀더 쾌적하고 안전한 느낌을 준다. 장어구이 이외에 가끔 밥맛 없을 때 여기서 간장게장을 먹기도 한다. 냉동이라 뭐 특별할 건 없는데 동네 주민으로서 그냥 장어 말고 딴거를 약간 '푸짐한' 백반 개념으로 먹는 식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 먼데서 온다면 당연히 장어구이를 먹어야 하는거고 ㅎ. 그리고 꼼장어도 먹어봤는데 맛은 괜찮았으나 그 산 꼼장어 구을 때의 그 비주얼이 좀 징그러워서 장어구이만 먹고 있다.  

스트리트뷰

아, 여기는 풍천장어마당이란 곳이다. 맛집이다.

728x90
반응형
타 암 대비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암이라 정보가 많지 않다. 인생에 흔치 않은 경험이라 나도 기억할 겸, 지난 투병 중 기억나는 것들이나 후유증 관련하여 올려 본다. (비인강/비인두암 3기 - 항암 7회 방사선 (토모테라피) 33회) (폐전이의심 - 항암(시스플라틴+5FU) 6세트)

재발검진을 받고 왔다. 체혈과 CT 그리고 지겹고 시끄러운 MRI. 비인두암부터 시작하면 4년 차이고 폐전이 치료로 시작하면 2년 정도인데 아직도 익숙하지 않은 기간이다.

비인두암 때만 하더라도 무작정 난 다시 건강해질꺼야라고 확신하고 있었던 마음이었던 것 때문인지 그때는 재발검진을 받으러 가도 결과를 들으러 가도 크게 동요하지 않았었던 것 같다. 다만 폐전이 의심 판정받으면서 모든 것이 달라졌다. 

그 이후로는 지금까지도 재발검진 가러가기 위한 그 주부터 결과가 나오는 그 일주일 동안 좀 얼이 빠져 있는 것 같다. 기력도 없고 잠만 많이 ... 아니 침대에 누워 있는 시간만 더 오래가고. 우울증 증상이랑 비슷한 것 같다. 다만 정신과 약은 끊은 관계로 먹진 않고 있다. 그냥 불안하기도 하고 의욕도 없고 붕 떠 있는 것 같기도 하고 그런 오만가지 느낌들...

삼청동 로마네꽁띠 가는 길

병원 가는 날엔 주로 외식을 한다. 특히 진료가 4,5시 잡혀있으면 차 밀리는 것 참으면서 운전하기도 힘들기 때문에 도로 상황 풀릴 때까지 먹고 가는게 딱이다. 거기다가 8시간 금식까지해서 배도 고프고. 코로나 시작되면서 거의 외식을 안 하는데 병원가는 날은 왠만하면 밖에서 먹는다. 주로 병원에서 가까운 혜화역이나 삼청동에서 먹는데 이 날은 유독 스테이크가 먹고 싶어 로마네꽁띠를 찾았다.

로마네꽁띠 등심 스테이크

최근의 삼청동은 상권이 심각하리만큼 줄었다. 거기다가 코로나까지... 사람은 없고 공실은 넘쳐난다. 이 날도 삼청동은 한가했고 로마네꽁띠 음식점 또한 한 테이블 밖에 없었다. 등심 스테이크를 시켜 먹었는데 쫍조름하고 살짝 파삭하니 맛 있었다. 부드러운 것 때문에 스테이크는 주로 안심을 먹는데 오랜만에 등심을 먹으니 꽤 맛있었다. 

먹고 나오니 어느덧 저녁 어둠이 찾아오고 있었다. 건너편 삼청동 수제비집은 언제나 긴 줄이 늘어서 있던 곳인데 저렇게 한산한 모습을 보게되니 또 새롭다.  음식은 맛있었고 너저분했던 마음은 조금 위로가 되었다. 음식으로 느낄 수 있는 행복은 정말 대단한 것 같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일 뿐, 몇 일 지나 지금까지 이 텅빈 공허함과 불안함과 같은 증상은 지속적으로 날 짓누른다. 

이번 주 좋은 결과를 듣고 나면 금방 사라질 것이다. 지금까지도 계속 그래왔었으니까. 이 날도 퇴근 시간을 피해 사람 없는 곳을 찾아 외식을 하고 들어와야 겠다. 

 

728x90
반응형

 

유튜브 플레이리스트 🎶🎷
🥂: 베오베
🥤: 사이다처럼 청량한 전형적인 시티팝
🍸: 감미로운 미드나잇 그루브 (R&B, Soul, Lofi, Jazz Lounge, Funk, Hip Hop, Down Tempo)
🌴: 상큼한 열대 트로피칼리아, 라틴 보사노바
🍺: 시원하고 프레시한 인디팝, 멜로우웨이브, 포크
🌐: 댄서블한 팝, 디스코, 하우스, Funk, 신스웨이브, EDM
🎸: 락, 신스팝, 블루스. EDM (Down/Midtempo)
🎙: 복고감성 AOR, 레트로 발라드

Playlist:
(00:00​) 1. OTS (our theme song) ft. Jason Lee - MOA 5/7 🍸
(01:37​) 2. OKAY - Gyu Hyuk 5/7 🎸
(02:54​) 3. I Have No xxx ft. 행주, yppah - MSUM 5/7 🍸
(03:33​) 4. Let's ft. 혜린 5/7 🍸
(05:11​) 5. Ain't talkin' about me - AILEE 5/7 🍸
(06:55​) 6. Famile with Bryn from 어른들은 몰라요 OST - sAewoo 5/7 🍸
(07:40​) 7. 밤산책 - 24Hours 5/7 🍺
(09:10​) 8. Drive - 김아름 5/6 🥤
(10:37​) 9. 미금역사거리 - Amonight 5/5 🎸
(12:00​) 10. 정자 ft.하인애 - TAKEONE 김태균 5/4 🎸
(13:22​) 11. Like You (Remastered) - WEEGO 5/4 🍺
(14:52​) 12. Fireworks - 예성 5/3 🍸🥂
(16:31​) 13. Beautiful Night - 예성 5/3 🥤🥂
(17:57​) 14. 불어온다 - Highlight 5/3 🌴
(19:15​) 15. My Shiny Unbirth - 리하, 진현 5/1 🍺
(21:39​) 16. Baby Good Night - 부소정 5/1 🍸
(23:20​) 17. 넌 정말 아름다워 - 사거리 그 오빠 4/30 🍺🥂
(24:55​) 18. 미니데이트 20201 - 윤영아 4/28 🌐
(26:42​) 19. City Breeze - Edge of Silence with UZA 4/28 🎸
(27:21​) 20. The Scent of You - S.U.S.D 4/27 🍸
(28:03​) 21. 딜레마 - 레인보우 노트 4/27 🌐
(29:49​) 22. 너만몰라 from 어쩌다 가족 OST - 써드아이 4/25 🌐
(31:16​) 23. 비밀 - Alice (송주희 of 헬로비너스) 4/23 🍸🥂
(33:12​) 24. Angel - 솔비 4/22 🌐
(34:26​) 25. I Feel Your Love - 이루리 4/21 🌴🥂
(36:10​) 26. 빅터를 기다리며 ft. 다원 - 015B 4/20 🎙🥂
(37:18​) 27. 스위치 - 소란 4/19 🍺
(38:50​) 28. 그림일기 - Behindthemoon 4/16 🍺🥂
(40:26​) 29. instant boy - J Gran 4/16 🎸
(41:49​) 30. 고민상담 - 윤지성 4/15 🥤
(43:21​) 31. 그런 하루 - 이진우 4/14 🍺
(44:22​) 32. 흰 눈 - OWEN 4/13 🍸
(45:42​) 33. Water Color - 휘인 of 마마무 4/13 🌐🥂
(47:48​) 34. Summeride - 박재범 4/12 🍸

암검사를 위해 묵었던 입원실의 배경: 도시는 아름다웠지만 내 맘은 한 없이 답답했었던... 있어야 할 사람에게 보여지는 뷰가 참 어울리지 않는 느낌

시간이 갈수록 전형적인 옛 청량 시티팝들은 적어지는 것 같지만 그 매력에 못지않은 소울이나 팝틱한 음악들은 지속적으로 흘러나오고 있다. 특히 이번 플셋엔 소울 느낌이 많았던 것 같고 날씨 좋은 봄이라 그런지 산뜻한 느낌의 음악들도 인디/메이저 모두에서 흘러나왔다. 


🥂 비밀 - Alice (송주희) 

송주희 (Alice of Hello Venus)

이번 4~5월 업데이트에서 가장 인상 깊게 들었던 곡은 Alice (송주희)의 '비밀'이다. 종종 걸그룹 혹은 걸그룹 솔로 음악에서 생각지도 않은 걸출한 시티팝 사운드가 튀어나오곤 한다. 마지막으로 기억나는 게 라붐의 2019년 곡 '사실은 이 얘기는 비밀인데'이고 이에 이어 가장 주의 깊게 들은 곡이 이 '비밀'인 것 같다. 두 곡 모두 미드나잇 그루브스러운 소울과 감칠맛 나는 베이스의 리드가 매력적인데, 송주희의 보컬이 얹히며 참 감미롭고 세련된 시티팝 사운드를 이끌어내는 것 같다. 2021년 4,5월의 시티팝을 추천한다면 단연코 이 곡이다. 

송주희의 싱글들

송주희의 예명은 앨리스로 2018년 해체된 걸그룹 헬로비너스의 멤버로서 보컬의 대부분을 차지했었던 만큼 그 실력은 오래전에 증명된 바 있다. 이후 '우린 이렇게', '우연히 스쳐 지나가도', '재미없을 나이'와 같은 싱글들을 발표했다. 나쁘지는 않은 곡들이지만 동시에 큰 임팩트를 주기엔 또 약한 음악들이어서 큰 반향을 얻지는 못했던 것 같다. 

단체샷 

헬로비너스라 하면 (개인적인 최애 걸그룹 중 하나이기도 했고) 정말 해체가 아쉬웠던 팀이다. 활동량도 적은 게 아니었고 좋은 띵곡들도 너무나도 많고 멤버들의 실력 또한 하나 쳐지는 게 없던, 그리고 대한민국 역사 상 이렇게 비주얼이 뛰어난 멤버들로만 구성된 팀도 없었던 듯싶다. 정말 이건 기획사의 잘못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 아쉬운... 이젠 아쉬운 전설이 되어버린 팀이다. 

뮤지컬 활동도 했음; P.S. 게임을 좋아하는데 철권의 매니아라고도 한다. 왠지 앨리스와 결혼하는 남자는 아무 문제 없이 집에 플레이스테이션을 들여놓을 수 있을 것 같은데 그건 그것대로 매우 복 받은 삶이 아닐까 싶다. 누군진 몰라도 부러운 인생이다.

멤버들은 이후 각자도생하고 있은 것으로 보이며 가장 두드러진 활동을 보이는 것은 <이태원 클라쓰>의 권나라이고 여름과 라임은 <연애의 참견>에 살짝 모습을 모이면서도 싱글들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들의 최근 근황에 대해서는 아래의 유튜버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1:25)부터 이들의 초반기 명곡, '차 마실래?'가 흘러나오니 놓치지 말고 들어 보자. 

 

(01:25)부터 멤버 별 근황 소식과 함께 헬비의 명곡 중 하나인 '차 마실래?'가 흘러나오니 꼭! 들어보자

이 얘기를 하다 보니 나중에 헬로비너스 띵곡 특집 포스팅을 하면 괜찮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오늘은 헬비의 띵곡들은 좀 아껴서 두 개만 소개해야겠다. 팀 시절의 띵 곡 및 각자도생 하는 멤버 별 띵 곡들은 다음 포스팅에서 소개하는 것으로 하고 이번엔 시티팝 포스팅인 만큼, 2013년  Color of City 프로젝트 두 번째 싱글이었던 '사로잡아요'를 들어보자. 앨리스가 솔로로 헬비의 타이틀을 걸고 김진표와 함께 했었던 커피프린스 같은 도회적 느낌의 감미로운 팝송이다.  

Color of City 프로젝트 II : '사로잡아요' - 김진표 & 헬로비너스 (앨리스)

참고로 <Color of City> 프로젝트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랑, 이별, 우정 그리고 소소한 일상에 대한 이도시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풀어낸다는" 캐치프레이즈로 타루의 '예뻐할게', 요조&김진표의 '좋아해', 김범수&심현보의 '이별의 맛'같은 대표곡을 가지고 있다. 


🥂 그림일기 - Behindthemoon 

이미지: 소녀감성아카시아 유튜브 썸넬

이번 달 개인적인 최애 싱글이다! 언제나 발표 소식만 들려도 기대되는 비하인더문. 그동안 많은 소녀감성 시티팝 사운드를 들려주었는데 이번에는 시티팝이라기보다는 폭발할 듯 경쾌한 귀여운 청춘 감성 넘치는 인디 팝 사운드로 돌아왔다. 지난 초묘 밴드 포스팅에서도 언급했긴 했는데 현재 K-Pop안에서 이 시티팝 계열의 아티스트 경향을 살펴보면 전형적인 시티팝의 Funk와 알엔비, 신스팝, 디스코를 추구하는 사운드도 있는 반면 주로 인디 팝으로 묘사되는 포크와 락 베이스의 팀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초묘가 이 계열에 속하는 느낌인데, 비하인드더문은 약간 반반의 느낌이다. 이전 곡들을 들어보면 알엔비 소울의 베이스가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의 '그림일기'라는 곡에서 오히려 그동안의 비하인드더문이 들려주었던 곡들보다 더 뚜렷하면서도 비하인드더문의 감성에 잘 어울리는 또 하나의 아이덴티티를 보여주는 듯한 느낌이다.  

 

도시의 밤 ft.김주리 - Behindthemoon

시티팝 감성을 어느 정도 담고 있으면서도 포크 베이스 성향을 들려주는 대표곡들은 '작은 유리병', '별, 사이', '밤의 끝자락', '여름날의 너에게'를 들 수 있겠고, 앞서 말한 시티팝 특유의 알엔비 & Funk 감성을 담고 있는 대표곡들은 다음과 같다: '끈', '오늘 너의 두 손을 잡고', '도시의 밤', '너만의 나'. 이 중에서 이 알엔비 성향의 대표곡 중 하나인 '도시의 밤'을 들어보자. 


🥂 Fireworks, Beautiful Night - 예성 of Super Junior

예성의 Beautiful Night 싱글 MV 썸넬

이번에는 특이하게도 남아이돌들의 시티팝이 꽤 귀를 자극했다. 예성, 윤지성, 하이라이트가 그 주인공인데, 하이라이트 같은 경우 트로피칼리아 느낌의 EDM 팝송이라 약간 논외로 해도 될 것 같고, Wanna One의 윤지성이 들려준 팝한 느낌의 '고민상담'도 괜찮았고, 특히 슈퍼주니어 메인 보컬좌 예성의 <Beautiful Night> 미니 앨범은 저녁 늙 로맨틱한 도시의 밤 풍경이 어울릴만한 감미로운 소울 느낌의 시티팝을 선사해 준다. 

 

SUPER JUNIOR-YESUNG 'Because I Love You ~大切な絆~' MV 2019

이 미니 앨범에는 무려 두 개의 보물 같은 시티팝을 담고 있다. 타이틀 곡인 'Beautiful Night' 그리고 'Fireworks'다. 한 번만 들으면 뭐가 뭐였는지 살짝 헷갈릴 수 있을 정도로 비슷한 느낌의 음악들인데 개인적으론 전체적인 편집에 있어 시티팝의 클리셰가 좀 더 강한 'Fireworks'를 더 추천한다. 'Beautiful Night'도 물론 훌륭한 시티팝으로 좀 더 팝적인 성향으로 굳이 말하자면 좀 더 대중적인 느낌으로 편하게 들을 수 있다. 

위에는 예성의 또 다른 한 겨울의 시티팝 감성이 흠뻑 젖어 있는 'Because I Love You'라는 곡으로 한국어 버전보다는 일본어 버전이 더 괜찮게 뽑혀서 올려본다. 


 

🥤: 사이다처럼 청량한 전형적인 시티팝

김아름의 최근 시티팝 청량미 터지는 디스코그래피

이번 플셋엔 딱히 전형적인 청량함을 지닌 시티팝 싱글이 거의 없다. 왠지 여름이 다가오면 더 나오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아무래도 시즌이 시즌이다 보니 좀 더 감미롭고 따듯한 느낌의 곡들이 많은 것 같다. 암튼 이런 와중에 2018년 이후 한 동안 뜸했어서 걱정되었던 김아름이 지난해부터 다시 활동에 박차를 가하며 지금까지 거의 분기별에 가까울 정도로 청량미 넘치는 시티팝을 선사해 주고 있다. (Winter City! 와 Aqua City!) 김아름의 시티팝의 특징은 스페이스카우보이의 프로듀싱과 함께하며 약간 딥하우스와 디스코, 신스팝의 성향이 짙은 매력이 있다. 참 많이도 즐겨 들었던 2000년대의 라운지풍 딥하우스 느낌의 매력이 담겨 있는 것도 뭔가 향수를 자극하는 특징 중에 하나다. 

일러스트레이터 보일러킴 인스타그램 갈무리

최근 또 하나의 김아름 앨범 특징 중 하나는 일러스트인데, 초기 때는 본인 스튜디오 샷을 위주로 앨범커버를 꾸몄지만 요즘은 일러스트레이터 보일러 킴(boilerkim)의 일러스트를 계속 집어넣고 있다. 비하인드더문과 레인보우 노트의 일러스트레이터 당이도 현재 시티팝 일러스트레이터로 인기가 높은데 보일러킴에서는 당이와는 또 다른 시티팝 느낌의 감성을 느낄 수 있다.  그럼 김아름의 프로듀서인 스페이스카우보이의 시티팝 감성을 느낄 수 있는 곡을 하나 들어보자.

 

2019 스페이스카우보이 (SPACECOWBOY) - 그때의 우린 That time (Feat. Knave (네이브)) Official M/V

🍸: 감미로운 미드나잇 그루브

항상 프리셋의 대부분의 포션을 차지한다. 그리고 장르로 분류하자면 상당히 다양하기도 하다. 알엔비, 어번, 힙합부터 Funk와 재즈까지. 하지만 이 모든 게 미드나잇 그루브라는 이름에서 다 퉁칠 수 있다는 거 ^^ㅋ

 

Lovegame - 백예린; 영어, 파워팝걸스 이런거 다 좋은데, 제발 한국어 노래도 좀 불러줘요 백예린...

베오베에서 언급한 '비밀'과 예성의 음악들을 제외하면 MOA, MUSM, 박재범, 부소정의 음악들이 들어가 있다. 이 중, MOA의 'OTS'같은 경우 아쉬운 것은 꼭 이 음악뿐만 아니라 백예린을 필두로 상당수의 현재 K-Pop 아티스트들이 Full 영어로 음악을 소화해내고 있는 현상이 있다. (현상이라면 현상) 다만 자주 아쉬운 느낌이 드는 게 이런 경우 이질감이 느껴지는 상황이 발생하곤 한다. 음악은 참 좋은데 이게 영어로 부르다 보니 전달되는 것보다 전달되지 못하는 감성들이 더 많은 것 같아 득 보단 실이 더 많은 느낌이라 아쉽다. (물론 K-Pop이 세계적 관심을 받으며 비-한국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의 감성 연결이라는 측면도 있겠으나... 그래도 아쉬운 게 더 많은 게 현실인 듯 싶다) 앞으로 영어로 부르지 말라는 얘기는 아니지만 영어로서 음악을 소화해야 한다면 더 신경 써야 할 측면들이 많아 보인다. (종종 무릿수를 두는 케이스를 많이 봐서 아쉽다) 박재범 같은 원래 영어 베이스의 가수들이나 힙합은 그나마 괜찮은데 일반 인디 팝이나 락 같은 경우에선 아직까지 다소 이질감이 느껴지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이건 발음의 문제를 떠나 어쩔 수 없는 감성의 문제다. 영어로 부르지 말란 얘긴 아니고 한국어 버전도 좀 내줬으면 하는 소심한 바람 ㅜㅜ (백예린, 한국어로 돌아와요 제발...ㅜㅜ) 


🌴: 상큼한 열대 트로피칼리아

I Feel Your Love  - Luli Lee

이 계열에서 이루리는 역시 원탑이다. 현재 K-Pop 신에서 이토록 세련되고 클래시 하면서도 트로피칼리아의 조미료가 흠뻑 쳐진 그루 비한 음악을 선사해주는 아티스트가 또 누가 있을까. 이번 'I Feel Your Love'는 약간 정제된 느낌이긴 하지만 앞서 얘기한 이 요소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명 곡이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의 중심에선 묵직한 베이스, 정말 매력적이다. 정말 Cool한 사운드. 이루리의 음악은 아무리 찬양하고 찬양해도 닳지 않을 정도로 감미로우면서도 묵직하다. 그 여린 보컬 속의 묵직함과 군데군데 뿌려진 이 트로피칼리아 같은 향신료 같은 사운드 요소들이 너무 좋다. (역시 베이시스트는 정말 쿨함)

 

INTERVIEWㅣ#5 : 이루리(Lulileela) - Mellowbeat Seeker

이루리의 수많은 명 곡 중 하나 들어보는 것보다는 이 아티스트의 인터뷰를 하나 들어보자. 이번에 겨우 영어 이름이 Luli Lee (룰릴리)로 바뀌었는데 왜 이전까지는 (Lulileela) 룰릴리라였는지를 알 수 있었다 ㅎ.

 

바이바이배드맨 / Bye Bye Badman - Monolove (live) 2017

그래도 인터뷰 하나 보고 퉁 치긴 뭐하니 음악도 들어보자. 이루리가 베이시스트 멤버로 속했던 바이바이배드맨 밴드의 'Monolove' 라이브 버전이다. 제대로 하이퍼 업 될 준비하고 재생 버튼을 눌러보자.


🍺: 시원하고 프레시한 인디 팝, 멜로우 웨이브, 포크

원래는 시티팝에 충실한 플셋을 만들고자 시작한 건데 언제부턴가 애매해진 게 바로 이 인디 팝을 넣으면서부터였다. 근데 뭐 개취로 충분히 도시적 감성과 탈출/도피/여행의 감성을 느낄 수 있었기 때문에 후회 하진 않는다.

행복지수 높여주는 남성보컬 인디팝: 사거리그오빠, 24Hours, WEEGO, SORAN

이 상쾌한 인디 팝들은 시즌을 불문하고 항상 나타나는데 이번에는 아재 느낌의 (Twee 트위라고 하면 욕할까?) 행복감성충만 인디 팝이 꽤 좋았다. 이 중 사거리 그 오빠의 '넌 정말 아름다워'를 참 인상 깊게 들었다. 신스팝/댄스 팝의 느낌도 있고 포크 느낌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데, 이렇게 꼰대 같지 않은 순수한 아재 느낌의 해피 해피한 감성에 도취된 낭만적인 음악은 언제나 환영이다. 이번 플셋에서 이런 류의 음악은 또 정말 애 가진 아재 멤버들로 구성된 WEEGO의 'Like You'를 들 수 있겠는데, Remastered가 되면서 상당히 경쾌한 시티팝 느낌으로 잘 끌어올렸다. 

[MV] TOKYO GIRL(동경소녀) _ church boy(교회오빠 (Feat. 교회오빠)) 2013

"오빠"란 단어가 나온 만큼 아재 감성 짙은 교회 오빠 관련 두 곡을 들어보자.  동경소녀와 교회 오빠가 함께한 '교회 오빠'는 감칠맛 나는 신스팝 사운드로 다음의 Mania DB 설명이 딱이다. "본능적 욕정을 다스리지 못하고 몸부림치는 교회 오빠들에게 전하는 메시지가 담긴 곡이다. 가삿말을 만들고 피처링으로 참여한 강동구 명일동 본능 충실 교회 청년부 리더 "교회 오빠"의 중저음 보이스가 인상적이며 어쿠스틱 중심의 자연스러운 감성보컬만을 선보였던 동경소녀의 몽환적 'Cher Effect' 음색도 이색적이다"

[MV] G.Song - 교회오빠 (feat.박세욱) 2019

다음 곡은 정말 교회 오빠의 곡으로, 하나님이 주신 음악적인 달란트로 모든 사람들과 공감하고 소통하면서, 주님의 사랑을 전하고, 사람들 각자의 어느 포지션에서든 신앙적으로 행복한 모두가 되도록 만들고 싶다"며 "그런 영향력 있는 가수가 되도록 노력하고 기도하는 중이라고 한다.  - 출처:  www.christiantoday.co.kr/news/321227

두 곡을 잘 비교해보면서 즐겨보자. 근데 난 전자의 교회 오빠가 더 진정성이 느껴진다

 

‘뭘 좀 아는 교회오빠’ 크리스천 래퍼 G. Song

크리스천 래퍼 ‘G. Song’(본명 송귀인)이 같은 신앙을 공유하며 하나님을 찬양하는 가수, 댄서, 래퍼, 배우, DJ 등가 함께 ‘교회오빠들’을 결성, 교회 순회공연을 시작한다. G. Song은 지난달 9일

www.christiantoday.co.kr

 

FMV까지 만들면서 그토록 찬양했던 'Bleu Moon'의 리하 LIHA의 새로운 시티팝 싱글이 나왔는데 이번엔 진현이란 아티스트와 함께했다. 시티팝이면서도 인디 팝 성향이 강해서 이 케테고리에 넣었긴 했다. 뭔가 대중과학 음악 컨텐트와 관련된 내용이라고 하는데 (깊이 있게는 잘 모르겠고) 음악 사이트 설명에 따르면 여성 보컬 리하는 이 콜라보를 위해 빅뱅이론 등의 우주론 공부까지 했다고 한다. 

그런하루 - 이진우

이 외 이진우의 '그런 하루'라는 보석 같은 음악을 찾았는데, 요건 멜로우 웨이브 카테고리에 들어갈만한 아련하면서도 감미로운 도시적 포크 사운드의 매력을 안겨준다. 과장될 말일지도 모르겠지만 흡사 옛날 초창기의 조규찬이라던가 그가 몸 담았던 새바람이 오는 그늘 혹은 유재하의 감성이 느껴지기도 했다. 

 

그냥 - 새바람이 오는 그늘 1990

말 나온 김에 조규찬/이준/김정렬이의 팀인 새바람이 오는 그늘의 음악을 하나 들어보자. 그 시절 청춘의 감성을 바늘로 후벼 파버리던 것 같은 기억...


🌐: 댄서블 한 팝, 디스코, 하우스, Funk, 신스 웨이브, EDM

이번 프리셋에서 상당히 알 찬 카테고리다. 뭐 슈퍼 임팩트는 없다 하더라도 그 하나도 뺄 수 없는 곡들로 가득 차 있다. 젤 먼저 귀르가즘을 느끼게 해 준 것은 뭐니 뭐니 해도 마마무, 휘인의 솔로 액트인 'Water Color'다. 많은 걸그룹들이 이런 Funky 하고 Disco틱한 사운드의 댄스 팝을 선보이고 있지만 정말 마마무는 이 계열에 독보적이다 싶을 정도로 잘 빠진 음악들을 들려준다. 특히 이번 휘인의 그 "아우~!" 정말 최고다. 암튼 이들은 브라운 아이드 걸즈의 굉장히 업그레이드된 버전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한데, 이 외는 최근의 레이디스 코드가 이 계열로 꽤 괜찮은 음악들을 들려준다. 

 

[MV] 레이디스 코드(LADIES' CODE) "FEEDBACK (너의 대답은)" 2019

아이돌로 계속 풀면 길에서 만나면 피하고 싶은 독기 서린 일진 비주얼로 포장했던 3YE 써드 아이의 '너만 몰라'를 들 수 있겠는데 이들은 이 '강한' 이미지를 조금씩 말랑한 쪽으로 탈피해 가고 있는 중이다. (감옥에 야쿠자에... 휴우... 그동안 캐릭터가...) 드라마 <어쩌다 가족>에 삽입된 이 곡은 약간 트로피칼리아 느낌도 들어있는 여름 시즌 송에 상당히 잘 어울리는 하우스풍의 댄스 팝 사운드다. 작년 8월에 'Like This Summer'라는 이 그룹의 전통에 안 어울리는 귀염/발랄 콘셉트로 여름 시즌송을 내기도 했다.  암튼 말 나온 김에 4월에 발표한 타이틀 곡을 들어보자.

 

Stalker - 3YE 2021

이전의 그 굉장히 '쎈' 언니들 느낌에선 탈피했지만 어느 정도 발란스는 맞춘.,.. 그리고 비주얼이랑은 상관없이 꽤 괜찮은 Funky 한 디스코 댄스 팝 사운드다. 뿜붐뿜바라붐붐~~

 

이 외에 최근 몇 년간 미술 아티스트로서의 활동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솔비의 신곡, 'Angel'도 꽤 들을 만하다. 전형적인 클럽 하우스 댄스 튠으로 오래간만에 2000년대 클럽 가고 깊은 향수를 짙게 느끼게 해 준다. 최근 정영진과 최욱의 매불쇼에서 연예인 미술가 활동에 대해 홍대 이 작가의 의견이 나온 에피소드가 있는데, 그중 미술가로서의 솔비에 대한 진중한 평가가 꽤 재밌다. 함 봐보자. (30:19)부터 시작이다. 홍대이작가 에피소드 중에선 최고다 ㅎ.

 

박준희 - '눈 감아봐도' 【KBS 토요대행진】 1992

이 카테고리의 마지막으로 언제나 기다려지는 레인보우 노트의 팝틱한 '딜레마'의 발표가 있었고 한국의 고전 시티팝 하면 빠질 수 없는 윤영아의 '미니 데이트' 2021 버전이 새로이 선 보였다. 이 MV에 들어가 있는 윤영아 님의 모습이 현재 모습이라면.. 와.. 얼핏 봐선 72년생이라곤 믿을 수 없을 정도의 그 시절 그녀가 가지고 있었던 Funky & Groovie 함을 잔뜩 지니고 있다. 그럼 윤영아 옹의 숨은 띵곡과 윤영아의 '미니 데이트'에 필적할 만한 그 시절 프리스타일 댄스 팝인 박준희의 '눈 감아봐도'도 같이 들어보자. 

 

혼자만의 슬픔 - 윤영아 1993 <2집 Outdoor>

 

🎙: 복고감성 AOR, 레트로 발라드

이번 플셋에서 복고 감성의 레트로 발라드는 딱 한곡이다. 공일오비와 다원의 '빅터를 기다리며'. 역시나 90년대 015B의 찌질감성발라드의 감성은 20년이 지난 지금에도 레트로라는 이름의 아우라와 함께 빛나고 있다. 015B의 발라드들의 특유의 그리고 독보적인 찌질함에 얼마나 욕하면서도 빠져들어 노래방에서 불러댔던가... 얼마나 무서운 이 공감대인가...

옛날 공일오비 시절에는 무조건적으로 이장우, 김돈규, 윤종신 같은 남성 보컬을 고집했지만, 시절이 지나 최근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정석원은 이 찌질 발라드를 여성 보컬에도 이식시키기 시작했다. 무시할 수는 없는 게 아무리 찌질해 보여도 매력적인 것은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이번 판의 보컬 주인공은 다원이다. 다원은 이 예쁜 찌질 발라드에 달달한 보컬뿐만 아니라 움칫한 모션까지 온갖 달콤함을 안겨준다. 이번에도 정석원한테 진 거다. 다시 한번 이 찌질함의 달콤함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그럼 그 시절 또 한 번 그 감성을 후벼 팠던 정석원과 김돈규의 합작품의 걸작을 하나 들어보자. 공일오비의 정석원이 OST를 담당했던 <연인>의 김돈규가 부릅니다. '다시는 너를 떠나지 않을 거야"

 

정석원 / 015B (feat. 김돈규) - 다시는 너를 떠나지 않을거야 (1993) / 연인 OST

 

728x90
반응형

90s 키워드로 구글 검색을 해봄

기억해 보면 90년대는 여러모로 다양하면서도 흥미진진한 시대였다. 물론 음악적으로도! 다프트 펑크, 케미컬 브라더즈, 너바나, 소닉 유스, 우탕 클랜 (+ 브리트니 스피어스와 후반기 마돈나와 마이클 잭슨까지)을 동시대에 함께 들을 수 있었던 전후무후한 시기였다.

지금 젊은 세대를 대표하는 음악씬은 뭔가... 음... 일렉트로닉에 꽤나 쏠려 있는 시대인 것 같다. 누가 디지털 세대들의 세상 아니랄까 봐. 쨌든 나도 일렉트로닉 음악을 굉장히 좋아하다 보니 딱히 나쁜 것도 없긴 하지만 락이 이전만큼 맥을 못 추는 것에 대해서는 참 아쉽긴 하다. 불과(?)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감수성 터지는 질풍노도의 청춘 감성을 대변해 줄 많은 음악 장르들 중 빼놓을 수 없는 게 록음악이었는데 말이다. 심지어 2010년대 만 하더라도 댄스펑크와 함께 80,90년대를 연상시키는 락과 일렉트로닉의 펑크적 크로스오버를 느낄 수 도 있었는데, 그게 참 엊그제 같았더랬더만... 하지만 유행은 또 돌고 돌고 돌아오듯 언젠가 락의 부흥은 또다시 찾아오길 바란다. 

스티브 잡스의 개러지 : https://www.sanjose.org/listings/steve-jobs-garage 인데, 이렇게 보니 뭔가 케미컬 브라더스 1998년 앨범 <Brothers Gonna Work It Out>과 약간 비슷한 느낌이난다. 하늘 때문일까...

개러지 락 Garage Rock이라고 하면 적어도 미국 인디 음악의 가장 중요한 에센스를 차지하고 있지 않나 싶다. 저 개러지는 말 그대로 '창고'의 '개러지'로 스티브 잡스가 애플을 만든 그 개러지다. 그리고 여느 미국의 청춘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저 별도의 '창고' 안에서 수 많은 사건 사고가 벌어진다. 심지어 타임슬립까지! 그렇게 개러지는 음악뿐 아니라 미국 젊은이들의 청춘의 열정과 꿈을 불사르는 비공식적 실험의 공간이었다. 어느 이들에겐 악보를 쓸 줄도 읽을 줄도 모르는 체 기타나, 베이스나, 드럼 하나 손에 쥐고 자신의 감성만을 따라 커버를 하기도 하고 혹은 자신들만의 사운드를 창조하며 그 좁은 공간에서 자신의 의지와 꿈을 불 살렀던 곳이다. 그런 유전자를 타고 난 음악 이어서 그런지 B-사이드 데모든, 원숙화된 스튜디오 녹음이던 그 장르에서는 그 인디 특유의 날 것의 느낌이 전달되며 그것은 또 듣는 이로 하여금 흥분의 도가니로 불타 오르게 만드는 것 같다. 

Ash, Sonic Youth, Guided by Voices, Superchunk, Veruca Salt, Letters to Cleo, Madder Rose, Nada Surf

그 순수한 분노와 반항과 그리고 희열이 뿜어내는 사운드는 대부분 펑크, 사이키델릭,슈게이즈, 노이즈, 로파이의 얼터너티브 락으로 귀결되곤 한다. (네, 하드락과 메탈 꺼지시고요~ 난 아직까지도 왜 그 엑스재팬과 메탈리카, 건 잰 로지즈의 추종자였던 주위 사람들이 내 이런 음악 취향을 그토록 무시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 빡큐!) 아마추어스러움에서 나오는 신선함, 원숙하더라도 때 묻지 않은 듯한 날 것의 느낌. 이 느낌들이 질풍노도의 순간들을 겪어가던 나의 감성에도 엄청난 영향을 주었고 이에 반응하며 미친 듯이 뛰고 움직이며 이 감성들을 빠짐없이 주워 담으려 노력... 아니 그냥 그 흥에 맞추어 흘러가며 감동하고 기뻐하곤 했다. 정말 돌아가고 싶은, 톡 하면 터질 것만 같던 여린 감성의 시기였다. 지금처럼 나이 먹고 뇌의 감성 컨트롤을 담당하는 전두엽의 부분이 퇴화하여 뭐만 건드려져도 눈물이 날 것만 같은 이런 신파적인 감성과는 분명 다른 것이었다. 돌아가고 싶다. 헤드셋을 끼고 때로는 오디오의 볼륨을 최대로 높이고 미친듯한 에어기타와 해드뱅잉을 하며 열광하던 그 개인적인 순간들을 기억하게 하는 밴드 음악 몇 개를 소개해 본다. (찾다 보니 너무 많아서 앞으로도 더 해봐야징)


Telescope - Nada Surf, NY

막 사람을 흥에 겨워 방방 뛰고 비틀어지게 만드는 크런치 기타 사운드가 이런 인디 록 음악의 (클리셰라면 클리셰일 수도 있는) 가장 큰 매력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그리고 숨 쉴 틈도 없을 듯한 쏟아지는 드럼 소리 그리고 기타와 드럼이 미친 듯이 폭주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간에서 음악 전체의 맥과 기준을 잡아주는 묵묵한 베이스, 그리고 빠지지 않는 멜로딕 한 보컬의 전개. 꼭 이 나다 서프라는 밴드의 특징은 아니다. 아래 소개될 모든 밴드의 특성인 인디밴드의 유전자 중의 하나가 아닐 듯싶다. 특히 미국 출신의 인디밴드라면 펑크의 감성으로 내뱉는 성난 포크 음악의 경향이 굉장히 두드러진다. 

<High/Low>와 <Karmic> 앨범

 나다 서프는 1996년 <High/Low>를 시작으로 2020년 <Never Not Together>까지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꾸준히 솔리드 한 사운드를 선사해 주는 실력파 밴드 중 하나다. 특히 위 "Telescope"은 첫 앨범인 <High/Low>가 나오기 전 "The Plan"과 함께 한 그들의 실질적 데뷔인 첫 7"다. 말이 그냥 7"지, 당시는 그 치이익~ 하는 첫소리의 매력과 함께 낭만적인 재즈 음악이나 올드팝 음악을 들으면서 LP를 듣는 경우도 많았는데, 이 앞만 보고 달리는 듯한 종마 같은 록음악을 LP로 듣는 매력 또한 괜찮았다. (대부분 CD나 카세트로 듣긴 했지만 ㅎㅎ.. 그래서 어쩌다 듣는 매력이다 보니 더 했을 수도).  쨋든, 이후 1996년 <Karmic> EP 앨범에 첫 번째 트랙으로 다시 실리는데 이 앨범에는 "Telescope"만큼이나 빠져 들었던 <High/Low>의 "Treehouse"가 같이 수록되어 있다.

엘렉트라 레이블의 대표 앨범들

이 시절에 대해 얘기할 때는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묘미가 바로 레이블인데, 나다 서프의 초창기, 전성기는 엘렉트라 Elektra에 몸 담았었는데, 이 레이블의 대표 아티스트들은  베이시스트 킴 딜 Kim Deal로 이어지는 the Pixies, the Breeders, the Amps가 있고 그 외로,  스테레오 랩, 테디 펜더그라스, 카스, 메탈리카 등등이 있다. 


 

Hyper Enough - Superchunk, Chapel-Hill

미국의 채플힐 Chapel-Hill 하면 대부분 농구스타 마이클 조던을 떠올린다, 혹은 그의 출신 대학교인 UNC까지. 하지만 채플힐은 너바나/그런지의 시애틀 이후 미국의 메이저 레이블들이 주목했던 록 음악의 성지이기도 하다.  그중 단연 눈에 띄었으면서도 오랜 시간 미국 인디락씬에 영향을 많이 끼친 밴드 중 하나가 슈퍼 청크다. 엄청난 실력을 무기로 수많은 메이저 레이블의 러브콜을 받으면서 상업적인 성공은 따 놓은 당상이었던 상황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인디 정신을 고수했던 진정한 D.I.Y 밴드이기도 하다. 자세한 이야기는 이전 2개 포스팅에서 다뤄서 짧게 줄이긴 한다. 슈퍼 청크에 대한 더 많은 내용은 아래 두 포스팅을 참고.

 

[Rock 90s!] 90년대 채플힐 락사운드의 대명사, Superchunk

최근 Arcade Fire의 새 싱글인 Everything Now가 나왔는데 간만에 락사운드를 들으며 어린 시절 즐겨 듣던 락튠을 떠올려 보았다. 주옥 같은 밴드들이 기억을 스쳐 가던 와중 Arcade Fire의 발판을 놓아준

electronica.tistory.com

 

90년대 말 지극히도 미국적인 스토리와 사운드, 서버비아 Suburbia, 1997

1997... 2000년대를 향해 가며 <슬리버 Sliver>, <노웨어 Nowhere> OST를 소개하며 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기 영국 사운드의 미국 침공에 대해 계속 얘기 했었다. 미국 영화 임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대표

electronica.tistory.com

당연히 이들에게는 수많은 명 곡/명 반들이 있는데, 1995년 흐리멍덩한 초점의 앨범 커버의 슈퍼 청크 앨범 CD 케이스를 열고 디스크맨에 삽입 후 플레이 버튼을 눌렀을 때 가장 먼저 치고 들어왔던 이 "Hyper Enough"의 정말 제목 그대로 마치 가이아와 우라노스의 유전자를 폭발시키는 듯한 히페리온의 광기 넘침을 느끼게끔 해주는 이 광폭 사운드의 매력에 나머지 트랙들을 더 들어 볼 여지도 없이 이 첫 번째 트랙만 주구장창 반복 해 들었었다. 그만큼 청춘의 애착이 많은 트랙이다. 이 외, 너무나도 추천하고픈 명곡들이 많은 밴드다. 심지어 2010년엔 한국에서 콘서트도 했던 모양이다! 왜! 왜! 이런 인생 밴드의 컨서트 소식을 몰랐던 것인가.. 정말 땅을 칠 노릇이다. 하아... 하아...   


 

Fast way - Letters to Cleo

Fast Way - Letters to Cleo, Boston

레터스 투 클레오라는 밴드를 발견한 건 정말 우연이었다. 이러저러한 이유로 어린 시절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살게 되었었는데 (약간 반 노마드 느낌), 어느 장소에 가던 가장 자주 찾던 곳은 레코드 가게와 영화관이었다. 그냥 그 두 공간이 어린 시절의 놀이터 같은 곳이었다. 혼자던 함께 던.

1993년 홍콩의 여름을 들었다 놨다 했던 메가 히트곡을 담은 캔토팝 앨범 (페이 웡의 'Summer of Love (좌)와 샘미 쳉의 'Chotto等等' (우)) 그리고 홍콩 HMV 봉지를 트윗한 어느 트위터리안 (중앙)

레터스 투 클레오를 알게 된 건 홍콩의 HMV 레코드 침사추이점이었다. 다 층으로 되어 있던 그 공간엔 수많은 카세트와 CD로 가득 차 있었다. 홍콩이었던 만큼 광둥어로 부르던 홍콩의 켄토팝 Cantopop (Cantonese Pop) 공간도 있었긴 하지만 시대가 시대였던 만큼 상당 부분이 J-Pop과 서양 음악들로 꾸며져 있었다. 감성 폭발 청춘의 나에겐 드림팩토리이자 초콜릿 공장이나 다름없었다.

Letters to Cleo의 앨범들과 청춘의 성지였던 홍콩 HMV 침사추이 점 (출처: Gettyimages)

그리고 여느 날과 다름없이 HMV를 탐험하다가 그냥 커버에 끌려 이 <Wholesale Meats and Fish>를 집어 들었고, 집에 가는 길 저녁 버스 안에서 귓속에서 터져 나는 이 팝스러운 락 음악의 향연을 느끼며 가슴이 펌핑펌핑 했었다. 이후 <Aurora Gory Alice>라는 그 들의 첫 앨범도 구입하고,  이 듬해 당시 걸파워의 중간보스 겪이었던 <The Craft> OST까지 대뜸 집어 들었던 기억이 난다. 이후에는 앨범 발표가 없어서 이 때의 추억으로만 이어오던 밴드였는데, 이번 포스팅 하면서 찾아보니, 마지막 1997년의 <Go>이후 16년, 19년 두 개의 앨범을 더 발표했다. 

letter to cleo 밴드

지금 들으면 평범한 팝스러운 락 음악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이 시절 세련되면서도 동시에 인디스러우면서도 스위트함의 정곡을 찌르고 들어가는 팝록 사운드는 쉽게 경험하지 못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에는 분명 밴드의 음악도 음악이지만 그 부분을 명쾌하게 파고드는 케이 헤인리의 보컬도 한몫했었던 것 같다. 이 앨범의 "Little Rosa"도 이 범주의 곡으로 적극 추천하는 바이다. 


 

i am a tree - guided by voices, Ohio

당시 장르를 불문하고 음악을 듣고 있노라면 4분~6분의 음악들이 기본이었는데 이 가이디드 바이 보이시스라는 밴드는 특이하게도 한 앨범에 열몇 개가 넘는 수많은 트랙들을 넣어놓고 있었다. 근데 이것들은 다 1분, 2분, 심지어 1분 미만의 트랙들이 채워져 있었다. 이 곡들은 마치 무슨 먹다 남은 맛있는 비스킷의 부스러기 마냥 달콤함 그 자체였다. 더 길길 원하고 그럴 여유도 없이 그 먹다 남은 부스러기를 계속 집어 먹고 있는 나를 발견할 뿐이다. 

MAG EARWHIG! 앨범

이 밴드를 처음 알게 되었던 <Mag Earwhig!>는 또 하나의 맛있는 제대로 구운 비스킷인  "Jane of the Waking Universe"를 담고 있다. 이 또한 HMV에서 얻은 수확이자 개인적으로 음악에 대한 영향을 가장 많이 준 레이블 중 하나인 마타도르 Matador의 앨범이기도 하다. 

좋아했던 마타도르 앨범들 몇 개

미국 뉴욕의 인디 레이블의 대명사이기도 한 마타도르를 지나간 내 영혼의 아티스트들을 몇 열거하자면, Yo La Tengo, Bettie Serveert, Jon Spencer Blues Explosion, Chavez, Liz Phair, Sleater Kinney, Teenage Fanclub, Unwoud, 등등 등등 등이 있다. 심지어 Lou Reed와 Sonic Youth도 몸 담았었고 시부야케이의 Pizzicato Five도 마타도르 레이블을 통해 미국 데뷔를 했었다. 뭐 이 정도면 메이저 아닌가 싶기도 하고 ㅎㅎㅎ (메이져 인디 레이블이라 해 두자.)  정말 인생에 있어 개개인의 아티스트나 밴드 뿐 아니라 레이블에 의해서도 영향을 많이 받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이 마타도르, 가요에 있어서는 동아기획이 아니었나 싶다. 


 

Volcano Girls - Veruca Salt, Chicago

당시 미국 인디 음악에 있어서 이름을 알릴 수 있는 최고의 출구 중 하나는 바로 미국 전역에 게릴라 마냥 마을 구석구석 존재하던 컬리지 라디오 방송이었다. MTV든 메이져 레이블이든 이런 데뷔 이전 먼저 인디 아티스트로서 이름을 알리던, 혹은 레이블 데뷔 이후 진정성의 이름을 알리기 위해서라도 컬리지 라디오의 플레이 리스트에 띄워지는 것은 인디 밴드들에게는 중요한 알림 길이 었다.

버루카 솔트의 앨범들<American Thighs> 데뷔 앨범, <Eight Arms to Hold You>

버루카 솔트 역시 이런 컬리지 라디오를 통해 꽤 흘러나오던 팀인데,  학교 라디오 방송을 통해 "Seether"라는 곡으로 알게 된 밴드였다. <American Thighs> 앨범의 타이틀인 이 "Seether"가 인기를 끌긴 했는데, 좀 더 빠른 템포의 "Victrola"를 더 선호하긴 했다. 암튼 어느 정도의 인지도를 쌓은 후 대형 레이블인 (소닉 유스가 오랜 시간 몸 담았던) Geffen을 통해 <Eight Arms to Holds You>를 발표하는데... 와... 이건 진짜 인디락과 팝이 결합한 최고의 결정체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엄청나게도 스위트 하고도 발칙한 팝락 트랙들로 가득 차 있었다. 처음 이 CD를 사고 첫 트랙을 들었을 때만 해도 그냥 그런가 보다 했는데, 2번부터 이 "Volcano Girls"가 터져 나오더니 이후로 "Awesome", "With David Bowie", "The Morning Sad" 등 완전 취향저격의 파워 팝 락 사운드로 녹아내리게 만들었다. 

미국 대학라디오 스테이션: 출처 - http://www.radiosurvivor.com/learn-more/about-college-radio/

그 시절은 고등학교 때였는데 마을까지 송출되는 FM 방송 라디오 DJ를 하던 시절이었다. (컬리지 라디오만 있는 게 아니다! ) 이 경험을 통해 많은 좋은 음악들을 알게 된 고마운 시절이었다. 사실 DJ라고 하면 자신만의 취향이 담긴 멋들어진 음악 선곡을 통해 청취자들을 감동시키는 뭐 그런 상징적인 게 있는데, 그런 건 개뿔, 고등학생 DJ에게는 방송 이전 "자신이 임의로 선택한 곡을 절대 틀지 마시요!"라는 강한 경고 문구와 함께한 빽빽한 두 시간짜리 플레이 리스트를 받게 되기 마련이었다. 다만 이 플레이리스트를 통해 나름의 요즘 뜨는(?) 록음악 들을 알게 된 건 완전 굿이었다. 다만 매주 비슷한 플레이 리스트로 인한 따분함은 견뎌야 할 몫... ㅜㅜ (멜론 차트 같은 느낌). 하지만 그래도 일말의 배려는 있었다. 빼곡히 적힌 플레이 리스트 중 빈칸으로 된 마지막 부분이 하나가 있었는데 그 건 그냥 니 맘대로 틀고 방송 끝내세요라는 의미였다. 그때가 정말 틀고 싶은 음악들을 하나라도 막 틀 수 있는 유일한 기회였다.

암튼 우리 학교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배경이 있는데, 당시 학교 DJ들로 하여금 자유를 억압시킴으로써 분노 아닌 분노를 일으킨 이 플셋은 하버드에 합격한 어느 공돌이 지망 2년 선배의 알고리즘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었고, (어떻게 모으는 것인진 모르겠지만) 당시 유행하는 대표 인디 음악을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뭐 그런 것이었다. 이게 (자기 말로는 항상) 획기적인 것이었고  항상 하버드 인터뷰 시 이것을 자랑스럽게 어필했다는 이야기를 아주 입에 닳도록 이야기를 했었는데 (이 세상 혼자 잘난 전형적인 나르시시즘에 빠진 사람으로서) 웃긴 건 정작 본인은 음악에 대한 열정 따윈 없었다는 거... 그냥 이런 것을 대학 입학의 한 도구로서 사용할 해안을 가진 것뿐(?)이었다. 그냥 공 만드는 놈 따로 있고, 가지고 노는 놈 따로 있고 돈 버는 놈 따로 있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서 기억된다 ㅎㅎ. 

다만, 이게 마을까지 송출되던 나름의 FM 방송이었던 만큼, 담당 선생님은 항상 모니터링을 하고 있었고, 락 스테이션의 색깔에서 벗어나는 음악을 틀게 되면 바로 전화가 띠리링 울리고 경고를 받고 당장 부스에서 내려와야 하는 촌극이 일어나곤 했었다. 나도 가끔 그 흥을 못 이겨 디스코 같은 걸 틀어 재끼다가 철퇴를 맞고 몇 주 방송 금지 뭐 이런 걸 당하기도 했었다. (ft. 잭슨 파이브)


Ca Plane Pour Moi - Sonic Youth, Chicago

이 포스팅에 전설 밴드 소닉 유스를 넣는 건 치트 키일 듯 싶은데, 인생 밴드이기도 하고 워낙 유명한 곡들도 많아서 열광했던 곡들 중 그나마 잘 안 알려진 음악을 소개한다. 

앨범에 참여한 밴드들 중

1992년 <Freedom of Choice>이라는 콘셉트 컴필레이션 앨범에 수록된 곡으로, 이 앨범은 70~80년대 뉴웨이브 히트 음악들을 90년대의 락밴드들이 재해석한 리메이크로, 특히 원곡들은 이게 뉴웨이브로 정의해야 할지 펑크로 정의해야 할지 애매한 그 중간의 오묘한 매력을 가진 것들로만 선택한 것으로도 큰 매력으로 다가왔던 앨범이다. 이 앨범엔 소닉 유스 말고도, Superchunk, Polvo, Chia Pet, Mudhoney, Redd Kross, Muffs, Soul Asylum, Yo La Tengo 등이 참여하여 Human League, a Flock of Seagulls, Soft Cell, Iggy Pop, Elvis Costello 등의 그 시절 음악을 포스트 펑크의 감성으로 재 해석하고 있는, 시도 자체로서도 굉장히 매력적인 앨범이다. 앨범의 이름인 프리덤 오브 초이스는 대표적인 뉴웨이브 신스팝 밴드인 Devo가 1980년에 발표한 앨범 이름이기도 하다. 

원곡의 Plastic Bertrand 앨범과 Headcoatees의 또 다른 리메이크 버전 앨범

이 중 인디음악, 포스트 펑크, 노 웨이브 계의 거장 중의 거장인 소닉 유스가 커버한 "Ca Plane Pour Moi"는 1977년  플라스틱 베르트랑 Plastic Bertrand의 음악이다. 제목의 맥락을 대충 해석하자면 황승 호재의 "나는 문제없어" 같은 의미일 까나 싶다 "노 프라블럼!"  서핑을 연상시키기도 하는 트로피칼리아의 매력도 담고 있는 이 음악은 수많은 아티스트들에게 커버되기도 했는데, 영국의 개러지 펑크락 밴드인 헤드 코츠 Headcoates의 자매밴드인 헤드 코티스 Headcoatees의 펑크와 개러지 감성 넘치는 영국식 펑크 버전도 추천한다.


  

Angel Interceptor - Ash, Northern Ireland

모순적인 얘긴데, 사실 이 포스팅 생각한 게 이 노래를 들으면서였다. (포스팅은 죄다 미국 인디 펑크 밴드 관련인데, 이건 영국의 브리티시 인베이젼 시절 음악 --ㅋ) "야, 야, 이 노래 괜찮지 않냐?" 들고 가면 다들 "야, 너도 들었냐?" 이러면서 어제는 혼자 들으면서 미쳐 돌아갔지만 다음 날은 다 같이 들으면서 또 미쳐 돌아가셨던 그 함께 들으며 흥분하는 추억.  청춘의 요동치는 감성을 담은 음악들인가 싶은데 시작은 영국... 아니 북아일랜드가 되어 버렸다.

이 음악이 수록된 1996년 당시 <1977> 은 NME 선정 역사 상 가장 위대한 앨범 500 안에 속했다. 말이 500이지... 생각해보면 t세상엔 좋은 음악이 너무나도 많은데,  100000 안에 드는 것도 기적일 것이다...ㄷㄷㄷ... 암튼 국적의 배경이야 어쨌든 이 "Angel Interceptor"도 이 포스팅에서 다룬 모든 음악들이 가진 그 개러지 락의 에센스를 잘 가지고 있을뿐더러 심지어 이 멜로딕 한 전개는 세련되기까지 하다. (당연하게도) 어느 정도 브릿팝스러운 면도 없진 않지만 굳이 그런 장르 장르 역사 역사 따지고 않고 충분히 청춘 폭발 감성으로 들을 수 있는, 90년대가 낳은 최고의 록음악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Just Say - the Fastbacks, Seattle

그 시절 이런 밴드 음악 앨범들의 마지막 트랙은 종종 분노한 앨범 전체 트랙들과는 다른 포크적이거나 아니면 상큼하거나 멜로딕 하거나 팝틱 하거나... 암튼 그런 이전 트랙들과는 좀 다른 성향의 라이트 한 음악으로 대미를 장식하는 경우가 꽤 많았고 그런 걸 또 예상하거나 기대하면서 듣는 경우도 많았다. 꼭, 이 음악의 느낌은 아니지만 이 포스팅에서 소개한 음악들 보다는 또 달달한 만큼 그런 라스트 트랙의 기분에서 뽑아 봤다. 뭐 사족을 떠나서 사랑스러운 음악이다. 

청춘의 감성은 뭐니 뭐니 해도 나이 들어서는 만들 수도, 접할 수도, 혹은 범접할 수도 없는 그 기대할 수 조차 없는 낭만에 있는 것 같다. (그것은 달 달면서도 동시에 쌉싸름한 것일 듯)  펑크라고 하면 철없는 이들의 분노 표출처럼만 여겨지는 경우도 많은데, 오히려 그들의 낭만을 향한 어설픈 과격함의 표출이 아닐까 싶다. 그 날 것의 느낌 때문에 우리가 더 공감하는 건 아닐까 싶기도 한다. 그래서 그 청춘의 감성이 좋고 사랑스럽고 또 돌아가고 싶다. 

 

728x90
반응형
타 암 대비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암이라 정보가 많지 않다. 인생에 흔치 않은 경험이라 나도 기억할 겸, 지난 투병 중 기억나는 것들이나 후유증 관련하여 올려 본다. (비인강/비인두암 3기 - 항암 7회 방사선 (토모테라피) 33회) (폐전이의심 - 항암(시스플라틴+5FU) 6세트)

산책길: 되도록이면 최대한 자연과 가까운 삶이 중요한 것 같다

비인두 방사선 치료 후 4년 1개월, 폐 전이 항암 치료 후 1년 11개월이 지난 시점이다. 항암 일지를 쓰면서 지금까지 항상 아직도 어디가 아프고, 또 어디가 아프고... 이런 안 좋은 말만 늘어놓는 것 같아서  오늘은 괴롭히던 증상과 후유증 중 나아지거나 없어진 것들에 대해 좀 떠올려 보았다. 

항상 아프고 나쁜 것들은 신경 쓰이고 기억하는데, 정작 좋아지거나 없어져버린 것들에 대해서는 잘 생각 안 하게 되는 경우도 많은 것 같다. 암튼 지금 생각할 수 있는 나아진 증상들은 아래와 같다.

1 콧 속의 어마어마하게 큰 농과 코 막힘
2 귀 통증과 이명, 그리고 이관증상
3 구내염
4 손/발 신경통
5 변비
6 미각
7 이물감
8 근육손실
9 각종 정신과 관련 증상들

1. 콧 속의 어마어마하게 큰 농과 코 막힘

숨쉬는 것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다 보니 일상생활을 굉장히 불편하게 하는 증상이다. 콧 속 깊은 곳에 딱 달라붙어서 코로든, 입으로든 빼내기가 진짜 힘든 농 때문에 고생하는데, 빼지는 못하고 계속 쌓이다 보니 어떻게 어떻게 어렵게 빼내서 보면 정말 아주 큰 구슬만 한 농이 나온다. 그 과정에서의 기분은 정말 역하기 그지없기도... 간혹 이비인후과에서 도구로 빼낼 때는 15센티는 족히 보이는 놈이 쭈 우우 욱 하고 나온다. (보조 간호사 분도 옆에서 보다가 깜짝 놀랄 정도)

이런 걸 하루에 2~3번 빼내야 하는데 매일매일 병원에 갈 수도 없으니 사람 미치게 만드는데 이때 코 세척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된다. 집에 있을 땐 수시로 해 주고, 외출할 때는 작은 통에 식염수를 담고 다니면서 불편할 때마다 화장실 가서 코 세척을 해 준다. 단, 내가 봐도 역한데, 다른 사람이 보면 얼마나 더 역할지.. 그래서 보통 눈치 보다가 사람 없을 때 후딱 처리하곤 했다. 

지금은 많이 나아졌다. 일단 그 엄청난 큰 농은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이전보단 작지만 그 달라붙어 괴롭게 하는건 여전하지만 이전이 10 정도였다면 지금은 2 정도일 듯하다. 여전히 가래를 많이 뱉고 코도 많이 풀곤 하지만 이전 대비 많이 나아진 건 사실이다. 코 세척도 그렇게 자주 하지 않게 될 정도다.

2. 귀 통증과 이명, 그리고 이관증상

청력은 한쪽이 많이 떨어진 상태라 사람들과 말할 때 되물어보는 경우가 많아졌다. 코로나 때문에 마스크가 일상이 되다 보니 소리도 많이 뭉개지고 입 모양도 읽을 수가 없으니 좀 더 불편해지긴 했다. (지금은 보청기를 끼면 도움이 되겠지만 아직은 굳이 끼지는 않아도 되는 애매한 상태다) 이렇다 보니 자주 청력 검사를 받는 편인데, 검사할 때 나는 그 화이트 노이즈 소리가 이명 증상과 겹쳐서 잘못 판단할 때가 많아졌다. 하지만 일상에서의 이명은 많이 줄어든 상태다. 

치료 이후에 귀 통증이 종종 찾아왔었다. 막 찢어질 것 같이 아픈 그런. 특히 엘리베이터와 같이 좁은 공간이나 체육관 같이 소리가 울리는 공간에서 사람들이 떠들고 있노라면 귀가 웅웅 거림과 동시에 터질 것 같이 아픈 경우도 잦았지만 현재는 많이 줄어들었다.  이전엔 조금만 자극을 받아도 인상 찌뿌리면서 귀를 붙잡고 참을 정도였지만 지금은 그 자극 받는 정도가 많이 줄어 들은 것 같다. 특히 통증의 정도 훨씬 많이 줄어 들었다. 

귀 통증이 시작될 때 어쩔 때는 갑자기 큰 통증과 함께 고름이 줄줄 흐를 정도였는데 이 증상은 이제 없어졌다. 그리고 이 귀 이상 때문에 발란스 잡기가 힘든 경우가 많은데 이것도 꽤 많이 완화가 되었지만, 아직 머리 감을 때 눈 감고 서있을 때 종종 휘청이곤 한다.

3. 구내염

하 씨... 진짜 이 놈 때문에 치료 내내 고생한 거 생각하면 진짜... 아후... 지금은 말끔히 사라졌다. 항암 치료 경험자들은 잘 이해하겠지만 일반인들의 구내염과는 차원이 다르다. 새끼손가락 반 정도 되는 사이즈의 놈들이 여기저기 열대우림 만들 기세로 일어난다. 사실 구내염은 치료 끝나면 1,2 주 정도 있다가 사라지긴 하기 때문에 젤 괴로운 후유증인 동시에 가장 빨리 탈출할 수 있기도 하다. 방사선 치료에 의한 구내염의 통증이 10 정도였다면 항암치료에 의한 구내염은 한 5 정도로 기억하는데, 항암 때의 구내염이 훨씬 견디기가 수월 했다. (그만큼 방사선 치료 때의 구내염은 죽을 만큼 괴롭다) 

치료 동안 구내염 약들의 도움을 어느정도 받긴 했지만 어쩔 수 없이 참아야 한다. 진통제 먹어도 아프긴 하지만. 이건 그냥 치료 끝나고 서서히 없어진다.

4. 손/발 신경통

지금으로서는 가장 짜증 나고 힘든 후유증이다.  예를 들어 단추를 못 매고, 동전을 줍지 못하고 할 정도였고 그때는 키보드도 독수리 타법으로 쳐야만 했는데 그래도 제대로 조준이 안 돼서 오타가 나기도 했었다. 발 쪽은 뭐 밤에 잠을 잘 못 이룰 정도로 아팠고 수면제 먹고 자도 깰 때도 있었다.

이 모든 것들이 참 많이 나아졌다. 아직까지 하루 세 번 진통제나 다름없는 뉴론틴을 꼭꼭 먹어야 할 정도긴 하지만 증상 자체는 많이 완화되긴 했다. 아직도 날씨라도 흐린 날이면 약도 안 들을 정도로 저리고 아프고 쑤시고 하지만 쨋든, 초반 힘듦 정도가 10이었다면 지금은 4 정도로 내려가긴 한 것 같다. 일단 일상생활을 불편하지만 꽤 할 수 있는 정도다.

 

5. 변비

암 치료를 하다 보면 진짜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생활 속 불편한 증상들의 관념들이 펑펑 깨진다. 그만큼 강도가 심하게 다가오는데 이 중 변비도 지금까지 인생에서 겪어왔던 놈과는 전혀 다른 우주적 세계관을 가진 무서운 놈이었다. 뭐 일주일 동안 대변을 못 하는 건 다반사고, 그러다 보니 정신적으로도 얼마나 지저분해지는지... 근데 그게 또 (심지어 약을 먹고도) 나올 때 가만히 나와주지도 않고 정말 별이 사방 군데 보이면서 기절할 뻔할 적도 참 많았다. 이것도 치료 후 몇 주 정도 지나니 꽤 정상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치료 후 편한 방귀가 나오는 시점이 있는데 그때는 셀레브레이션을 해야 한다. 몸이 슬슬 정상으로 돌아가겠다고 신호를 보내는 거다. 아직은 10 중의 7은 설사긴 한데, 일단 하루하루 대변을 매일 볼 수 있다는 것 자체에 너무 감사하고 있다. 

6. 미각

이건 방사선에 대한 후유증이다. 비인두암 방사선 치료하면서 환우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왜 미각이 오복 중에 하나라고 하는데 절실히 깨달을 수 있게 된다. 일단 치료 끝나고 약 4개월 정도 지나서 미각이 돌아오고 매운 것도 점점 먹을 수 있게 된다. 

입맛에 약간 변하긴 하는데 처음엔 신 맛을 잘 못 느끼거나 했는데 지금은 큰 문제는 없다. 근데 옛날에 좋아했던 음식들이 맛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라면. 예전처럼 그렇게 맛있지 않다. 이런 음식들이 꽤 생긴다. 그리고 매운 음식도 예전에 10을 먹을 수 있었다면 지금은 6? 정도 먹을 수 있게 된 것 같다. 이제 너무 매운 거 먹으면 탈 나고 하루 왼 종일 고생한다. 함부로 매운 아귀찜 먹었다가 골로 가시는 줄 알았다.

어찌하였건 맛이 강한 음식들은 이제 잘 못 받아들이는 것 같고, 뭐 젤 중요한 건 저염식을 하다 보니 일반 식당에서 파는 음식들, 회사에서 나오는 음식들이 모두 다 짜게 느껴지긴 한다. 그래서 국이나 탕 같은 것에 물 부어 먹기 일수다. 이전엔 짠 음식들도 참 좋아했던 것 같은데 지금은 좀 거북스럽다고 할까? 근데 이건 후유증이라기보다는 저염식에 대한 습관에 대한 영향이 더 큰 것 같긴 하다. 

미각 상실은 비인두암 방사선 치료 때문이고, 일반 항암치료는 해당되지 않는다. 근데 항암치료 때 배식할 때마다 나는 그 음식 냄새가 어느 순간부터 토할 것 같은 느낌이라 배식 시간에 밥 안 받고 어디 도망가 있을 정도였다. 그런 한식 냄새에 대한 트라우마 때문에 치료 완료 후 몇 달은 한식을 못 먹었다. 죄다 양식 위주로만 먹을 정도였는데 지금은 한식도 아주 잘 먹고 있다. 

7. 이물감

먹는 것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부분이었는데, 목의 이물감이다. 1번에서 말했던 그 농이 달랑달랑하거나 달라붙어 있어 삼키려고 하는 음식들이 걜 건드리면서 소름 돋을 정도로 역한 기분도 들고 음식물 삼키는 행위 자체도 힘들다. 지금도 그 증상이 좀 있긴 한데 정말 많이 완화되었다. 뭐 몇 년 동안 겪다 보니 좀 익숙해진 부분도 있긴 하나 느껴질 때의 그 더러운 느낌이 10이었다면 지금은 3 정도? 집이나 가족들과 밥 먹을 때는 느낌이 나면 바로 화장실 가서 가래를 처리하고 오는데 타인들과 밥 먹을 때는 항상 그럴 수 없으니 그냥 꾹 참고 먹는다. (이젠 어느 정도 참을 만하다는 것)

8. 근육 손실

오랜 기간 동안 거의 누워서 생활을 하다 보니 근육 손실이 꽤 크다. 치료 끝나고도 한 동안은 지팡이를 짚고 다녔다. 그리고 제자리에서 혼자 못 일어나고 짐도 거의 못 드는 수준이다. 이건 치료 후 얼마나 운동을 열심히 하는지와 관계되는 것 같다. 일단 치료 후 얼마 지나면 좀 살만해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생활 운동량이 늘어나서 걷거나 이런 것이 어느 정도 안정된 정도로 돌아오는데 운동을 더 열심히 해야 더 편해질 수 있는 것 같다. 

9. 각종 정신과 관련 증상들

몇 달은 수면제와 알프람에 빠져 살았던 것 같다. 그만큼 끊는 것도 힘들었다. 정말 수면제와 알프람 같은 정신 안정제는 무서운 약이다. 하지만 독한 만큼 도움도 많이 되었다. 

치료 중에는 너무 몸이 힘들고, 입원실 침대에 있는 게 지겹도록 힘들고 하다 보니 수면제 먹고 나 자빠져버리는 게 제일 편하긴 했다. 방사선 때는 항암의 무서움도 몰랐고 이것만 지나면 나을 수 있다는 희망과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잘 버텨내었던 반면, 몇 년 안돼서 폐 전이 의심으로 다시 항암에 들어가야 한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는 완전히 무너져 내렸었다. 

그래서 치료 후에도 우울증까지도 생기고 수면제와 알프람에 많이 의존하게 되었다. 그리고 굉장히 낙천적인 동시에 어마어마 예민한 까닭에 사회생활이 참 싫은 사람이다. 상처도 많이 받고 열도 많이 받고. 그러다 보니 조금만 자극을 받아도 크게 작용하는 것 같기도 하다. 그래서 웬만하면 나랑 안 맞는, 스트레스 줄 기미가 보이면 가능한 선에서 바로 피해버린다. 그 사람들 때문에 내 정신이 좀 먹어가는 게 너무 싫어서. 

일단 우울증 관련은 많이 좋아져서 정신과 치료는 그만둔 상태고, 수면제도 출근 전 가끔 수면 유도제 먹는 정도다. 전에는 꿈도 정말 리얼하고 정말정말 길었었는데 지금은 꽤 짧아지기도 했고 기억이 안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알프람도 하루 두 번 먹을 때도 많았는데 (꾸준히 세 번씩 먹는다면 중독으로 가는 스타트 끊었다고 보면 된다고 한다) 사람 스트레스받아서 못 견딜 때 아주 가끔 한번 먹기는 하는데 전처럼 매일 꼭 꼭 챙겨 먹지는 않는다.  

 

728x90
반응형

 

초우의 영상으로 초묘의 여름밤 FMV를 만들어 봄

♥ 유튜브 구독자가 드디어 100을 달성했습니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bar groovie78

City Pop, K-pop, Showa Idol, K-Idol, AOR, Future Funk, Funk, Pop

www.youtube.com


영화, <초우 草雨> 

草雨는 풀밭에 내리는 비라는 뜻이며, 이별의 슬픔으로 흐느끼는 울음소리를 이에 빗대어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초우 草雨>는 정진우 감독, 신성일-문희 주연의 1966년작으로 영화 속 가득한 '가짜'와 '허세'가 주 관람 포인트인데, 가난한 청춘남녀가 서로의 출신을 잘 나가는 기업가, 대사의 자식이라고 포장하며 만나 서로 속고 속이는 연애 드라마로, 어떻게 말하면 거짓으로 본인을 치장하기도 하는 요즘 인스타그램 허세병(남에게 잘 보이고 싶은 청춘의 가식병이라고 해야 하나)에도 비유할 수도 있을지 모르겠다 ㅎㅎ.

대표적 인스타 허세 류: 사진 출처 MCARFE

음... 청춘영화긴 한데, 나름 파국의 반전을 가지고 있고, 유튜브 영상은 초반의 해피한 부분들만 뽑았다. 비가 와야만 예쁜 레인코트를 입고 외출할 수 있어 비 오는 날만 기다리는 여주의 그런 행복에 들뜬 감성과 여름에는 유독 시원하게 느껴지는 비라는 테마가 '여름밤'이라는 노래를 들을 때마다 생각이 나서 편집해봤다. 워낙 음악이 상큼하고 시원하다 보니 그 독한 여름밤 내리는 시원한 비 같은 느낌이 많이 떠오른다. 오래된 흑백 영상과 상큼한 요즘의 청춘 사운드가 전혀 안 어울릴 것 같기도 하지만 뭐 개취라 나는 좋다 ㅎㅎ (자꾸 영화는 칙칙한데 상큼한 노랠 왜 가져다 붙였냐라는 소릴 계속 들어서...ㅜㅜ) 사실 영화를 보면 66년작이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만큼 세련된 영상미로 그 시절 프랑스 누벨바그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어서 전혀 촌스러운 느낌이 들지 않는다. 이 이유 때문에 55년이 지난 지금 봐도 몰입하는데 크게 힘들지가 않다.

시청, 명동 등 당시의 힙한(?) 서울의 시티 라이프를 엿볼 수도 있다

<초우>의 주제가는 패티김이 불렀는데 당시 미국진출을 꿈꾸던 패티김을 본격적으로 한국에 적을 두고 활동하게 만든 만큼, 그녀의 일생과 한국의 대중음악 역사에서도 중요한 노래가 아닐까 싶다. 영화의 시작과 마지막에 두 번 흐르는데 스토리의 반전 때문에 그 듣는 맛이 다르기도 하다. 영화처럼 패티 김의 노래도 일반 트로트가 아닌 왈츠리듬이 섞이며 상당히 세련된 사운드를 들려준다. 대체 1966년 한국에 무슨 일이 있었길래 이런 세련된 콘텐츠가 등장했을까?

 

나윤선 - '초우' [윤도현의 러브레터, 2002] - 영화나 음악도 프랑스 느낌이 많이 나서 그런지 재지한 나윤선의 버전도 꽤 괜찮다

아래는 <초우>를 볼 수 있는 유튜브 링크인데, 이 한국 고전영화 채널에 들어가면 상당히 많은 옛 한국 걸작 영화들 (심지어 레스토레이션 버전도 많음)을 만나 볼 수 있다. 패티김의 노래는 재생 버튼을 누르자마자 시작되고, 후반부의 노래는 (1:39:02)부터 들을 수 있다. 

 

초우(1966) 복원본 / Early Rain ( Chou ) Restoration Ver - 한국고전영화 Korean Classic Film

 


초묘의 discography

인디 팝 밴드, 초묘 超妙의 디스코그래피 소개

2018년 결성되어 지금까지 총 10개의 Single을 발표했다. '여름밤'이란 곡은 이미 2016년 허즈 밴즈의 곡으로 소개된 적이 있다. 초묘나 허즈밴즈나 그렇게 많은 정보들이 있는 게 아니어서 어떤 관계인진 모르겠지만, 일단 허즈밴즈와 초묘의 '여름밤' 두 곡 모두 이주현이라는 동일한 보컬 피처링 타이틀이 올라가 있다.

chomyo Instagram

밴드의 이름의 정확한 뜻은 모르겠지만, 대충 보면 超는 초사이언인의 초처럼 초월하다, 뛰어넘는다는 의미고, 妙는 절묘하다 오묘하다처럼 아름다움과 관련 있는 의미다. 밴드의 소개를 보면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고자 결성한 팀입니다"라고 하는 것을 보니 아마도 위 한자의 의미와 연관이 있을 것 같다. 

 

허즈밴즈의 '여름밤' 2016, 이 좋은 음악에 누가 싫어요를 하나 눌러놨을까??? 😕

그리고 허즈밴즈의 신용희 베이시스트가 초묘팀에도 속해있고, 이 '여름밤'이라는 곡의 작사/작곡가로 이름이 올라가 있는 것으로 보아 허즈밴즈 이후 다시 초묘란 팀을 꾸린 것 같다. 초묘 오피셜 유튜브의 [작업실 쿵짝쿵짝]을 보니 이 이주현이란 분도 붙박이 보컬로 활동하시는 듯.  암튼 약간 재즈와 포크 느낌이 더 했던 원곡을 좀 더 꽉 찬 느낌의 시티팝 풍 편곡으로 재탄생시켰다. 원곡도 한 번 들어보자!

(1:01:14에 초묘의 '덮어가요'가 있음) 

지난 몇 년 간 한국에서 유행한 레트로 K-Pop에서 단연 눈에 띄는 인디그룹 중 하나다. 비슷한 느낌으로는 behindthemoon도 추천한다. (이번에 나온 신곡, '그림일기'의 청춘 감성 완전 굿!) 하지만 우리가 아는 밝고 빠른 템포의 청량한 전형적 시티팝이라기보다는 좀 더 소울이 담겨있으면서도 포크적 느낌이 더 돋보이는 멜로우 웨이브 사운드로 들린다. ㅇㅇ, 포크 성향이 강한 인디 팝 사운드가 이들을 설명하기에 더 맘이 편하다. 그렇다고 시티팝이 아니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 이런 멜로우 웨이브 느낌 때문에 도시 감성을 잘 담고 있기도 하다. 그래서 지금 유튜브에 하고 있는 시티뮤직솎아보기 시리즈의 플셋에도 지속적으로 이들의 음악을 추가하고 있다.

이들의 10개 음악을 강약으로 분류해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빠름 류, 미드 템포 류, 약간 느리지만 그루브 있음 류, 느린 류.빠름 류로는 단연 '여름밤'이 원탑이고 그래도 포크 성향이 강하긴 한데 가장 시티팝에 가까운 노래다. 촉촉함 상큼함 상쾌함 청량함, 심지어 감미로움도 느껴질 감성으로 무장한 이 러블리한 곡을 뛰어넘을 싱글은 아직 없는 듯하다. 그만큼 정말 좋은 노래다. (갠 적으로 좋아하는 청춘 감성도 오지고 말이지...)

 

'손을 잡고 걸어요' Live

미드 템포 류로는 '손을 잡고 걸어요', 'Blind', '2시 51분'인데, '2시 51분'은 이들의 첫 데뷔 타이틀곡이자 'Blind', 'Good night'과 함께 남성 보컬이다. 이 역시 포크 느낌이 강한 미드템포 인디 팝 사운드들인데, 이 중 '손을 잡고 걸어요'가 아마도 '여름밤'에 취해 초묘의 음악을 찾은 리스너들을 약간이나마 달래 줄 트랙이 아닐까 싶다.  

 

별빛아래

약간 느리지만 그루브 있음 류부터는 소울 특유의 미드나잇 그루브스러운 느낌 때문에 감미로움이 더해진다. '별빛 아래', '너라면 웃어 줄텐데', '덮어가요'가 요 분류에 속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별빛 아래'는 좀 더 비트가 있는 그루브와 함께 감미로움을 느낄 수 있는 감성적 음악이다. 초묘의 가장 최신 싱글인 '덮어가요'도 특유의 맑은 보컬과 잘 어우러지는 곡인데 오히려 동트기 바로 전 새벽녘에 들으면 참 잘 어울릴 것 같다. 이 곡을 듣고 있노라면 이슬 한 방울 한 방울이 느린 듯 뚝뚝 떨어지는 느낌이다. 

 

느림 류들이 트랙들은 포크/락 느낌이 훨씬 더 강하고 때로는 텅 비어 허공 속에 둥둥 떠다니는 느낌의 드론 drone 감성이 많이 들어있다. 이 분류에서는 '여기 있을래'를 가장 추천하는데 촉촉한 보컬의 감성이 여기서도 한 몫하고 있다. 초묘라는 팀의 음악에서 이주현의 보컬이 감성을 더하는 부분이 정말 어마어마한 것 같다. 오케스트랄 버전으로 웅장하게 만들어도 참 괜찮을 것 같은 트랙이다.  그 외 '그 봄은 그 봄이 아니고, 그 여름은 그 여름이 아니었다', 'Good Night' 이 있다. 

 

 

728x90
반응형
유튜브 플셋 ㄱㄱ

잠수교를 고프로로 찍어보았는데 녹색느낌이 약간 <폰>같은 공포영화처럼 나왔다...ㄷㄷㄷ

🥂:베오베
🥤: 사이다처럼 청량한 전형적인 시티팝
🍸: 감미로운 미드나잇 그루브 (R&B, Soul, Lofi, Jazz Lounge, Funk, Hip Hop, Down Tempo)
🌴: 상큼한 열대 트로피칼리아, 라틴 보사노바
🍺: 시원하고 프레시한 인디팝, 멜로우웨이브, 포크
🌐: 댄서블한 팝, 디스코, 하우스, Funk, 신스웨이브, EDM
🎸: 락, 신스팝, 블루스. EDM (Down/Midtempo)
🎙: 복고감성 AOR, 레트로 발라드


Playlist:

(00:00) 1. 4월 유키카 시티팝 하이라이트 #timeabout #시티팝여신 🥤🍺
(00:58) 2. 빛나네 - 정차식 4/9 🎸🥂
(02:32) 3. 사랑은 원래 이렇게 아픈 건가요 - STAYC 4/8 🍸
(03:38) 4. Lover - 함병선(9z) 4/8 🎸
(04:48) 5. I Can't Sleep - BAE173 4/8 🍸
(05:35) 6. Back to You - 조규찬 4/8 🎸
(06:54) 7. Insomnia - Yukika 4/7 🌐
(08:10) 8. Leap Forward (Instrumental) - Yukika 4/7 🥤🥂
(08:48) 9. Time Travel - Yukika 4/7 🥤
(09:27) 10. 내가 바다 던져버린 것은 - TETE 4/7 🎸
(11:14) 11. Wake Up - from all to human, smoothejam 4/7 🍸
(12:39) 12. 깨어있어 - noovv 4/7 🍸🥂
(13:30) 13. 모래성 - D-Crunch 4/6 🎸
(14:23) 14. Dream Lover - 민재 of 소나무 4/6 🌐
(16:22) 15. All Stars - Astro 4/5 🌐
(17:52) 16. Counting Stars - Andnew, PURE100% 4/4 🎸
(18:32) 17. You and I - NIDA 4/4 🍸
(20:15) 18. Like a Star, Like the Moon - Ripley 3/31 🍸
(21:23) 19. New Me - 우주소녀 WJSN 3/31🌐🥂
(23:18) 20. Moonlight ft. 송예린 - 헤르쯔 아날로그 3/30 🍺 🥂
(24:59) 21. 그 모든게 사랑이더라 - 모은 3/29 🍺
(27:11) 22. Slowly Loving You - 남궁진영 3/27 🍺
(28:24) 23. Organic Love - 포이트리, 영준(브라운아이드소울) 3/26 🍸
(29:57) 24. Come Close to Me - AOORA 3/23 🎸
(31:03) 25. Afterlife ft. OOHYO - Spacecowboy 3/22 🍸
(32:35) 26. 어쩌라고 - 기리보이 3/22 🍸
(34:00) 27. 우리의 밤 Blurry Night - 아무사이 3/21 🥤
(35:43) 28. Ordinary Love - P-Type 3/18 🍸
(37:26) 29. 별빛 Starry Night - 진자림, 유키카 3/16 🥤🥂
(39:16) 30. Ordinary Fay - GOLDPIG 3/15 🍸
(40:10) 31. 다시 봄이 오나 봄 - 이시은 3/15 🍺
(41:52) 32.White Rose - Jason Lee 3/14 🍸
(43:02) 33. 그 한마디 (바른연애 길잡이 x 이하이) - 이하이 3/14 🎙🥂
(43:37) 34. 미안해하지 마요 - 이제 3/11 🍺
(44:54) 35. 심술 ft.0back - 공기남 3/10 🍺
(45:48) 36. 졸업 눈물 - 윤종신 3/10 🎙
(47:31) 37. Piano Song ft.Dan - 슬슬 3/9 🍸🥂
(49:19) 38. 언제나 믿어 - 이츠허밍 3/8 🍺
(50:38) 39. 괜찮은 척 - 문현아, 박민하, 이유애린 3/8 🌐
(51:55) 40. Blue Turns Pink - Stella Jang 3/6 🍺

Video Credit: 그한마디(바른연애길잡이X이하이) - 이하이 / TJ Karaoke, 우주소녀 - Unatural MV, Ripley - fool to love MV, Andnew - Like a Stranger MV, Astro - 고백 MV, [CRUNCH TV] D-CRUNCH Hyunoh - Nolie, Drone Williamsburg Bridge night, 4k - the Dronalist, 사랑했다 - BAE173 MV, StayC Preview Concept Movie

 

유튜브에는 4월10일(토)에 업로드했는데 그 주말에 넷플릭스에서 개봉한 <낙원의 밤>을 보고 너무 충격받은 나머지 주말에 모든 열정을 <낙원의 밤> 포스팅에 집중을 하여 시티팝 시리즈 포스팅은 좀 늦게 올라오게 되었다. 

 

[스포있음] 넷플에서 <낙원의 밤> 보고 빡쳐서 왓챠에서 <소나티네> 다시 본 후기

※ 스포 있음이라고 표시하긴 했는데, 영화 자체가 무엇이든 워낙 예상하기 쉽게 만들어놔서 뭐 의미가 있나 싶긴 하다. 진짜 어떤 메타포든, '어? 이렇게 될 것 같은데?' 하면 무조건 그렇게 되

electronica.tistory.com


어김없이 그녀가 돌아왔다, Yukika [timeabout EP]

K-Pop의 시티팝 신에서 유키카의 신곡 소식은 언제나 반갑다. 이번엔 싱글도 아닌 EP로 돌아왔지만 솔직히 말하면 유키카의 음악은 <Neon> 이후로는 쭉 하양세인 것 같고 약간 들쑥날쑥하다. 그나마 작년의 <서울 여자> EP도 괜찮긴 했는데 싱글로 따져보면 정말 'Neon'이 부동의 원탑이고 그다음으로는 '그늘' 정도로 생각된다.  베스트 트랙으로는 뜬금없이 경음악 인트로인 'Leap Forward'를 뽑았는데, 항상 앨범 나올 때마다 이런 짧은 시그니처 시티팝 사운드 인트로/아웃트로가 있는데 꽤 괜찮다. 타이틀 곡들도 이 아이덴티티와 많이 밸런스를 맞추었으면 좋겠다.

이번 앨범 타이틀 'Insomnia'도 괜찮은 곡이긴 하나 갠적으론 더 funky 하고 발랄한 느낌의 'Time Travel'을 더 추천한다.  정말 'Neon'을 날려버릴 타이틀이 안 나올 것인가. 다만 [timeabout] 앨범에는 안 들어 있지만 샌드박스 뮤직의 [체인지 업] 앨범에 트위치 스트리머 진자림과 듀엣으로 부른 '별빛 Starry Night'은 딱 우리가 듣고 싶은 그 시티팝스러운 음악으로 뭐 2021년 4월 지금까지 베스트 시티팝 싱글 중의 하나로 뽑을 만하다. 

[체인지업]은 샌드박스에서 크리에이터+뮤지션 팀 컨셉으로 만드는 영상물인 것 같은데 그 중 이 둘이 팀인 것 같다. 샌드박스도 잘 모르고 진자림이 누군지도 잘 몰라서 미안한 얘기지만 난 유키카 팬인 데다가 이 노래가 너무 좋아서 유키카 단독 타이틀로 나왔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진자림의 보컬이 기교가 없는 생소리를 내는 점에서는 상당히 괜찮게 생각하지만 너무 애기 목소리라 애니매 주제가 같은 느낌으로 들리기도 해서 약간 좀 아쉽다. 

 

[Making Film] 유키카(YUKIKA) - 별방울(PUNG!)

그리고 개취는 아니어서 플셋에서는 제외했는데, 상당히 상징적인 트랙이 이번 EP앨범에 들어있다. 바로, 박문치 와 달총(치즈)과 함께 한 '별 방울 PUNG!'이란 트랙이다. 편하게 들을 수 있는 좋은 노랜데 작사 (박문치, 달총, 안신애), 작곡 (박문치, 달총, 안신애), 편곡 (박문치)의 ㅎㄷㄷ한 타이틀에는 약간 아쉬움이 있다. 

박문치 와 달총은 이미 CSVC (치스비치)로 핑클/SES를 모티브로 한 90년대 레트로를 표방하는 뻔뻔한 사기(?) 걸그룹으로 팀을 꾸려 활동하고 있다. (나머지 멤버는 스텔라 장과 러비) 달총은 치즈의 원맨 멤버로서 이미 메이저 인디라고 봐도 될만한 인디계의 거성이고, 박문치 또한 레트로 계열의 음악으로 인디신에서 많은 두각을 보인 상태다. 따라서 유키카와의 이런 작업이 엄청나게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는데 이번으로 끝나지 않고 또 한 번 꼭 봤으면 좋겠다. 유키카한테도 너무 잘 된 일이다! 아니면 유키카를 CSVC의 막내 멤버로 영입을!! CSVC+K (치즈-스텔라 장-러비-박문치-유키카) 어떻슴까? 

왕언니, 대답 좀...

 

[K-Pop] 넘사벽 달달 보컬, 달총의 Cheeze (치즈) 입문곡 몇 개

언제나 그런 '튀고' '맑고' '달달하고' '아름다운' 보컬 사운드를 만날 때의 그 반가움이란 이루말할 수가 없다. 그리고 치즈, 달총의 저 달달한 보컬은 뭔가 또 하나의 넘사벽으로 느껴진다. 위

electronica.tistory.com

날씨도 좋아지고 몇 개월(?) 있으면 여름인데 말 나온김에 들어보자. S.E.S와 핑클의 유전자를 진하게 느낄 수 있는 CSVC의 데뷔곡, 'Summer Love'다.

Released: 2019.9.2 

그리고...

[보이는 스테이션] 김현철X유키카 '시티팝편' - ALL ROUND K-POP 'SEOUL MUSIC 8화

Seoul Music이 주최한 "낭만이 필요한 시대의 음악 시티팝편"이라는 캐치 문구로 4월 9일 유튜브 라이브로 진행된 김현철과 유키카의 시티팝에 대한 이야기 영상이다. 아이돌 콘셉트 때문인지 유키카 관련 콘텐츠는 항상 게임이나 트렌디한 느낌의 코믹 스낵 영상 같은 걸로만 소통되는 게 대부분이었는데, 음악은 시티팝으로 밀고 있으면서 정작 그녀의 시티팝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는 못 들어 본 것 같았는데 그런 이야기를 아쉽지만 조금이나마 들어볼 수 있게 된 기회의 영상이다.  (뭐 딱 잘라 말하면 신규 앨범 홍보영상임) *다음 회엔 치즈와 박문치가 출연한다고 함. 이것도 보면 좋을 듯.

 

횡계에서 돌아오는 저녁  - 김현철

김현철의 많은 히트곡과 사랑받는 곡들 중 다들 개취가 있을텐데 나는 이것. CD 사서 들어볼 때 원래 하나하나 빨리 넘겨듣는게 대부분이었는데, 이 트랙은 끝까지 넘길 수가 없었다. 드럼 소리가 매우 인상적이었던... 


 

블루지 Bluesy한 느낌 한 가득, 공허롭고 로맨틱한 정차식의 '빛나네'

처음 음악을 듣고 포스를 보니 신인은 아닌 것 같은데 이름은 첨 들어봐서 누구 지하고 찾아보니 꽤 전력치가 있는 아티스트였다. 1993년 결성된 레이니썬 (Rainy Sun)이라는 메탈 그룹의 멤버였다. 하도 독특한 음악성 때문에 당시 "귀곡메탈"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던 모양이다. 

외설 - Rainy Sun from <유감>

실제 들어보니 한국 락그룹에서는 정말 들을 수 없을 독특한 색깔을 지니고 있다. 다만 내 취향은 아니라서 패스. 그나마 1.5집 <유감> 앨범의 '외설'이라는 음악이 개인적으로 맞는 것 같다. 전혀 메탈은 아니고 오히려 얼터너티브 락 성향을 가진 앨범인데 (쥴리아 하트나 언니네 이발관 느낌?) 정차식의 보컬은 여전히 독특한 음악이다. 추가로 이번 정차식의 '빛나네'에서 들을 수 있는 블루지한 느낌을 이 트랙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 

 

2013년 브릿 어워드의 최우수 남자 보컬 부분의 후보에 올랐던 곡이다

이런 블루벨벳 연상되는 한 블루지한 끈적한 음악을 좋아하는데 위스키에 정말 딱 어울리는 사운드인 것 같다. 이 공허하면서도 낭만적인 리듬과 사운드와 보컬! 포크 블루스, 블루스 락, 스토너 락 얘기하면 난 맨날 톰 웨이츠 Tom Waits랑 닉 케이브 Nick Cave 얘기만 해대서 좀 예를 딴 아티스트로 들어보고자 리처드 헐리 Richard Hawley의 'Valentine'을 소개해 본다. 원래 'Lady's Bridge'란 음악을 더 좋아하는데 한 번 포스팅을 한 적이 있어서 이 노래를 소개한다. 뮤비 자체도 이 음악이 가진 정서를 자극한다. 영화 <아이리시 맨>의 후반 부를 보면서도 약간 비슷한 느낌을 받았었다. 오늘내일 죽어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에 고독한 자신, 그리고 나의 옛날을 돌아보며 어느 순간 한 기억에 자극을 받고 빠져드는 사건에서 피어나는 로맨티시즘. 

언제 한 번 더 이런 끈적하고도 미드나잇 그루브스러운 블루스 음악만 모아서 또 한번 포스팅을 해 보아야지! 자 아래는 옛날 관련 포스팅, 위스키에 어울릴 만한 블루지한 Stoner Rock 음악 모음과 위스키 관련 잡담이다.

 

[Whiskey] 위스키 music

Whiskey...on the Rock 나에게 위스키하면 떠오르는건 배우 윌리엄 허트다. 위스키와 그렇게 잘 어울리는 배우가 아닐 수 없다. 험프리 보가트 처럼 터프하면서도 부드럽게 카사블랑카에서 분위기를

electronica.tistory.com


 

잔잔하게 다가오지만 파도와 같은 감동의 멜로우웨이브, Moonlight

장르를 떠나서 2021년에 들었던 K-Pop 중 단연 베스트다. 릴리즈가 3/30이니 2021년 1분기 원탑 베스트로 뽑아도 무난할 듯싶다. 이건 그냥 처음부터 끝까지 듣자. 제목과 같이 헤르쯔 아날로그 음악 특유의 감미로움으로 잔잔하게 다가오는데 여기에 송예린의 독특한 소울 보컬이 얹히며 뭔가 마음속에 파도와 같은 감동의 울림을 전한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같은 모습의 송예린의 원숙하지 않은 보컬은 불안정 하지만 오히려 이것이 이 로맨틱한 러브송의 감성을 더 건드리는 듯싶다. 그래봤자 다들 정한 '자'에 맞는 어줍잖은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감탄하는 세상인데, 그것보다는 오히려 이런 불완정성이 더 아름다운 감성을 자극하는게 아닌가 싶다. 정말 취저 트랙이다.  

 

이런 감미롭고 아름다운 러브송에 조회수 1,600회가 말이 돼나, 눌러주자!

헤르쯔 아날로그는 2012년 데뷔 이후 큰 한방은 없어도 지속적으로 감미로운 음악들을 많이 발표했다. 종종 보컬 콜라보도 보여주었는데 와.. 정말 이번 송예린과의 콜라보는 앞으로도 쭉 이어주었음 할 정도로 너무 잘 어울렸다. 유튜브를 통해 송예린 그동안의 족적을 살펴보니 아직 앞 날이 창창한, 이제 갓 시작한 아티스트다. 

특이한 게 악보를 볼 줄 모른다고 한다. 오빠가 음악 선생님인데 오빠의 기타 치는 손 모습 보며 기타를 익혔다고 한다. 옛날 윤종신도 악보를 보지 못했지만 음악에 대한 사랑으로 지속적으로 음악을 만들어가고 부르고 했던 인디 시절의 예기를 들었던 게 떠올랐다. 부끄러운 과거 이야기이기도 한데, 옛날 방짝이 동네 밴드에서 베이스와 드럼을 하고 있었는데 그 친구도 악보를 볼 줄 몰랐지만 멀쩡히 음악을 하고 있는 걸 알았을 때 악보로 음악을 배운 나에겐 좀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오히려 그 경험이 이러저러한 선입견을 깰 수 있었던 좋은 기억으로도 남는다.

유튜브를 쭈욱 보는데 아직 자신에 맞는 음악 스타일이나 아이덴티티를 찾아가는 과정 속에 있는 것 같다. (아직 'Moonlight' 말고는 추천할 만한 곡도 없다.) 이게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예상될 정도로 독특한 소울 보컬을 가지고 있다. (약간 백예린, 유라도 이런 비슷한 보컬과) 그렇다 보니 이번 헤르쯔 아날로그와의 만남의 결과가 너무 잘 뽑혀서 다행이다.

 

본인의 음악 이야기에 대한 짧은 인터뷰 영상이다: 0:41부터 1:21 정도까지만 들어보자

시티팝 포스팅 하면서 멜로우 웨이브란 단어를 종종 쓰는데 존재하는 장르는 아니다. 시티팝 컴필레이션 들으면서 어디선가 이 워딩을 본 적이 있는데 기존 80,90년대의 전형적인 시티팝 말고 2000년대에 들어서서 록 음악, 특히 포크 계열에서 시티팝을 연상시키는 듯한 사운드들을 듣고 있었는데 거기서 멜로우 웨이브란 단어를 보았고, 꼭 짚어서 시티팝이라고 하기엔 포크나 인디팝 스럽지만 그렇다고 시티팝 스타일의 유전자가 있는 듯한 음악들을 가리키기엔 적합한 단어라고 생각했다. 예를 들어 로와 lowa의 'Balloon' 같은 음악. 이에 이 헤르쯔 아날로그의 곡도 편하게 멜로우웨이브 스타일이라고 혼자 부르고 있다. 내가 시티팝 스타일을 꽤나 넓게 보는 경향이 있다는 건 주의.

 

和モノ JAPANESE CITY POP & LIGHT MELLOW MIX - tonyholliy

시티팝 중에서도 빠르고 funky함과  AOR 발라드 사이에, 약간 재지 한 소울풍 미드나잇 그루브스러운 슬로우 템포의 사운드로 중간에 낀 애매한 음악들이 있는데 상당히 로맨틱하기도 하고 라운지스럽고 달콤하다. 요런 류를 가리켜 라이트 멜로우 Light Mellow 류로 부르는 유튜버가 있는데 이 말도 고개가 끄덕여진다. 위에서 말한 멜로우 웨이브랑은 약간 다르지만 말 나온 김에 이 사람이 정의하는 Light Mellow City pop 스타일을 들어보자. 꽤 달달하고 달콤하다.


 

새벽 드라이브 용으로 딱 좋은 우주소녀의 일렉트로 가득한 레트로웨이브

걸그룹이지만 옛날부터 레트로 느낌 나는 일렉트로 사운드가 가미된 은근히 강한 느낌의 곡들을 많이 발표했다. (전작 'Butterfly'는 물론이고, '행운을 빌어', 'You Got' 등) 항상 발표하는 음악들도 잘 떨어지고, 춤은 물론 노래 참 잘하는 수준급 걸그룹 팀 중 하나다. 

Butterfly - 이달의 소녀 2019

이렇게 '쎄'면서도 세련된 사운드를 구사하는 또 하나의 걸그룹이라면 우주소녀 말고도 이달의 소녀를 들 수 있을 것 같다. 블랙핑크, 레드베... 아..., 트와이스 이런 S급 팀들은 그냥 자신들만의 저 세상 사운드를 구사하는데 그나마 블랙핑크? 정도가 '센' 느낌의 음악을 구사하긴 해도 뭔가 그 팀의 유전자는 그 레이블이 항상 추구했던 신디 로퍼나 비비엔 웨스트 느낌의 감성이라 우주소녀나 이달소 같은 팀의 유전자와는 확연히 다르다. 암튼 이런 소녀들의 '강함'류 사운드는 아무리 아무리 생각해도 이달소의 이 노래가 원탑인 것 같다. 엄청난 절재 미와 세련됨이 어우러진 매력적인 곡이다. 

Siamese Youth - Making Me High

암튼 우주소녀의 'New Me'를 음악을 듣고 있으면 정말 새벽 드라이브용으로 딱인데, 80년대 무거운 일렉트로 사운드가 핵심인 신스웨이브나 다크 웨이브 장르에서 이런 매력을 많이 느낄 수 있다. 이런 류의 음악을 들으면 2000년도 후반 Valeri Collective 시절의 신스팝, 신스 웨이브, 일렉트로 하우스 음악들이 많이 연상된다. 그래서 들어보자. 우주소녀보다는 하나는 약간 팝스럽고 Chill 한 느낌, 하나는 좀 더 일렉트로가 가미된, 이 트랙들도 새벽 드라이브 용으론 딱이다. 발레리 시절은 아니고 요즘 음악으로 ㅎ

 


그 외 잡담들:

이제 좀 트렌드가 지났을까? 하는 느낌도 없지 않아 있지만 여전히 도시적인 음악들은 지속적으로 흘러나오고 있었다. 

🥤 전형적인 시티팝 음악들:

전형적인 시티팝 스타일의 음악들은 계속 줄어들어 가고 있는 느낌이다. 대신 미드나잇 그루브일까 싶을 소울풍이나 포크 인디 팝 성향이 약간 강한 음악들은 꾸준히 나오고 있는 것 같다. 위에서 언급한 유키카의 트랙들 외로는 아무 사이의 "우리의 밤 Blurry Night" 정도 귀에 들렸다.

 

다만 플셋에 추가하지는 않았지만 이전부터 인상깊은 시타팝, Future Funk, Vapor Wave 사운드의 리믹스를 들려주었던 핫싼의 (지금은 유튜브가 VapeKrown으로 바뀐 건지 이 안으로 소속되어버린 건진 잘 모르겠다...) 브레이브걸스의 낭만적인 사운드의 시티팝, "운전만해"의 리믹스 버전이 있어 소개한다. 쁘걸의 역주행의 영향력은 메이저 뿐 아니라 인디계에도 그 마성을 뻗치고 있는가 보다. 

🍸: 감미로운 미드나잇 그루브

항상 플셋에 많은 파이를 가지고 있는 스타일이다. 시티팝의 밝고 청량한 부분만 쏙 뺀다면 아마 이런 스타일로 거의 다 떨어지지 않을까 싶다. 슬슬 프로젝트의 "Piano Song"을 듣고 강한 인상을 받았다. 계속 듣다 보면 피아노와 매력적인 라운지풍 보컬이 가미된 다운 템포스럽고 몽환적인 곡에 쏙 빠져든다. 아티스트의 정보는 거의 찾을 수가 없었다. 비 오는 늦은 도시의 새벽 배경으로 너무나도 딱인 노래다. 빠져든다! 느낌 있다!힙합 중에서는 noovv의 "깨어있어"가 가장 돋보였는데 역시 나는 이런 레트로 한 감성의 솔직하고 그루비한 낭만 힙합 사운드가 좋더라. 강력 추천한다.

 

김아름 Kim A Reum - 아쿠아 Aqua (feat. 뮤지) Saxophone Performed by Jay Kim

시티팝이 인기를 끌면서 그 특유의 알엔비 소울, Funk, 재즈 퓨전의 특징을 잘 살리는 색소포니스트의 앨범, 피처링 등의 활동 등도 눈에 띄는 것 중 하나다. 김아름의 <Aqua>와 <Winter City> 앨범에 피처링하여 각 타이틀 곡을 멋진 색소폰 연주로 보여준 Jay Kim과 (아마도 최근 시티팝 사운드로 채운 앨범 중 베스트 오브 베스트일) 브론즈의 <East Shore> 앨범에서 (특히 'Birds Eye View' 완전 사랑) 피처링한 Jason Lee가 대표적일 텐데, 이 중 Jason Lee의 모습을 뮤비로 공개한 'White Rose'도 눈에 띄었다.

90년대 화려한 밤과 도시의 낭만을 책임졌던 색소포니스트들: 제랄드 올브라이트, 브렉커 브라더스, 이정식, 캔디 덜퍼, 데이빗 샌본, 데이브 코즈, 보니 제임스, 네이지

이들의 연주는 앞서 말한 그 음악적 특성 때문에 어쩔 수 없이 80년대 후반과 90년대를 떠오르게 한다. 한창 재즈 퓨전 아티스트들이 많이 활동했을 그 무렵 국내에는 '아주 오래된 연인들'이 수록되어 있던 015B 3집의 'Santa Fe'를 연주한 이정식 색소포니스트가 있었고 외국에는 대표적으로 David Sanborn, Brecker Brothers, Najee, Gerald Albright, Boney James, Candy Dulfer, Dave Koz 등이 있었다. (음... 그리고 우리 어머니 최애 아티스트 중 하나인 Kenny G도... 있었지... 거기서도 그 불멸의 45분 참고 부르기를 시전 하셨는데 아마 나 때는 15분 정도였던 걸로 기억한다. 그리고 콘서트가 끝나기 40여 분 전부터 관객들은 지속적으로 퇴장하고 있었다. - 당시 케니 지의 컨서트가 길고 지겨운 걸로 꽤 유명했었다)

 

90년대의 시티팝 감성이 살아있는 Candy Dulfer의 소니 카세트 광고 

 

워낙 유명한 사람들이고 좋은 음악들도 많아서... 개취로 아기자기하고 상큼한 웨스트코스트 선샤인 팝(?>!?ㅁ) 느낌의 'Together Again'을 들어보자, 데이브 코즈가 연주합니다! 귀엽게 통통 튀면서도 감미로운 seaside breeze의 느낌!!!

 

Together Again - Dave Koz , , 1999

 

박남정의 자제분이 멤버로 있는 STACY의 경우 데뷔 싱글부터 비주얼은 물론 사운드 모두 레트로 한 신스팝 느낌의 댄스곡을 선보여 왔는데 이번 미니 앨범의 수록곡 "사랑은 원래 이렇게 아픈 건가요"도 댄스는 아니지만 기존 추구하던 느낌을 잘 간직하는 슬로우하면서도 그루비한 사운드를 들려준다.

화와이임

말 나온 김에 그녀의 아버지가 얼마나 그루비 했는지를 보여주는 새벽도시늑대 감성 간지 넘쳐나는 90년대 초반의 히트곡, '스물한알의 포도송이'를 들어보자. 마이크를 무슨 발레 하듯 곤봉처럼 아름답게 흔들어 대는 안무 속의 디테일 하나하나가 놀라운 곡이었는데 아래는 하와이 현지 배경으로 찍은 KBS 토요대행진 특집 뮤비로 시티팝 감성 오지지 않음? 앗싸 와이키키키키킼킼킼ㅋㅋ  이번 StayC의 음악도 좋긴 한데 다 이걸 위한 빌드업... 빨간 '91 포드 무스탕  LX 컨버터블을 타고 나타나는 박남정.

'91 스물한알의 포도송이 - 박남정 (하와이 현지 올로케)

 

🍺: 시원하고 프레시한 인디 팝

봄 기운 가득한~

아무래도 날씨가 좋아지다 보니 봄을 알리는 듯한 음악들도 꽤 많이 나왔는데, 특히 이시은의 "다시 봄이 오나 봄"은 어떻게 보면 시티팝 같은 느낌도 난다. 스텔라 장도 "Blue Turns Pink"를 통해 벚꽃이 연상되는 감미로운 포크송을 발표했고, 누가 봐도 인디스러운 사운드의 모은도 발라드로만 채워진 줄 알았던 미니 앨범 속 약간 시티팝스러운 감성의 곡을 숨겨 놓고 있었다. 바로 "그 모든 게 사랑이더라"

봄 얘기가 나왔으니 봄 내음 가득, 핑크 핑크 한 커버 걸스의 프리스타일 곡, '스프링 러브'를 들어보자.

Spring Love - The Cover Girls 1986

🌐: 댄서블 한 팝

시티팝 느낌의 댄스 팝, 'Dream Lover'가 눈에 띄는데, <턴: 더 스트릿 Turn the Street>의 OST 첫 릴리즈 곡으로, 한국판 <스텝업> 분위기의 드라마 OST인 줄 알았더니 영화라고 한다. 암튼 보기 드문 '일진' 없는 (없겠지?) 청춘물에 댄스까지 겸했다니 좀 기대해 본다. 근데 3월 대개봉이라는데 이미 개봉한 건지...??? 음악 OST도 요즘 젊은 느낌의 곡들로 많이 채워졌을 듯? 또 근데 트레일러에서 보여지는 연기들을 보내 좀 의심이 가기도 하고... 작사/작곡은 90년대 대표 댄스그룹이었던 구피의 박성호가 맡았고 보컬 타이틀에 민재 (소나무)라고 들어간 것 보니 걸그룹 소나무의 민재인 듯하다. 

 

소나무의 "넘나좋은것"은 이미 쁘걸 이후 또 다른 걸그룹 역주행 후보곡 중 하나로 꽤 언급되어서 식상할 것 같고, 갠적인 최애 곡을 소개한다. 약간 시티팝스러운 Funky 함과 디스코 사운드로 무장한 "국민 여동생"이란 2017년 곡이다. 

 

Nine Muses - Secret [Eng/Rom/Han] Picture + Color Coded HD - jenirus channel

그리고 "쉿", "뉴스", "둘이서", "기억해", "몰래", "글루", "휘가로", "드라마", "돌스" 등 나름 주옥같은 디스코와 Funky 한 곡들로 디스코그래피를 무장했던 팀이라 맘먹고 시티팝이랑 엮으면 얼마든지 엮을 수 있는 나이뮤지스의 문현아와 박민하가 이유애린을 얹혀서 'Always be'를 발표했다. 기왕이면 표혜미도 같이 얹히지 그랬어... 

🎙: 복고 감성 AOR, 레트로 발라드

마지막으로 레트로 발라드 쪽에선 이하이의 "그 한마디"가 참 좋았는데 그동안 계속 기교있고 진한 소울풍 보컬만 들려주다가 이번에 뭔가 많이 변화를 준 듯하다. 목소리도 막 떨리고 그런 부분이 노래랑 감성이 참 잘 맞는다. 그리고 복고는 물론이고 뭔가 이런 터질 것 같은, 전 플셋에 들어있던 정준일-SOLE의 "첫사랑"에서 이어지는 듯한 애튼 무한 청춘 감성 너무 좋다. 만약 중딩 시절 이 노래 들었으면 완전 열폭했었을 것 같다. 

유튜브서 커버송을 슬쩍 보니 요 두 개가 참 맘에 드는데 하나 고르기가 힘들어 두 개 다 같이 소개해 본다. 각자 나름의 매력이 있다.

 

[COVER]이하이 - 그 한마디 (바른연애 길잡이 ost) cover by 방쏭 - 방쏭 bangssong channel

 

 

이하이 - 그 한마디 (live) | 바른연애 길잡이 - dear chaewon channel

 

728x90
반응형

※ 스포 있음이라고 표시하긴 했는데, 영화 자체가 무엇이든 워낙 예상하기 쉽게 만들어놔서 뭐 의미가 있나 싶긴 하다. 진짜 어떤 메타포든, '어? 이렇게 될 것 같은데?' 하면 무조건 그렇게 되는 류의 영화다. 하여, 읽는 건 자유~


과연 <신세계>는 실수로 태어난 걸작이었던 것인가 아니면 <신세계>의 성공으로 감독이 배가 불러버린 것인가. 왜 이 영화는, 영화평에 관대한 나로 하여금 이 영화를 평가하는 나의 혓바닥을 날카로운 사시미로 만들어 버렸는가...

이 두 평론가의 케미도 꽤 괜찮다
이제 곧 매불쇼랑 라이너의 컬쳐쇼크에서 라이너가 얼마나 이 영화를 미친개 마냥 신나게 물어뜯어댈지 기대되는 상황이다. 오래간만에 독설을 뿜어내는 악마가 소환될 것 같은 느낌이다. 그래도 전찬일 평론가는 좋다고 판단할 부분들은 짚어 주시겠지...

'정말 침체기인가'하다 싶을 정도로 최근 야심 차게 나오는 메이저 한국영화 작품들 보고 실망을 많이 한 상태고 (반도, 도굴, 승리호 등등), <신세계>의 좋은 기억도 있고 언제나 매력적인 장르인 누아르 물이기에 정말 기대 많았던 <낙원의 밤>.

자, 나는 이 영화를 까기 위해 이 포스팅을 올린다 (멍석 깔기)

결론은 별 5개 중 1개. 넷플에서 보고 ㄹㅇ 빡쳐서 왓챠 들어가서 <소나티네>를 다시 보고 그 분노와 실망감을 달랬다. 난 그렇게 평점에 척박한 사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예전엔 눈에 불을 켜고 콘텐츠를 까던 시절은 있었지만 이젠 웬만하면 좋은 점을 찾아서 재밌게 보고되도록 칭찬하고픈 관객의 유형 중 하나다.

자, "나는 되게 관대하지만 이 영화는 깔만큼 졸작이다"라고 말할 명분과 핑계는 아래와 같다.

내 왓챠 평점 기준
내 왓챠 취향분석

위의 왓챠 내 평가 프로필을 보면 평생 본 대부분의 영화 3800여 편의 평균 평가는 3.5(꿀잼)이다. 웬만하면 나쁜 게 있어도 대신 좋고 재밌는 요소가 있으면 그 점을 높이 사는 편인데 그런 나를 자극하는 쓰레기 영화들이 종종 있는 반면 그걸 넘어 분노케 하는 작품들이 있다. 사실 일반적으로 재미없는 영화면 2점 수준에 들어가서 1.5나 1점을 주게 되면 주관적인 개취가 많이 반영된 거긴 하다.

그럼 왜, <소나티네>와 비교를 하는가?

&lt;소나티네&gt;가 가진 3번의 자살 씬 중 그 첫번째 (빈 탄창)

쨋든 하고 많은 누아르 물 중에 굳이 기타노 타케시의 1993년작 <소나티네>를 얘기하는 건 두 영화 간의 유사점이 굉장히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낙원의 밤>이 이 영화를 표절했다는 얘기는 아니다. 또한 <낙원의 밤>을 보고 기타노 타케시 감독의 <하나비>, <그 여름, 가장 조용한 바다>, <3-4x10월>을 떠올리기도 하겠지만 전체적인 플롯과 장면-장면 및 오마쥬 등을 볼 때 <낙원의 밤>의 기본적인 줄기는 <소나티네>에서 차용한 것이 아닌가 한다. 혹은 유사한 설정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좌)신세계, (우)무간도

<신세계> 때에도 <무간도>와 흡사한 설정 때문에 표절 논란은 있었지만 큰 설정만 제외하고는 나름대로의 스타일과 철학이 확고히 보였기 때문에 딱히 불편한 점은 없었다. <낙원의 밤>도 약간 그런 분위기라고 보면 될 듯하다. (ㅎ아.. 낙원의 밤에 나름대로의 철학이 있었던가... 그건 아닌데...ㅜㅜ)

표절 의혹 제기의 내용은 절대 아니지만, 어차피 지는 게임, 즉 망작과 걸작을 비교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나티네> 쪽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의 글임은 미리 밝힌다.
[--------------여기서부터 스포 있음-----------------]

연상되는 두 영화의 비슷한 점은 크게 아래와 같다.
1) 낙원: 현실에서 벗어난 이국적인 배경의 도피처, 제주도 vs 오키나와
2) 핵심 줄거리: 조직에게 배신당하고 섬에 은둔하며 장엄할 듯한(?) 운명의 마지막을 향해 묵묵히 나아가는 주인공(들)
3) 영화 속에서 끝없이 내뱉는 낭만주의와 니힐리즘
4) 결정적 오마쥬 포인트: 주인공의 자살 씬 (섬+바닷가+구도)

그리고 한을 풀기 위해 두서없이 왓챠에 쓴 한 줄 평 아닌 한 줄 평:

기억에 깊이 남는 건 한라산 소주 PPL뿐. 사실 영화가 잘 뽑히면 과한 낭만주의 이런 것도 너무 좋은데, 이건 뭐 멋도 없고 서사도 없고... 그 마저도 뻔한 마지막 10분 위해 바친 허접한 오랜 빌드업은 무슨 누아르 101 수업 듣고 장르 특징 설명 리포트 낸 것 같은 느낌의 클리셰 덕지덕지... 아니 왜, 그녀는 건강해져서 한국의 니키타 아님 뭐 제주 블루 위도우가 되었다 하고 전설의 히어로물의 프리퀄로 하시지 그랬어? 어차피 그럴 거였으면 영웅본색처럼 쌍권총도 잡게 만들고, 응? 그거 하려다가 에이 그것까진 너무했나 싶어서 그만둔 것 같기도 한 의심은 들어... 그리고 누아르 좋아하는 사람이면 죄다 소나티네의 그 장면을 연상할텐데.. 근데 소나티네 감독이 보면 이 따위 오마주 안 받겠다고 뒷통수 잡겠네 진짜... 왜? 그 장면 배경에 제주도의 푸른밤이나 시티팝이라도 틀어 놓던가 하지 그랬어? 삼성 마이마이 감성 오지던데... 아니아니 변진섭의 숙녀에게가 더 어울렸을까? 하아... 진짜... 그나마 젤 건질만한 씬은 횟집에서 차승원 문에 찡기는 씬.. 아니 컷이라고 해야 하나.. 암튼 그거 하나 뿐. 간만에 영화보고 분노하네... 내 혓바닥을 사시미로 만드네 진짜... 넷플에서 이거보고 빡쳐서 왓챠에서 소나티네 다시 보는 중. 키야... 다시보니 느와르 낭만주의 여전히 기가 막히게 좋네!

지금부터 의식의 흐름에 따라 내뱉는 <낙원의 밤>과 <소나티네> 이야기


현실에서 벗어난 낙원, 제주도 vs 오키나와

두 영화의 공통점은 '도피'다. 현실을 의미하는 도시에서 사고를 치고, 도피한 낙원에서 은둔하며 겪게 되는 사건사고들 (소나티네는 어린아이들의 장난으로의 회기, 낙원의 밤은 연인의 어설픈 썸/허무주의 코드로 품)이 낭만주의적으로 그려진다. 그리고 중간에 깨닫는 같은 편 조직의 뒤통수. 그 이후 이미 정해져 있던 죽음의 운명을 받아들이는 장엄한 엔딩으로 치닫는 전복. 이게 두 영화가 가지고 있는 동일한 큰 서사의 큰 줄기다.

각 영화의 주 무대인 제주도와 오키나와는 한국과 일본 사람으로서 봤을 때 유사성이 꽤 있는 지역이다. 각 나라의 주 도시인 서울과 도쿄는 물론이고, 본토에서조차 멀리 떨어져 그 나라 사람에게 조차도 이국적인 느낌을 주는 곳, 즉, 일탈이나 도피와 같은 행위를 책임져 줄, 굳이 외국에 안 가도 이국적인 환경을 갖춘 환상의 공간이다.

(좌)제주도, (우)오키나와의 마을 돌담 풍경
본토와 멀리 떨어진 섬나라의 이국적인 분위기... 그리고 <낙원의 밤>에는 나오진 않지만 제주도의 시그니처 문화 중 하나인 돌담도 나 같은 무식쟁이가 보면 오키나와의 돌담과 너무 비슷해서 "와 저기도 진짜 비슷하다!"라는 느낌을 받게 할 정도다. (사실 제주도는 현무암, 오키나와는 석회암이라고 한다)

(좌) 오키나와의 상징, 시사와 (우) 제주도의 상징, 돌하르방

섬이라는 공간이 가지고 있는 특수한 요소인 탁 트인 바다의 수평선을 배경으로, 현실에서 벗어난 낙원의 이미지를 나름의 스타일로 그려낸다. 두 영화에서 배경이 굉장히 중요한 이유는 서로 공유하고 있는 캐릭터의 상징성 때문이다. 두 영화의 캐릭터들은 모두 죽음이라는 정해진 운명을 향해 묵묵히 나아가고 있고, 그 정해진 시간 동안 캐릭터들이 겪는 일련의 생활과 사건들을 누아르 장르 특유의 낭만주의를 담아 기가 막힌 사운드트랙과 함께 그려내고 있는데 이 모두가 낙원과 같은 '섬'이라는 배경이기 때문에 그 분위기 또한 상징적이면서도 장엄하고 아름답게 다가온다.

각자의 색감으로 풀어내는 계절과 아름답고 낭만적인 사운드트랙

뜨거운 여름 속 다가오는 죽음의 압박감을 잘 표현해주는 OST: Runaway Trip by Joe Hisaishi

계절의 차이

두 영화 사이의 계절의 차이는 있는 게, <소나티네>는 한창 무더운 여름을 배경으로 서서히 다가오는 운명의 죽음의 압박을 드라이한 감성으로 그려낸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카메라와 음악이다. 파란 바다와 하늘, 그리고 하얀 모래를 배경으로 한 색감과 필요한 서사에 따라 충실한 역할을 하는 롱샷과 클로즈업의 티키타카가 기가 막힌 매력으로 다가오고, 거기에 얹힌 히사이시 조의 신디사이저와 피아노 음악으로 구성된 사운드트랙은 화룡정점과 같이 영화가 드러내고자 하는 감성과 서사를 풀어내는 일등공신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오키나와 특유의 민요를 차용한 트랙들도 오키나와가 가진 이국적인 매력을 더해주는데 이 또한 <소나티네> OST의 백미라 할 수 있겠다. (OST 트랙 중 "Play on the Sands"가 좋은 예)

낙원의 밤의 제주도의 계절은 이제 왕성했던 자연이 계절의 변화를 대비해 움츠리기 직전 보여주는 진한 생명력의 웅장함과 서정적인 감성을 보여주는 것 같다

반면 <낙원의 밤>의 경우 여름은 아니고 캐릭터들의 옷차림으로 보아 아마 늦여름이 아닌가 싶다. 앞서 <소나티네>가 무더운 한 여름을 통해 다가오는 운명의 압박을 서서히 그려냈다면, <낙원의밤>은 왕성했던 우림이 다음 계절을 만나 자신들의 잎사귀들을 모두 잃어버릴, 그러니까 움츠러들 준비를 막 시작하려는 배경과 함께 도피 속에서 만난 죽음을 향해가는 두 운명 사이의 사건사고를 서정적으로 그려내려 했다.

(좌) 아비정전의 열대우림, (우) 낙원의 밤의 숲

신세계에서 보았던 익숙한 색감과 함께 어쩔 때는 습기가 차 보이기도 하고, 어쩔 때는 눅눅하기도 하고, 어쩔 때는 촉촉하거나 움츠려 드는 느낌 속에 시그니처와 다름없는 아름다운 여름과 겨울의 제주도와는 또 다른 매력을 그려내고 있다. 특히 영화 중간 드론 뷰로 보여주는 울창한 우림 속을 치고 나가는 드라이브 신을 보고 있자니 <아비정전>에서 아비가 바라보던 필리핀의 그 우림에 대한 감성이 교차되기도 했다.

아비가 필리핀의 우림을 보며 느꼈던 감성과 태구 저기서 보고 있는 감성은 비슷했을까?

인스타그램 같은 영화 <낙원의 밤>은 제주도 관광홍보영상인가??

PPL에 관련된 왓챠 평&nbsp; 갈무리

<낙원의 밤>의 씬들을 조각조각 모으면 정말 괜찮은 인스타그램 페이지가 만들어질 것 같다. 이런 아름다운 뮤직 비디오 같은 색감과 구도를 통해 제주도 관광 홍보 영상의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는데, 지나친 면도 없지 않다. 제주도의 아름다운 풍경뿐 아니라, 바로 막장 드라마나 연예 방송에서나 볼 법한 노골적 PPL인데, 카메라 구도의 중심을 차지하며 그 브랜드 이름을 몇 번이나 노출한다. 테라 맥주 그리고 제주의 올레/한라산 소주의 PPL인데, 한라산은 심지어 정여빈 캐릭터가 대사를 치면서까지 광고를 한다.

"제주도에 오면 이거 꼭 먹어봐야 하는데... 이모, 여기 한라산 주세요~"

영화 속 대표적인 PPL 브랜드, 테라와 한라산; 실제 영화 속에서는 이런 롱샷이 아니라 더 노골적으로 노출된다
약간 이런 느낌의 PPL을 영화 속에서 경험할 수 있다

영화 속에서 올레/한라산 소주 PPL이 나오는 장면은 위 일반 연예방송에서의 PPL 노출처럼 정중앙에 브랜드 이름이 아주 잘 보이도록 가지런히 놓여 있다. 그것도 몇 번이나...

재연이 각성하며 복수혈전을 펼치는 횟집의 인스타 태그 검색

참고로, 마지막 사이다 엔딩씬에 나오는 횟집이 조천읍에 있는 "함덕 대박 횟집"이라고 한다. 그 동네 맛집이라고 하는데 나는 못 가봤지만 지인이 가봤다고 함. 아 이런 쓸데없는 TMI...

영화의 단 하나의 보석, 모그의 사운드트랙

모그가 OST를 담당한 몇 영화들

암튼 허접한 영화의 연출이나 각본과 상관없이 비주얼만 따지면 정말 서정적이고 낭만적인 모습을 담고 있다. 아깝지만 차라리 영상을 가지고 뮤직 비디오를 몇 개 만드는 게 미학적인 점수를 더 가져갈 수 있겠다. 이 아름다운 영상에 매력을 더 하는 것이 <소나티네>와 마찬가지로 낭만스러운 선율의 사운드트랙이다. 최근 (2000년대) 주요 한국영화 음악감독의 타이틀을 장식하고 있는 모그 Mowg가 담당했는데 누아르를 통해 영화가 그려내고 싶어 한 낭만주의적 요소를 굉장히 잘 담아내고 있다. (아마도 차승원에 문짝에 찡기는 씬과 함께 이 영화에서 유일하게 건질만한 보석이 이 사운드트랙일 것이다) 참고로 모그의 대표작품으로는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반도>, <엑시트>, <인랑>, <범죄도시>, <더 킹>, <밀정>, <화이>, <악마를 보았다> 등등... 뭐 2000년대 한국영화의 OST는 다 독식했다고 해도 무방할 포트폴리오를 자랑한다.

두 영화 속 공간과 건축을 통해 보는 소소한 재미

공간 얘기가 나오니 건축 요소에서도 소소하게 신경 쓰게 되는 부분이 있는데, <낙원의 밤>에서 그려지는 제주도의 특정 공간은 횟집이라던가, 제주도 귀농의 유유 적적 한 삶을 상상하게 만들만한 목장이 있는 전원 별장처럼 일상과 관련된 건축 공간들이 대부분 주를 이룬다.

Yotsutake 요츠타케 료칸: (위) 영화 속 (좌) 실제 점포 사진

<소나티네>의 경우도 오키나와라는 섬이 가진 시골과 이국적인 정서를 표현하는 건축 공간들이 로케이션으로 쓰였다. 가령 주인공들이 숨어 지내는 제주도의 돌담을 연상시키는 옛 시골집, 일본 시골 여행의 상징인 료칸 (영화에서는 류큐의 요츠타케 료칸 (쿠메점)에서 찍었다), 야쿠자의 상징인 건설 하다만 것 같은 콘크리트의 박스형 사무실 건축물, 그리고 특히 눈에 뜨였던 것은 대미를 장식하는 리조트 호텔이다.

좌측부터 시계방향: Imperial Palace Tokyo, Inoue House, Goto House,&nbsp; Hayashi House,&nbsp;
마지막 총격씬의 호텔 로케이션: 딱히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양식에 영향 받았다고 보이진 않지만 그의 건축물들을 연상 시켰다&nbsp;

미국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Frank Lloyd Wright는 일본 전통 건축에서도 많은 영감을 받았었는데, 반대로 1910년도 초 도쿄에 임패리얼 호텔 건설을 시작으로 하야시 하우스, 이노우에 하우스 등을 통해 일본의 모던 하우스, 호텔 건축 양식에도 꽤 많은 영향을 끼쳤다. 영화 속의 호텔이 가진 질감이나 지붕 양식들이 특히 이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양식의 특징을 많이 연상케 했다. 호텔 로케이션은 니하 토큐 호텔과 닛코 야에야마 호텔로 나오긴 하는데 그 클라이맥스의 총격씬의 로케이션이 이 둘 중 하나인지는 확실친 않다. 다만 이런 소소한 TMI들을 보는 것도 영화를 보면서 찾는 소소한 재미 중에 하나긴 하다.

영화 속 무라카와 야쿠자 사무실

영화를 끌어가는 톤과 매너는 서로 너무너무 다르다

위에서 설명했듯 두 영화의 메인 캐들이 죽음을 향해가는 시간과 공간 속에 담은 느와르의 낭만주의가 스토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을 풀어나가는 스타일은 많이 다르다.

<소나티네>는 철저하리만큼 지독한 미니멀리즘적 스타일을 구사한다. 어쩔 때는 불친절하리만큼 불필요한 사족을 과감하게 건너뛰어 버리지만 영화에 대한 몰입과 서사에 대한 이해에 아무런 해도 끼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반대로 몰입을 시켜버린다. 하지만 <낙원의 밤>은 뭔가 캐릭터들에 대한 서사를 계속 알려주려 노력하는 느낌이다. 조연캐들까지도.. 그리고 <소나티네>의 장엄한 캐릭은 하나이지만, <낙원의 밤>은 남캐와 여캐 둘이 되는데 같은 운명을 향해가는 두 캐릭터들의 발란스와 명분을 맞추기 위해 다소 어색하고 억지스러운, 개연성이 부족한 서사를 끌어내려하고 있다. 제일 안타까운 점 중에 하나다.

또한 <소나티네>는 미니멀한 스타일을 고수하며 헉하고 웃음을 자아내는 블랙코미디 씬과 언제 그랬냐는 듯이 비장함으로 가득한 심각한 씬들의 교차가 티카타카하며 끌어가는 훌륭한 전개를 보여준다. (카메라의 롱샷-클로즈 샷 티키타카처럼) <소나티네>가 구사하는 어법이랄까? 영화 전체를 끌고 가며 전달하는 어감의 그 톤과 온도는 무서우리만큼 정교하며 명확하다.

재연이 술에 취해 경찰한테 꼬장부리는 영화에서 거의 드문 '코믹' 장면

<낙원의 밤>은 바로 이 영화가 시종일관 보여주는 어법이 상당히 혼란스럽게 느껴진다. 이게 뼛속까지 심각함으로 풀어내는가 싶지만, 태구의 "나도 취향이 있어서 너랑 잘 수 없어" 씬이라던가, "제주도에선 음주측정 안 해" 하는데 갑자기 음주검사 씬으로 이어지는 어설픈 코미디 요소로 갑자기 갑분싸 '우잉?' 하게 만든다. 웃음을 유도하는 씬의 첨가가 나쁜 건 아니지만 <낙원의 밤> 코미디 요소는 정말 어이없고 뜬금없다.

&lt;낙원의밤&gt;의 스타일리시한 액션은 예고편 영상에서는 1/10도 보여주지 않았다

액션씬도 상당히 차이가 나는데, <소나티네>는 액션씬마저 상당히 드라이하고 직설적이며 미니멀하고 공허하게 그려내면서 영화가 사용하고자 하는 문법에 충실한 반면, <낙원의 밤>은 최근 한국 누아르 영화답게 멋들어진 감각으로 상당히 스타일리시하게 처리되었다. 하지만 유혈이 낭자하는 이 모든 씬들은 멋지긴 하지만 요즘 한국 누아르에서는 어디서도 볼 수 있을 법한 느낌이라 전혀 새롭게 다가오진 않는다. 다만 <신세계>에서 모두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던 "드루와" 신을 연상케 하는 좁은 자동차 공간 안의 다구리 씬은 박훈정 감독의 특유 스타일로 지정할 만큼 높이 평가할 만하다.

패시브 하지만 울림이 있는 여조, 액티브 하지만 울림 없는 여주

(좌) 소나티네의 미유키, (우) 낙원의 밤의 재연

아마 두 영화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가 바로 여성 캐릭터의 묘사일 텐데, <소나티네>의 경우 그 시절 일본 영화가 그렇듯 굉장히 남성 중심적으로, 여캐는 패시브 하게 그려지고 있다. 하지만 <낙원의 밤>은 걸 크러시의 요소를 담고 있다. 상당히 자주적이며 남자 못지않은 사격 스킬도 가지고 있고 거리낌 없이 태구에게 괜찮다며 원나잇을 당당히 '요구' 하기도 한다. 다만 시한부 인생 때문인지 각성하기 전까지는 극한 허무주의에 빠진 난봉꾼 및 고구마 캐릭터로 무려 두 시간 동안 그려진다. (가지 말라면 제발 가지 말고, 당장 튀어 오라면 당장 튀어 오라고 제발)

세상에서 유일하게 사랑한 가족(여동생과 조카)을 잃고 망연자실하는 태구

시작부터 마지막 10분 전까지 영화의 메인 캐릭터는 엄태구로 그려지고 있지만, 캐릭터가 뭔가 만들어지다만 느낌? 살아있다기보다는 너덜너덜 난도질 당해 이도 저도 아닌 영화의 흐름과 몰입에 무려 방해가 되는 어정쩡한 캐릭터다. 그의 마지막 또한 그냥 그렇게 쓰레기 처리되듯 흘러간다. 마지막에 그가 표효하는 분노 또한 왜 인진 알겠으나 맘에 와 닿진 않는다. 이건 분명 영화 속 그의 가족에 대한 사랑에 대한 서사가 부족해서가 아니다. 캐릭터가 살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서 나름 거의 처음 메이저 영화의 주연을 맡은 엄태구 배우가 상당히 아까웠다. (뭐 연기도 몰입을 깨긴 하지만...)

&lt;영웅본색&gt;의 주윤발은 이쑤시개를 이에 물지만, 재연은 이어폰을 끼고 바다를 바라본다

결국 영화의 주인공은 전여빈이고, 두 시간 동안 허무주의에 빠져 갤갤대더니 갑자기 영화 종료 10분 전에 각성하더니 <영웅본색>을 연상시키는 기가 막힌 총질로 한순간 삼촌과 태구의 죽음에 관련된 모든 깡패들을 처단해버리고 멋들어지게 자살하는 영웅의 트로피를 가져간다. 결국 뻔한 복선들과 끔찍하게 진부한 느와르 클리셰들로 덕지덕지 칠해지고 생명력이라고는 조금도 없는 캐릭터들로, 운명적 죽음을 향한 장엄한 서사로 가고 싶은 건 알겠지만 전혀 공감이 안 되는 2시간의 빌드업이 바로 이 마지막 10분의 걸 크러시 사이다 신을 위한 것이었다는 결론에 이른다.

#낙원의밤_학살엔딩_ft.함덕대박횟집_혼자옵서

문제는 그 2시간의 빌드업이 전혀 개연성도 없고, 맥락도 없고, 뭐 영화 중간부터 전여빈의 날카로운 총질이 영화의 중요한 대미를 차지할 것이란 뻔한 복선은 있었지만, 이 전여빈이 맡은 재연의 여캐가 각성하는 되는 계기나 명분이 너무 빈약한 나머지... 태구의 복수를 떠들썩하게 할 건 알았지만... 시종일관 말도 안 듣는 망나니에 고집불통의 고구마 캐릭터로 그려지다가 갑자기 영웅적 클라이맥스의 장엄한 서사를 갑자기 떠맡아 버리는 게, 말 그대로 이해할 수 없는 갑분싸였다.

&lt;소나티네&gt;에서 권총 자살 씬은 3번 나온다. 현실을 버리고 낙원의 세계에서 다시 태어나는 것을 의미하는 듯한 두 번째 씬

그리고 마지막 엔딩에서는 삼성 마이마이 콘셉트로 <소나티네>에 오마쥬를 바치는 장엄한 권총 자살 씬으로 마무리하는데 이게 멋있고 장엄하다기보다는 그냥 유치해 보일 수밖에 없다.

<소나티네>와의 연관성을 최종 확정 지을 수밖에 없는 씬이었다. <소나티네>에서 무라카와(기타노 타케시)가 바다를 배경으로 빈 총으로 자살 쇼를 버리는 씬과 마지막 실제 권총 자살을 해버리는 서리얼 씬의 일련의 구성 또한 <낙원의 밤>도 그대로 차용하고 있기도 하고 (판타지 요소만 빼고), 이 외 다른 많은 요소들을 봤을 때 이건 오마쥬인 것이 분명하다고 본다. 그리고 영화가 너무 많은 영화들을 연상케 해서 그 다른 영화들 스틸만 모아서 <낙원의 밤> 스토리북을 만들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lt;낙원의 밤&gt; 엔딩에서 느낀 나의 인상은 위와 같다. 저 상황에서 나는 시티팝이 듣고 싶었다 (중간 이미지 출처: https://excf.com/index.php?mid=nonhcg&amp;page=7&amp;document_srl=12223812&amp;m=0)

재연의 각성과 장엄한 엔딩을 2시간이나 바치면서 빌드업을 했건만 결국 그것을 뒷받침 해줘야 할 서사와 맥락이 전혀 없고 그저 한 순간의 멋과 스타일로만 풀어내려 했으니 이게 관객에게 깊은 호소와 울림을 줄리 만무했던 것이다.

위가 영화가 마지막까지 아껴두었던 복수 씬의 장엄함이 전혀 와 닿지 않는 이유다. 오히려 여캐를 통한 메아리의 울림은 시대의 남성 우월 정서를 담고 있는 <소나티네>가 더 크게 느껴진다. <낙원의 밤>의 재연이 영웅본색의 주윤발 쌍권총 씬의 멋들어진 폼과 <킹스맨>에서나 볼 수 있었던 나쁜 놈들을 응징하는 집단 사살 씬에서 보이는 것보다, 허공을 향해 기관총을 쏘아 대는 <소나티네>의 조연 여캐, 미유키가 발산하는 울림은 그 의미가 무엇일지 확실하진 않을지언정 그동안 평화스럽고 조용했던 낙원에서의 도피와 일탈을 끝내고 이제는 일어서서 운명을 맞이해야 하는 장엄한 클라이맥스의 시작의 알림과 함께 관객의 마음속에 큰 울림을 준다.

무라카와의 낙원에서의 삶은 끝나고 이제 죽음을 맞이하러 가야할 시간이다

토막 || 한국영화에서 최고의 여성 캐릭터는 누구였을까?

남성이건 여성이건 젠더 이슈의 색안경은 벗고 볼 만한 콘텐츠인 것 같다. 변영주 감독의 말을 빌려 말하면, 여성 캐릭터가 수동적이라고 나쁜 것은 아니다. 패시브 해도 되고 액티브해도 다 된다. 중요한 건 그 캐릭터가 여성이건 남성이건 관객에게 호소할 수 있을 만큼 스토리에 스며들어 살아 숨 쉬고 있냐는 것이다.

여기에 열거되는 최고의 여성 캐릭터들은 <깊고 푸른 밤 >의 장미희, <친절한 금자 씨>의 이영애, <콜>의 전종서, <화차>의 김민희, 그리고 전도연 그 자체로 언급되는데, 멀리서 찾을 것도 없이 박훈정 감독은 이미 전전작인 <마녀>에서 훌륭한 여성 캐릭터를 만들어 냈다. (그리고 그 주변의 캐릭터들도 충분히 같이 살아 숨 쉬며 마녀라는 하나의 스토리의 생태계에 생명을 불어넣었다)

개인적으로 최근 기억에 남는 여캐는 <엑시트>에서 윤아가 맞은 의주 캐릭터다. 일자리는 있지만 결국 백수인 용남과 다를 바 없는 선상에 서서 때로는 감싸주고 때로는 의지하며 함께 같이 목표를 향해 캡틴 아메리카 마냥 앞으로 계속 질주하는 모습이 이 시대 청춘의 모습을 대변하는 것 같아 상당히 인상에 남았다.

그나마 좀 살아있었다고 말할만한 차승원의 마이사 캐릭터. 하지만 연기가 너무 오바였음...

결국 <낙원의 밤>의 캐릭터들은 그 부모의 사랑을 받지 못한 생명도 없는 불쌍한 존재들 같다. 그나마 깡패라도 '무림의 도'를 지키지 않는 양아치는 되지 말자 주의의 차승원 캐릭터가 좀 볼 만했다. 근데 재연은 부모(작가)의 사랑보다는 강박에 의해 억지로 태어난 캐릭터 같다.

다른 감독들 영화 떠나서 이미 박훈정 감독은 전전작 &lt;마녀&gt;에서 훌륭한 여캐를 탄생시켰다. 그것도 주위 캐릭터들도 함께 살아 숨 쉬는 멋진 생태계를! 근데 이게 머냐고 진짜!

라스트 10분 보고 <소나티네> 말고 떠오른 영화가 하나 더 있었으니...

라스트 10분을 위해 이전 한 시간을 쓰레기로 채운 영화 류: &lt;무국적소녀&gt;

<낙원의 밤> 라스트 10분을 보고 떠올랐던 영화가 또 하나 있는데 바로 2015년 작 <무국적 소녀>. 러닝 타임이 1시간 30분 정도인데, 라스트 10분 동안 각성한 여주가 벌이는 유혈의 총격 액션씬이 상당히 스타일리시하게 그려진 영화인데 그 이전 1시간 20분은 개연성이고 이야기 흐름이고 뭐고 아무것도 없는 그냥 쓰레기다. <낙원의 밤>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 그냥 후반 10분만 살려서 단편영화로 만들었으면 꽤 인정을 받았을 수도 있겠다 싶었다. <무국적 소녀>의 카피, "상상과 상식을 뒤집는 결말"을 <낙원의 밤>에 대비하면 "(약간의) 상상과 상식만 있으면 뻔한 결말"로 바꿀 수도 있겠다.

&lt;공각기동대&nbsp; Ghost in the Shell&gt; 1995

심지어 <공각기동대>, <페트레이버> 시리즈의 오시이 마모루 감독 영화라 기대하고 본거라 뒤통수 제대로 씨게 한 방 맞은 기분이어서... 어? 이 모든 경험이 <낙원의 밤>이랑 너무 오버랩되었다! 차라리 <낙원의 밤>도 라스트 10분짜리 단편 영화하고, 나머지는 조각조각 모아서 인스타그램이나 감성 뮤직 비디오 몇 편 만들었으면 그 예쁜 영상들이 차라리 안 아까웠겠다 하는 생각까지 든다.... ㅜㅜ

운명적 죽음을 부여하는 상징적 씬

&lt;소나티네&gt;에서 미유키는 붉은 호접란을 허공에 뿌린다

두 영화 모두 여캐가 남캐에게 운명적 죽음을 부여하는 듯한 상징적인 메타포가 담긴 씬이 등장하는데, <소나티네>의 경우 미유키가 백사장에서 파란 하늘을 향해 날리는 붉은 팔레놉시스 (호접란) 꽃은 무라카와(기타노 타케시)가 허공을 향해 던지는 붉은색 프리즈비와 교차 편집된다. 이 장면의 붉은색은 당연히 피와 연관성이 있을 것이고, 죽음의 운명을 상징적으로 부여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해석된다. 또한 팔레놉시스가 상징하는 나비처럼, 그 꽃들은 하늘을 향해 날려지지만 기타노 타케시가 똑같이 파란 하늘을 향해 날린 프리즈비와 마찬가지로 땅으로 떨어지고 만다. 뭐 꿈 보다 해몽 식으로 표현하지만, 피로 얼룩져진 나비는 이제 자유를 향해 훨훨 날아오르고 싶지만 운명의 힘은 거스를 수 없는 중력과 같아서 결국 떨어지고 마는, 곧 죽음의 운명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로 나는 해석한다.

&lt;뱀파이어와의 인터뷰&gt;의 한 장면

<낙원의 밤>에서는 이 상징을 뱀파이어라는 장치로 풀어내는데, 영화 중간 재연이 난데없이 차 안에서 태구의 손목을 깨물어 피를 흘리게 만드는 장면이 바로 그것이다. 이미 재연은 시한부라는 것을 관객이 알고 있는 상태였지만, 태구의 경우 그의 높은 공격력에서 유추되는 생존력 그리고 블라디보스톡이라는 탈출의 목적지가 캐릭터의 꼬리처럼 영화 내내 따라다니고 있었기 때문에 태구의 죽음은 '의심'은 되지만 아직 '지정'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뱀파이어가 사람을 물어버리면 같은 뱀파이어가 되어 버리는 것처럼 그 씬에서 재연은 태구에게 자신과 같은 운명적 죽음을 부여한 것으로 풀이한다.

저들은 갑자기 썸을 타고 삼귀기 시작한다

너무나 뜬금없는 상황에서의 사건일뿐더러, 그 사건을 계기로 티격태격했던 둘의 사이가 갑자기 태구가 재연을 보호하는 분위기로 흘러갈뿐더러 (재연의 삼촌 역할을 태구가 대체하는 식으로) 서로가 서로를 인정하며 같은 운명을 공유하게 된다는 어설픈 메타포의 갑작스러운 향연이 시작된다. 특히 물회를 절대 먹지 않던 태구는 이 사건 이후 굳이 다시 둘이 처음 갔던 물 횟집에 가서 "죽기 전엔 먹어보고 싶었어"라는 대사까지! 치며 갑자기 자신의 어린 시절 배경을 재연에게 털어놓고 본인 캐릭터의 죽음을 암시하며 서로가 같은 운명을 향해갈 수밖에 없는 상황 설정을 정말 구구절절 뻔하게 (이 정도면 암시도 아님...) 정의한다.

이 블러드 씬과 관련하여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었던 가장 묘사가 유사한 사진이다

이 이후 마이사가 직접 조직 무리를 이끌고 태구의 목숨을 노리며 제주도로 내려오며 상황이 심상치 않아진다. 이렇게 비극의 서사로 영화의 방향이 틀어지기 때문에 그런 생각을 할 수밖에 없었다. 개인적으로는 맘에 안 드는 장치긴 하다.. 너무 뜬금없었고.. 그래서 뭐 어쩌라고..라는 생각밖엔...

바람의 검심: 주인공 켄신의 얼굴 흉터가 생기는 장면: 장면이 다 안 보여지는데 그림을 눌러서 보면 전체 영상으로 나옴

차라리 상대방에게 운명의 짐을 덮어 씌우는, 영화가 표현하고자 하는 장엄한 죽음을 향한 발걸음을 상징하는 중요한 메타포였다면 또 다른 방법은 없었을까? 갑자기 <바람의 검심: 추억 편>에서 켄신의 상처가 만들어지는 그 씬이 생각이 났었다. (서로 의미는 다르겠지만) 결국 '피'라는 요소를 통한 운명의 상징을 어떻게 보여주고 싶었기 때문에 억지로 뱀파이어를 가지고 온 느낌이랄까...

기타 연상 씬: 시티팝 감성에 너무 딱인 것 같아!

저 오토바이로 해안도로를 달리는 씬 보고 정말 딱 떠올랐던 이미지다. 한번 더 말하지만 이 글은 표절 의혹이 아니다. 단지 <낙원의 밤>을 보며 연상되는 영화, 이미지, 감성 그리고 누아르 영화의 클리셰들이 너무 많다. <낙원의 밤>의 중요 특징이 바로 그거다. "연상되는 게 너무나 많다"

클래식 바다 갬성

역시 시티팝 갬성이 딱인 것 같다.
왠지 글을 쓰고 마지막에 치달으니 아래 노래가 듣고 싶어 진다.
<낙원의 밤>의 아름다운 제주도 비주얼로 뮤직 비디오를 만든다면 이 노래가 좋을 것 같다
roon이 부릅니다, '그대안의 블루'

728x90
반응형

띄어쓰길 하지 말걸 그랬나...

 

1월 한국 시티팝 정리하면서 완전 사랑에 빠져버렸던 roon (룬)의 Soundcloud 페이지를 감상하다가 귀에 쏙 들어왔던 커버송이었다. 룬에 대한 정보는 아직까지도 그리 많진 않지만 이미 아래 포스팅에서 떠들어 데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City Music 솎아보기 47: 한국 시티팝 36곡 ('21.1.~'20.12.21)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Cy7N22Ev-FjEdynvLOUCWA 🥂: 베스트 픽 🥤: 사이다처럼 청량한 전형적인 시티팝 🍸: 감미로운 미드나잇 그루브 (R&B, Soul, Lofi, Jazz Lounge, Funk, Hip..

electronica.tistory.com

"그대안의 블루"는 1992년 동명의 영화의 주제가였다. 원래는 듀엣곡으로 OST를 맡은 김현철과 이소라가 불렀다. 제목에서도 풍기듯이 이현승 감독의 감각적, 감성적 연출이 무척 인상적이었던 영화다. 그리고 김현철의 음악 또한 영화의 감성을 증폭시키기에 딱이었던, OST 앨범 자체도 상당히 인상적이었는데 영화도 그렇고 음악도 그렇고 굉장히 도시적인 느낌도 강해서 시티팝 케테고리에 넣었다. 

 

역시 90년대의 동아기획은 최고 그 자체였다...

특히 이 주제가는 가수들의 커버는 물론, 뭐 노래방, 나이트 등등에서 꽤 많이 불리웠을 정도로 많은 이들에게 사랑을 받았다. 

Sony Discman D-20

개인적으로도 무척 좋아하는 노래인데, 당시 OST를 CD로 사서 잘 들었는데 저 CD 플레이어를 사용했었던 게 갑자기 기억이 난다. 가지고 다닐 때 흔들려도 괜찮은 플레이어가 나오기 전 저 놈은 흔들림에 굉장히 민감했기 때문에 무슨 미니 전축처럼 버스 안에서 고이 손으로 꼭 붙잡고 들었다. 그러다가 버스가 흔들리기라도 하면 버퍼링 버퍼링...ㅜㅜ  (CD 꽂을 때 고정이 안됐었음)

생각해보니 옛날기기들은 저 택틱컬 버튼들 때문에 뭔가 누르는 맛이 있었는데 요즘 제품들은 모두 터치를 지향하다 보니 그 재미는 떨어지는 듯하다. 그나마 키보드와 컴퓨터 마우스가 있긴 한데, 이것들마저 터치로 대체된다면... 음...

 

요게 요번에 유튜브 영상으로 만든건데 영상을 계속 만지작만지작하다 보니 뭔가 지금 봐도 정말 예쁘다 싶은 강수연에 홀딱 빠져서... 영상은 아예 강수연 분량 위주로 되어 버렸다...

룬의 커버는 여성 솔로 보컬인데, 데모 녹음으로 들리는데 이게 굉장히 인디스럽고 Lo-Fi 느낌을 줘서 귀를 즐겁게 해 주었다.

인스타 캡쳐

글 처음에 룬 얘기는 지난 포스팅으로 대체한다고 하긴 했는데 그래도 아티스트 얘기가 하나도 없으면 좀 그럴 것 같아서.. 저번 포스팅까지만 해도 없었던 것 같은데 carrd 페이지가 생겼다. 링크는 아래와 같은데, 들어가 보면 개인 신상(?) 정보들이 나열되어 있다. 

 

guide to roon

roonarchive.carrd.co

뭐 MBTI는 ENTP라는 것부터 해서... Soundcloud 외 다른 족적들을 좀 볼 수 있었는데 아마 roon이란 이름 이전에 홍수지로 먼저 활동을 했던 것 같다. 이전 커버 영상들을 보면 벌써 2019년에 katy perry 커버 영상이 유튜브로 올라와 있었다. 그런 그를 2021년이 되어야 알았다니...

 

Slow - SOLE (PARKMOONCHI REMIX) by 박문치

그리고 커버송 리스트 중에 SOLE 쏠의 "Slow"도 들어 있던데 나도 참 좋아하는 곡인데, 아쉽게도 링크 영상은 없나 보다. (Soundcloud에서는 들을 수 있다!) 근데 이 곡의 커버는 뭐니 뭐니 해도 역시 박문치의 'PARKMOONCHI REMIX' 버전이 갑이다. 정말 레트로와 도시적 느낌 찌인~하게 느껴지는 명품 곡이다. 원곡보다 더 좋다. 말나 온 김에 들어보자.

 

roon's music in one playlist ♫•*¨*•.¸¸♪

a playlist of roon's music includes her featuring, etc. will be updated from time to time roon's social media ✰ https://instagram.com/roon916 ✰ https://soundcloud.com/roon2000 ✰ https://music.naver.c

soundcloud.com

위는 soundcloud에 올라와 있는 roon 관련 음악들을 모두 모아놓은 사운드 클라우드 플레이리스트다. 룬 단독 곡 말고도 다른 아티스트들과의 콜라보 트랙들이 모두 올라 와 있다. 

 

라이브 약간 안습...ㅜㅜ

그러고 보니 당시 이소라의 얼굴은 TV에서 볼 수가 없었다. 그래서 TV 출연 시에는 항상 박선주가 대신 나와서 김현철과 같이 불렀던 기억이 난다. 당시에는 박선주의 버전도 참 괜찮다,...라고 기억했는데 지금 와서 다시 꺼내 보니 라이브가 왜 이리... 하아...ㅜㅜ 위 영상은 그냥 기록용으로만 올려놓는다.

 

워낙 유명한 노래라 유튜브에 커버 영상들은 많은데 딱히 와 닿는 것들은 없었다. 이 버전은 전교 톱텐 영상인데 뭔가 되게 조심조심 다소곳이 부르는 게 인상적이었다. 

 

마지막으로 [화양연화] 앨범의 타이틀 곡인 '시간은 우릴 기다려주지 않고 먼저 흘러가버린걸'의 MV다. 

 

 

728x90
반응형

체력도 체력이고, 면역력도 면역력이지만, 항암 후유증 후 일상생활을 힘들게 하는 것은 손발 저림 증상도 한 몫한다. 씨스 플라틴 후유증으로 손발 마비와 동시에 통증까지 느끼는 증상인데 요번 주말처럼 비라도 오는 날이면 약발도 잘 안 받는다. 약은 뉴론틴을 매일 3번씩 먹고 있지만 먹는 다고 증상이 완전히 완화되는 것도 아니다. 

말초신경염증

일단 걷는 것도 힘들고 조금 오래 걷거나 서 있으면 발 톱과 발가락 머리 부분들에 피가 쏠리는 느낌이 들며 굉장히 아프다. 

여기저기서 비타민B6가 이 이 말초신경염증 증상에 도움이 된다고 해서 뭘 먹어볼까 하다가 약국에서 추천 받은 마그비 액티브란 영양제를 한 두 달 꼬박꼬박 먹어 보았다. 

뭐 딱히 임상이랄 것은 없지만 두 달 먹어본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손발저림 증상이 낫거나 나아지진 않았다. 

2) 뉴론틴 복용할 때 뉴론틴의 효과가 보통 때보다 더 좋아지는 느낌을 받았다. *느낌일 뿐...

금방 낫거나 좋아지는 사람들도 봤는데 이것도 케바케가 아닌가 싶다. 실제 비타민B6가 도움이 된다고 하니 다른 사람들한테는 도움이 될 수도 있을지도. 딱히 저 마그비 액티브란 영양제를 비추하는 얘기도 아니다. 정확히 B6 영양제는 아니고 B1,2,3...의 비타민 B군을 모두 모은 식의 영양제다. 약국에서 구입 시 B6는 없고 저거 먹어보라고 해서 먹은 거다. 

그래서 순수 B6를 먹었어야 하는 생각도 있고... 아니면 그냥 B6를 섭취해도 나한테만 안 맞는 것일 수도 있으니.

주치의 선생님도 항상 "왜 빨리 안 나을 까요..."이러시니 딱히 방법도 없는 것 같고...

비타민B 영양제를 딴 거를 또 먹어볼까 하긴 하는데... 이전에 사두고 해치워야 할 영양제들도 많아서 일단 있던 것들부터 먹은 다음에 비타민B를 재 복용해 볼지 말지 고민하려고 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