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프 & 레코드
1940년 Magnetic Tape의 발명으로 인해 이른바 '진지한' 테이프 음악의 연구들이 시작되었는데, 이 시작은 프랑스의 구체음악 Music Concrete과 미국의 존 케이지 John Cage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체음악적 연구들은 60년대 중반까지 계속 되는데 존 케잊, 칼하이츠 스톡하우젠 등에 의해 그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
40,50년대의 Decca, EMI 등의 새로운 레코드 회사의 출현 이후 레코딩 음질이 크게 향상되고, 50년대 후반 레코드 붐이 일어난다. 60년대 중반에 나온 멀티 트랙 레코딩 Multi Track Recording은 구체음악과 함께 비틀즈나 비치 보이즈등의 대중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준다. 특히 70년대 중반 디스코와 리믹스 기술로 인한 댄스음악 문화의 폭발과 함께 45 RPM 속도 등의 12" 레코드 판은 댄스음악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는다.
70,80년대 카세트 테이프와 콤팩트 디스크의 출현으로 대중적 레코드의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되지만 80년대 중반, 힙합과 하우스 음악 등의 DJ들은 스크래치 Scratch 등의 독창적인 리믹스 기법들로 레코드에게 새 생명을 불어 넣게 된다. 레코드가 더 이상 음악을 녹음하고 재생시키는 수동적인 과학적 산물이 아닌 하나의 음악 악기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Early Electronic Artists and Thinkers
세계 대전 이후 현대 음악의 양상은 크게 전자음악과 음렬주의로 나뉘어 진다. 전자음악은 전자과학의 적극적 수용으로 이루어졌고 음렬주의는 Serialism 전통적 아트 뮤직에 새로운 체계와 형식을 부여했다. 하지만 이 둘은 전통적 음악으로부터의 탈피와 새로운 가능성의 모색, 도양사상의 수용 그리고 세계대전 이후의 시대에 모더니즘적 질서를 부여한다는 점에 있어 중요한 연결 고리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스톡하우젠 등의 많은 주요 전자음악가들이 음렬주의 학문에 배경을 두고 있다. 70년대에 음렬주의에서 발달하게 되는 미니멀리즘 Minimalism은 80년대 이후 주를 이루게 될 테크노, 하우스 등의 음악은 물론 동시대의 락 아티스트들에게 좀더 직접적이고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렉트로닉스를 통한 음악의 해방 그리고 새로운 시대를 위한 새로운 음악과 소리의 개념을 추구한 에드가 바레즈는 Edgar Varese 미래파의 소음의 미학 Art of Noise와 그 맥을 상통하고 있으며, 근대 전자음악의 아버지로 불린다. 인력으로 달성 불가능한 것이 기계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믿음과 신념, 퍼커션 Percussion을 통한 동적인 힘을 통해 이루어지는 리듬의 뼈대로 된 그의 음악은 속도와 합성이라는 현대 문명 사회와 기계 문명 속의 인간의 공허함을 더욱 적나라하고 효과적을 표현 할 수 있게 만들었다. 1958년 브뤼셀의 박람회에서 발표된 [포엠 일렉트로닉 Poeme Electronique]은 건축가 러꼬르뷔지에 Le Corbusier와 이아니스 제나키스 Iannis Xenakis와 공동 작업된 것으로 전후 시대의 모더니즘의 심볼로 자리잡음과 동시에 음악과 인간, 그리고 공간의 삼위일체라는 측면에서 훗날 테크노와 엠비언트 음악의 청사진을 제공한다.
구체음악, 삐에르 쉐퍼, 삐에르 앙리 Music Concrete, Pierre Schaeffer and Pierre Henry
주위에 존재하는 진짜 소리들 Found Sound을 조합해 Cut-Up 테크닉을 통해 조합된 새롭고 예측하지 못한 소리의 구현 방법으로 미래파와 바레즈가 추구한 새로운 소리의 조합 Organization, 현시대의 문명의 반영과 샘플링, 하드 디스크 레코딩, 리믹스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현대 일렉트로니카 음악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한다.
Olivier Messiaen
선, 힌두 등의 동양 사상의 적극 수용과 함께 크리스챠니티 Christianity에 바탕을 둔 유럽 (혹은 서양)적 음악의 숭고함의 특성을 잃어버리지 않는 독특한 음악을 구사했다. 바레즈와 마찬가지로 리듬을 중요시한 공간적, 환경적 엠비언스에 매료 되었고 그의 한 음표의 Single Musical Note 요소의 중요성은 현대 음악 발전사에 큰 영향을 주었다.
John Cage
메시앙과 마찬가지로 존 케이지 역시 동양적 사상에 깊은 관심을 보였고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과감히 전통을 무시하고 새로운 소리, 음악의 관점의 틀을 넓혔다. 특히 그의 Silence의 미학은 (이 세상에는 완전한 침묵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현대 음악과 소리에 대한 관점이 전통적 음악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점을 마려해 주었고, 이는 엠비언스를 바탕으로 한 일렉트로니카 음악의 토대가 되었다. 바로 음악의 필수 요소는 소리이며 그 소리의 본질을 느낄 수 있는 방법은 인간이 그가 살고 있는 세상 (환경)의 아름다움에 대해 눈을 뜨는 것이었다.
Karlheinz Stockhausen
구체음악이 자연음의 헙성에 Synthesis fo Found Sounds 따른 재배열이었다면 스톡하우젠은 철저히 순수한 전자음의 구현을 추구했다. 그리고 그는 음고, 음색, 리듬과 형식 Pitch, Timbre, Rhythm, Form,은 모두 진동 Vibration이라는 동일한 현상임을 발견했다.
'MUSIC > ELECTRONICA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story of Electronica1: 1900s 초반: 레코딩 기술 그리고 씽커들 (0) | 2018.01.26 |
---|---|
History of Electronica: 1900s 초반: 초기 신디사이저 (0) | 2018.01.14 |
History of Electronica2: 컨텍스트 - Art History (4) | 2009.06.08 |
History of Electronica1: 인트로 (0) | 2009.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