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link를 통해 좀더 나은 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아직 연재 중인 컬럼이니 잡지와는 시차를 두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퍼가시게 될 때는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PLUR&VIBE UPON THE WORLD 21 6월자:
The Birth of Rave
매시브 레이브와 상업적 파티 프로모션의 탄생
2nd Summer of Love의 애시드 광풍을 뒤로하며 꿈만 같던 88년을 마감하고 영국 런던의 애시드 하우스 씬도 그 두 번째 진화에 돌입했다. 이 시기에 진입하며 슬슬 Rave와 Raver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애시드 하우스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뒷북을 치던 미디어 뿐이었다. 이비자의 순수한 분위기와 60년대 히피를 떠올리던 사랑과 이상의 분위기는 사라져갔고 새로운 변화가 찾아왔다.
이렇게 토니는 레이브라는 제2의 애시드 세상의 문을 열었고 그의 선라이즈 파티는 승승장구하며 영국의 모든 청소년들을 거대하고 화려한 유포리아의 시공간으로 이끌었다. 이를 기점으로 에너지, 월드 댄스, 바이올로지 등의 대형 레이브 이벤트들이 속출하기 시작했고 이처럼 우후죽순처럼 늘어가는 레이브 파티에 의해 프로모터들 간의 치열한 경쟁은 불가피 했다. 따라서 좀더 많은 사람들을 모으기 위해 파티는 좀더 이벤트적 성격을 띄어갔다.
두 번째로 파티를 화려하게 장식할 이벤트성 장치들이 세분화 되었다. 엑스터시와 최고의 궁합을 자랑하는 라이팅 시스템은 점차 다양해지고 각 파티 플라이어에는 어떠한 사운드 시스템이 사용되어지는지 구체적으로 표기 되었다. 이 밖에 거품 샤워, 대형 풍선의 등장 등 대형 레이브의 분위기는 시간이 갈수록 더욱 거대하고 시끄러움을 향해 달려갔다. 자연스레 이비자 베테랑들은 거의 종적을 감추었으며 주 참여자도 자극적인 것에 민감한 어린 연령층으로 한정되기 시작했다.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레이브 문화는 이렇게 태어났고 진화했으며 프로모션의 상업주의적 의도와는 또 다르게 레이버들은 자신들만의 유포릭하고 잊을 수 없는 경험을 가졌다.
국내에서 성행하는 많은 파티들 중 눈을 찌푸리게 하는 안 좋은 소문들이 종종 들리곤 한다.자본주의 세상에 살고 있는 이 사회에서 무슨 일을 하던지 돈과 미디어와의 관계를 끊을 수 없는 것은 진리다. 한 아이가 자라 성인이 되면서 많은 것을 잃어버리듯 어차피 한 문화가 대중의 수면 위로 올라오는 순간 그 순수함은 없어져 버린다. 따라서 이윤과 세인의 관심을 중요시 하는 파티 프로모션을 무작정 욕만하며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한 맥락 속에서도 24시간을 넘게 미친 듯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던 레이버들이 중요시 한 건 내가 남에게 환영의 손을 내미는 것이었지 나의 콧대를 높이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이 문화에 대한 사랑과 지킴이라는 숙제는 DJ만도, 프로모터만도 아닌 우리 레이버들과 클러버들 모두에게 달려있다.
'MUSIC > Bling_월드뮤직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링매거진 일렉트로니카 컬럼을 마치며... (8) | 2008.08.31 |
---|---|
PVUW22: (마지막회):최초의 Invitation-Only 파티, David Mancuso’s Loft Party (2) | 2008.08.22 |
PVUW20: My House in Montmarte: 프렌치 하우스의 역사 (7) | 2008.06.30 |
PVUW19: 도시를 그려내는 사운드, Dubstep & Minimal Techno (9) | 2008.06.01 |
PVUW (누락본) - Hed Kandi Part2: 헤드칸디의 탄생에서 지금까지 (2) | 2008.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