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옴니버스 영화 그라인드 하우스 중 퀜틴 타란티노가 감독한 데스프루프에 나오는 April March의 Chick Habit은 France Gall의 Laisse tomber les filles를 리메이크 한 노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OST April March's English Version
April March는 미국보다 프랑스에서 더 인기가 좋다고 한다...
오리지널보다는 좀 가볍고... 프렌치 보컬에서 오는 특유의 맛깔스러운 맛은 없지만 (왠지 영어 버젼은 좀 없어 보인다 ^^) 그래도 들으면 흥겨운 '캔디 캔디 샤방 샤방' 트랙




사용자 삽입 이미지
April March's French Version
영어 버젼 보다는 좀더 맛깔스럽다... 싱어송라이터자 에니메이터인 사월이 양의 기교없는 카랑카랑한 보컬이 발음과 잘맞아 떨어지는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rance Gall's ORIGINAL Version
ok... 세기의 난봉꾼 Serge Gainsbourg와  프랑스 갈의 사진...
역시나 갱스부르그의 프렌치 팝에 프랑스 걀 보컬의 화학작용을 엿볼 수 있다.
만약 제인 버킨이 이 노랠 불렀다면.... 어울렸을까?
오리지날인 만큼 좀더 진정되고 덜 튀고 어센틱 한 맛이 있다.

뮤직 비디오 또한 수작이다.


HoneyMoon Killers Version
80년대 뉴웨이브 그룹 허니문 킬러즈의 버젼...
하드한 사운드를 좋아한다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Mareva version
이건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마레바의 버젼 또한 상당히 괜찮다... 에이프릴 마치나 프랑스 걀이 귀엽고 또랑또랑한 베이비팝의 이미지를 살리고 있다면 이 버젼은 정반대로 퇴폐스럽고 뇌새적인 변태 성욕자의 버젼이다...
그리고 의자에 않은 이는 혹시 갱스부르그의 메타포인지도?
 

728x90
반응형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ectro pop] 1,2,3,4 (Vanshe Tech Remix) by Feist  (2) 2007.06.25
[House Electro] Kalle J  (0) 2007.06.21
[Shibuya Kei] Perfume과 Shibuya Kei  (6) 2007.06.18
[Indie Pop] We Will not Grow Old by Lenka  (0) 2007.06.17
[chill out] Nouvelle Vague  (0) 2007.06.16
클라이브 오웬.... 미치게 웃긴 사나이...
특히 이 씬은 감독의 센스가 돋보이는 가장 쵝오의 씬이 아니었나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반응형

블로그 만든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벌써 PERFUME에 관한 3번째 포스팅이다..
미니멀한 댄스에 캔디 일렉트로팝 사운드의 절묘한 조화... 상당히 빠지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iography
(위키피디아 참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모토 아야노, 카시유카, 아짱, 이렇게 세 명으로 구성된 퍼퓸은 히로시마에서 2001년에 데뷔하고 로칼활동을 하다 (데뷔 당시 이들의 나이는 11살 12살 사이로)  2003년 도쿄로 이동하며 캡슐의 나카타 야수타카에게 키워진다. 이 때 Sweet Donuts, Monochrome Effect, Vitamin Drop 등이 인디 레이블에 의해 발표 됬다. 그리고 2005년에 공식적으로 데뷔했다.

지금까지 앨범은 06년의 <Perfume ~Complete Best>와 07년 3월의 <Fan Service [Bitter]>가 있다.

아키바 오타쿠들로 하여금 광분의 도가니로 몰고 갔다고 하는 Chocolate Disco는 07년 발렌타인 데이에 발매 되었다...

5월을 기준으로 자신들의 블로그에 새로운 프로젝트가 진행 중 임을 암시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Shibuya-Kei

사용자 삽입 이미지
9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환영받은 Shibuya-Kei는 여느 일본 캐릭터와 마찬가지로 (헬로키티나 케로로, 포켓몽처럼)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세지 갱스부르그를 향한 테크노적 오마쥬처럼 보이는 이 음악은 60년대 고고음악과, 락, 하우스, 재즈, 테크노, 신스팝, 보코더, 브레잌비트 등의 총체적 하이브리드로서 현대 사회의 테크놀로지 문화에 대한 일종의 찬양이자 그로테스크한 모순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음... 드디어 그 괴상한 헬로 키티들이 3차원 공간의 아트박스 샵을 뛰어넘어 매트릭스와 같은 4차원 시공간에도 몰려 들고 있다고 생각하면 될까?) 
그리고 바로 이러한 모순 때문에 DC 일렉트로니카 갤러들에 의해 시부야케이가 '된장'사운드로 불려지고 있는게 아닌가 싶다.  정확하게 꼬집어낼 수는 없어도 동경의 전 세계적 트렌드 스팟인 시부야에서 태생했다는 맥락에서 출발한다면 그 (시부야의) 지리적이고 생물학적인 유전자의 영향을 쉽게 거부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분명 이러한 사운드-문화적 유전자가 자칭 Trend-followers 혹은 Tren-leader (힙스터든 패셔니스타든)를 지향하고 영향받기 쉬운 '스타벅스 된장녀'들 (이들은 그렇게 불리운다... )의 미니홈피에서 울려퍼지는 (그녀들이 문화적 소비를 하는 이곳 저곳에서 자주 울려퍼지는 것도 한 몫 할 것이다..라운지와 재즈의 영향으로 인해 좀더 개방적이고 세련되며 / 복고풍으로 인한 적당한 보수적인 사운드가 이를 가능케 한다) 현상을 포착하여 시부야케이를 '대한민국 된장'의 주제가로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하지만 진정 이 음악을 '된장'음악으로 치부해 버려야 하는가하고 고민하는 이들도있다. 이들이 빠져 있는 곳은 아마도 시부야케이가 가지고 있는 동시대의 문화적 거울의(그것도 일본식의 아주 괴상하고도 예민한) 기운을 느껴서가 아닐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찌됬건간에 2세대 시부야케이의 대표적 특징을 들자면 피치카토 파이브로 대변되는 1세대 시부야케이 사운드가 가지고 있던 좀더 락과 범피한 브레잌비트에 충실함을 좀더 부드럽고 유연한 하우스 사운드로 유도한 것이 아닐까 한다. (그래서 좀더 춤추기도 쉽고, 세련되고, 가볍고-비로소 피치카토 파이브의 그늘 안에서 빠져나오게 되는) 물론 해피하드코어와는 또 다른 일본 캐릭터식의 유아적 특성과 극단적인 테크놀로지 문화를 품는 제스쳐는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미래지향적이면서도 복고풍인 여성 보컬의 구조도 빼 놓을 수 없다) 피치카토의 영광을 이어가는 (2001년 해체) 이 2세대의 주역 중 하나가 위에서 언급한 Capsule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이 Capsule의 나카타 아수타카에게 키워진 만큼 Perfume의 사운드가 가장 비교되는 음악 또한 Capsule의 음악이다. (예를 들어 Capsule의 Sungarless Girl과 Perfume의 Computer City를  들어보면 극단적인 멜로디의 유사성을 볼 수 있다)
하지만 Perfume의 인지도 상승으로 인한 자체적 아이덴티티의 확립과 자신들만의 분파적인 사운드는 더 이상 Perfume의 음악이 Capsule의 그늘 안에 존재한다고 말할 수 없을 만큼 급속히 진화 했다. 어느 블로거가 지적했듯 오히려 캡슐과 퍼퓸의 사운드적 접목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도 그렇듯이 Perfume은 이제 캔디팝적이고 대중성이 강한 팝 사운드 안에서 나름대로의 강한 일렉트로와 테크노적 성향을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그들이 추구하는 독특한 미니멀적으로 절제되어 있는 팝 댄스와 일렉트로의 테마와 걸맞는 테크놀로지 문화 지향적 비쥬얼로 더 강화 된다. (그러니까... Kraftwerk이긴 한데 상당히 ... 일본식으로...극단적으로 그리고 아주 괴상하게 캐릭터화 되어 있다고나 할까...)

어찌하였던 이러한 측면들이 하우스와 난데없는 트랜스의 난제 속에 갇혀있는 지금의 ShibuyaKei를 또 다른 레벨로 도약 시킬 수 있는 키 포인트들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LINK:
Homepage: http://www.amuse.co.jp/perfume/
Blog: http://blog.amuse.co.jp/perfume/p/
BBS: http://perfume.ekuseru.net/bbs/index.php

사용자 삽입 이미지

Capsule 의 SUgarless Girl

영상은 아마도 2004년경이 아닐까 추정되기는 한다... (VitaminDrop의 발매 날짜를 보았을 때)...스타들의 눈물겨운 예 모습을 볼 수 있다....그래도 소문만큼 퍼퓸 특유의 에너지가 넘치는 모습이 담겨 있는 영상이다.


이건 쪼꼴레이또 디스코의 인스텐드 버젼... 과연 끝까지 볼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런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