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우 지난 달 말 일본의 귀염둥이들 (자칭 일렉트로-테크노 팝 그룹) 퍼퓸이 요번에 밀고 있는 새로운 소니 바이오의 CM을 맡았다. 테마는 "퍼퓸의 바이오 무비 러블리 스토리"라는데 시리즈 별로 제작되는 듯 하다. 그러고 보니 귀엽기 까지 하고 쌔끈한 맛을 자랑하는 바이오 랩탑과 퍼퓸이 추구하는 이미지와 좀 잘 맞아들어가는 듯 하다. 헌디... 저번에 Baby Crusing Love에서 조금 성숙해졌나 싶었더니 이 광고를 통해 다시 중학생 분위기로 돌아가 버렸다...^^ㅋ 그리고 퍼퓸의 트레이드마크인 '미니멀 댄스'가 여기서는 생략되어 있어 조금은 아쉽다..ㅜㅜㅋ
요번 새 앨범도 곧 출시되고 4월 부터 일본 투어에 들어간다고 함
아직도 나는 '쬬꼴레이또 디스코'의 신선함을 잊을 수가 없다 과연 그녀들은 수많은 오타쿠들을 뒤로 하고 메이져로 갈 수 있을까?
요게 동영상...
again, 쬬꼴레이또 디스코 ! 첫 번째 껀 아이도루 마스타 버젼 ^^ㅋ
그리고 요건 옛날 Akihabalove 아키하바라브 뮤직 비됴.. 유로댄스와 트랜스 삘이 쪼금 나는 J-pop 버젼의 Hi NRG 트랙..ㅋㅋ
요즘 이 음악들로 'Ear-Sex' 중... 뽑아 놓고 보니 프랑스 음악들이 꽤 많은디... 아무래도 요즘 프랑스가 대세라 어쩔 수 없이 많은 영향을 받는 듯 하다..
[Electro Pop] Baby (Breakbot Remix) by PNAU
99년 <Sambanova>란 앨범으로 데뷰한 호주 듀오. ARIA 베스트 댄스 어워드 수상 경력도 자랑한다. 이 음악은 요즘 따끈 따끈하게 구한 노랜데... 프랑스 JUSTICE의 D.A.N.C.E 란 음악과 마찬가지로 어린이 보컬 음악 샘플링 했는데...(동일하진 않지만) 왠지 Justice의 하드한 일렉트로 하우스 스타일 보다는 편안한 일렉트로 팝 스타일의 이 음악이 더 맘에 든다.
[House Electro] Voyager (Revolte Remix) by Daft Punk
다프트 펑크의 음악을 리볼트가 리믹스 했는데 역시 리볼트도 프랑스의 일렉트로 하우스 DJ다. 기존의 다프트 사운드에서 Justice나 Para One류의 제2기 프렌치 하우스 르네상스 사운드가 더 가미 되었다. 베이스로 삼고 있는 다프트의 사운드가 역시 독보적이긴 하다.
[Electro Rock] Love No (Poney Poney Emotion Remix) by the Teenagers
프랑스 출신이지만 영국을 베이스로 하는 한창 '잘 나가는' 일렉트로 락 밴드 틴에이져스의 Love No를 포니 포니가 리믹스 한 트랙. 역시나 전작들에서 보여주었던 중얼중얼거리는 듯한 Sultry한 -끈적한- 보컬이 매력적이다. 스탈렛 요한슨과 어떻게 보면 비슷한 맥락에서 연장선에 있는 음악 같다... 사운드 면에서나 리릭스 면에서나...
[Electro Pop] Silent Night (Pacific! Remake) by Karin Strom
스웨덴 출신의 케린 스트롬은 27세 밖에 안되었지만 꽤 전방위적인 경력을 자랑한다. 일렉트로 팝 아티스트이면서 뉴로사이언스 디그리를 가지고 책을 두 권이나 쓰고 스웨덴의 유수 잡지들에 패션, 음악/라이프 스타일 컬럼을 기고한다고 한다... 정말 다학제적인 아티스트... 우리는 한 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조금 모자라도 다방면에 관심과 지식을 가지는게 중요하지 않을까? 전문가라는 도그마는 어쩔때는 좋은 방어막이기도 하지만 어쩔 떄는 역겹기도 하다.
[Lounge / Pop] Shivers Down in My Spine (French Mix) by Marina Celeste
요거는 일렉트로 사운드는 아니고 프랑스 팝 가수인 마리나 셀레스떼의 음악을 라운지 풍으로 리믹스 한 트랙으로... 트립합이라기 하기엔 팝 성향이 짖다. 그 녀는 법학도 였으나 다 때려치고 음악으로 급격한 인생전환을 한 케이스다. 음악은 빠져드는 듯 딥하면서도 상당히 캐치한게 특징이다. 거기다가 개인적인 느낌인진 몰라도 세르지 갱스부르그의 냄세가 굉장히 많이 난다... 프랑스 팝 음악계에 끼친 그 인간의 지대한 영향력 때문인지.. 아님 그 사람 노래 리메이큰가? 건 잘 모르겠다..
얼마전 애견 카페에 갔다가 흘러나오는 음악 중에 상당히 귀를 자극하는 음악이 있었다. 누군지는 모르겠으나 분명 New Order의 "Bizarre Love Triangle"의 튠이었다. 곰곰히 가사를 들어보니 영락없는 3류 사랑 타령이었다... 뭐 그런 음악이야 워낙 많으니 지금와서 사랑 타령 노래에 대해 짜증내는 것 자체가 웃긴 일이지만... 이 역사에 길이 남을 명 곡을 이렇게 만들어 버리다니!!!!! 나중에 DC 갤가서 수소문을 해보니 왁스의 '그대는 눈물이다'라는 음악이었따.
음악의 완성도에 대한 말이 아니다.. 대중가요를 통해서 나오는 일렉트로닉 팝 류의 음악치고는 분명 세련된 사운드를 구사한다. 하지만! 건드려도 너무나 거대한 명 곡을 이런 식으로 건드렸기에 화가 났었다... 아무리 Synth Pop이 전자 음악 류라고 해도 그저 현대적인 리듬이나 신디사이저 소리나 집어넣어 커버하는 몰상식한 행위는 제발 없었으면!!! 이건 뭐 노래방용 노래도 아니고!
개인적으로 음악을 들을 때 가사에 의미를 두지 않고 가사를 읆는 보컬로서, 사운드로서의 가사를 중요시 하지만 그래도 이런 명 곡은 가사를 한번쯤은 음미해 주고 나서 또 다른 나름대로의 해석을 가져와야 하는 것 아닐까? 아무리 일개 대중 가요라도 적어도 그런게 거장과 명곡, 그리고 같은 음악을 하고 있는 아티스트로서의 예의가 아니었을까? 저작권료는 지불하고 왔을 테지만 (아마도) 그렇다고 이런 식으로 난도질을 해놓다니...ㅜㅜㅋ 정말 마음이 아프다.. 타인의 음악을 커버할 때 필요한 건 '또 다른 해석'이지 '노래방에서 마이크 잡고 기분 한번 내는 그런 돌림 노래'가 아닌것을!!!!
Bizarre Love Triangle에 관한 몇 가지 부분들!
로버트 롱고의 Men in the Cities
먼저 음악 만큼 뛰어난 곡의 뮤직 비디오는 로버트 롱고에 의해 연출되었다.
대중에게는 비트 타케시와 키아누 리브즈 주연의 'Johnny Mnemonic 코드 네임 J"의 감독으로 잘 알려져 있다. 전위적 사진 예술가인 신디 셔먼의 연인이기도 했다.
뉴욕 타임즈는 그를 일컬어 "80년대의 대표 예술가"로 불렀을 만큼 80년대 예술계에서 큰 자리를 차지해 왔다. 그의 여러 작품들 중 리소그래피 작품인 "Men in the Cities" 시리즈는 도시의 삶에서 한 개인적 인간이 도시, 기업, 미디어, 테크놀로지 등을 중심으로 둘러싸인 문화와의 충돌을 그려내며 80년대의 핵심 에센스를 담아낸 걸작으로 뽑힌다. (좀더 정확하게는 이 작품 속에 그려지는 80년대는 79년에서 83년 사이로 추정된다고 한다)
그리고 그러한 모습들은 추락한/하는 여성/남성-커리어 맨/우먼의 모습에 담아져 있는데 이는 곳 그런한 기계-기업-도시 중심적 문화의 일번지인 80년대 미국 사회를 바라보는 불편한 시선이었다.
이 주제에 의해 대한 두 가지의 탁월한 표현은 바로 주인공들의 드레스 코드와 제스쳐에서 나온다. 기업 문화의 상징이기도 한 유니폼, 즉 정장을 차려 입은 여성/남성 주인공들은 겉으로는 formal한 시대의 아름다움과 당참을 담고 있지만 어딘가 죽음의 댄스를 (작가 왈) 연상시키는 그들의 불편한 제스쳐가 그 형식적인 아름다움과 충돌하고 있다. 이는 바로 기업, 미디어, 기술 문화에 의해 불안정해지고 불안해진 그들의 내면 상태를 끄집어 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창조된 것에 의해 창조주가 구속되어진 것이다)
뉴오더의 뮤직 비디오는 바로 이 'Men in the Cities' 시리즈의 연장선이자 영상 버젼으로 볼 수 있는데 롱고가 시리즈에서 이루고자 했던 생각들이 동적인 영상 속에 잘 담겨져 있다. 특히 노래의 클라이막스자 롱고 시리즈의 클라이맥스이기도 한 '추락' 장면은 초현실감과 시대적 감수성을 순간에 담아낸 중첩감과 인스턴스 성은 감탄을 자아낼 정도다.
BIzarre Love Triangle의 의미? 그럼 과연 여기서 '괴기한' 삼각형 사랑의 구조는 어디에서 생성될까?
뉴오더의 음악처럼 여러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언제나 예술이란게 그렇듯이). 단지 디테일한 해석은 평론가와 관객들의 몫이겠지만 아티스트의 몫이란 바로 이런 맥락의 설정이란 것이다.
예를 들어 책상 위에 올려진 컵의 의미를 찾는 것이 보는 사람의 몫이라면 컵이 놓여진 책상이 있는 곳은 사무실이다, 학교다, 혹은 어둠 속에 있다 식의 맥락을 설정해주는 것이 아티스트의 몫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해석과 감상이란 형용할 수 없는 희열감은 그 맥락의 줄을 타고 들어가며 가능해진다.
뉴오더의 뮤직비디오는 맥락적인 측면을 뽀으면 분명 80년대라는 시대 그리고 도시/기업/미디어/테크놀로지라는 인간이 만들었지만 결국 인간이 그 노예가 되어버린 그 현대 (80년대) 사회의 맥락을 제시해 주었다.
그리고 그 괴기한 사랑의 구조는 관객이 여러가지로 끌어낼 수 있다. -정규직 - 비정규직 - 일 -남성 샐러리맨 - 여성 커리어 우먼 - 둘의 충돌 -비지니스맨 - 현대 사회 - 잃어버린 인간성
등등 해석은 무한하다 또한 음악도 그러하듯이 삼각형의 구조라 하여 꼭 3가지 요소만이 등장하는 것이 아닐수도 있다.
이런 여러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보니
Frente!의 감미로운 버젼은 일종의 레즈비언 테마 송으로도 소개되고 있기도 하다. 그룹의 보컬이 동성애자인지는 모르겠으나 뮤직 비디오에서 보여지는 그녀의 모습을 볼 때 충분히 가능하다는 생각도 든다.
그럼 오리지널 버젼의 뉴오더가 의미한 구조는 뭘까? 이것도 여러가지 해석이 나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해석 가능성이 이 음악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힘이다.
먼저 주체가 누구인가 할 때 가장 많이 나온 해석은 아마도 예전의 연인, 지금의 연인 그리고 그 사이에서 방황하는 한 사람이라는 것이다.
지금의 새로운 연인과의 관계 속에 그녀를(여기서 그녀라고 하는 것은 단지 보컬이 남성이기 때문에 편의상 사용하는 것이다) 버릴 수 없는 보이지 않는 '룰'에 지배받는 그가 지난 연인을 떠올리며 그녀에게 다시 돌아가고 싶다는 말을 차마 하지는 못하고 결국은 '자유'로운 옛날의 그녀가 '그 말'을 해주는 것을 기다리고 있다는 것일 수 있다.
또 하나는 오래된 사랑 속에 '갱년기'가 찾아 오며 구속과 같은 느낌을 받으며 그 진저리나는 사랑의 따분한 굴레 속에서 벗어나고 싶은 한 개인이 이상속의, 상상의 '그 녀'에게 바치는 초현실적인 의미로 다가 올수도 있다. 이렇게 해석될 때 맥락은 청춘남녀 뿐만이 아니라 결혼 생활을 하는 오래된 중년 부부의 이야기로도 전개가 가능하다.
또 하나 재미있는 해석인 삼각형이라는 구조에 얽힌 4명의 이야기라는 것도 있다. 이 해석은 바로 윗 해석과 어느 정도 공유하는 점이 많은데 커플인 남녀 각자가 느끼는 그 갱년기와 속박에서 벗어나고픈 혹은 푸념하며 상상으로만 그 탈출구를 떠올리는 의미다.
이 밖에 존재하는 다른 해석들은,
밴드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지난 그들이 몸 담았던 모체인 Joy Division의 이언 브라운을 기리며 부른 음악일수도 있다.
또한 뉴오더와 조이 디비젼이 가지고 있던 영국의 시대적 맥락을 따져 보면 주체는 마약이라고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