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딩씬
(엔딩 장면이 뭐가 될지 짐작할 수 있을만한 스포일러 아닌 스포일러 있음)
크게 상관은 없을듯...ㅜㅜㅋ

...

영화에는 안어울리는 뜬금없는 노래지만 .. 어쨋든 제목만...ㅋㅋㅋ
Sexual Healing (Mercurius FM Soul of House Mix)  by Marvin Gaye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과연 위그라프는 마지막 용의 성배를 들고 바다 위에 떠있는 그렌델의 어머니 품에 안겼을까?

개인적인 생각의 답은 "아니다"

영화 상 시대는 어느덧 신화와 영웅이 사라지고 예수 그리스도를 앞세운 크리스챤이 지배하는 세상을 말해주고 있다.

따라서 에쿠우스를 연상시키는 듯한 호르스가 왕의 똑같은 스텝을 밟은 베오울프 또한 신화적 영웅으로서 육체의 쾌락은 금기시 되지 않는다.
그 또한 오딘을 신으로 섬기는 마지막 영웅이며,
이 신화의 영웅은 나약하고  고독하고 섬세하다
.


하지만 크리스챤의 시대가 도래하며 변한 것은 무엇인가?
육체라는 것은 한 낫 고깃덩어리에 불과한 천한 것이 되어버리고 정신적인 것에 대한 구원이라는 요소만이 강화되었다.
따라서 남녀 간의 (남남, 여여 간의 관계는 고사하고)  육체관계는 탐욕, 쾌락의 요소를 가짐으로서 금기처럼 여겨졌다.
오늘 날 현대 사회에서 꺼리낌없이 자신의 육체 관계를 말하는 사람을 보며 아직도 가슴 한구석에서 불편한 마음을 가지는 것도 이 이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찌하였건 신화와 영웅의 시대의 마지막 영웅인 베오울프는 호르스가 이전부터 이어졌음직 한 지독한 신화적 알레고리를 끊어버린다. 그럼으로서 동시에 신화의 시대도 막을 내린다.
육체를 불사르며 끊임 없이 이어지는, 돌고도는 여행, 고독, 싸움을 통해 신의 경지로 오르게 되던 시대는 지고,
그런 힘겨운 육체를 버리고 정신적인 구원만을 기다리는 '나태(?)'의 시대에 올라선 것이다.

베오울프를 뒤를 잇는 위그라프는 더 이상 "아들-아버지" 관계로서 오른 왕이 아닌 친구로서, 동지로서 신화적 알레고리에서 어느정도 벗어난 인물이다.
따라서 이성적? 이상적으로 볼 때,
크리스챤니티와 함께 중세를 벗어난 접점기 혹은 그 시작에 선 위그라프는 분명 크리스챠니티가 중요시 여기는 '금기'에 대해 순응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간의 의지로 , 그 육체의 쾌락을 떨쳐 버림으로서 순수한 혈육 관계의 아들을 나았을 것이다.
 동시에 그렌덜의 어머니 괴물 또한 신화시대의 마지막 괴물로서 이 세상에서 사라지고,
프로이드가 등장 할 때에 맞추어 인간의 정신 속 혹은 심리 속에서 다시 부활 한 것이 아닐까...






--------
베오울프,
고등학교 영문학 시간에 어려운 고전 영어에 낑낑대며 읽은 기억만이 남아있다....
물론 내용이며 메타포에 대한 기억은 '클리어'되어 있다...
그러니 오히려 더 주관적인 나름의 시나리오가 나오게 되더라는 주절주절.... 

--------
솔직히 개인적인 취향에는 맞지 않는 영상이었다...
그리고 가끔 300을 연상 시키는 시퀀스들도 그저그랬고...
그래도 잠시나마 현실을 잊게 해주는 스펙터클과 내러티브에 침 질질 흘리면서 보게 되었다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엔젤리나 졸리... 별로 좋아하지 않는 배우라 그런지...
베어울프에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든다...
(적어도 영화 상에서) 신화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괴물, 팜므파탈, 애증의 관계...
이런 요소를 소화내기엔 뭔가 세련됨과 깊이가 모자른 캐릭터라고나 할까?
아니면 스칸디나비안의 냄새가 너무 나지 않아 어울리지 않을 것일수도...
갑자기 스칸디나비안에서 왠 라띠노+이딸리안 삘이 나는지... 이건 좀 삑사리 같다...
신화의 원조인 중동을 바라보는 마음에서 중동삘을 원한건 아닌 것 같고...

그렇다면 누가 어울렸을까?
밀라 요보비치는 영상 분위기 상 어울렸겠지만... 졸리보다 더 싼티가 팍팍 났을테고...
잘 모르겠다...ㅜㅜㅋ 암튼 졸리는 미스캐스팅인듯...

728x90
반응형
이 애절한 처지에 어울릴까나?
A Dear John Letter
by Nada Ubankova & Ladislav Vodicka



사용자 삽입 이미지


느낌 요약 하자면,

아마도 레드포드는 영화미학에 대한 많은 걸 포기하면서까지
관객에게 무언가를 호소하고 싶었겠지만
아무리 그런 간단한 교육영화 순준의 깊이라도,
그 진의들은 뉴스 속 자막과 같이 밑에 읽혀지지 않은 채로 흘러갈 뿐
대신 메인 뉴스거리가 된 연예인 가십에 집중하는 현대인처럼
레드포드, 스트립, 탐 크루즈의 늙어버린 모습만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태반일 듯 싶다.


실망
정치 영화를 좋아하고 요즘 워낙 기근 현상을 보이는 지라 아주 반가이 맞이한 레드포드의 라이언즈 포 램즈..

뚜껑을 열어보면 그 화려한 캐스팅과 포장에 비해 많이 실망스러운 영화다...
한마디로 받은 느낌은 어느정도 알맹이와 깊은 논의를 다 짤라버린 대중용 교육 영화랄까?

더군다나 교수라는 캐릭터를 직접 떠맡고 관객에게 '강의'하고 '설득'시키려는 레드포드를 바라보는 내 입장은 거침없는 선댄스키드도 아니오 일저리 동분서주하는 대통령의 사람들의 기자도 아닌 저 구름 위 신의 의자에 앉아 있는 레드포드의 모습이라 심이 불편했다.

같은 '테러' 테마의 영화인 [킹덤]의 작가가 시나리오를 썼다는데 전쟁터, 의회, 학교 이렇게 3부분으로 나뉘어 6 명의 메인 캐릭터를 심도 있게 다루는 것은 완전히 실패한 듯 보인다. (물론 연출에 있어서도)

또한 이러한 느슨한 전개와 연결성에 의해 맥이 풀리는 내러티브와 이러타 할 평가도 내릴 수 없는 그저 안정스럽기만 한 영상 또한 마지막의 애매한 클라이맥스 (1.항복하려 한걸까? 2.탈레반 따위에게 잡힐 바에 죽자라고 총쏘는 척을 한걸까?)를 더욱 애매하고 맥 풀리게 만들어 버린다.

그래도 한 번 쯤 보고 생각할만한 이야기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이 영화가 감동이라던지 어떠한 깊이를 가진 것 처럼 '치장'한 반동스러운 상업 주류 영화라고는 평가하기도 애매하다. 오히려 자본주의에 몸과 정신을 팔며 너무나 가벼운 삶을 살아가는 무지해진 우리 현대인에게 한번쯤 봐볼만한 영화가 아닐까도 생각한다. 물론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 영화다. 하지만 중학교 수준의 교육 영화라 하더라도 과연 현대 성인들이 진지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도 의문이다.
이런 문제 말고도 신경쓰고 스트레스 받을 일 많은 성인들에게...

레드포드가 모두에게 보여주고픈 교육 영화로서 사람들이 너무 괴리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미학적인 요소, 예를 들어 메타포의 사용 등을 과감히 절제했고, 또 너무나 재미 면에 치우치지 않기 위해 자극적인 면도 차단해버린 의도가 다분히 보인다.

주관적으로 받은 영화의 핵심은 바로 '가상 Virtual'이었다.
이 한 단어가 모든 내러티브와 영상의 핵심이 된다.
로스트 라이언즈의 뒤에는 보드리야르의 그림자가 떡하니 버티고 있는 듯 했다.

현실을 살아가며 현실에 대한 액션을 취하는, 현실과 부딪히며 사는 이들의 모든 배경, 근거, 논리, 경험 등은 가상적인 경험에 베이스를 두고 있다.
이 얼마나 위험하고도 허튼 짓거린가 싶지만...
우리는 이미 그렇게 살고 있다.

탁상공론에 대한 비판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나는 오히려 이런 가상 경험에 따른 현실의 문제점이라고 지적하고 싶다 (물론 거시적으로는 똑같은 맥락이긴 하지만)


1.탐 크루즈 (정치 의회)와 메릴 스트립 (미디어)의 대립
 -역시 똑같다. 정치나 미디어나 우매한 대중에게 환상을 심어주고 전설 따위를 만들며 현실의 가상을 꾸며 현실화 시킨다. 그리고 그 꼭대기에 서있는 우두머리들은 지독하게도 가상적 경험에 따라 모든 것을 움직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디어를 통해 대중을 선동해 테러 관련 공화당 정책을 관철시키려는 탐 크루즈는 육군 사관학교 출신 고급 엘리트라는 아우라만을 뒤집어 썼을 뿐 그의 머리에서 나오는 모든 정책에 대한 베이스는 너무나 초라하게도 사무실 안 전화기라는 커뮤니케이션 매체 뿐이다.

메릴 스트립 또한 탐 크루즈와 대치하며 베트남 전의 히피나 민주당 배경적 성격을 약간 불러 일으키고 전형적인 '정의'의 심볼이 되지만 그녀 또한 정확한 현실이 아닌 가상에 따른 가상을 만들어내는 저널리스트에 불과하다. 이 부분은 마지막 장면에서 참전 용사 무덤을 바라보며 눈물을 흘릴 듯한 여기자... 하지만 그녀의 감정 또한 자신의 직업이 제공하는 물리적 공간에 갖혀 끌어낸 가상적 경험에 따른 판단에 의한 슬픔과 정의의 감정일 뿐이다.
이렇게 되면 탐 크루즈나 메릴 스트립이나 가상적 경험주의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모두 동일하다. (메릴 스트립 또한 그녀가 만들어 내는 현실은 펜촉과 메모장에서 시작한다)
 
2.레드포드와 학생
 -신이시자 교수님이시자 스토리텔러이시자 설교자이신 레드포드를 보느라 불편하지만 어찌하였건 정치 과학학도 학생 또한 자신의 머리와 마음에서 나오는 '학교 안의 학생'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더군다나 마지막 장면에서 이 학생이 보는 뉴스의 메인은 연예인 가십거리였고 밑에 자막으로 테러 관련 자막이 짧게 흘러나온다. 분명 자극적인 미디어의 수용에 의해 길들여지고 가벼워지는 우리 현대 대중을 질책하는 씬이긴 해도 너무 너무 직설적이기에 너무 너무 뻔하고 가벼워 보일 뿐이다.


3.전쟁터
 -두 명의 마이노리티 출신 학생 지원군들보다도 아미 베이스가 더 인상적이다.
이라크 전쟁이 일어나며 한 때 '유행'했던 미디어 자극의 극치였던 그 녹색영상!
가상적 토대를 통해 두 명의 목숨을 좌지우지하고 모든 것을 통제하는 그 작은 아미 베이스야 말로 영화에서 보여주는 가상 경험에 의해 돌아가는 의회, 미디어, 학교 등의 사회 공간의 가장 작은 집합체다
.
언제 꺼져버릴지도 모를 것 같이 치직 데는 영상 안에서 스타크래프트의 조무래기인냥 꼼지락 거리는 작은 점들이 바로 현실 속의 숨쉬는 사람들이라는 사실은 우리는 알아도 깨닫지 못한다. 그 영상 자체가 이제는 현실이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논의 또한 상당히 진부하지만) 어떡하겠는가... 상황은 더욱 지독하게 악화 되가고 있을 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는 정치가들과 미디어가 순간순간 던져주는 떡밥을 물고 이리저리 따라다니기만 하면 된다.
우리 대중이라는 물고기 무리가 사는 곳이 연못이던, 강이던, 바다던 무슨 상관인가?
떡밥만 보고 쫒아다니면 공간이 넓건 좁건 벽(땅)의 경계에 맞딱뜨릴 염려는 없다
왜? 그들이 인도해주니까... 그들이 그런건 용납할 수 없으니까..
머리를 박으면 대중이 정신 차리게 될테니까
대중이 재정신을 차리면 모두 상황이 무섭게 격변해 버릴 수 있는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으니까...
자본주의에 의해 정신과 몸이 황폐해져 이젠 노예라고도 부를 수 없는 사회...
적어도 노예에겐 근성이라도, 혹은 희망이라도 존재할 지 모르지만,
자본주의의 노예를 초월해 몸을 파는 존재가 되어버린 현대인에게는 오히려 떡밥의 존재에 감사해 할지도 모를 일이다.

(어딘가에서 한없이 우리를 비웃으며 피를 빨아먹고 사는 '그들'의 논리에 따르자면)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맨체스터 밴드, The Whip의 Sister Siam

반가운 소식은 윕의 음악 저 뒤에 간질 간질 거리는 일렉트로 노이즈를 담고 있는 주인공이  Bitchee Bitchee Ya Ya Ya비찌비찌 야야야라는 것!

작년인가 년 초에 처음 알게 된 아티스트인데 깔끔한 사운드 배경의 일렉트로 펑크가 인상깊었다
얼굴 공개도 없어서 좀 궁금했었는데...
요 뮤직 비디오에서는 시원하게 공개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거이 비찌비찌 야야야의 Fuck Friend...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