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아... 내가 팝을 좋아하는 이유
이런 대중 가요라면 언제나 환영이다~

귀여운 싱거송라이터 YUI의 CHE.R.RY

Che.r.ry (Original) *음원 문제 시 내릴게요 ㅜㅜ this is for listening purpose only

Che.r.ry (Beta Panama Baltimore Version)

CHE.R.RY (Baltimore Versi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름 휴가고 뭐고..
시원한 여름은 오긴 온건가요?
728x90
반응형
반응형
Kanye West가 Daft Punk의 Harder, Better, Faster, Stronger 커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다프트펑크의 harder, Better...는 "Cola Bottle Baby" by Edwin Birdsong가 원본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반응형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op] Cherry by Yui & Remixes  (0) 2007.08.14
The Tough Alliance_Silly Crimes  (0) 2007.08.13
Anggun & DJ Cam - Summer in Paris  (0) 2007.08.04
[Summer Songs] Bikini Party~!  (0) 2007.08.03
[Nu Italo Disco] The Chromatics  (0) 2007.07.31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름 여름 여름... 이번 여름은 유난히 비도 안오면서... 개인적으로 여름같지도 않은 여름...
파리에서의 여름은 좋을까나?  라따뚜이는 좋더만...
DJ Cam과 인도네시안 보컬 앙군의 Summer in Paris
이 음악 들으면 갑자기 맛있는 샌드위치가 먹고 싶어진다 ㅜㅜㅋ
주절주절..
728x90
반응형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Tough Alliance_Silly Crimes  (0) 2007.08.13
[Hiphop] Kanye West & Daft Punk---STRONGER  (0) 2007.08.08
[Summer Songs] Bikini Party~!  (0) 2007.08.03
[Nu Italo Disco] The Chromatics  (0) 2007.07.31
New Young Pony Club_Ice Cream Remixes  (2) 2007.07.30
반응형

여름 휴가는 나도 몰겠다...
여름하면 떠오르는 것은? Convention 중의 Convention...Bikini...

사용자 삽입 이미지

<Boutique Chic Bikini Party> 앨범 중 Vegomatic의 3 Bikini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뮤직 비됴...B급 캠프 영화를 떠올리는 조금은 지저분할 수 있는 영상..^^



사용자 삽입 이미지
Glass Candy 'Nite Nurses'

요것도 마찬가지로 좀비가 튀어나올 것만 같은 영상에
Crazy loco bikini party~~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이건 보너스 위의 Vegomatic의 'French Up' 뮤직 비됴
서핑락 그룹이라 여름에 듣기 딱 좋은 음악들이다.
728x90
반응형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phop] Kanye West & Daft Punk---STRONGER  (0) 2007.08.08
Anggun & DJ Cam - Summer in Paris  (0) 2007.08.04
[Nu Italo Disco] The Chromatics  (0) 2007.07.31
New Young Pony Club_Ice Cream Remixes  (2) 2007.07.30
Girls Girls Girls  (0) 2007.07.30
반응형

PLUR & Vibe Upon the World 11: Rave Typology

* 분류는 로빈 사일비안의 트랜스포메이션 <Trance Formation>을 참고했음을 밝힌다.

 

인터넷에서 이런 글을 읽었다. 자동차에 대해 말할 때 요즘은 그저 스포츠카라고 부르는 것을 뛰어 넘어 로드스터와 쿠페를 구분할 줄 아는 세대로 접어 들었다고 한다. (사실 난 그 차이를 잘 모른다. 시대에 뒤떨어져 가는 것인지) 마찬가지로 그저 파티가 아니라 자신이 어느 형태의 레이브 혹은 클러빙의 경험을 하고 있는 지 알아두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 같다.

 

웨어하우스 언더그라운드 레이브 (Underground Warehouse Type)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레이브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형태다. 하우스의 고향으로 일컬어지는 프랭키 넉클스의 시카고 웨어하우스(창고) 파티에서 그 어원을 찾아볼 수 있다.  웨어하우스와 언더그라운드라는 단어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듯이 참여와 준비에 있어 상당히 비밀스러운 과정을 요하며 레이브 시절 초기에 성행했다. 대게 버려진 창고 같은 곳을 찾아 원-샷 이벤트 식으로 열렸기 때문에 경찰의 눈을 잘 피해야 했고 당연히 모이는 사람들도 소위 말하는 '인사이더'들이었다. 웨어하우스 레이브가 계획되면 지인들이나 동네 언더그라운드 레코드 가게들을 통한 플라이어를 얻어 (혹은 이메일이나 자동응답을 통해) 날짜와 연락처를 받게 되는 식이었다. 그리고 이벤트가 시작되기 몇 시간 전 연락처로 전화를 걸어 녹음된 메시지로 장소를 확인 하는 경우가 많았다. 혹 더욱 비밀스럽게는 그 장소에 도착했을 때 레이브 관련자가 그 곳에서 직접 장소를 말해주고 레이버들은 그에 따라 다시 방향을 돌리는 식이었다. 또한 클럽과는 달리 오프닝과 엔딩 세레모니가 따로 마련되어있기도 했다. 이런 비밀스러운 '모임' 의 분위기는 레이버들이 서로에게 가지는 유대감을 더욱 강화시켰고 일종의 '자신들만'의 이벤트로서 일종의 종교적인 측면을 강조 시키기도 했다. 물론 이벤트 플래너들의 일거리도 만만치 않았다. 그 날의 '확실한' 경험을 위해 DJ 부킹은 물론 사운드, 비쥬얼, 데코레이션, 먹거리 (특히 물), 경찰로부터의 안전 보장 등 힘든 과정을 거쳐야 했다.

레이브와 클러빙의 성공여부는 바이브를 끌어낼 수 있었느냐에 달려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 웨어하우스 레이브의 경우 이 '바이브'를 느끼기에 가장 수월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레이브의 첫 경험은 단순한 행복과 쾌감을 뛰어 넘어 인생관의 전환점을 맞게 했다고 많은 1세대 레이버들은 증언하고 있다. (흔히 레이브가 성공적으로 끝났을 때 “It went-Off’란 텀을 쓴다)

대게 밤 10시~12시 이후에 시작되고 피크타임은 새벽 3,4시 정도이다. 레이브가 끝난 후 레이버들은 집에 돌아가 휴식을 취하거나 오후까지 열리는 애프터 파티로 향하기도 한다.

90년 대의 초기 미국 샌프란시스코 레이브 씬이 이 웨어하우스 파티로 유명하다. 그레그 해리슨 감독의 영화, '파티는 시작되었다 (Groove,2000)'이 모습을 잘 묘사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클럽, 바, 라운지 (Club Typ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즈음 국내에서 '클러빙','파티'라고 하는 이벤트의 대부분이 이 분류에 해당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레이브/클러빙의 첫 경험을 하게 되는 공간이다. 앞서 말한 웨어하우스 레이브와 근본적으로 다른 것은 웨어하우스가 '언더그라운드'인 반면 이들은 어느 정도 혹은 완전히 '오버-그라운드'라는 것이다. 법적으로 승인을 받은 장소에서 행해지는 만큼 언더그라운드 파티와는 달리 마약이 규제되고 술이 합법적으로 판매된다. 또한 이 곳을 가기 위해 '인사이더'일 필요도, 지인을 알아서 때와 장소를 알아내야 할 필요도 없다. 입장료만 있으면 언제나 '웰컴'이다. (따라서 엄격히 따질 때 요즈음의 클럽을 순수한 차원에서 레이브라고 부를 수는 없다) 이러한 상업적 측면은 그만큼 시공간적 접근성을 높이기 때문에 클러빙과 레이빙의 첫 경험을 이곳에서 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비주류 레이브보다는 덜 유토피안적이고 타인과의 허물없는 시간을 보내기 힘들기 때문에 레이브에서 느낄 수 있는 바이브를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다. (엑스터시 때문이라기 보다는 현재 클럽 씬의 분위기 그 자체의 문제로 보여진다)

클럽 오너가 직접 주기적으로 파티를 계획하는 경우도 있고 이 공간을 빌려 서로 다른 프로모터들이 돌아가며 자신들의 파티를 여는 경우도 있다. 상업적 측면이 강한 유명 DJ들의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웨어하우스 레이브와는 대조적으로 종교적이고 유대적인 오프닝, 엔딩세레모니, 애프터 파티가 생략되고 새벽 2~5시 사이에 (법적인 문제로) 문을 닫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즘 대부분의 클럽이 이 형식에 속하며 80년대 후반 애시드 하우스로 물들은 영국 씬은 이른바 클러빙의 르네상스라고 할 수 있다. 토니 윌슨의 하씨엔다와 더불어 이비자의 발레릭 씬에 영향을 받은 닉키 할러웨이, 폴 오큰폴드, 대니 램플링의 트립, 스펙트럼, 슘  클럽 등이 유명하다. 특히 슘은 영국 최초의 레이브 클럽으로 그 안에서 느낄 수 있었던 사랑과 환희의 바이브는 아직까지 전설로 남아있을 정도다. (아무래도 이 때는 초기 애시드 하우스 시절이었던 만큼 언더그라운드 적 현상으로서 클럽과 레이브에서 엇비슷한 바이브를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


 


대규모 상업 레이브 (Massive and Commercial Type)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규모가 엄청난 만큼 '매시브'라고도 불린다. 실내/야외 이벤트를 포함하며 몇 백에서 몇 만까지의 인파가 몰려든다. 큰 이벤트인 만큼 기업체의 스폰스를 받기도 하고 매체를 통한 광고도 대대적으로 펼친다. 따라서 장소가 '공개'된다는 측면에서 언더그라운드 레이브와 대립된다. 사운드 시스템, 조명 등 화려하고 압도적인 분위기 연출에 있어서 많은 투자를 하며 주 라인업은 로컬이 아닌 수퍼스타 DJ들이 장식한다. 따라서 일종의 락 콘서트를 방불케 하는 현상이 종종 일어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레이버들 간의 유대감은 소규모 클럽 보다도 더욱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이벤트를 준비하는 프로모션 또한 이상적이고 유토피아적인 레이브 분위기의 연출 보다는 상업적 목적을 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참여 연령대가 다양하지 않고 비교적 어린 층으로 한정되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야외 레이브 (Outdoor Typ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언더그라운드 레이브의 유토피아적인 이상을 창고라는 갇혀진 공간에서 자연이라는 넓고 포용적인 공간으로 확대 시킨 개념으로 보면 된다. 이러한 야외 레이브 또한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등 전 세계적인 규모로 펼쳐지고 있다. 야외에서 펼쳐지는 만큼 여느 클러빙이나 레이브처럼 20,30분 운전해서 갈 거리가 아니다. 따라서 각자의 짐을 챙겨 여행을 떠나야 하는 만큼 이벤트에 가기 위해서 좀더 많은 시간과 체력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이 결과 자동적으로 참여자의 '필터링' 작업이 펼쳐진다. 간단히 말해 이런 귀차니즘을 극복하고 진짜 '모일 사람들'만 모이니 그 유대감과 경험의 레벨은 당연히 높아질 수 밖에 없다. 특히 숨막히는 자연경관과 함께 일체감을 느끼는 초월적인 경험은 감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문트라이브의 풀 문 게더링 (Full Moon Gathering)이 대표적 사례로 꼽히며 다큐멘터리인 '베터 리빙 스루 서키트리 (‘Better Living Through Circuitry,1999'가 야외 레이브 씬을 잘 묘사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etter Living Through Circuitry, 라스트씬>


 

페스티벌(Festival Typ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야외 레이브의 한 갈래라고 볼 수 있다. 하루가 아닌 2,3일 또는 일주일 동안의 기간 동안 진행되는 일종의 '일시적 커뮤니티' 개념이 녹아 들은 이벤트다. 유명한 페스티벌들인 글라스튼베리, 크림필드, 홈랜드, 코첼라, 버닝맨, 러브 퍼레이드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 여기서 몇 가지의 성격으로 구분될 수 있지만 우선은 두 가지로 간단하게 생각하면 된다: 상업적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며 우드스톡적 성격을 어느 정도 계승하는 것 (히피적이거나 이상주의적인 성향: 스톤헨지)과 그렇지 않은 것 (크림필드).

자연 경관이 뛰어난 사막이나 초원 등지에서 펼쳐 지기 때문에 위에 언급했듯이 장소에 가기 까지 어느 정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도심지에서 열리기도 한다) 또한 몇 일이 넘도록 수많은 인원들이 같이 생활을 하게 되기 때문에 하루, 이틀에 불과했던 야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레이브의 일시적 커뮤니티 개념이 좀더 확장된다. 우드스톡도 그러했지만 이런 대규모 야외 음악/예술 페스티벌을 향한 기성세대의 시선은 오래 전부터 좋지 만은 않았다. 그 결과 (70년대 이후 포스트 히피 세대들) 테크노와 에시드 하우스, 락이 혼합된 페스티벌의 주역들인 영국의 피스 콘보이 (뉴에이지+히피), 지피(히피+80년대 후반 테크노), 스파이럴 트라이브 등이 정부와 기성 세대에 맞서 스톤헨지, 캐슬모튼, 글라스튼베리 등지에서 때로는 피를 흘리며 자신들의 위치를 지금까지 지켜 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 하나 주목할 것은 단연 독일의 러브 퍼레이드다. 요번 '하이 서울 페스티벌에 왔던 DJ 닥터 모트에 의해서 음악을 통한 평화와 이해라는 모토로 시작된 이 페스티벌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로서 (89년 100명 남짓한 인원으로 시작해서 2003년엔 75만명, 2006년에 이르러 120만 명을 끌어 모았다) 베를린 전체가 레이버들과 클러버들의 잔치판이 된다. 이는 레이브로 대변되는 전자댄스음악 문화가 얼마나 주류 문화에 깊이 파고 들었는지를 보여주는 극단적인 예다. 오후, 저녁 시간을 이용한 도심 퍼레이드로 시작해 새벽을 향한 광란의 크고 작은 애프터 파티들로 이어지는 베를린의 러브 퍼레이드는 레이버들에게 일종의 성지 순례이며 정부,시청 입장에서도 나치 국가의 이미지 쇄신과 관광, 문화 수입원이 대단한 만큼 안전, 화장실 제공, 청소 등 아낌 없는 지원을 펼친다. 하지만 세상 모든 것이 일장일단이 있듯 몇 일간 시끄러워지는 이 도시를 견딜 수 없어 시간에 맞추어 딴 곳으로 여행을 떠나버리는 베를린 사람들도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라스튼베리 페스티벌

 


                        <Love Parade 2006 Anthem- United States of LOVE by Westbam>

리트리트(Retreat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면 상의 문제로 자세한 설명은 못하지만 위에 언급한 형태들보다 새로운 개념의 진화된 레이브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이 리트릿을 레이브로 부를 수 있는 타당성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다.)  게더링 오브 트라입스(Gathering of Tribes), 리듬 소사이어티 (Rhythm Society), 트라이벌 하모닉스(Tribal Harmonix) 등이 대표적인 예로 꼽히는데 종교적이고 유토피안 커뮤니티와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음악과 댄스가 난무하는 레이브 뿐만 아니라 워크샵이나 명상 활동 등을 치밀하게 계획하여 레이브의 원형이 추구하던 이상적인 개념을 (사랑, 평화, 평등, 존중 등) 가르치고 토론하고 실천한다. 바로 서로 존중하고 평화로운 ‘건강한 커뮤니티 구축’에 깊은 뜻이 있다. 더 나아가 이 리트릿에 참여 했던 이들이 사회에 나가서도 자신들의 일상적인 삶에 이 이상이 녹아 들 수 있도록 노력한다. 이들 그룹은 자체적으로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있으며 참여 또한 추천에 의해 가능한 ‘작고 닫힌’ 사회다. 그런 만큼 자신들의 덩치를 키우는 것에도 민감하다. (사람이 사람을 존중할 줄만 알아도 얼마나 편한 세상이 될까… 정말 이상적이기는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ntention 6 - Tribal Harmonix Community Event>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ght Drive [Demo]

사용자 삽입 이미지
Killing Spree

사용자 삽입 이미지

Hands in the Dark [2007]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 Chromatics , [In the City] MV
728x90
반응형
반응형
New Young Pony Club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NYPC의 정규앨범이 8월 중으로 확정되었다.  <FANTASTIC PLAYROOM>
상업세상의 절차는 오래 걸리는 구나..
어찌하였건 Shu님에 리마인드된 상태에서  뉴영포니의 메이져 데뷰를 축하하며 그들을 세상에 처음 알린 ICE CREAM의 리믹스들 중 몇 개를 골라 본다...
메이져로 데뷰한 만큼 이들 노래 업로드는 힘들라나..
 



사용자 삽입 이미지


Ice Cream (Popular Computer Remix)



Ice Cream (Herve Goes Bananas Remix)


Ice Crean (Van She Tech Remix)


Ice Cream Original Version



728x90
반응형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mmer Songs] Bikini Party~!  (0) 2007.08.03
[Nu Italo Disco] The Chromatics  (0) 2007.07.31
Girls Girls Girls  (0) 2007.07.30
[주절주절] 한국형 시부야 케이과 Retro-Futuristic 여성 보컬  (2) 2007.07.01
[Electro Pop] Vive La Fete  (2) 2007.07.01
반응형
Calvin Harris 'The Girls'

사용자 삽입 이미지


ERIKA Jayne - Roller Coast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Sophie Ellis Bextor - Get Over You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반응형
반응형

 

클럽 컬쳐 매거진 블링 연재 중인 일렉트로니카 이야기 관련 칼럼인 PLUR & Vibe Upon the World 옛 하드카피 원고들입니다.
hyperlink를 통해 좀더 나은 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아직 연재 중인 컬럼이니 잡지와는 시차를 두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퍼가시게 될 때는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워드클라우드 형식으로 표현한 일렉트로니카 타임라인

(Width X Height: 4m X 1m )  1년여에 걸쳐 완성된 것이지만 이미지가 너무 큰 관계로 웹상에서 디테일은 보여드릴수가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PLUR and Vibe Upon the World 10: ELECTRONICA Timeline

 컬럼이 시작되고 지금까지 최근 흐름에 (2000년도 이후) 대한 굵직한 요소들은 어느 정도 얘기한 것 같아 이제 초심으로 돌아가 '케케묵은 옛날 이야기'로 방향을 수정해 보려 한다. 그리고 뭐부터 시작해야 되나 생각하다 막혀버려서 우선 큰 그림을 던지기로 마음 먹었다. (이 한정된 지면 안에서 전자 댄스 음악 문화사의 모든 것을 설명하려고 하는 것 자체가 무리가 있어 보여 자세한 디자인 컨셉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한가지 말하고 싶은 점은 이 연대기는 '부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체의 흐름을 봐야 한다' 믿음 하에 전자댄스음악의 큰 흐름을 시각적으로 보기 위해 제작된 것이다. 기술과 예술을 두 개의 큰 축으로 그리고 그 안에서 전자댄스 음악의 장르와 문화의 흐름에 따른 일종의 정보 집합의 과정이다. 즉 연대기에 표기된 정보 하나하나가 그 특정 시대에 있어 일렉트로니카 문화와 관계성이 높은 세포들이라고 보면 된다. 진화의 과정을 통해(시간이 지날수록) 세포들이 모여 하나의 생명체를 이루는 것처럼 연대기에서 정보들이 모여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고 있는 것이 문화의 확산을 뜻한다. 디자인 설명은 대충 이 정도로 끝내고 역사를 한 번 쓱 훑어 보겠다. 많은 정보가 한 번에 들어가는 만큼 지루하고 숨가쁠 수 있을 것이다. (일종의 오버뷰라고 생각하면 된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중 피타고라스와 아리스토텔레스는 음악이야 말로 우주와 지구 그리고 신과 인간을 이어주는 원초적인 '언어'와 '조화'라고 생각했다. 음악은 우리네 삶의 애환과 행복을 대변해주는 것 이상이었다. 하지만 18,19세기의 계몽주의와 산업혁명 후 신은 곧 인간이었으며 종교란 인간 자신의 의지와 믿음이었다. 그렇게 오늘날까지 앞만 보고 달려온 인간에게 돌아온 것은 더욱더 복잡해진 스트레스, 사회, 사상, 현실 그리고 황폐화 된 지구뿐이다. 어찌하였건 과학기술의 발달이 그 엑셀레이터를 밟는 순간 하나였던 과학은 두 개의 전혀 생소한 분야, 예술과 테크놀로지로 갈리게 되었다.

이 때부터 인간은 (음악적으로만 얘기한다면) 하루가 바삐 생겨나는 새로운 기계들을 통해 기계에 의존하면서도 인간적인 음악을 만들기 위해 그리고 기계와 인간의 합성이란 현대 문명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하기 시작하게 된다. 한 사람의 일생이라고 할 수 있는 겨우 100년 전에 이렇게 전자음악의 작은 움직임이 보이기 시작했다. (또한 엑스터시 마약의 탄생도 그 때 즈음의 이야기다) 벌써부터 이 시절의 음악가들은 소음과 반복이란 요소를 찾아내었고 1920년대에 그 때까지 무성했던 이론을 뛰어 넘어 프랑스의 에드가 바레세가 실질적인 전자음악적 시도를 하며 새로운 활로를 뚫게 된다.

이 탄력은 1950년도까지 올리비에 메시앙이나 존 케이지 같은 (그리고 스톡하우젠으로 이어지는) 전위 음악가들로 하여금 전통적 형식을 대담하게 거부하고 절대적이었던 서양 사상을 벗어나 동양적 사상을 품으며 기계음이 단지 소음이 아닌 새로운 '희망'이라는 이론적 틀을 마련해 주게 되었다. 그리고 테이프의 탄생과 함께 이를 활용한 구체음악이 발달하게 된다. 이 시점 이후로 독일, 미국, 프랑스, 일본 등 세계 각지에 전자음악 연구소들이 생겨나며 새로운 문화의 탄생의 불을 조심스레 부치고 있었다.

 60년대는 그야말로 인간이 만든 새로운 세계관이 질풍노도 같은 발전을 거듭한 숨막히던 시절이었다. 인간이 달 착륙에 성공한 것은 물론 멜로트론과 모그 신디사이저가 탄생했고 마셜 맥루한은 미디어의 시대를 예고했으며 티모시 리어리는 LSD와 마리화나를 찬양하며 앞으로 다가올 사이키델릭하고 영상에 입각한 새로운 세대의 가능성을 외쳤다.

그 뿐 인가. 비로소 '젊음의 문화'를 가시적으로 볼 수 있는 것도 이 시기다. ‘스윙잉 런던’과 ‘우드스톡’으로 대변되는 모드와 히피 문화는 세상 사람들이게 '젊은이'라는 신인류의 출현을 인식시키고 새로운 세계관을 제공했다. 대중 음악인들의 전자음악적 시도도 이때 연쇄적으로 폭발했다. 밥 딜런은 전자음악을 품기 위해 통기타를 집어 던졌으며 죠지 해리슨은 비틀즈로 하여금 전자음악과 사이키델릭의 세계로 유도했다. 무그 신디사이저를 통해 웬디 카를로스는 바하의 음악을 전자화 시켰다. 재즈의 위기를 일찍이 감지한 마일스 데이비스는 재즈를 락과 신디사이저에 접목시키고 자마이카에서는 리 스크래치 페리를 필두로 테크노와 힙합의 모태인 덥과 레게를 탄생시켰다. 락 음악계에서도 지미 헨드릭스는 전자기타를 통한 예술적 퍼포먼스로 세상 사람들을 흥분시켰고 핑크플로이드와 벨벳언더그라운드 또한 소음과 전자 음악기기와의 힘겨운 씨름을 통해 예술적 대중 음악으로의 승화를 성공시켰다. 바로 락 밴드와 신디사이저의 결합의 순간이었다. 그리고 이 흐름은 마이크 올드필드나 탠져린 드림 같은 아방가르드 신디사이저 및 뉴 에이지 아티스트의 탄생에도 불을 붙이게 된다.

이러한 60년대의 문화적 폭발을 배경으로 70년대에 들어 지금 일렉트로니카로 대변 되는 실질적인 전자댄스음악이 모습을 드러낸다. 이 때의 주역이 바로 신스팝의 대명사인 독일의 크래프트워크다. 이들의 영향은 곧 80년대 일렉트로, 테크노, 애시드 하우스로 이어진다. 이들은 순수한 전자댄스음악을 통해 대중에게 직접적으로 다가가고 미디어, 전자기기와 하나가 된 인간 사회를 표현하고 있었다. (인터넷이 탄생하기도 전 이들은 컴퓨터를 통해 사랑에 빠진 인간의 삶을 노래하고 있을 정도였다!)

 

이 뿐만이 아니다. 특유의 엠비언스를 강조한 뉴에이지 음악과 소음과 반복의 에센스를 계승하는 인더스트리얼 음악이 그 모습을 드러내었다. 또한 레게 음악의 영향을 받은 힙합을 (그랜드 마스터 플래시의 스크래치의 발견과 함께!) 필두로 한 블록파티와 디스코에 의해 비로소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언더그라운드 파티문화가 성행하기 시작했다. 비로소 전자댄스음악 씬의 그 장엄한 서막을 올린 것이다. 60년대 히피에게서 영향을 받은 무정부주의적인 사상은 곧 사회적인 체제와 속박에서 벗어난 인간의 자유를 중요시 여기며 게이와 레즈비언 등의 사회적 마이노리티의 커밍아웃을 유도했다. 그리고 이들, 하위문화 소수들의 심정을 대변해주고 그들만의 공간을 마련해 준 것이 바로 디스코 음악이었다.

하지만 디스코가 대중문화의 수면위로 떠오르며 디스코는 만인의 그리고 소위 '골 빈' 연예인들과 부르주아들 및 '잘 나간다는 겉 멋 든 이들'의 잔치판이 된다. 플랫폼 슈즈와 벨벳 자켓 그리고 코케인과 섹스의 문화로 타락해버린 디스코 씬은 (지금 케이블의 부XX비의 씬이 이 것과 꼭 닮았다. 섹스와 마약을 요소를 빼더라도!) 영화, '토요일 밤의 열기'를 기점으로 미국의 대대적인 '디스코 죽이기' 운동과 함께 일격을 맞게 된다. 그리고 디스코는 다시 언더그라운드로 그 장소를 옮기게 되고 어둡고 차가워진 소수를 위한 언더그라운드적 요소를 계승하며 프랭키 넉클의 시카고 하우스씬을 탄생시킨다. 또한 디스코의 전통적인 소울과 펑크(Funk)적 요소는 뉴욕의 래리 르반의 천재적 리믹스를 필두로 한 개러지 하우스 씬으로도 이어진다. (디스코의 Funk와 소울적 요소는 훗날 딥하우스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이 문화적 폭발은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전 세계에 퍼져 나갔다. 디트로이트에서는 데릭메이, 후왕 앳킨스 등이 테크노 사운드를 퍼뜨리고 있었으며 영국 맨체스터의 토니 윌슨은 해피 먼데이즈, 조이 디비젼과 함께 전설의 클럽 하씨엔다를 열며 '매드체스터씬'을 탄생시켰다. 이 때가 애시드 락과 이비자의 발레릭 씬 그리고 폴 오큰폴드와 대니 램플링에 의한 2nd Summer of Love를 이어주는 접점이 되었다. 바로 엑스터시와 사랑으로 대변되는 레이브 문화가 탄생한 것이다. (이 때는 1988년으로 전통에서 노통 시절에 막 접어든 서울올림픽의 시점이다) 이 문화가 얼마나 대단했는지, 그 해의 영국 축구 훌리건들의 폭력 사건 비율이 몇 십 퍼센트 이상 떨어져 아주 잠시나마 '훌리건'이 아닌 '러브써그'로 불리던 시절이 있었을 정도였다. 클러빙 이외에도 스톤헨지, 글라스튼베리 페스티벌과 같은 우드스톡 이후 대규모 음악 축제가 성행했다.

하지만 엑스터시와 사랑으로 가득했다는 2nd Summer of Love(첫번째는 60년대 히피 문화를 지칭한다)는 그리 오래 가지 않았다. 대규모 언더그라운드 문화의 태동은 곧 돈 냄새에 민감한 프로모터들과 장사꾼들의 레이더에 재빨리 포착되고 주류 및 대규모 레이브와 클럽들이 성행하게 된다. 지금 대부분 우리가 알고 있는 소위 '파티'라던지 '클러빙'이라는 현상은 이 때 확립된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대대적인 문화 폭발 현상이 전자댄스음악과 관련된 테크놀로지의 확산과 장르의 다양화를 촉진 시켰다는 것이다. (연대기를 볼 때, 비로소 문화와 장르를 표현한 오렌지와 노란색의 글자들이 서로 엉겨 붙어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며 캔버스를 채워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90년대에 들어 위에서 언급한 대규모 상업적 레이브와 클럽이 그 르네상스를 맞이하고 있었다. 또한 하드코어와 애시드가 주를 이루던 거칠고 빠른 음악 성향에 대응해 차분하고 정적인 엠비언트 하우스나 트립합 장르가 태어났다. 이는 곧 미친 듯이 소릴 지르고 몸을 흔들어대기만 하던 전자댄스음악에 '칠아웃'이라는 새로운 '휴식'의 문화를 만들었다. (이는 훗날 라운지 씬 탄생에 영향을 준다)

이 밖에도 이런 '리스너'를 위한 음악지향성은 전자댄스음악의 지나친 상업화와는 다른 노선의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비트사이언스 등의 새로운 실험과 음악적 완성도를 추구하며 에이펙스 트윈이나 DJ 스푸키 같은 새로운 실험적 사운드를 구사하는 아티스트 형 DJ들의 출현으로 이어진 것이다. 또한 상업성과 유행성이 강한 트랜스나 하우스에 대응해 드럼엔베이스와 같은 장르들의 출현은 전자댄스음악 씬의 줄기찬 언더그라운드 지향성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레이버들은 인터넷, 포토샵과 같은 동시대의 멀티미디어 환경을 적극 수용하며 새로운 B급 디자인 문화와 자신들만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모색하게 되었다.

언더그라운드 문화가 이 정도로 확산되고 성숙의 조짐을 보이면 당연히 주류로 올라가기 위한 '성인식'을 치러야 한다. 갑작스러운 미디어의 '띄우기' 및 '흠집내기' 그리고 이에 영향 받은 기성세대의 간섭을 뜻한다. 이 정도로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좀 '독한' 문화는 정부의 간섭까지 행해진다. 그 후 적당히 필터링 되어 '모든 이들이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대중 문화가 되어 예쁜 새 색시/신랑 마냥 때때옷을 입고 사람들을 반긴다. 전자댄스 음악도 이 혹독한 성인식을 치러야 했다. 물론 미디어가 거는 딴지의 원인은 엑스터시 마약으로 시작되었다. (이 영국의 엑스터시 스캔달은 1930년대 미국의 리퍼매드니스로 통하는 마리화나 퇴치 운동과 많이 닮아있다)

 마지막으로 언급할 것은 90년대 중반에 이르러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다양한 장르는 지금까지 볼 수 없는 현상이었다는 것이다. 락이나 클래식처럼 어느 정도 고정된 공식의 해석에 익숙한 평론가들에게 이런 음악의 해석은 거의 불가능이었으며 수십 개가 넘어가는 장르의 개수는 그들을 당황하게 만들 뿐이었다. 마치 지금의 인터넷 하이퍼 링크 흐름을 보듯 뚜렷한 분류체계 없이 그 '유사함'과 관계만을 강조하며 순식 간에 증식하는 이 현상에 음악 평론가들과 미디어는 난색을 표하며 절대적인 어명을 내린다. 

 

 “이제부터 이 모든 중구난방의 음악들을 일렉트로니카라 명하겠노라.” 

 

 그렇다. 일렉트로니카의 어원은 그렇게 탄생했다. 지금으로부터 12년 전인 1995년, 암묵적인 전자댄스음악 문화의 죽음이 선포된 해였던 것이다. 전자댄스음악 씬의 ‘공식적인 끝’은 바로 여기까지다. (이 단어의 사용이 그리 달갑지 않은 이유가 여기 있다. 어쨌든 이 덕분에 레코드샵의 얼터너티브 섹션 안에 모비, 케미컬 브라더스, 사라 맥라클랜 그리고 너바나가 공존하는 하이브리드 현상은 점점 사라져 갔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 또 하나 문제 삼고 싶은 것은 국내의 하우스 밴드들의 사운드를 들어보면 (솔직히 많이 듣진 못했기 때문에 어폐가 심할 수도 있다) 분명 유럽이나 미국의 하우스 사운드 보다는 일본 시부야 케이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다. 그도 그럴 것이 음악 뿐만이 아니라 광고, 디자인, 예술 등 온갖 문화가 일본에서 영향을 지대적으로 받아왔기 때문에 이를 한마디로 좋다/나쁘다 딱 잘라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가 아직도 문화적 식민주의 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만은 인정을 해야 하지 않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쨋든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이 음악들에 있어 하우스 뿐만이 아니라 시부야 케이의 언급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대중 뽕짝 댄스가요들이 영향 받은 유로댄스 또한 일본의 필터링을 거쳐 들어온것을 생각해 본다면 말이다.
물론 하우스 음악이라는 말 자체는 틀리지 않다. 하지만 들리는 사운드를 보면 대략 공식은 하우스 > 시부야케이 > House를 표방하는 Kpop 순으로 들 수 있을 것 같다. 근데 여기서 "과연 한국적인 HOUSE 음악은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너무 고리타분해 보인다. 물론 까대기를 위한 것이라면 더욱더 없이 좋은 시작이지만 말이다. (한국형 XX, 한국형YY 등등....머리가 아플지경이다.) 하지만 쓸데없고 시간낭비의 탁상공론으로 빠져버릴 것이라면 그런 심오한 질문을 함부로 내뱉는 것도 많은 문제가 있지 않을까? 오히려 여기서는 결론을 내고 대안을 찾는 것보다 서로가 어떤 관계 속에 또 어떠한 연장선 안에 놓여져 있는지 관찰하는 것이 더 먼저이고 흥미롭지 않나 한다.

예를 들어 한국 일렉 가요와 시부야 케이의 접점을 가장 확실하게 만들어주는 부분 중 하나가 여성 보컬에서 온다고 생각한다. 같은 동양인이라 유사한 발성의 영향력 안에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전주나 시작 부분에서는 강한 하우스 사운드를 표방할 지는 몰라도 보컬이 시작되면 영락없는 시부야케이로 (시부야 케이 필터링이 들어간 하우스 음악)으로 변하게 된다.

또 한 예는 벗어나기 힘든 M-Flo 사운드의 영향과 댄스 펑크나 일렉트로 팝 음악 사운드와 결합되는 한국식 시부야 케이 사운드의 현상들 (예를 들어 클래지콰이의 Lover Boy라던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노래하는 여성과 음악을 만들고 연주하는 백그라운드의 남성들은 비단 시부야케이 만의 문제는 아니다. 한 때 락음악 쪽에서도 Angel Voice 혹은 Angelic 보이스라 하여 락 밴드 안에서의 천사표 여성 보컬의 활약이 이제는 벌써 성숙기가 지난지 오래고 일렉트로니카만이 가진 샤머니즘 특성에서 나오는 모계사회로의 회귀 효과 인진 몰라도 일렉음악에서 여성 보컬의 영향력이 남성 보컬보다는 훨씬 더 크다.  아무튼 한국형 시부야 케이나 일본형 시부야 케이도 팀 멤버의 구조에 있어서도 그 사운드 만큼이나 많은 유사성을 띈다. 하지만 한국형이 일본형에서 영향을 받은 만큼 여성 캐릭터에 있어서의 authenticity는 조금 떨어져 보인다. 그리고 좀 다르기도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본형 시부야케이 같은 경우 위에서 언급했듯이 여성 보컬들은 Quirky하고 retro-fututristic (괴상하고 / 복고와 미래의 동시지향성)한 캐릭터를 거의 절대적으로 따르고 있는 반면 하우스룰즈의 피쳐링 보컬 이윤정과 클래지콰이의 호란을 보면 복고와 미래지향적 이미지는 일종의 텀이 짧은 trend나 fed로 교체된 느낌이 난다.  예를 들어 이윤정의 복고는 '지금 유행하고 있는 2006년의 레트로' 분위기로 오리지널리티라기 보다는 주류에 더 편승되어 보인다. 또한 헤드칸디와 샌프란시스코 하우스를 연상시키는 하우스룰즈의 음악과 이윤정의 시부야케이식의 보컬의 오버랩은 또 하나의 하이브리드 현상이 지나가는 것 같다. 아직까지는 하우스룰즈의 음악 보다는 헤드칸디나 유사 사운드에 더 익숙한 기존 리스너들에게는 디바 하우스 보컬이 더 익숙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할 것이고 이윤정의 보컬이 다소 생소할 수 있다 (그 색소폰 소리 또한...)또 클래지콰이의 호란의 분위기 또한 한국에서 (혹은 한국 미디어에서 요즘 여성은 이래야 된다는 식으로 이래라 저래라 떠들어대는) 지향하는 현대적 젊은 여성의 이미지가 강하게 어필된다. 이는 결국 시부야 케이와 한국형 시부야 케이 구성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여성 보컬의 이미지가 나타내는 authenticity의 다름이라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 그리고 그 여성 보컬이 포함할 수 있는 시간적 범위에서 느끼게 해주는 깊이와 다양성의 영향 또한 크다.
* 시부야 케이의 여성 보컬에서 느낄 수 있는 문화적 다양성/깊이의 한 예는 그들이 만들어 내는 복고 미학을 차용하면서 미래를 껴안는 테크놀로지를 향한 괴상하고도 솔직한 테크네적 페티시즘이다. 이 맥락을 이해하면 I-Pod에 의한 전 세계적 스캔달이라던지 Mondo 2000/Wired/Stuff 등의 하이테크놀로지와 하이 스타일을 지향하는 잡지들이 그려내는 기계찬양적, 기계일체적, 기계를 향한 현대인의 성적 페티시즘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과 무난히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헌데 만약 하우스룰즈나 클래지콰이에서 지금 보여 지는 여성 보컬의 의미가 현대 한국 사회의 여성을 그대로표현했다던지 혹은 어떠한 식으로 의도되었다면 이야기가 또 달라질지 모른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티비나 스테이지에서 보여지는 그들의 모습이 거리를 활보하는 한국여성들의 겉모습과 크게 다르지도 않다는 것이 오히려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세상의 이미지에 편승되어 가는게 아닌가하는 의문을 가지게 만든다. 그렇다면 낸시 랭이 선택한 방식. --> '현대 여성이 어느 때보다도 살기 힘들고, 돈에 환장하고 보수적이고 편협된 가부장적 남성중심의 한국 사회에서 여성이란 존재가 생존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진화된 모습' (즉 자신의 '몸'을 무기로 하게 되는)과 별반 달라보일게 없어 보인다. (이 여성 진화론은 낸시 랭의 것이라기 보다는 오래전부터 연구되고 있는 중요한 담론이다.) 우리는 그런 문화에서 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거나 해석하기 보다는 (선동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자신을 그 현실 속에 던져 그 안에서 (자본주의와 남성우월주의라는 문화적 담론 혹은 적자생존의 현실 속에서) 생존 혹은 기생하는 방식이 바로 낸시 랭의 모순이며 하우스룰즈와 클래지콰이의 여성 보컬의 이미지에서 보여지는 모순이다.

이러저러한 상황을 맘대로 갈겨써보았는데...
가장 큰 걱정은 그게 아니었다 싶다...
결국은 언론매체...

솔직히 UCC란 생 단어로 어필하는 것 보고 놀랐는데...
지금 음악 미디어를 보니 일렉트로니카와 하우스의 언어 남발이 장난이 아닌게 의심스럽다...
결국 수십, 수백, 수천만의 블로그에서는 아무 생각 없이 '국내 일렉트로니카의 선두주자 누구누구" 혹은 "하우스 음악의 선두주자 누구누구"라는 식으로 포스팅 될게 뻔하다.
사실상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우리가 듣는 사운드는 오히려 시부야케이에 더 가깝지만 하우스와 더욱 큰 대분류인 일렉트로니카로 알려진다.
분명 장르 놀이는 환영받지 못하는 짓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쓸데없는 나눔이지만 갑자기 하루아침에 절대적으로 성장하게 된다면 그 동안 그것을 인지해왔던 사람들의 선입견은 무시무시한 오류를 범하게 될 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97년에 연인끼리 결성된 벨기에 일렉트로팝 그룹
요번에 새 앨범이 나온다!!
80년대 복고 사운드와 스테이지 퍼포먼스가 강렬한 포스를 지니고 있다
어딘가 Glass Candy의 Ida No를 연상시키는 Els Pynoo의 열정적인 모습은 밑의 비디오에서 볼 수 있다.
과연... 연인끼리 밴드한다는게 행복하기만 한걸까? 적어도 여기서는 그래 보인다.
(중간에 서로 껴안고 장난 아니다)
또한 비디오에서 보이듯이 패션계에서 열렬한 환영을 받는 그룹이기도 하다.

touche pas out put


La Verite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 Brown and Red Divide by Ladybirds

URB Magazine의 NEXT 1000에 올라가 있는 일렉트로 팝 그룹.
Ladybirds의 보컬은 Sally Shapiro와 같은 롤리타 일렉트로 보컬과는 또 다른 맛을 선사해준다.
성장기에 걸쳐져 있는 미숙한 틴에이져의 느낌을 선사해주는 사랑스러운 노래.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image from Pittsinger's photostream (flickr)


[HIP HOP]Bonnie & Clyde (Ft. LeToya Luckett) by Mike Jones

힙합은 잘 안 듣지만...
처음 시작이 꽤 캐치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반응형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ectro Pop] Vive La Fete  (2) 2007.07.01
[Electro Pop] The Brown and Red Divide by Ladybirds  (0) 2007.06.30
[Album] After Dark (Italians do it Better)  (0) 2007.06.27
[C&C]Sunny  (0) 2007.06.26
[Electro pop] 1,2,3,4 (Vanshe Tech Remix) by Feist  (2) 2007.06.25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AFTER DARK - Italians Do It Better

Track Listing:
1. Glass Candy "Rolling Down the Hills"
2. Chromatics "Hands In the Dark"
3. Indeep "Last Nite A DJ Saved My Life" (Mirage Remix)
4. Mirage "Lady Operator"
5. Glass Candy "Computer Love"
6. Professor Genius "la Grotta"
7. Chromatics "Killing Spree"
8. Farah "Law of Life"
9. Chromatics "In the City"
10. Glass Candy "Miss Broadway"
11. Mirage "Lake of Dreams"
12. Farah "Dancing Girls"
13. Glass Candy "The Cameleon"
14. Professor Genius  "Pegaso"







Glass Candy "Rolling Down the Hills" LISTEN





ITALIANs Do It Better

MY SPACE:
http://www.myspace.com/italiansdoitbetterrecords
Blog: http://vivaitalians.blogspot.com/



드디어 올것이 왔다.

italo- death -disco -freak show...ethereal and dreamy..glam and campy... chill...

설명은 천천히...
728x90
반응형
반응형
Bobby Hebb's Sunny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비 헵스의 오리지널 버젼..
보니엠 버젼만 알고 있다 들어보니 역시 원본의 깊은 힘을 느낄 수가 있었다.
초장에 "Sunny~~" 외치는 부분이 인상적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Boogie Pimps
보니엠 버젼을 리믹스한 트랙
미니스트리 오브 사운드용 답게 주류 클러빙 위주 성향에 섹시한 댄서까지...^^ㅋ
보니 엠 못지 않게 신나는 버젼



사용자 삽입 이미지
Boney M - Sunny (1976)

보니 엠의 디스코 버젼..


사용자 삽입 이미지
James Brown

제임스 브라운의 열정적인 라이브



사용자 삽입 이미지
Jamiroquai Glastonbury 1995
이건 보너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싱글앨범은 7월로 예정되있다 한다...
블로그스피어에서는 꽤 오래전부터 나돌고 있어서.. 발매예정이 그리 늦게 책정되있는지는 몰랐다..
듣기에만 너무 바뻐서...ㅠㅠㅋ

헌디 호주의 VanShe Tech 리믹스 버젼이 나오며 엄청난 버즈를 만들어내고 있다...
역시나 특유의 흥겨운 Electro 성향이 아주 짙다.
언뜻 스쳐지나가기에는 MSTRKRFT도 약간은 연상된다...
그래... MSTRKRFT도 리믹스를 함 해보면 어떨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는 2005년작 Inside and Out (중간의 뾰뵤뵤뵹 소리가 너무나 매력적인!!)과 1,2,3,4 오리지널 버젼

Inside & Out


1,2,3,4
728x90
반응형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bum] After Dark (Italians do it Better)  (0) 2007.06.27
[C&C]Sunny  (0) 2007.06.26
[House Electro] Kalle J  (0) 2007.06.21
[C&C] Laisse tomber les filles frm Death Proof (Grind House)  (2) 2007.06.19
[Shibuya Kei] Perfume과 Shibuya Kei  (6) 2007.06.18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Kalle J 86년 생 ... 이정도면 천재소리들어도 충분

unga hjartan
Vingslag Sommarsang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옴니버스 영화 그라인드 하우스 중 퀜틴 타란티노가 감독한 데스프루프에 나오는 April March의 Chick Habit은 France Gall의 Laisse tomber les filles를 리메이크 한 노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OST April March's English Version
April March는 미국보다 프랑스에서 더 인기가 좋다고 한다...
오리지널보다는 좀 가볍고... 프렌치 보컬에서 오는 특유의 맛깔스러운 맛은 없지만 (왠지 영어 버젼은 좀 없어 보인다 ^^) 그래도 들으면 흥겨운 '캔디 캔디 샤방 샤방' 트랙




사용자 삽입 이미지
April March's French Version
영어 버젼 보다는 좀더 맛깔스럽다... 싱어송라이터자 에니메이터인 사월이 양의 기교없는 카랑카랑한 보컬이 발음과 잘맞아 떨어지는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rance Gall's ORIGINAL Version
ok... 세기의 난봉꾼 Serge Gainsbourg와  프랑스 갈의 사진...
역시나 갱스부르그의 프렌치 팝에 프랑스 걀 보컬의 화학작용을 엿볼 수 있다.
만약 제인 버킨이 이 노랠 불렀다면.... 어울렸을까?
오리지날인 만큼 좀더 진정되고 덜 튀고 어센틱 한 맛이 있다.

뮤직 비디오 또한 수작이다.


HoneyMoon Killers Version
80년대 뉴웨이브 그룹 허니문 킬러즈의 버젼...
하드한 사운드를 좋아한다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Mareva version
이건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마레바의 버젼 또한 상당히 괜찮다... 에이프릴 마치나 프랑스 걀이 귀엽고 또랑또랑한 베이비팝의 이미지를 살리고 있다면 이 버젼은 정반대로 퇴폐스럽고 뇌새적인 변태 성욕자의 버젼이다...
그리고 의자에 않은 이는 혹시 갱스부르그의 메타포인지도?
 

728x90
반응형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ectro pop] 1,2,3,4 (Vanshe Tech Remix) by Feist  (2) 2007.06.25
[House Electro] Kalle J  (0) 2007.06.21
[Shibuya Kei] Perfume과 Shibuya Kei  (6) 2007.06.18
[Indie Pop] We Will not Grow Old by Lenka  (0) 2007.06.17
[chill out] Nouvelle Vague  (0) 2007.06.16
반응형

블로그 만든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벌써 PERFUME에 관한 3번째 포스팅이다..
미니멀한 댄스에 캔디 일렉트로팝 사운드의 절묘한 조화... 상당히 빠지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iography
(위키피디아 참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모토 아야노, 카시유카, 아짱, 이렇게 세 명으로 구성된 퍼퓸은 히로시마에서 2001년에 데뷔하고 로칼활동을 하다 (데뷔 당시 이들의 나이는 11살 12살 사이로)  2003년 도쿄로 이동하며 캡슐의 나카타 야수타카에게 키워진다. 이 때 Sweet Donuts, Monochrome Effect, Vitamin Drop 등이 인디 레이블에 의해 발표 됬다. 그리고 2005년에 공식적으로 데뷔했다.

지금까지 앨범은 06년의 <Perfume ~Complete Best>와 07년 3월의 <Fan Service [Bitter]>가 있다.

아키바 오타쿠들로 하여금 광분의 도가니로 몰고 갔다고 하는 Chocolate Disco는 07년 발렌타인 데이에 발매 되었다...

5월을 기준으로 자신들의 블로그에 새로운 프로젝트가 진행 중 임을 암시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Shibuya-Kei

사용자 삽입 이미지
9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환영받은 Shibuya-Kei는 여느 일본 캐릭터와 마찬가지로 (헬로키티나 케로로, 포켓몽처럼)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세지 갱스부르그를 향한 테크노적 오마쥬처럼 보이는 이 음악은 60년대 고고음악과, 락, 하우스, 재즈, 테크노, 신스팝, 보코더, 브레잌비트 등의 총체적 하이브리드로서 현대 사회의 테크놀로지 문화에 대한 일종의 찬양이자 그로테스크한 모순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음... 드디어 그 괴상한 헬로 키티들이 3차원 공간의 아트박스 샵을 뛰어넘어 매트릭스와 같은 4차원 시공간에도 몰려 들고 있다고 생각하면 될까?) 
그리고 바로 이러한 모순 때문에 DC 일렉트로니카 갤러들에 의해 시부야케이가 '된장'사운드로 불려지고 있는게 아닌가 싶다.  정확하게 꼬집어낼 수는 없어도 동경의 전 세계적 트렌드 스팟인 시부야에서 태생했다는 맥락에서 출발한다면 그 (시부야의) 지리적이고 생물학적인 유전자의 영향을 쉽게 거부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분명 이러한 사운드-문화적 유전자가 자칭 Trend-followers 혹은 Tren-leader (힙스터든 패셔니스타든)를 지향하고 영향받기 쉬운 '스타벅스 된장녀'들 (이들은 그렇게 불리운다... )의 미니홈피에서 울려퍼지는 (그녀들이 문화적 소비를 하는 이곳 저곳에서 자주 울려퍼지는 것도 한 몫 할 것이다..라운지와 재즈의 영향으로 인해 좀더 개방적이고 세련되며 / 복고풍으로 인한 적당한 보수적인 사운드가 이를 가능케 한다) 현상을 포착하여 시부야케이를 '대한민국 된장'의 주제가로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하지만 진정 이 음악을 '된장'음악으로 치부해 버려야 하는가하고 고민하는 이들도있다. 이들이 빠져 있는 곳은 아마도 시부야케이가 가지고 있는 동시대의 문화적 거울의(그것도 일본식의 아주 괴상하고도 예민한) 기운을 느껴서가 아닐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찌됬건간에 2세대 시부야케이의 대표적 특징을 들자면 피치카토 파이브로 대변되는 1세대 시부야케이 사운드가 가지고 있던 좀더 락과 범피한 브레잌비트에 충실함을 좀더 부드럽고 유연한 하우스 사운드로 유도한 것이 아닐까 한다. (그래서 좀더 춤추기도 쉽고, 세련되고, 가볍고-비로소 피치카토 파이브의 그늘 안에서 빠져나오게 되는) 물론 해피하드코어와는 또 다른 일본 캐릭터식의 유아적 특성과 극단적인 테크놀로지 문화를 품는 제스쳐는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미래지향적이면서도 복고풍인 여성 보컬의 구조도 빼 놓을 수 없다) 피치카토의 영광을 이어가는 (2001년 해체) 이 2세대의 주역 중 하나가 위에서 언급한 Capsule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이 Capsule의 나카타 아수타카에게 키워진 만큼 Perfume의 사운드가 가장 비교되는 음악 또한 Capsule의 음악이다. (예를 들어 Capsule의 Sungarless Girl과 Perfume의 Computer City를  들어보면 극단적인 멜로디의 유사성을 볼 수 있다)
하지만 Perfume의 인지도 상승으로 인한 자체적 아이덴티티의 확립과 자신들만의 분파적인 사운드는 더 이상 Perfume의 음악이 Capsule의 그늘 안에 존재한다고 말할 수 없을 만큼 급속히 진화 했다. 어느 블로거가 지적했듯 오히려 캡슐과 퍼퓸의 사운드적 접목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도 그렇듯이 Perfume은 이제 캔디팝적이고 대중성이 강한 팝 사운드 안에서 나름대로의 강한 일렉트로와 테크노적 성향을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그들이 추구하는 독특한 미니멀적으로 절제되어 있는 팝 댄스와 일렉트로의 테마와 걸맞는 테크놀로지 문화 지향적 비쥬얼로 더 강화 된다. (그러니까... Kraftwerk이긴 한데 상당히 ... 일본식으로...극단적으로 그리고 아주 괴상하게 캐릭터화 되어 있다고나 할까...)

어찌하였던 이러한 측면들이 하우스와 난데없는 트랜스의 난제 속에 갇혀있는 지금의 ShibuyaKei를 또 다른 레벨로 도약 시킬 수 있는 키 포인트들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LINK:
Homepage: http://www.amuse.co.jp/perfume/
Blog: http://blog.amuse.co.jp/perfume/p/
BBS: http://perfume.ekuseru.net/bbs/index.php

사용자 삽입 이미지

Capsule 의 SUgarless Girl

영상은 아마도 2004년경이 아닐까 추정되기는 한다... (VitaminDrop의 발매 날짜를 보았을 때)...스타들의 눈물겨운 예 모습을 볼 수 있다....그래도 소문만큼 퍼퓸 특유의 에너지가 넘치는 모습이 담겨 있는 영상이다.


이건 쪼꼴레이또 디스코의 인스텐드 버젼... 과연 끝까지 볼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런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