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의 다채로운 시티스케이프를 담아낸 아마존프라임 시리즈, <Expats 주재원>의 주요 촬영지로, 니콜 키드먼이 연기한 마가렛의 집을 중심으로 한 랜선 투어 두 번째.

1,2,3,4은 극중, 5번은 실제

1. 가족과 사는 상류층 아파트, Bisney Crest @ Sandy Bay
2. 그 상류층 아파트의 인테리어 @ L.A. studio
3. 마가렛의 아지트, Mei Foo Sun Chuen @ Lai Chi Kok
4. 그 아지트의 인테리어, 59 Hill Rd @Shek Tong Tsui
5. 니콜 키드먼 촬영 중 숙소, Twenty Peak Road @ The Peak

 

 

Expats_Nicole's Places · bar groovie78

0 places -

www.google.co.kr

 


3. 마가렛의 아지트, Mei Foo Sun Chuen @ Lai Chi Kok

극 중 니콜은 화려하고 고급스러움의 극치인 홍콩 더 피크의 집에 살면서도 혼자만의 아지트를 가지고 있다. 실제 촬영지는 라이치콕의 메이포선추엔 아파트 단지다. 재밌게도 더 피크가 상류층의 최고급을 상징한다면 이곳은 중산층을 위한 곳이니 마가렛(니콜 키드먼)으로서는 상당한 계급의 계단을 내려오게 된 셈이다.

아마존 프라임

그런 분위기에 있다 보니 더 피크에서는 아랫 사람에게 자상한 모습으로 일관하던 그녀의 모습이 여기서는 바뀌는 걸 목격할 수 있는데, 좋은 예가 작은 동네 마트에서 그녀가 취하는 신경질적 모습이었을 것이다. 최상류 층인 그녀에게 상대는 누가 봐도 (서양인 혹은 상류층으로서 동경의 눈으로 바라봐야 할 의무가 있는(?!)) 빈민이 아닌 이상 중산층이던 서민이던 뭐던 다 똑같아 보일 테니 말이다. 

| 포디움에서 바라보는 아파트 단지

아마존프라임

그런 면에서 이 중산층 아파트 단지에서 실제 찍었다는 것도 꽤 재밌게 느껴진다. 이 곳은 99개의 타워와 함께 13,500 유닛이 들어선 홍콩 최초의 대규모 단지였다. 당시 세계 최고 규모급이었다고 한다. 그런 실제적 사실과 역사를 떠나, 가게에서 물건을 산 후 자신의 아지트를 향해 걸어가는 마가렛의 이동을 담아낸 일련의 신들에서 보이는 풍경들이 굉장히 인상적이다. 위 이미지의 신도 마찬가지여서 찾아보았다.

인터넷에서 찾은 포듐 공간의 사진들

메이푸선추엔 단지는 중간중간 많은 포디움 공간이 만들어져 있다. (보통 건물의 저층부에 위치해 상업 시설, 주차장 또는 공공시설이 들어서는 구조, 주거층은 그 위에 자리 잡으며 도시 밀집 지역에서 공간 활용도를 높인다) 다만, 저 공간들이 규칙적으로 많이 만들어져 있고, 건물의 형태와 색상 패턴도 꽤나 규칙적으로 보여 정확한 스폿을 찾기는 힘들다.

당연히 규칙적으로 지어졌을 99개의 타워들 안에서 정확한 위치를 찾는다는 것 자체가 (자기 집 찾기 빼고는) 의미가 있을까 싶기도 하다. 그냥 영화 촬영지 구역으로 추정되는 곳을 보면 Glee Path를 따라가는 동선 어딘가로 보이긴 한다. 그 길의 단지 위성사진을 보면 비슷한 구조가 몇 개 보인다. (위 사진 핑크 표시)

| 보행자 다리

아마존프라임

메이푸선추엔 신에서는 일단 마가렛이 아주 작은 피사체로 잡힌다. 이렇게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강조하는 장면들이 특징적이다. 상류층 공간인 더 피크에서는 인테리어의 디테일이 강조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포디움과 마찬가지로 저런 다리 구조물들이 몇 개 있어 보인다. 구글 스트리트 뷰로만 검색을 하니 단지 내부는 (프라이버시 문제인 듯?) 거의 볼 수가 없어서 정확한 확인은 못하겠는데 추정하는 옵션은 두 개 정도 나온다.

1) Nassau ST. 쪽 단지 

Nassau St. 쪽 단지

지도상으로 살펴봤을 때는 우측의 Lai Wan Rd에서 중앙의 Nassau St.으로 꺾어 들어간 후, 동그라미 표시된 영역 어딘가인 것 같다. 구글지도로는 저 보행자 다리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 

웹에서 따로 찾은 그 근처 사진 두 장과 비교해 보았는데 구조물은 얼추 비슷해 보여 가능성이 있다. 

2)  Glee Path 쪽 단지

Glee Path 쪽 단지

Kawai Chung Rd. 를 중심으로 Nassau 쪽 단지 건너에 Glee Path를 가지고 있는 단지가 있다. (위에서 본 포듐 구조물이 있는 곳으로 예상되는) 이 쪽이 높은 확률로 촬영지일 것 같다. 이유는 메이포선추엔 외관 촬영신은 거의 다 이곳에서 찍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마가렛(니콜 키드먼)의 이동 동선도 얼추 맞아 보인다. 

홍콩 부동산 사이트에서 찾은 사진인데, 오른쪽 가로등 배치와 육교의 모양, 그리고 오른 쪽 건물의 구조, 왼쪽 단지의 베이지베이지 브라운 베이지의 색상을 보건대 저기가 제일 비슷해 보인다. 

 

| 마가렛의 아파트 현관

지도에서 표시된 Glee Path와 Kwai Chung Rd 사이의 쪽으로 보인다. 

자신의 은신처로 점점들어가는 마가렛

장을 본 후 집에 갈 때까지의 여정

자신의 단지 대문을 열기 전의 마가렛

가다가 오른쪽으로 바로 꺾어 들어가는 마가렛. 건너편에 도로와 건너편 단지가 보인다. 나름 여기가 도로변 단지 끝이라는 거. 

극 중에서 담벼락을 좀 더 자세히 보면 고가가 있는 게 보이고, 잠깐 사이에 버스가 휙 내려가고 있는 장면을 볼 수 있었다. Kwai Chung Rd, 대로변 세대인 것은 확실. 이걸 스트리트뷰를 통해 단지 밖에서 보면 위 정도의 위치로 추정된다. 근처에 딱히 포인트로 찍을 만한 곳은 1층에 위치한 養和堂涼茶館 (양화당량차관)이라는 찻집인데 그 위쪽으로 직접 가서 보면 정확히 확인이 가능할 것 같다. 


4. 그 아지트의 인테리어, 59 Hill Rd @Shek Tong Tsui, Sai Wan

서로 꽤나 멀리 떨어져 있었다.

마가렛이 현관문을 열고 들어가면 바로 집 안 실내로 장면이 바뀐다. 창틈 창틈 사이로 보이는 주변 건물 모습의 단서로 메이푸선추엔 주위를 구글 스트리트뷰로 엄청 오래 찾았는데 다 헛수고였다. 당시 트위터의 니콜 키드먼 목격담 장소들을 하나하나 방문하다가 겨우 찾았는데 심지어 구룡도 아닌 홍콩섬 쪽에 위치한 59 힐로드 (59 Hill Rd)라는 곳이었다. 근데 힐로드는 홍콩역사에서 꽤 상징적인 이름이다. 

쉑통츄이

이 쉑통츄이 힐로드 지역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홍콩대학이 위치해 있고, 1904년부터 1935년까지 홍콩에서 가장 번성한 홍등가 와 오락지구 중 하나였다고 한다. 대규모의 고급 매춘업소와 레스토랑, 극장으로 가득 차 있었으며, 당시 홍콩 인구의 10% 이상이 관련 업종에 종사했다고.

영화, 연지구

장국영과 매염방 주연의 1988년 영화 <연지구 Rouge>가 당시 쉑통추이의 황금기를 배경으로 하며, 실제로 저 지역 일대에서 촬영되었다. (극 중 매염방이 연기한 매춘부 '플뢰르'의 업소 위치도 함께 추가함.) 이후 1935년 홍콩에서 매춘은 금지되었고, 힐로드 지역 역시 옛 모습은 찾아볼 수 없고 조용한 주거지로 변모했다.  

아마존 프라임. 방바닥을 박박 닦아 청결을 유지하는 마가렛.
아마존 프라임. 빠께스 욕조에서 몸을 녹이는 마가렛
아마존프라임(좌) 구글스트리트뷰(우)

마가렛 아지트의 실내 신에서 틈틈이 보이는 저 고가도로 이름은 Hill Road Flyover 힐로드 플라이오버다. 보기 드문 높이와 뱀을 연상시키는 커브 구간의 형태로 유명하다. 극 중 보이는 굽은 커브 부분과 하늘색과 흰색 조합의 옆 건물 모양을 보니 위치를 파악할 수 있었다. 聖公會聖彼得小學 - 彼得樓라는 St.Peter's 초등학교의 피터 하우스라는 곳이다. 

아마존 프라임

신나서 좀 더 나아가 본다. 

아마존 프라임

자신의 아지트에서 오후를 보낸 마가렛은 저녁이 되어 더 피크에 있는 집에 가기 전 창문 밖으로 펼쳐지는 아파트의 저녁 풍경을 바라본다. 저 것 보다 훨씬 더 탁 트이고 멋진 뷰를 가진 고급스러운 빌라에 사는 상류층 아내 분께서는 무엇에 매료되었던 것일까? 바라보며 무엇을 느꼈던 걸까?

대략 이 방향으로 바라본 것 같은데, 바로 앞에 낮은 핑크색 빌딩은 힐뷰가든 (Hillview Garden)이고 그 뒤로 펼쳐진 고층 아파트 단지는 더 벨쳐스 (The Belcher's)의 블록 3~6 정도가 아닐까 싶다. 그렇다면 저것을 촬영한 곳은?

우측 상단 파스텔톤 건물인데, 없어졌다. 구글스트리트뷰를 보니 2022년까지는 존재했던 것 같다. 창문 쪽 형태들과 고가도로와의 위치, 뷰를 보면 저기가 맞아 보인다. 촬영팀에서 찾은 빈 아파트로, 벽을 허물어 스튜디오 아파트처럼 구성했다고 한다. 


4. 니콜 키드먼 촬영 중 숙소, Twenty Peak Road @ The Peak

번외로, 촬영지 찾다 보니 발견해서 끼워서 같이 올린다.

니콜 키드먼의 촬영 중 숙소야말로 극 중 어느 집 보다도 더 럭셔리한, 그리고 실제 The Peak 더 피크에 위치하고 있다. (마가렛의 집 촬영지는 샌디베이였음) 지도를 보면 왼쪽 멀지 않은 곳에 홍콩 야경 구경으로 가장 유명한 관광지인 피크타워가 위치한다.

지도를 더 확대해 보면 위치도 일반인들이 거의 근접하기도 힘들 프라이벗 한 곳으로 보인다. 원래 부호였던 어느 개인 사택을 허물고 새로 지은 곳으로, 매입 당시 평당 가격이 홍콩에서 4번 째로 비쌌다고...

robbreport/hk

인터넷에 나온 사진을 보면 저렇게 4개의 유닛으로 구성된 호화로운 고급 빌라다. 평수는 각각 약 111~195평 정도인 듯.

robbreport/hk 오른쪽 끝 같아서 여기는 House5인 Webster인 듯?

 빅토리아 피크의 아름다운 뷰를 제공한다. 기본 정보는 아래 공홈에 있는데 아직까지 가격 정보는 안 올라오고 있다. 관심 있는 이들에게 따로 프라이빗하게 제공하는 것일지도? https://www.twentypeakroad.hk/

 

Twenty PEAK ROAD

 

www.twentypeakroad.hk

https://www.twentypeakroad.hk/

공홈의 평면도인데, 4개의 유닛은 Carlyle, Avalon, Napier, Webster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공홈 평면도에선 이 이름이 아닌 House 1,2,3,5로 되어 있어 어느 게 어느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4'자는 죽을 '사'와 관련되어 '5'로 표현한 듯)

https://www.capital-hk.com/

"1號屋Carlyle"라는 문구가 인터넷 검색이 되는 것을 보니 House 1이 칼라일(Carlyle)인 것 같다. 니콜 키드먼이 묶은 유닛이 바로 칼라일이다. 

plyunion.hk

PLY라는 곳에서 인테리어를 한 모양이다. 포트폴리오 페이지에 나와 있어서 더 자세한 인테리어 모습을 보고 싶으면 아래 링크로 가면 되겠다. https://www.plyunion.hk/14014-h1

 

Carlyle, Twenty Peak Road

Luxury Show House

www.plyunion.hk

 

팬데믹의 시작부터 홍콩 내 서양인들(+부유&권력층)과 홍콩 원주민 간 마스크와 거리두기 실천 행동 관련한 갈등이 있었는데, 촬영을 위해 도착한 니콜 키드먼은 격리 규정 면제를 받았고 촬영 중도 마찬가지였던 같다. 바로 구설수에 올랐다 (아래는 관련 기사). 애초에 갈등과 대립이 존재했는데 이런 일까지 발생하니 분노가 폭발한 듯. 그리고 실제 그녀가 머물렀던 숙소는 이 시리즈에서 나오는 어느 곳보다 더 고급스러운 빌라였는데 당시 매물로도 안 나와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Nicole Kidman's Quarantine Exemption in Hong Kong Sparks Backlash

Pandemic sheds light on special treatment for expats

www.voanews.com

 


 

* 이전 Expats 촬영지 찾아보기 포스팅:

1. Mercy의 행진 신 

 

니콜 키드먼의 [Expats 주재원] 촬영지 찾아보기 Pt.1. Mercy의 행진 신

아마존 프라임의 니콜 키드먼 주연 의 한국어 제목은 이다. 근데 통상 '주재원'이라고 하면 회사에서 해외에 파견되어 일정 기간 동안 근무하는 직원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제목이 좀 아쉽다. 이

electronica.tistory.com

 

3. 니콜 키드먼의 집들 01

 

아마존프라임 [Expats 주재원] 촬영지 찾아보기 Pt.2. 니콜 키드먼의 집들 01

바보 같이 이전 글을 삭제해 버려 다시 제작한 관계로 Pt.1과 Pt.2의 포스팅 순서가 뒤바뀌어 있음 최근 홍콩의 낭만적인 시티스케이프를 담아낸 아마존프라임 촬영지 찾아서 (랜선으로...) 두 번

electronica.tistory.com

 

728x90
반응형

배에서 내려 선착장으로 들어가는 중

영화 <열혈남아> 트레일 첫 번째 포인트인 무이 워 Mui Wo에 도착했다. 

| 열혈남아 란타우 트레일의 시작

사우스 란타우 로드는. 양방향 한 차선 씩만 있는 꼬불꼬불한 2차로 도로다.

Mui Wo 무이 워는 광둥어로 '메이 웨이'라고도 불리우는데 북쪽의 Silvermine Beach 실버마인 해변과 함께 많은 국내외 관광객들이 찾던 곳이다. Tung Chung 퉁청 라인이 생기기 전까지는 홍콩 도심에서 이어지는 란타우섬의 각종 휴양지들로 이어주는 첫 관문이었다.

열혈남아, 장만옥을 기다리는 유덕화의 뒷모습

영화 속 장만옥과 유덕화가 홍콩 도심에서 오가던 페리의 출발지이자 종착점이다. 장만옥의 극 중 고향인 타이오 Tai O로 가는 첫 버스도 이곳에서 출발한다.

 

| 무이워 Mui Wo 버스 정류장

영화 포스터

<열혈남아>에서 가장 유명한 공중전화 키스신의 포스터 촬영지다. 아마도 수많은 영화팬들이 여기를 방문했을 것이다. 비록 그 공중전화는 없지만 그럼에도 추억을 기리기 위해 가는 곳. 

무이워에서 가장 먼저 나를 맞이한 것은 다름 아닌 수많은 자전거들이었다. 불과 5천여명이 산다는 (그것도 2012년 기준) 작은 지역이니 주요 교통수단일만 하다. 현지 주민들 뿐 아니라 여행객 대여용으로도 보이는 수많은 자전거들의 주차장이 여기저기 널려있다. 어렸을 적 이곳을 방문한 기억을 떠올려 보려 했지만 하도 오래전이라 이런 기억이 거의 없다.

열혈남아 무이워 선착장

무이워 선착장과 버스정류장은 짧은 거리로 서로 마주 보고 있어, 영화 속 장만옥과 유덕화를 이어주던 유일한 통로였다. 앞서 말했듯 홍콩과 란타우섬을 연결하는 유일한 관문인 만큼 유덕화에게는 비정한 거리를 벗어나 평온한 안식처를 찾는, 장만옥에게는 작고 답답한 세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거점으로, 커플의 감정선의 변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배에서 내려 선착장을 나오자마자 바로 보이는 버스 정류장
무이워 버스정류장

다행히도 그 뒤로 보이는 굴곡진 계단으로 이어지는 세 개의 건물의 형태는 옛 영화 속 모습 그대로였다. 고즈넉한 분위기를 상상하고 왔지만, 주변에서 진행 중인 인프라 공사로 다소 번잡한 느낌이 들었다. 4박 5일의 홍콩 여행 내내 비가 많이 왔지만 이 시점의 날씨는 너무나도 화창해서 사진을 찍을 때 빛이 번져 나왔다. 그래서 나와서 한 컷 더 찍고 ㅎ, 암튼 이곳은 영화에서 너무나 자주 봤던 장소라 익숙함이 먼저 다가왔다.

 

| 영화 속 선착장 페리 출입구

열혈남아 속 선착장 페리 출입구
영화의 주무대가 되었던 선착장 좌측 출입구.

영화 속에서 중요한 무대가 되었던 선착장 좌측 출입구. 배에서 내려 버스 정류장 쪽으로 나오다 뒤를 바라보면, 유덕화와 장만옥이 서로를 기다리던 그 배경이 눈에 들어온다. 사진 속 기둥은 영화에서 자주 봤던 것 같아서 같이 나오게 찍었지만, 어떤 장면이었는지는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그리고 센트럴에서 온 나는 오른쪽 출입구로 나왔지만, 영화 속에서는 항상 이 왼쪽 출입구가 등장한다.

| 공중전화 박스 터를 찾아서

열혈남아 하이라이트

그리고 키스신.

열혈남아 키스신

<열혈남아>의 팬이라면, 이곳에 도착하자마자 찾을 그 키스신의 공중전화박스. 

키스신의 공중전화박스 위치 추정

영화 속에서 상징적인 장면을 연출한 그 공중전화 박스는 이미 오래전에 사라졌지만, 이곳에 서면 여전히 그 장면을 떠올리며 영화의 추억을 되새길 수 있다. 위치를 대략 추정해 보면, 노란 화살표가 가리키는 곳 정도일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통신사업자가 바뀌고, 공중전화의 색깔도 주황색에서 파란색으로, 위치도 조금 변했을 가능성이 있다. 

무이워 촬영지 촬영반경 및 키스신 동선
2016년 기준의 구글스트리트 뷰

2016년의 구글스트리트 뷰에서는 저 PCCW 파란 색의 공중전화박스가 아직 남아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지만, 그 위치조차도 약간 애매해 보인다.  

영화 속 공중전화 박스

영화 속에서 오른쪽으로 휘어진 인도 코너와 비교해 보면, 공중전화 박스가 조금 더 내려간 위치에 있었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카메라의 구도나 렌즈 왜곡 때문일 수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16년 PCCW 박스와 영화 속 HKT 박스 위치가 약간 다르게 느껴지는 건 어쩔 수 없다.

1983년 버스 터미널 사진. 영화속 커플이 타고다니던 버스가 저 1층짜리다. 출처: Leroy W.Demery, Jr.

70,80,90,00년대 옛 무이오 버스 터미널 사진을 한 시간 정도 찾아봤지만, 아쉽게도 그 오렌지 공중전화박스를 담은 사진은 찾지 못했다. 위 1983년 버스 중 타이오 행 1번 정류장이 가장 끄트머리라 좀 만 더 오른쪽 샷을 담았더라면 궁금증이 해소되지 않았을까 하지만 증거나 단서를 찾을 수 없으니 아쉽다. 

홍콩텔레콤은 2000년에 인수되었다.

'54년에 홍콩에 처음 공중전화 생기고 특히 7,80년대에 들어 저변(공중전화박스) 인프라를 확장 시켰다고 하니 저 1983년 사진에 공중전화박스가 존재했을 만도 한데 말이다. (영화는 1989년)

홍콩텔레콤 로고와 오렌지 색상의 영화 속 공중전화

참고로 우리가 영화에서 보는 오렌지 공중전화 박스는 홍콩텔레콤 시절 거고, 2000년 이후로 목격되다가 사라진 파란 색 공중전화박스는 PCCW 것이다.

선착장의 앞의 다른 공중전화 박스

선착장 앞에 있는 다른 공중전화 박스는 여전히 그 자리에 있지만, 영화 속 공중전화와는 다를 수밖에 없다. 형태는 같아도 색상과 로고가 바뀌었지만, 이곳에서 그나마 그리운 추억을 떠올리며 아쉬움을 달래 볼 수 있었다.

영화 속 공중전화 박스 추정 위치에 서서, 버스 정류장의 구조물들을 바라보면 그 허름한 모습 때문에 옛 흔적을 가지고 있는 듯하여 아쉬움을 다시 한번 달래준다. 이따가 저기서 버스 타고 장만옥이 일하던 부이 오로 향할 예정이다.  

|무이워 개선 작업으로 인한 변화

키스신 공중전화 박스 터를 지날 때의 느낌. 무이 워의 개선 작업이 진행 중이라 공사가 한창이다.

무이워 개선작업 안. 출처: cedd.gov.hk

이 공사는 무이워의 현대화 및 편리성 강화를 위해 계획된 것으로, 남북 워터프런트 산책로, 광장조성, 교통 개선, 공공시설 재배치 및 신축 등을 포함하고 있다. 2023년에 시작된 이 작업은 약 4.5년 동안 계속될 예정이다. 공사가 끝나고 나면, 우리가 알던 <열혈남아> 속 무이 워 모습은 아마도 영영 사라지게 될지도 모르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곳에서 영화 속 흔적을 찾아 떠나는 여정은 언제나 특별한 경험이 되지 않을까. (영화 속 무이워 촬영지 지분은 배경까지 잡더라도 위 노란 사각형 딱 저 정도다) 

| 선착장 주변 산책 한바퀴

사이니지

영화 속 무이워 선착장/정류장이 등장하는 횟수도 많고 그만큼 임팩트도 강하지만 실제 촬영 장소 반경은 아주 좁아 촬영지 순례는 생각보다 금방 끝난다. 대략 100미터 정도만 걸어도 모두 둘러볼 수 있을 수준인데 물론 그 사이에 느낄 수 있는 감정은 또 다를 것이다.

그 날 동선

계획보다 일찍 온 덕분에, 아침 식사 장소를 찾으며 선착장 주변 마을을 한 바퀴 둘러보기로 했다. 

영화 속 버스정류장 뒤의 배경이었던 건물도 좀 자세히 살펴보고,

그 건물들 옆으로 펼쳐지는 자연의 경치도 느껴보고,

공삿길 위로 구도를 잡아보니 야자수들을 보며 열대 지방에 온 느낌도 들었고,

무이워 페리 피어 로드 쪽으로 들어가니 두기봉 감독의 액션 한 장면처럼 느껴지는, 집약적인 홍콩 감성의 건물 배경들이 눈에 들어왔다. 참고로, 우리에게 익숙한 홍콩 택시는 빨간색인데, 이곳 란타우섬에서는 파란색 택시를 볼 수 있다. (사진 오른쪽에 주차된 것처럼)

홍콩의 택시 3종. 출처: td.gov.hk

란타우섬에서만 운행하는 이 파란 택시들은 현재 섬 전체에서 '24년 4월 기준 75여 대가 운행 중이라고 한다. (빨간 도심 15,250데, 녹색 뉴테리토리 2,838대) 다 고유의 운행 영역이 있는데 홍콩국제공항, 디즈니랜드, 홍콩 쪽 홍콩-주하이-마카오 브리지는 예외라고 한다.

홍콩의 간판과 도로 사인들이 건물 배경과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감성은 언제는 나를 매료시킨다. 오래전부터 홍콩은 (조금 과장해서) 길을 잃을 수 없을 만큼 도로 표지판이 잘 배치된 도시로 평가받았었다. 

코너 블록을 한 바퀴 돌면서 보니 공사가 없었다면 더 좋았겠지만, 그래도 저런 화살표 전광판 보니 또 괜찮아 보이고,

맑은 하늘아래 따듯한 오렌지 색조가 돋보여서 그랬는지 피자가 왠지 맛있을 것 같았던 음식점.

구글 지도에서 미리 보았던 바다를 바라보는 중국과 레게 느낌이 뭔가 대조적이었던 차이나베어 음식점. 방문 시 문은 닫아 있었다. 

우와... 그리고 또다시 마주한 자전거들. 공사 때문에 다 밀려나서 이런 것 같은데 빡빡한 홍콩의 도심 건물 분위기가 자전거 공간에서도 느껴졌다. 

블록을 돌며 보이는 무이워 선착장을 다시 한번 바라보며, 이 여유로운 산책을 마무리해 갔다. 

 

| 홍콩 로컬 바이브, 카페 파라디소에서 아침식사

구글 지도에서 근처에 실시간으로 열려 있는 곳을 찾아보니, 이름부터 시네마 천국을 연상케 하는 카페 파라디소 Cafe Paradiso가 눈에 띄었다. 느낌이 왔다. 이번 여행에서 홍콩 특유의 빡빡한 느낌의 건물 사진들을 특히 많이 찍었는데 그렇게 찍은 저 핑크색 아기 돼지같은 건물 아래에 위치했다.

요렇게. 카페는 거리 쪽으로 작은 2인용 테이블 세 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처음에는 위 사진 같이 허~한 느낌이 들어 문이 닫혀 있는 줄 알았다. 하지만 애매~해 보여 한 번 다가가 보았다. 

오픈~

냉방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문이 아주 살짝 열려있었고, 작고 소심한 "오픈" 사인이 걸려 있었다. 오전 8시 30분쯤이었다. 

문을 열고 들어가니, 한 테이블에 영국 할아버지 한 분이 앉아 계셨다. 인테리어와 공간이 아주 작고 귀여운 카페였다. 

아침부터 날이 더웠던 터라, 상큼한 레몬 프레시 소다(설탕 없이!)와 간단한 영국식 아침식사를 주문했다. 먹는 동안 얼마 지나지 않아 혼자 온 손님들로 작은 공간이 금방 채워졌다.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모여드는 이곳에서, 동양과 서양의 오묘한 조화가 느껴지는 옛날에만 느낄 수 있었던 홍콩의 로컬 바이브가 참 좋았다. 요즘 홍콩 도심은 너무 대륙인들에 의해 잠식되어 많이 변했지만, 이곳 무이워의 조용한 카페에서 옛 홍콩의 감성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이 정말 힐링이 되었다. 이 경험이 너무 좋았기에, 나중에 이 카페에 대해 따로 포스팅할 계획이다. 만약 이 카페가 평행우주 선상에서 열혈남아의 타임라인 속에도 존재했다면 분명 유덕화와 장만옥도 이 곳에서 이국적인 자국의 홍콩 바이브를 흠뻑 느끼며 자신들이 아지트로 삼았지 않았을까 싶다.

카페를 나와 건너편을 보니, 또 다른 홍콩 특유의 건물, 혹은 아파트? 무이워에서의 아침은 이렇게 고요하고 평온하게 마무리되었다.

| 다시 촬영지 순례: Pui O 부이오를 향해 출발

선착장 앞 버스 정류장으로 가는 길에 눈앞에 펼쳐진 복합적인 바다 뷰가 좋았다. 

또다시 마주친 수많은 자전거들이 아까 정박해 있던 페리가 떠나면서 더 눈에 띄었다.

그 길을 따라가다 보니, 차이나 베어를 지나 멋진 느낌의 큰 나무가 눈에 들어왔다. 이 나무는 콘크리트 바닥 위에서 울창한 자신감을 뽐내며, 사람들에게 그늘을 만들어 주고 있었다. 이 나무의 위용을 보니 이 지역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의미를 가질지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인공적인 마천루 대신 자연이 만들어낸 랜드마크 같았다. 검색해 보니 아마 망고 나무일 가능성이 높다. 

그 나무 바로 옆에는 맥도널드가 자리 잡고 있었는데, 카페 파라디소의 평온함과는 달리 이곳은 손님들로 북적였다. 

한 바퀴 돌아 다시 버스 정류장으로 돌아왔다. 이제 유덕화가 장만옥을 만나러 가던 그 루트를 따라 부이 오 Pui O로 떠날 시간이다. 9시 20분 출발 버스를 타기 위해 9시 16분에 여유 있게 도착했다. 3M 번은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운행되지만, 대략 아침 6시부터 밤 11시 45분까지 나름 좁은 간격의 시간대로 운행된다. 주말과 평일의 스케줄도 좀 다르지만, 구글지도나 아래 뉴란타우버스 홈페이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3M 말고 다른 번호들도 간다)

 

3M   梅窩碼頭 > 東涌站巴士總站

31 平日車資: $2.7,   假日車資: $5.4   地圖   巴士預計抵站時間 北大嶼山醫院(北行), 逸東邨美逸樓 [部份班次途經此站] 備註 全程行車時間約為 43 分鐘

www.nlb.com.hk

3M 버스의 종점은 퉁청 케이블카 버스 터미널이다. 여기가 출발점이라 나와 또 다른 한 명의 승객뿐이어서 저 2층의 맨 앞자리를 선점할 수 있었다.

노선을 보니, 퉁청 쪽에 Wong Ka Wai라는 지점이 있었다. 열혈남아의 감독인 왕가위 Wong Ka'r' Wai랑은 'r' 하나 차이지만,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사실이 조금 피식 웃기기도 했다

원래 부이오를 지나치려 했지만, 여기까지 온 김에 그냥 들르기로 했다. 하차 지점은 부이오 Pui O의 로와이춘 Lo Wai Tsuen이다. 유덕화가 실제로 내렸던 지점은 정식 버스 정류장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지만( 로와이춘과 선와이춘 Sun Wai Tsuen 사이다), 나는 유덕화가 내리기 직전 정류장에서 내려 장만옥이 일하던 (구) 시브리즈 레스토랑 Sea Breeze Restaurant이 있던 터로 찾아가 보기로 했다. 

열혈남아, 무이워에서 버스타고 장만옥 만나러 가는 유덕화

영화에서 잠깐 보였던 저녁 신에서, 장만옥을 만나러 가던 유덕화의 루트다. 영화 속 시절 버스는 1층짜리였지만 아무렴 어떠나, 길은 동일한 사우스란타우로드다. 가자고, 고!  

나중에 무이워 벗어나기 전 찍은 건데 고프로도 정면에 설치 완료. 마을 쪽으로 가니 사람들이 많이 타기 시작하더라. 그래서 저 노랑 안전봉 밑으로 재배치함. 유덕화는 사이드 쪽을 바라보고 있었기 때문에 정확히 일치하는 구도는 아니지만 뭐 ㅎㅎ

아침 8시 14분에 도착해 9시20분의 버스를 타기까지의 짧은 시간이었지만, 무이 워에서 경험한 생각지도 못했던 힐링과 로컬 바이브의 카페 파라디소, 그리고 맥도널드 옆 망고나무의 인상적인 모습이 잊히지 않을 것 같다. 이제 종점에서 부이 오로 출발한다. 

728x90
반응형

여행 중 한국인이 거의 없는 곳에서 현지의 이국적인 분위기를 느끼는 것, 이런 상황도 여행의 큰 묘미가 아닌가 싶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에 잘 알려지지 않은 홍콩 샤틴의 신흥 맛집, 테오추(치우차우) 비스트로 (Teochew Bistro 陳鵬鵬潮汕菜館 진붕붕 조산채관)를 소개한다 (아직 네이버나 티스토리에서도 리뷰가 안찾아진다는게 포인트!). 

| 웨이팅 전 음식점 소개

평일 목요일 저녁 7시 경, 웨이팅이 엄청나다. 저건 대부분 그냥 웨이팅 등록하려는 사람들. 웨이팅 하는 사람들은 주변 곳곳에 영혼 없이 나자빠져 있다

평일 목요일 저녁 7시경, 사람들로 북적이는 테오추 비스트로 앞. 웨이팅 등록만으로도 사람들이 몰려드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가게 앞에서 이미 ‘이곳은 맛집이다’라는 확신을 심어주었다. 왜냐면 주변에 좀비처럼 웨이팅 중인 사람들의 풍경 때문. 2024년 4월에 오픈했다는 정보가 있는데, 새로 생긴 맛집이라 그런지 인기가 대단한가 보다. 분위기는 고급스럽지도, 누추하지도 않은 딱 캐주얼한 스타일. 접근성은 Shatin 샤틴 역에서 바로 연결된 Citysky 시티스카이 아케이드 7층이라 좋다. 다만, 침샤쵸이에서 조금 거리가 있다는 점은 미리 참고하는게 좋을 듯. 부모님이 "여기는 꼭 와야 한다!"며 데려간 곳인데, 거리가 있어도 자주 오신다고 한다. 역시 중화요리는 한 명이라도 더 해져서 여러 명이 먹어야 제맛!

오픈라이스 평점

홍콩 로컬 맛집 앱 , 오픈라이스(Openrice.com)의 평점도 괜찮다. 2900여 명 참여 5점 만점 중 4점.  

인 별 테이블 기준으로 현 상황을 전광판으로 브로드캐스팅 해준다. 예시: 1~2인 전용 A055는 6:55PM에 호출, 다음 호출은 A072.

말 그대로 기다림의 뜨거운 열기가 너무 핫한 나머지 중간에 지쳐 나가 떨어지는 팀도 많았다. 덕분에 생각보다는 일찍 들어갔지만. (6시 40분 즘 등록, 8시 45분경 입성, 두 시간 ㅜㅜ) 전광판 하단 공지를 보면 음식이 불만족스러우면 환불 보장이라는 것 같은데 맛에 자신은 있나 보다. 그래서 사람들도 기다리나.   

메뉴에는 당연히 화려한 소개글들이 있는데 번역해 보니 대략 광둥성 치우차우 식 요리집이다. (潮州를 읽으면 한국어로 '조주', '치우차우'는 광둥어 발음, 그 지역권 사람들의 민남어 발음은 '테오추'라고 한다. (나무위키보니) 그 지역 사람들은 만다린을 잘 쓰지 않는다고 한다 (만다린 발음은 차오저우 임)). 암튼 음식점 시그니처 메뉴는 거위요리와  치우차우 식 죽이다. 메뉴의 요약은 아래와 같다.

- 쉐프관련 '20 프랑스 푸아그라 대회 아시아 지역 챔피언
- 음식점관련 '17년 중화 치우차우 요리 조림거위(직역함) 왕 경연 대회 선정
- 홍콩 치우차우 요리 대회 은메달

음식점 입구 전광판 밑에 진열되어 있는 모습인데, 오늘의 식재료? 같은 느낌으로 신선함을 제공한다는 의미가 아닐까 싶다. 제철에 맞춰 그날 그날 바뀌는 것 같다.

암튼 추가 설명까지 요약하면 '16년 탄생한 정통 조주(潮州 치우차우) 식 요리 체인으로 중국 본토에 30개 직영점이 있는데 이번에 홍콩점을 열였고, 마카오점도 열 계획이라고 한다.  

따로 제공하는 디저트 메뉴판. 밀짚모자 캐릭터가 마스코트인 듯.

단거는 안 먹는 편이라 자세히 보지는 않았지만 그 밑에는 달달한 디저트 메뉴를 따로 소개하고 있다. 대만식과 차오산식 그리고 커스터마이즈 할 수 있는 추가 재료들. 潮汕 Chaosan 차오산이라는 단어가 눈에 들어오는데, 조주(潮州)는 도시 이름으로 보면 되고, 조산(潮汕 차오산)은 조주와 인근 한 산터우 지역을 모두 포괄하여 부르는 지역 이름이라고 한다. (TMI..ㅜㅜ) 


| 가게 내부와 주문

내부공간이 작은 건 아닌데 중국 요리집치고는 또 아주 큰 편은 아니다. 오픈한 지 얼마 안돼서 그런지 청결도는 좋다. 서버 분들은 식당 마스코트처럼 저래 다 흰 티셔츠에 밀짚모자를 쓰고 있다.

종이 메뉴판

메뉴판이 있긴 한데 웨이팅할 때 간이식 종이 메뉴판을 들고 와서 따로 찍진 않았다. 영어 이름이 없는 건 아쉽지만 관광객 용이 아닌 로컬 음식점이라는 느낌을 확 느낄 수 있다. 대부분 요리들이 사진이 포함되서 번역기도 잘 돌아가는 요즘 세상, 음식 선택은 크게 어렵지 않다.

QR코드 주문

다만 최고의 난관은 주문 시점인데, QR코드 주문이 기본이다. 위와 같이 위챗, 인스타 등의 앱 QR로 연결하면 스마트 폰에서 메뉴 선택하고 바로 주문하는 방식이다. 우리도 처음에 시도했다가 한자가 너무 어려워서 포기하고 그냥 웨이트리스 분께 구두로 주문했다. 중간에 한국 사람이라고 하니 놀라면서도 호감적이더라. 특히 만다린으로 주문하니 더 놀라워함. 요즘 한국의 위상이 높아져서 인종차별 난무하던 옛날 옛적이랑 달리 어딜 가더라도 온도 차이를 크게 느낀다.  암튼 말 안 통하면 대충 사진 가리키며 주문하면 될 듯.

메뉴판의 이미지. 서버분도 친절하고, 가족과 함께 즐길만한 캐쥬얼한 분위기인 곳임을 잘 표현한 듯 하다

그리고 인상적이었던 것은 중국음식점 주문과 서빙 시 특유의 그 '퉁명스러움'이 전혀 없었다 (익숙해서 별로 상관은 안하지만 ㅋ).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의 업! 텐션 수준은 아니더라도 매우 친절하다. 뭐 이 정도 수준의 프랜차이즈면 당연한 거긴 하지만 ㅎㅎ. 

자리의 기본 세팅. 저 모래시계는 전광판에서 본 그 30분 이내 요리가 안 나오면 돈 안받습니다를 실천하는 모습이다. 해보진 않았는데 재미 삼아 주문하고 시계 돌려놓으면서 가게 내부 풍경도 보고 메뉴도 보면서 기다리면 될 듯.   

냅킨 박스에 있는 설명

뭔가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마케팅을 자신있게 설계한 느낌이다. 냅킨 통에 써져 있는 걸 보면 아래와 같다. (번역기 돌린 후 요약)

1. 서비스 요금 없음
2. 식사 전 간식비 안 받음
3. 차 제공하는 자리 비용 안 받음
4. 30분 넘어 나온 요리 비용은 안 받음
5. 맛 없으면 돈 안 받음
6. 식사용 종이 냅킨 돈 안 받음
7. 생수 요금 안 받음  

여행용 미니 포켓 티슈

냅킨이 없어서 얘기하니 저 냅킨통을 준 다음 미니 포켓 티슈에서 휴지를 뽑아 꽂아 준다. (포켓 티슈 이미지는 음식점에 쓰는 거랑은 상관없이 인터넷에서 퍼 온 거임)


| 식사, Go!

먼저 주문하기 전에 자리 앉으면 바로 나오는 무료 식전(?) 디저트, 肚臍餅(두제빙). 너무 달아서 한 입만 살짝 베어 맛만 봤다. 비주얼에 딱 보이는 바삭+달달 맛이다. '배꼽떡'이란 건데 차오산 지역에서 유명하다고 한다. 이름은 그냥 배꼽 모양 닮아서 그렇다고 ㅎ. 바삭한 껍질과 얇고 부드러운 흑설탕 필링에 씹으면 질긴 질감이 특징이라고 한다. 단거 좋아하는 사람들은 맘에 들 듯하다.

精選上莊 정선상장, 엄선된 상등급 부위

 먼저 나온 거위요리. 원래 시그니쳐는 '金獎卤鹅拼盘 골드메달 거위조림 모둠'인 것 같은데 다른 요리들도 같이 시키다 보니 반반 소짜 느낌의 상등급 부위를 시켰다. 개인적으론 이 날 최고의 맛이었다. 원래 홍콩 오기 전 스트리트 음식 같은 느낌인 하이난 식 치킨 볶음밥이 너무 먹고 싶었는데 닭도 아닌 심지어 거위로 대체한 날이었다. 

나, 이제 홍콩에서 닭이랑 오리 안 먹어도 좋아!

'大대.만.족.'

정확한 이름은 모르겠는데 식초 베이스의 저 산미가 풍부한 소스와 찍어 먹으면 기름진 거위의 풍미를 느끼하지 않고 오히려 풍미를 더해주는 판타스틱한 맛이 난다.  특히 상부라 그런지 거위목도 나왔는데 뜯어먹는게 그 식감이 감히 치킨 목살 뜯어 먹는 것과는 비교할 수가 없었다. 고기 밑에 두부도 같이 나오는데 부드러우니 어르신들 먹기도 좋고 맛이 좋다.

그리고, 우리나라 물가가 너무 올라서 그런진 모르겠지만 홍콩달러 98불 (약 1,7000원)인데 서울에서 좀 비싼 냉면 한 그릇 값이다. 이 가격에 이런 맛과 양이라고? 혜자다.

거위 요리 메뉴

다음에 또 갈 기회가 있다면 오른쪽 상단의 저 모둠을 시켜보면 아주 좋을 것 같다. 거위 고기, 날개, 두부, 달걀 포함이다. 

다음은 또 하나의 시그니쳐이자 부모님의 페이버릿, 여긴 이거 먹으러 오신다는, 나무 국자가 인상적인 '조산식 해산물 사골죽 (潮汕砂鍋粥)'이다. 죽이다 보니 나이가 많은 어르신들한테도 부대끼지 않는 소화는 물론 맛까지 모두 커버해 줄 수 있는 기특한 맛이다. 부모님 원픽이라 2인분 시킴. 새우, 바지락, 바닷가재, 게, 굴 등이 들어간 죽인데 굴 맛에 따라 비리게 느낄 수도 있다. 저건 날에 따라 호불호가 있는 듯하다.

다음은 죽과 딸려 나온 피시볼과 비프볼. 와.. 이것도 짭짤 구수 쫄깃~하니 괜찮았다. 술 마시고 싶은 욕망을 뜨거운 차로 다시 쭉쭉 누르며 한 입식 베어 먹어 본다. 

 비프볼과 피시볼 안의 모습. 이거 먹고 다음 일정인 타이오 어촌 마을 가서 꼭 먹어야 한다는 대왕피시볼 못 먹은 걸 지금까지도 후회 안 하는 이유다.

이어 나온 小吳烤蝦 소이 구이 새우. 코코넛과 함께 구운 거라고 하는데 생각보다 짜지도 않았고, 이미지에서 보듯 쫄깃하고 바삭한 식감이 좋았다. 일본 식 꼬치와는 또 다른 중국식 꼬치의 맛깔스러움.

메뉴판 그림

그리고 다음 대망의 피날레 장식할 부모님의 두 번째 페이버릿, 제철 해산물을 강조하는 향기로운 팬에 구웠다는 향전창어(香煎鲳魚). (장어 아님! '창'어임)

 비주얼만 봐도 빠삭+꼬소~함이 느껴진다, 근데 또 부드러움. 저 작은 파들은 살짝 올라가 있지만 생선튀김 곳곳에 그 상큼함이 배어 있다. 머리와 꼬리는 가장 중요한 분에게 드리는 법. 나이 많으신 어머니가 아주 맛있게 드셨다. 그만큼 튀김의 내부는 또 부드럽다는 반증! 올때마다 해산물 사골죽과 함께 항상 드신다는 메뉴. 먹을 때는 병어라 하셨는데 포스팅할 때 메뉴 보니 창어라고 써져 있어 뭔가 헸다니 병어다. 병어튀김.

오늘과 같은 느낌을 챗지피티에게 만들어 달라고 했더니 나온 이미지

여기까지가 세 가족이서 정말 배부르게 최선을 다해 먹었던 음식이었다.

가족식사란 불편한 것도 있겠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더더욱 소중한 것인 것 같다.

기.억.


| 음식점 메뉴

과대광고에 솎을 때도 많지만 사람 많은 곳엔 이유가 있다고, 정말 맛있었던 한 끼였다. 메뉴는 위와 같다. 스마트폰 번역기 돌려 보면 될 듯. 아쉽게도 홍콩김치처럼 먹는 초이썸 같은 야채볶음 메뉴는 없었다. 그래도 행복했던 가족 저녁식사. 이거 먹고 완차이 숙소 돌아가 원래 계획했던 일정 다 취소하고 포만감에 휩싸여 바로 잤다. 그 다음 날은 란타우섬 행.


| 위치.location

음식점의 위치는 아래와 같다. 구글지도 링크.

一期7樓703A號舖, 新城市廣場, 18號 Sha Tin Centre St, Sha Tin, 홍콩

 

陳鵬鵬潮汕菜館 · 一期7樓703A號舖, 新城市廣場, 18號 Sha Tin Centre St, Sha Tin, 홍콩

★★★★☆ · 음식점

www.google.co.kr

홍콩을 여행하는 많은 이들이 거점으로 삼을 만한 침샤쵸이의 MTR 지하철 역 기준으로 샤틴 Shatin 역까지는 약 25~30분이 소요된다.  

포스팅하는 지금 시점에서도 마찬가진데 샤틴역에서 구글  길 찾기를 찍으면 저렇게 밑으로 쭈욱~ 8분 도보로 돌아가라고 나올 것이다. 하지만,

돌아갈 필요 없구요,

지도 자세하게 보면 샤틴 역에서 스카이 시티로 바로 이어지는 길 하나가 보일 것이다. 그 길로 조금만 가면 바로 시티스카이 아케이드로 이어진다. 대충 근처 엘리베이터 찾아서 7층으로 가면 된다. 

이 스카이시티 아케이드가 지어지지 얼마 안 되었는지 엄청 크고 깨끗하다. 음식점 가서 웨이팅 등록하고 그냥 이것저것 돌아다녀도 괜찮을 것 같다. 웨이팅 등록하고 30여분 지나면 모두가 좀비가 된다. 주위에 앉을 곳이 있긴 하지만 모두가 좀비처럼 차지하고 있을 것이다.  

한국에도 유명한 제이드 가든도 여기에 고급스럽게 자리 잡고 있기도 하고, 여기저기 음식점이 많다. 우리도 기다림에 지쳐 여기 갈 뻔했었다. 

| 번외, 이후

그렇게 길고 지치던 기다림도 잊혀주게 한 맛. 특히나 오랜만의 홍콩에서의 가족 식사여서 더 특별했던 하루였다. 하지만 몸이 지치기에 향후 취소한 일정들이 있었지만 전혀 아깝지 않았다.

MTR 1등석 타기

몸이 너무 힘드니 홍콩 지하철 MTR 고급석 타기로 했다. 자리가 편하다. 부모님은 먼저 내리고 나는 뷰 좀 잡아보려고 따로 잡은 숙소인 완차이 쪽, 애드머랄티에서 내린다. 

여기서 택시 잡고 호텔 가려고 했는데, 오랜만에 제2의 고향 홍콩을 방문하고 새삼 느꼈던 것이 왜 이리 택시 잡기가 힘든가! 

어케어케 택시 잡고 숙소로 돌아온 후 대충 사진 좀 찍고 이내 잠들었다. 다음 날은 아침에 바로 배 타고 란타우 섬으로 가는 일정.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