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Ambient 이후 클럽컬쳐 매거진 BLING에 연재되는 새로운 음악 컬럼입니다. 잡지와는 한 달 정도의 시차가 있습니다. 혹시 퍼가시게 될 때에는 꼭 출처를 밝혀주시는 센스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ELECTRONICA world: 05 Sept 2009

La Fabrique: Twee Grrrls Club에게 배운 '논다'라는 것

 

by Groovie (http://electronica.tistory.com)





일본 여행 중 이 날 경험이 상당히 좋은 기억으로 남아 여행기처럼 적지만 우선 확실히 하고 싶은 것은 필자는 일본 클러빙 문화에 익숙하지도 않고 아는 것도 별로 없다. 단지 하루 밤 동경 로컬 클러빙에 대한 느낌 그 자체이지 이 글이 전체 동경 클럽씬이나 La Fabrique 클럽 또는 Vice Party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이 절대로 될 수 없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번 여행에서 무언가 주류 클러빙도 경험하고 싶었던 반면 로컬 클러빙 경험도 하고 싶었지만 내정된 도쿄의 주말은 단 하루였고 일본에 가기 전 그 날 파티 스케쥴을 살펴보니 딱히 구미에 당기는 것은 찾을 수가 없었다. 딱 하나 눈에 띄는 Big Name이 있었는데 오사와 신이치였다. 파티 장소는 Womb. 일렉트로 하우스라던지 오사와 신이치가 딱히 땡기진 않았지만 그 쪽 로컬 클러빙 경험이 전무한 한 관광객의 입장에서 오사와 신이치와 Womb 클럽은 꽤 안정적인 선택으로 느껴졌다. 암튼 12시가 조금 넘어 시부야에 도착해 Womb의 문을 여니 이건 뭐 인간들이 장사진을 치고 있었다. 분위기를 보니 20,30분 정도 기다릴게 아니었다. 뭐 처음부터 가고 싶었던 것도 아니었기에 아쉽지는 않았다.


이내 곧바로 La Fabrique으로 목적지를 바꿨다. 이 날 La Fabrique에서는 Vice 매거진 주최 [Twee Grrrls vs Threepee Boys] 파티가 열리고 있었다. 마침 로컬 클러빙의 경험을 해보겠구나라는 생각에 잘 왔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거금 3500엔을 지불하고 내려가니 붉은 조명아래 마침 6 명의 발랄한 소녀들이 Djing을 하고 있었다. 우선 들어가자 마자 샴페인 한잔씩을 든다. 비싸지만 Henriot이다. 그리고 바로 병을 바로 따서 부어준다. 와우~! 

 


음악이 상당히 좋다. 필자도 새로운 음악을 많이 찾는 편인데 발표 된지 겨우 1,2주일에서 한달 정도 되었을 법한 음악들이 지속적으로 튀어나온다. 신난다. 근데 이 소녀 DJ들을 계속 보고 있자니 무언가 제 각각에 특이하고 이상하다. 그리고 엉망이다. 하지만 즐겁다. 알고 보니 이들이 바로 (찌라시에서 말하길) 도쿄 인디 클럽씬에서 꽤 주목을 끌고 있다는 Twee Grrrls Club(이하 TGC)이다. 인디 음악과 RIOT/DIY 정신이 모토인 이 팀은 6명의 멤버들이 한 명씩 돌아가며 음악을 튼다. 서로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음악을 트는 모양인데 인디팝 (이들의 이름처럼 주로 Twee계열)이 흐르다 갑자기 일렉트로팝이 나오다 갑자기 락이 나오는 식이다. 정신 없다. 곡과 곡 사이의 트랜지션이 엄청나게 불안하다. 비트매칭 따위 존재하지 않는다. (부스를 보니 CDJ LP가 같이 있었던 것 같다) 더 재미있는 건 겨우겨우 한 곡 넘기면 소리를 지르며 서로들 미친 듯이 좋아한다. 그리고 한 명이 Djing을 하고 있을 동안 나머지 멤버와 스태프들 그 조그마한 부스 안을 꽉 메우고 음악에 맞춰 정말 신나게논다.


 

여기서부터 뭔가 생각을 하게 만든다. 대체 파티란 것이, Djing이라는 것이, 논다는 것이 무엇인지. 그럴싸한 모토와 스타일리쉬함, 완벽한 코디네이션, 수퍼 디제이 혹은 완벽한 디제잉 스킬, 화려하고 트렌디한 분위기 속에 느끼는 플래너와 클러버의 자아도취물론 완벽한 시나리오 속의 멋진 파티 경험이란 말로 표현할 수 없겠지만 어디까지나 말이 좋을 뿐이지 그 구현을 위한 어려움과 순수성은 거의 이상에 가깝다. 오히려 이런 요인들은 무서운 함정 같은 것들이 아닐까 한다. 단지 이 하룻밤의 TGC 공연을 보며 느낀 것은 바로 파티에서 가장 중요한 논다는 개념이었다. 논다는 것이 개념적으로 풀이할 수나 있을지 조차 모르겠지만 말이다.

즐겁게만 논다고 모든 것이 엉망이어도 괜찮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다만 그 열정과 열기가 전해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맥락적으로 생각해보면 TGC, Vice, La Fabrique의 우선적인 인지도와 Fabrique-고어들의 이해 또한 그 파티를 즐기게 되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했음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또한 이런 활기 넘치지만 엉성한 디제잉 이후 등장 한 공연의 완성도는 갈수록 높아지며 더 큰 흡입력을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결국 파티를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완벽한 시나리오를 제공해 그 들이 알아서 즐길 수 있게 해준다는 것 보다는 파티를 여는 주최자들 자체가 흥에 겨워 즐겁고 열정적으로 즐기고 노는 것이 파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이 아닐까 싶다. 그렇게 해서 파티에 온 사람들이 더욱 몰입하게 되는 그런 상황이랄까? 솔직히 파티뿐 만이 아니라 모든 것에 있어 스펙라는 덫에 묻혀 사는 국내 사회의 모습과 상당히 대조적인 면을 느꼈다.

 


TGC의 Djing이 끝난 후 TGC의 멤버 Moe Yuppa 2인조 그룹인 Love & Hates의 공연이 펼쳐졌다. Rap/Break/Lo-Fi 사운드가 주였는데 첫인상이 딱 Cibbo Matto의 소녀 버젼이다. 메인 부스 앞에 불안하게 조성된 스테이지에 올라가서 소리를 지르며 인사하자 마자 멤버 한 명이 그대로 머리부터 땅으로 곤두박질을 친다. (Moe인 듯싶다) 사고다. 하지만 아랑곳하지 않고 다시 일어나 또 한번 정열을 불태우며 신나게 놀며 모두와 함께 그 밤을 재껴버린다. 이내 곧 유명 Rapper Afra가 동반 등장하고 Three Pees Boys를 통해 간만에 Freestyle Beatbox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그 후 히데키 카지의 Djing과 인디 댄스락 유닛인 Totemrock의 공연이 펼쳐졌는데 이들 또한 상당히 멜로디컬하고 업리프팅한 사운드로 잊을 수 없는 밤의 한 페이지를 장식해 주었다.


 

이번 파티가 전체적으로 힙합 베이스였던 만큼 Dj들의 주 사운드는 덥스텝이었고 중간중간 드럼엔베이스로 덥스텝 특유의 쳐짐의 공백을 채우는 형식이었다. 국내 클럽씬에서 아직까지도 흔하게 들을 수 없는 사운드라 오히려 더 반가웠고 덥스텝과 힙합뿐만 아니라 락, 일렉트로, 하우스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음악을 경험할 수 있었다.


 

물론 하나의 파티에서 이렇게 다양한 사운드를 펼쳐보아야 한다는 의견은 아니다. 다만 이상한미니멀과 수퍼스타 DJ로 일관되는 국내 클럽씬 안에서의 사운드와 분위기적 다양성을 느끼고 싶은 것은 필자 혼자뿐 만의 바램은 아닐 것이다라는 것만큼은 말해두고 싶다.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간다면은 그것은 하나의 문화적 흐름이 될 것이지만 따라가기만 한다면 하나의 fed에 그치게 될 뿐이다.


 

어찌하였건 아침 첫 차가 시작될 때까지 클럽 안에서 버틸 예정이었지만 이젠 나이가 나이인지라 새벽 4시 즘 되니 허리가 끊어질 듯한 통증을 느낀다. 노인네처럼 이제 비워 져버린 VIP실로 올라가 잠깐 누워있다가 결국 세월의 힘을 견디지 못하고 택시를 타고 숙소로 돌아왔다. 한가지 아쉬움 점은 춤추기 불편해서 큰 카메라를 록커에 집어넣고 작은 카메라를 주머니에 넣고 갔는데 찍다 보니 메모리 카드를 호텔에 빼두고 왔다는 것 ㅜㅜ. 카메라 자체 내장 메모리로만 찍다 보니 한 5장 찍고 끝. 이 날의 기억을 사진으로 못 담아 둔 것이 천추의 한이 되어버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Ambient 이후 클럽컬쳐 매거진 BLING에 연재되는 새로운 음악 컬럼입니다. 잡지와는 한 달 정도의 시차가 있습니다. 혹시 퍼가시게 될 때에는 꼭 출처를 밝혀주시는 센스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ELECTRONICA world: 04 July 2009

Beached! : 한 여름의 사운드트랙

무더운 여름이 시작됐다. 모두들 산으로 바다로 떠나있거나 혹은 아직도 막판 계획에 머리를 싸매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 여행 속을 시원하게 날려 줄 하우스 및 일렉트로팝 / 인디팝 계열의 사운드트랙 10선을 소개한다. 물론 일렉트로니카 월드 컬럼인만큼 음악들은 불과 몇 개월 안된 따끈따끈 한 놈들이다. 해안도로와 해변의 분위기에 딱 어울릴 사운드 속으로 떠나보자.


 


1.     American Dream (Happy Song) ft. Robyn by Troy This (3:18)

[Indie Pop] 스웨덴의 인디팝/일렉트로팝 스타인 로빈이 피쳐링한 곡으로 깔끔한 업비트의 인디팝 음악으로 설레는 여행길의 초반 부를 장식하기에 딱이다. 데이빗 보위와 티나 터너를 자신의 가장 큰 음악적 영감이라고 말하는 트로이 디스는 미국 출신이지만 세계 최고의 팝의 왕국이라고 할 수 있는 스웨덴을 베이스로 활동하고 있다. (물론 미국을 포함하여) 80년대의 느낌의 전형적인 해피 팝송의 성향을 보여주는 그는 자신의 음악을 모두 무료로 다운로드 제공하고 있기까지 한다.





 2.     Dorchester Hotel by The Sounds (4:08)

[Indie pop / Rock] Seven Days a Week 등으로 인기 몰이를 했던 스웨덴의 댄스락 밴드 더 사운즈의 3번째 앨범인 [Crossing the Rubicon]에 실려 있는 음악으로 지금까지의 제작자들과 결별하고 자신들이 직접 투자하고 제작한 첫 앨범으로서 그 의미가 더 크다. 전형적이고 솔직한 댄스락 사운드에 드리미한 기타 리프까지 더한 이 곡은 블론디와 B-52’s의 감성이 가득 담겨 있어 초반 여행길의 흥을 더욱 높여 줄 것이다.



 


3.     Arrows of Eros by The Golden Silvers (3:48)

[Indie Pop/Art Rock] 2008년 글라스튼베리 신인왕을 수상했고 09년 첫 싱글인 True Romance와 함께 화려하게 데뷔한 영국 런던 출신의 밴드다. 키보드와 보컬 담당인 그와일림 골드의 꺼벙한 매력이 돋보이는 골든 실버즈의 에로스의 화살은 그 옛날 맨체스터 밴드인 스미스와 큐어 등의 향수를 진하게 전해준다. 이제 지루한 현실의 감각이 여행길의 중반에 어느 정도 잊혀질 듯 할 때 더욱 휴가의 순간에 몰입할 수 있게 만들어 줄 산뜻한 댄스락 사운드다.



 


4.     Bernadette (Louis La Roche) by Amplid (3:45)

[House/French/Funk] Tracy 레코딩 소속인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팀인 Amplid의 곡은 활발하고 동적인 해변가의 분위기를 더할 나위 없이 느낄 수 있는 트랙이다. 워낙 많은 리믹스들이 존재하지만 역시 그 중에서도 포스트 프렌치 하우스 움직임을 책임지고 있는 런던보이 루이즈 라 로쉐의 Funky함이 가미된 이 리믹스가 햇살 가득한 해변가에서 듣기에는 딱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5.
    
Give My Love a Try (Leon Du Star Remix) by Hugo Van Dyck (8:20)



 

[House/French/Funk] 지난번 소개했던 네덜란드의 포스트 프렌치 하우스 레이블인 Us2Music 소속 아티스트인 휴고 반 딕의 트랙으로 클라이맥스를 향해가는 해변가의 클럽 사운드에 적합한 트랙이다. (지난 호에 충분한 설명이 들어있음으로 여기까지 ^^)













 

6.     How Do I Let You Know by Coeur de Pirate & Le Matos (5:06)

[House/Pop/Synth] 80년대 레트로 하우스를 책임지고 있는 발레리 레이블의 또 다른 면모를 느낄 수 있는 Le Matos의 리메이크 트랙으로 09년 초 CBC Radio 차트 1위에 등극하며 모두의 신금을 울렸던 Commes des Enfants의 주인공인 캐나다 여가수 Couer de Pirate가 보컬로 참여했다. 80년대 피비 케이츠 주연의 틴에이지 영화, Private School에서 그녀가 불렀던 음악을 현대적인 감성으로 잘 표현한 곡으로 환희와 절정의 순간에 어울릴만한 킬러 트랙이다.




 



7.
    
What You Need by Priors (6:08)

[House/French/Funk] 프렌치 하우스하면 대중의 기억에 가장 남아 있는 건 아무래도 Lady Modjo가 아닐까? 모죠가 그리운 이들에게 크나큰 선물과 같은 트랙으로 바로 모죠의 얀데스탈과 Raw Man으로도 알려진 로메인 서의 09년 새로운 프로젝트가 바로 이 프라이어즈다. 환희의 클라이맥스에서 서정적인 밤하늘로 이어지는 그 로맨틱한 순간에 사랑하는 연인들에게 바칠만한 트랙.   



 



8.
    
Night Vision (Daft Punk Cover) by The Twelves (4:57)

[House/Funk/Chill Out] 다프트 펑크의 디스커버리 앨범에 수록되어 있던 2분도 채 안되는 필러트랙을 가지고 리믹스한 트랙으로 처음과 시작의 엠비언트 사운드는 흡사 트웰브즈가 온 브라질의 시원한 열대아를 떠올리게 하며 세련된 스트링 사운드는 프렌치 하우스가 가진 그 세련됨을 부각시킨다. 아마도 애프터 파티를 향하기 전의 그 허전함과 설레임을 달려줄 수 있는 트랙이 아닐까.



 



9.
    
Over You by I Haunt Wizards (1:11)

[Pop/Freestyle] 영국 브라이튼 출신의 팀으로 80,90년대 레트로 감성이 충만한 이들은 불과 16~17세에 불과한 어린 소년/소녀들이다. 특히 이 트랙의 경우 90년대 프리스타일 음악만이 가진 그 로맨스와 댄서블한 요소가 깜찍할 정도로 잘 담겨 있는 트랙으로 늦은 밤 가벼운 인하우스 파티음악으로 너무나도 잘 어울릴 것이다.



 



 

10.  The Ocean, The Sand, The Lorenzo by The Telephones (7:18)

[House/Chill Out/Electro] 항상 분위기가 여물어져 가면 집단에서 모래 사장으로의 연인들끼리의 집단 탈출이 시작된다. 밤 바다와 모래 사장, 그 들만이 즐길 수 있는 특권의 분위기에 어울릴만한 칠 아웃 트랙으로 트로피칼 사운드가 특징인 노르웨이의 텔레폰즈의 트랙이다.



 



 

11.  The Rich Cry Too by the Fear of Tigers (4:48)

[House/Electro/Synth] 발레리 레이블의 간판 스타 중 한 명인 피어오브타이거즈의 가장 아름다운 트랙 중 하나로 해변의 새벽을 지나 떠오르는 태양을 보며 느끼는 그 감동의 순간에 너무나도 어울릴 것 같은 트랙이다. 이 음악의 다른 버전은 트랜스 팀인 4 Strings Turn it Around.






 



    12.
 
Gateaux Blaster (Jesus Juice Edit) by Futurecop! (4:55)



 

[House/Electro/Synth] 이젠 고인이 된 마이클 잭슨의 트리뷰트가 될 수밖에 트랙으로 87년 발표된 Bad 앨범에 수록되어 있는 Man in the Mirror의 보컬이 Futurecop! Gateaux Blaster와 절묘하게 블렌딩 되었다. 여행의 대단원을 마감하며 돌아오는 길의 그 아쉬움과 허탈함을 달래줄 단 하나의 트랙!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Ambient 이후 클럽컬쳐 매거진 BLING에 연재되는 새로운 음악 컬럼입니다. 잡지와는 한 달 정도의 시차가 있습니다. 혹시 퍼가시게 될 때에는 꼭 출처를 밝혀주시는 센스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ELECTRONICA world: 03 June 2009

Us 2 Music Label, French Filter House의 부활

by Groovie

 

무더위의 여름도 좀 있으면 시작할 것 같다. 문득 여름에 가장 어울리는 일렉트로니카 음악은 무얼까 떠올려 봤다. (물론 개인차가 많아 아주 주관적인 의견이긴 하지만) 몽롱한 아프페지오 속에 무차별하게 쏴주는 트랜스는 한 물 가보이지만 멜로우함이 좋다. 일렉트로 하우스는 그 동안 너무 많이 터져 나와 지겹고, 크렁크는 아직도 낯설지만 방방 뜀이 좋다. 덥스텝은 너무 어둡지만 이펙트가 좋다. 라운지는 가만히 듣고 앉아 있자니 좀 뻘줌하지만 안락함이 좋다. 프로그레시브나 테크하우스는 너무 끈적끈적해서 더 더워지는 것 같지만 무한반복의 솔리드한 베이스가 좋다. 이렇다 보니 여름엔 역시 프렌치 필터 하우스가 딱이지 않을까? 솔리드하면서도 Funky한 베이스라인 위에 깔리는 업리프팅한 서머 바이브 그리고 감칠 맛나는 필터 이펙트! 물론 말 가져다 붙이기 나름이다. 프렌치 하우스는 겨울에 듣는 그 따뜻한 맛이 제대로지 하고 말할 수도 있으니. 어찌하였건 이번에는 개인적으로무더위의 anthem으로 가장 어울린다 싶은, 그리고 다시 꿈틀거리고 있는 프렌치 필터 하우스를 소개한다.




원래 프렌치 필터 하우스라는게 정해진 장르는 아니다. 가장 자주 쓰이는 총칭은 프렌치 하우스로서 90년대에서 2000년대 사이에 유행했던 장르다. 70년대 디스코 음악에 가장 충실한 공식을 가지고 있어 어쩌면 가장 신나고 댄서블한 장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하우스란 이름은 프렌치 하우스 아티스트들이 자주 사용하던 컷-오프와 페이징 기법에서 오는 필터 이펙트에서 비롯된 명칭으로 French Touch라고도 많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프렌치 하우스건, 필터 하우스건, 프렌치 터치건 모두 같은 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필터 이펙트는 거의 모든 프렌치 하우스 DJ들이 사용하던 기법으로 가장 유명한 모터 베이스, 다프트 펑크 등의 음악을 떠올리면 된다.

 

90년대 모터 베이스와 다프트펑크에 의해 시작되어 2000년대 초반 Modjo Lady를 정점으로 거의 전 세계 클럽 사운드를 장악하다시피 한 이 사운드는 미니스트리 오브 사운드류의 대규모 레이블의 대량 공세로 인한 질적 레벨 저하와 클러버들의 지겨움 등으로 인해 씬에서 사라진 듯 보였으나 2000년대 중후반부터 그 시절의 향수를 가지고 있는 어린 아티스트들에 의해 재 부활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물론 키추네, 에드 뱅거와 같은 레이블의 사운드가 프렌치 하우스를 그 베이스로 삼고 있지만 지금 말하는 부활의 프렌치 하우스 사운드는 그 시절 (90년대) 프렌치 터치와 너무나도 흡사하다. 진화 돼지 않고 마치 냉동되어 있던 얼음인간을 어느 날 갑자기 다시 만나는 기분이랄까? 아니면 너는 그 동안 너무 많은 클러버들의 피를 빨아먹었으니 잠 좀 들어줘야겠어 하며 가두어버린 프렌치 하우스라는 드라큘라 백작의 관을 어느 날 갑자기 다시 열어버린 격이다.

 

프렌치 하우스의 탄생지는 프랑스지만 이 부활의 조짐을 이끌고 있는 것은 바로 네덜란드다. 때 아닌 프렌치 터치를 통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언더그라운드 클럽씬의 중심에는 바로 US Two Music Label (이하 USTM) 있다. 물론 이 시점에서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프렌치 하우스 사운드를 생산해내고 있는 Alan Braxe Fred Falke, 혹은 신진인 Louis La Roche, the Phantom of the Revenge, Xinobi, Moulinex등을 떠올릴 수도 있겠지만 레이블이 주도하는 조직적인 체계 속에서 씬의 흐름을 이끌어간다는 관점에서 볼 때 USTM 레이블만한 예도 없는 것 같다. 지금은 모르겠지만 06년 시작 당시 이 레이블의 직원 수는 창립자인 Martijn 딱 한 명이었다. 당시 유행하는 클럽 사운드였던 일렉트로와 미니멀 사이에서 프렌치 하우스의 재건이라는 거창한 메니페스토 따위 필요 없이, 그저 즐거움을 위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해 Martijn USTM의 문을 통해 사람들을 끌어 모았고 08년을 정점으로 현지 클럽씬과 전 세계 음악 블로그 등 세인의 주목을 끌기 시작했다. 이렇게 해서 태어난 USTM 레이블의 간판스타로는 The Franchising, Matt Turner, Marchand, Matt Hughes, David van Driel, Livyo, Hugo Van Dyck 등이 있다.

 

Matt Hughes의 경우 06년 당시 Laidback Luke Don’t Let Go를 리믹스하며 주목 받기 시작하여 08 USTM과 함께한 Get Enough John Digweed Transition과 네덜란드 최대 라디오 스테이션인 3FM에 소개되며 호응을 얻었다. Marchand 역시 08 Starlove Supernova가 당시 현지 클럽씬을 뜨겁게 달구었고 Matt Tuner USTM 뿐만 아니라 Chateau Funk France와 같은 메이져 레이블에서도 활동 중이다. 그리고 David Van Driel True Love 08 Lief Festival의 오피셜 엔섬으로 뽑히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09USTM의 비밀병기는 바로 Hugo van Dyck으로서 연초 Give My Love a Try를 내놓았는데 수려한 외모와 몸매를 자랑하는 Hugo는 디제잉 뿐만 아니라 패션모델, 사진작가, 연기, 패션 디자인 등 전방위적 실력을 뽐내고 있다. 더군다나 USTM은 지난번 소개했던 프랑스의 80년대 레트로 신스 디스코 사운드 레이블인 발레리와도 친밀한 연계를 가지고 있는대 발레리의 창립 멤버 중 하나인 The Outrunners These Girls are Dressed to Kill (Russ Chimes Remix)는 이 두 레이블의 합작으로 태어난 트랙이기도 하다. 이 정도의 포트폴리오면 앞으로 이들이 어떻게 진화해나갈지 또 클러버들에게는 어떤 새로운 흥분과 기대 그리고 만족을 안겨줄지 기대할 만하지 않은가?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건 USTM뿐만 아니라 지금 프렌치 하우스의 부활을 이끄는 아티스트들의 공통점은 10대 후반부터 20대까지의 어린 나이들이 대부분이란 점이다. 영국의 Louis La Roche의 경우 이제 약 19세 정도니 할 말 다했다. 이것이 시사하는 점은 널려있는 저렴한 디지털 기기들과 폭넓은 인터넷이라는 커뮤니케이션의 확장성을 이들은 무한대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Louis La Roche가 자신의 데뷔 트랙을 Thomas Bangalter (Daft Punk)의 신곡으로 속여 퍼뜨린 사건이 아주 좋은 예다. 그 옛날 제도형식과 같이 저는 데뷔 전 DJ Tiesto 선생님 밑에서 10년을 수련했습니다라는 말이 너무 웃기게 들리지 않는가? 물론 그것도 나쁠 것은 없다만 그만큼 이들이 어린 날의 향수와 자신을 표현하는 시기와 기회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 점은 무시할 수 없다. 지금도 구석탱이에 짜부러져 이상과 오만의 꿈 속에 갇혀 움츠려 있는 당신들, 당장 방바닥에서 기어 나오든지 커뮤니케이션의 바다로 접속하기 바란다. 직접 부딪히는 것만큼 좋은 기회란 없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Ambient 이후 클럽컬쳐 매거진 BLING에 연재되는 새로운 음악 컬럼입니다. 잡지와는 한 달 정도의 시차가 있습니다. 혹시 퍼가시게 될 때에는 꼭 출처를 밝혀주시는 센스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ELECTRONICA world: 02 May 2009

일본의 테크노 팝 아티스트들

by Groovie

 

2007
년 폴리리듬으로 시작된 퍼퓸의 오리콘 정복을 이후로 일본의 테크노팝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문화의 활성화가 시작될 때 성공과 실패의 가장 큰 쟁점은 바로 탄탄한 인프라 구축에 있다. 헌데 일본의 아이돌 시장 또한 야구를 비롯한 타 영역과 마찬가지로 저변부터 탄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것 같아 부럽기도 하다. 따라서 아이돌이라는 존재가 화려한 스팟라이트 속에서 TV에서만 화려하게 비추어지는 남성의 대리애인의 존재를 뛰어 넘어 음악적 사운드와 퍼포먼스까지 출중한 실력을 다지고 있는 면이 가장 눈에 띈다. 퍼퓸의 정신적 지주이자 가장 큰 팬을 자청하는 오츠카 포르쉐의 말처럼 이제는 아이돌이라는 존재가 그 고질적인 한계에서 벗어나 메탈, 슈게이즈, 하드코어, 하우스 등 전 분야에 침투하여 진화하며 사랑 받는 모습을 보고 싶다. 그리고 퍼퓸과 함께 눈에 띄는 주목할 만한 요즘 일본의 테크노팝 아티스트들을 소개한다.



 

Perfume 퍼퓸

일본 테크노팝 흐름을 증폭시킨 핵심적인 유닛으로 캡슐의 나카타 야수타카가 뒷받침 해주고 있는 일본의 대형 아이돌로 성장했다. 지금은 발표되는 신곡마다 족족 오리콘 1위에 올라가고 있어 전형적인 아이돌로 보여질 수 있지만 2001년 데뷔 후 8년 간의 무명 활동을 통한 실력파로서 지금까지의 아이돌에 관한 인식을 바꾸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미 퍼퓸은 많이 알려져 있고 옛 컬럼에서도 설명한 관계로 이 정도의 정보만 흘린다. 어찌하였건 그들이 추구해 왔었던 근 미래 테크노팝 유닛에 대한 컨셉을 버리고 또 한번의 진화가 가능할지 기대가 되는 그룹이다.

추천 곡: Electro World, Chocolate Disco, One Room Disco




 

Aira Mitsuki 아이라 미츠키

2007
년 데뷔한 솔로 액트로 대중적 측면에서 볼 때 퍼퓸과 가장 자주 비교되거나 카피캣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아이라 미츠키의 캐치프레이드가 미래에서 태어난 테크노팝 아이콘이기에 퍼퓸의 근 미래 테크노팝시절을 직접적으로 떠올린다. 퍼퓸에 의해 시작된 일본의 테크노팝 붐에 의해 주목 받는 점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그저 카피캣으로만 치부해버리기에는 아까운 아티스트로 6000명의 경쟁자를 제치고 오디션에 합격해 데뷰했으며 D-Topia 레이블의 테루카다가 제작을 맡고 겡키 로켓츠의 A-Bee, De De Mouse의 체리보이펑션, 섭스탄스와 같은 쟁쟁한 아티스트들이 백업을 해주고 있다. “나는 두 번째 테크노팝 물결 속에 위치하고 있다라고 자신의 인터뷰에서 밝히는 만큼 아이라의 미츠키의 과제는 퍼퓸 뿐만이 아니라 타 테크노팝, 걸리 하우스 음악과 어떻게 차별화 시키느냐에 달려 있을 것이다.

추천 곡: Robot Honey, Colorful Tokyo Sounds No. 9, China Discotica





 

Cutie Pai 큐티 파이

2001년 결성된 아이돌 유닛으로 무려 8년의 시간을 보냈고 사실 상 퍼퓸과 가장 비교할 만하다. 지금이야 퍼퓸이 일본 최고 레벨의 제작, 안무, 마케팅 등을 받고 있지만 아직 인디 아이돌 유닛인 큐티 파이의 경우 모든 일의 시작부터 끝까지 자신들이 직접 처리한다. 따라서 어느 정도 아마츄어적인 모습들이 눈에 띄지만 음악 작사/작곡부터 시작해 자신들의 프로모션까지 커버하는 사실을 볼 때 진정한 DIY의 미학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음악과 더불어 보컬과 microKORG 신디사이저를 담당하고 있는 마유미짱을 중심으로 돌아가지만 음악마다 모든 멤버 개개인의 감성과 생각을 투여하려 애쓴다고 한다. 커스튬과 아키하바라 아이돌팝이 베이스기 때문에 전형적인 아키하바라계로 보여질 수 있지만 음악은 테크노팝, 시부야케이, 발라드, 인디팝 등 많은 장르의 사운드를 아우른다. 08년부터 소니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서비스에 소속되어 앞으로 메인스트림으로의 진입이 기대되는 유닛이다. 참고로 큐티 파이의 원래 이름은 Cutie Pie였으나 스펠링 실수로 인해 Cutie Pai로 지속되고 있다.

추천 곡: Music Rendezvous, Chishana Tsubasa, Yes No






 Immi 임미

나카자와 마유란 이름으로 2001년 메이져 데뷰를 했으나 2002년 이후 자취를 감춘 뒤 07 Immi란 필명으로 활동을 재개했다. 위 언급한 유닛들에서 보이는 아이돌팝의 흔적과는 달리 뉴레이브에 영향을 받은 듯한 일렉트로 사운드를 베이스로 한 강한 팝사운드를 구사하는 아티스트다. 활동 재기 당시 아이튠즈 뮤직 스토어 어번 주의 싱글에 선택돼 음원 다운로드 5만을 넘기는 기염을 토해내기도 했으며 PARCO, 캐논 등의 CM 송으로 그 녀의 음악이 발탁되었다. 전형적인 싱어송라이터로서 그녀 또한 클럽 라이브를 주 무대로 삼고 있다.


 

 추천 곡: Marble, Ups % Downs (The Samos Remix), Go with the Flow

 

immi LIVE @ France MIDEM

 

 

 


 

이 밖에 주목해 볼만한 아티스트로는:


Saori@Destiny 사오리앳데스티니

D-Topia 레이블 소속으로 위 아이라 미츠키와 마찬가지로 테루카도가 프로듀서를 맡고 있으며 제2의 겡키 로케츠라는 찬사를 받았다.



Saori@destiny『WOW WAR TECHNO』PV

 

 


 

Ravex 레이벡스

몬도 그로소의 오사와 신이치, FPM의 타나카 토코유키 그리고 M-Flo의 타쿠 타카하시가 모여 새로운 J-Pop의 방향성 제시라는 모토 하에 2008년 결성했다. 그들의 전 색깔과 조금은 비슷하게 걸리 하우스 성향의 음악도 보여주고 있으나 일본의 80년대 레트로 사운드와 레이브의 색깔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음악 보다는 뮤직 비디오가 더 돋보일 수도 있다.


ravex in Tezuka World
 


 

Suzuki Ami 스즈키 아미

아시아의 카일리 미노그격인 왕년의 아이돌로서 퍼퓸의 프로듀서인 나카타 야수타카와의 만남 이후 대중적인 사운드와 테크노팝의 절충적 사운드로 제2의 인생을 펼치고 있다.





 



 

Sawa 사와

전직 영어강사라는 특이한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메이져 데뷰를 했다. 유명 프로듀서 램 라이더가 뒤를 받치고 있으며 걸리 하우스와 테크노팝이 적절히 섞여있어 대중적인 면이 특징이다.






 



Sweet Vacation 스윗 베케이션

위 소개한 아티스트들 보다는 좀더 인디팝 성향을 띄고 있는 일본 프로듀서와 타이 보컬로 구성된 다국적 혼혈그룹으로 각 국의 최고 대학에 재학 중인 멤버들의 화려한 학력이 눈에 띈다.





 



보너스로 Amu의 뮤비 ^^ㅋ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Ambient 이후 클럽컬쳐 매거진 BLING에 연재되는 새로운 음악 컬럼입니다. 잡지와는 한 달 정도의 시차가 있습니다. 혹시 퍼가시게 될 때에는 꼭 출처를 밝혀주시는 센스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ELECTRONICA world: 01

2000년 이후 French House의 3가지 동향 :
Valerie, Kitsune, Ed Banger

by Groovie

 

2010년을 을 바라보며 밀레니엄 이후 10년 사이의 음악의 흐름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역시 어느 시대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음악들과 그에 따른 움직임들이 일어났지만 그 중에서도 프랑스를 위시로 한 일렉트로 하우스 씬이 가장 눈에 띌 수 밖에 없다.

 

클럽 컬쳐에 있어 프랑스는 언제나 생산자가 아닌 수용자의 입장이었다. 남들이 떠다 먹여주는 문화의 밥을 그냥 품위 있게 먹어주기만 하면 그만이었다. 하지만 90년대 후반 다프트 펑크의 등장과 함께 이제 프랑스도 클럽 컬쳐의 생산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렸으며 다프트 펑크는 Cerrone 이후 프랑스의 댄스 문화에 있어 가장 상징적인 존재로 자리매김 했다.

 
DFA, 댄스락의 서막

하지만 유행이라는 것이 늘 그렇듯 프렌치 하우스는 음악시장의 대량생산적인 공세 덕분에 2000년 즈음 큰 대중적 인기를 얻게 되지만 금방 시들어버린다. 그리고 이 때 좀더 공격적인 하우스 음악을 들고 나온 것이 바로 미국의 DFA 레이블이다. 2000년 초기 70,80년대 뉴욕 언더그라운드 포스트 펑크 씬의 리바이벌 격인 댄스 펑크 장르를 전 세계에 알리며 화려하게 데뷔했다. 그리고 포스트 펑크에 비해 더욱 댄서블하고 노이즈/덥의 요소가 가미된 댄스와 락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주었다. 하지만 2000년 중 후반에 이르러 락과 힙합의 감성을 지닌 프랑스의 에드뱅거와 키추네에게 다시 그 흐름을 내주게 된다. 물론 지금도 Hot Chip, LCD Sound System, Hercules and Love Affair 등의 쟁쟁한 아티스트를 거느리고 있지만 우선적으로 포스트 펑크가 가지고 있던 그 댄서블 하지만 서도 어딘가 미학적이고 아방가르드한 즉흥적 캐릭터가 90년대 소년소녀의 감수성을 지니고 있는 현재 클러버들에게 부담이 되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감수성의 문제 때문에 오히려 80~90년대로 넘어가며 즐겨 들었던 힙합과 락 그리고 메탈을 떠올리는 (거기다가 다프트 펑크까지!) 에드뱅거와 키추네의 강하고 직접적인 일렉트로 하우스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였는지도 모른다.

 

Kitsune와 Ed Banger

이러한 락과 하우스의 조우는 하입 만들기를 정말 좋아하는 영국의 뉴 레이브 Nu Rave’ 선전에 직간접적으로 힘입어 2000년대 하우스 클럽 씬의 큰 흐름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흐름의 결정타는 바로 에드 뱅거의 Justice였고 이내 90년대 후반 다프트 펑크가 해냈던 하우스 씬의 재 탈환을 이룰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때도 프랑스의 그 고질적인 수용자적 버릇은 고쳐지지 않았다. 초기 시절 키추네나 에드 뱅거가 프랑스 출신인지도 모르던 사람들이 태반이었고 레이블에게 영어로 연락을 취하는 촌극도 많이 발생했다고 한다. 하지만 인디 정신에 입각했던 이들은 현지 프랑스 클럽 씬의 반응에 아랑곳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새로운 색깔과 방향성을 모색했다. (에드 뱅거와 키추네의 사업의 대부분 또한 프랑스 현지가 아닌 외국과 이루어지며 두 레이블이 가지고 있는 프랑스 현지 클럽 씬에 대한 관심도 또한 현저히 낮다.)

 

다프트 펑크라는 모태를 두고 결국 에드 뱅거는 Justice, Sebastian, Para One 등을 앞세워 노이즈와 디스토션을 바탕으로 메탈에 더 가까운 일렉트로 사운드를 선보였고 Uffie를 통한 힙합과의 크로스오버에 중점을 두기 위한 실험을 택하는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다. 반면에 키추네는 좀더 직접적으로 다프트 펑크 시대의 향수를 살렸고 아티스트 개개인의 앨범 보다는 키추네 메종으로 통하는 컴필레이션 앨범에 집중했다. 또한 디자인 브랜드와 접목이 된 레이블인 만큼 앨범의 아트 워크를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보여준다. 이렇게 락/힙합/하우스를 통한 이들의 움직임은 2000년 중후반부터 지금까지 승승장구하며 전 세계 클럽 씬을 달구고 있고 80년대 보다는 오히려 90년대로 넘어가는 트랜지션 시기에 대한 레트로적 감성을 보여주며 또 그 방향성을 잡는 듯 보인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저기 도사리고 있다. 아직 미디어에서 떠들어 댈 만큼 90년대 레트로라는 실체는 보이지 않으며 그들이 90년대 레트로를 대변한다고 정확히 말할 상황 또한 아니다. 비단 키추네와 에드뱅거의 설립자들이 각각 다프트 펑크의 프로듀서와 매니져 출신이며 10년이 넘도록 같이 일해온 파트너 관계라는 사실을 넘어 그들의 성공의 직간접적인 원인이자 모태나 다름 없는 다프트 펑크의 존재자체가 너무나 대단했기 때문에 오히려 그들에게 구원의 빛 보다는 훗날의 벗어날 수 없는 그림자로 드리워질 수도 있다. (현재 프랑스에서 터져 나오는 하우스 음악의 대명사 격인 레이블이라고 해도 과연 그 시절 다프트 펑크 정도의 영향력과 충격을 주었는지에 대해서는 오히려 회의적이다.) 더욱더 큰 문제는 모든 것이 영원할 수는 없듯 이제 프랑스발 일렉트로 하우스에 지쳐가는 이들도 여기저기 속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두 레이블이 취하고 있는 실험과 새로운 방향이 얼마나 성공하는가에 달려있을 것이다. 어쨌든 두 레이블의 문제점이 슬슬 점쳐지고 있는 시점에 프랑스 낭트에서 뜬금없이 80년대 레트로 퓨쳐리즘을 외치며 발레리라는 또 하나의 레이블이 혜성처럼 등장했다.

Valerie

 

이제 3년 차에 들어선 발레리 레코드는 프랑스 하우스의 주목 받는 후발주자로서 위 언급한 두 레이블과는 다른 노선을 걷고 있다. 우선적으로 이들은 70년대의 끝자락부터 80년대 중후반 까지의 레트로에 집중한다. 따라서 70년대 펑크 락의 감성을 90년대에 하우스를 통해 표출했던 다프트 펑크의 절대적인 영향력에서 자유롭다. 또한 그들이 표방하고 있는 80년대 속에 들어있는 퓨쳐리즘적인 사운드/감성뿐만 아니라 몰리 링그월드, 메가드라이브, 트랜스포머스, 마이애미 바이스, 끝없는 여름 등 80년대 만이 가지고 있었던 영화, 만화, 게임, TV 드라마 모두를 아우르는 점은 대중적인 80년대 레트로 팝 문화의 종합 선물과 같다.

 

80년대라는 동일한 관심사와 취향으로 만난 The Outrunners, College, Anoraak, Minitel Rose, Maethelvin 그리고 Russ Chimes를 주축으로 구성된 발레리는 (에드뱅거/키추네와 같이) 락과 힙합처럼 분노와 스트레스 해소적이 아니라 오히려 해변과 여름을 떠올리는 말랑말랑하고 여유 있는 사운드를 구사한다. 또한 공상과학 영화 안에서 보여지던 과거의 레트로 디스코 하우스와 존휴즈의 틴에이지 영화 및 드라마에서 느낄 수 있었던 유치하고 로맨틱함을 세련된 사운드로 흠뻑 취하게 한다. 발레리의 음악을 권하는 건 딱 한가지 이유다. 90년대 레트로를 향해가고 있는 지금 20,30대의 클러버들이 가장 순수한 마음으로서 그 유치 찬란했던 80년대의 감성을 느낄 수 있는 기회는 지금 뿐, 다신 찾아오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PVUW 이후 클럽컬쳐 매거진 BLING에 연재되는 새로운 음악 컬럼입니다. 잡지와는 한 달 정도의 시차가 있습니다. 혹시 퍼가시게 될 때에는 꼭 출처를 밝혀주시는 센스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Ambient: Film & Electronica 06

함께한다는 것의 즐거움 [Utatama 노래혼]

(http://electronica.tistory.com)



사회 생활은 생존을 위한 각개전투다. 물론 하나의 집합체로서 다수에 의한 결과물을 내지만 자본주의 시스템 안 끝없는 양육강식의 전쟁터라는 관점에서는 그리 순수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어찌하였건 이렇게 인간이 사회로 나오기 전 우리는 여러 과정의 학생생활을 하게 된다. 대학교의 경우 사회 진출 전 관문으로서 어느 정도 개인의 주체와 독립성이 더 부각되지만 중/고등학교의 경우 개인이 경험하고 견뎌나가야 하는 단체생활의 측면이 상당히 중요하다. 그리고 바로 여기에 그러한 맥락 속의 여자 고교생들의 생활을 다룬 두 음악 영화가 있다. 바로 스윙걸즈와 우타타마 (노래혼). 중고등학생 소년 소녀 만이 가질 수 있는 꿈, 열정, 역경을 담은 영화들이다.

 



각각 음악 활동 부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여고생들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어쩔 수 없이 비교가 된다. 하지만 영화의 완성도나 전개, 연기 등 모든 면에서 역시 우타타마는 스윙걸즈에 못 미친다. 우선적으로 스윙걸즈는 뛰어난 감성을 가진 야구치 시노부의 탁월한 연출을 바탕으로 오로지 영화를 위해 노력한 배우들의 실제 퍼포먼스 등, 우타타마가 상대하기로서는 큰 벽이다. 더군다나 우타타마의 원톱으로 등장하는 여배우 카호는 곽광받고 있는 신인이긴 하지만 그 동안 쌓아왔던 그녀의시골스럽고순수한 이미지에 만화 캐릭터를 떠올리는 벙찐 캐릭터를 너무 작위적으로 집어넣으려고 한 억지스러움까지 보인다. 고로 여러 영화에서 산전 수전 다 겪은 우에노 쥬리와 다른 배우들이 만들어가는 하모니를 넘어서기에도 굉장히 힘들어 보인다. 하지만 스윙걸즈 영화의 완성도 자체가 워낙 뛰어나기 때문에 우타타마를 못 만든 영화로 치부하기에는 좀 그렇다.


 

우선 두 영화는 비슷하지만 재즈와 합창이라는 서로 다른 음악적 요인을 가지고 내러티브를 이끌어 나간다. 또한 스윙걸즈가 음악의 음자도 모르는 사고뭉치 집단이 억지로 밴드 부에 들어가 흥미를 가지고 실력을 쌓아나가는 것을 보여준다면 우타타마는 재능과 열정은 뛰어나지만 어쩔 수 없이 자신의 외모와 우월감을 주체 못하는 소녀가 우여곡절을 통해 다시 한번 음악의 새로운 세상을 발견하고 단체 생활에 대해 적응하며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스윙걸즈가 가장 대중 적인 재즈 장르라고 할 수 있는 글렌 밀러나 베니 굿맨 중심의 스윙재즈를 메인 사운드로 내세우며 전형적인 일본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좀더 폭넓은 관객층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반면 우타타마는 80,90년대의 스타 가수였던 오자카 유타카를 내세우며 좀더 일본 대중문화 안에서의 향수를 직접적으로 자극하고 있다. 이렇게 모두가 알고 있는 혹은 알기 쉬운 대중 가요의 사용과 악기 사용이 아닌 바로 자연스러운 인간의 몸에서 나오는 목소리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 바로 우타타마의 핵심이자 보는 이로 하여금 감동을 이끌어내는 요소다.


 

우타타마의 마지막 부분에서 주인공 카호가 독백으로작은 기적이라 부르는때창씬은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선물하기에 충분한 장면이다. 오자키 유타카를 시작으로 마지막 피날레인 몽골800아나타니까지 마치 시골에서의 뜨거운 한 여름을 시원하게 장식해주는 매미들의 합창처럼 서로 다른 연령과 사상 그리고 문화를 하나로 싱크(동조/동화)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만약 스윙걸즈처럼 이들이 밴드였다면, 관객들이 허밍으로 따라 부르거나 락 밴드의 보컬을 따라 부르는 식이였다면 이러한 복잡하게 얽힌 요소들의 싱크를 통한 카타르시스를 끄집어낼 수 있었을까? 그 콘서트 홀의 모두가 일어서서 자신의 목소리를 통해 자신들의 문화적 기억 속에 남아 있는 그 음악을 같이 부르는, 전혀 유도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카타르시스를 일궈낸다. 이 음악 씬 하나만으로 엉성하게 전개되었던 내러티브의 나쁜 기억이 사라져 버린다.


 

그런 경험 있지 않은가, 친구들과의 여행을 마치고 돌아오며 차 안에서 누군가 흥얼대는 혹은 틀은 음악을 하나 둘씩 따라 부르며 그 몇 일간 혹은 몇 시간 동안의 경험을 정말 적절하게 표현해주었던 그 싱크의 경험!


 

군대나 옛 학창 시절 죽어라고 불러대던 애국가나 80년대 기업 문화였던 매일 아침 국민체조와 같은 경우 이러한 유대감 형성을 프로파간다 식으로 주입시켜 시스템 속에 가두어 버리는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집단문화에 대한 경계는 언제나 필요하지만 결국 무언가를 이루어낸다는 것과 역경을 딛고 일어난다는 것은 절대 특별한 개인의 힘으로 이루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란 것도 동시에 알고 있어야 한다.


 

몽골800아나타니 (당신에게)’가 끝나갈 무렵 카호 특유의 함박 웃음 속에서 마지막 모놀로그가 흐른다,

 

 이런게 바로 하모니구나! 노래를 부른다는 것이 이렇게 기분이 좋은거구나!”




아나타니

 

MoPiX 青春合唱映画『うた魂♪』夏帆&ガレッジセール・ゴリに直撃!

 

아나타니 원곡 몽파치
 


우타타마 예고편

 






** Bling의 AMBIENT 컬럼은 [우타타마]를 마지막으로 종료됩니다
이번 호부터는 다시 일렉트로니카 음악을 중심으로 한 컬럼으로 돌아갑니다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PVUW 이후 클럽컬쳐 매거진 BLING에 연재되는 새로운 음악 컬럼입니다. 잡지와는 한 달 정도의 시차가 있습니다. 혹시 퍼가시게 될 때에는 꼭 출처를 밝혀주시는 센스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Ambient: Film & Electronica 05:

Do Another Teen Movie!  

By Groovie (http://electronica.tistory.com)




미국 영화에는 특별한 매력이 있다. (주로)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십대들이 보편적으로 겪게 되는 성장기의 과정을 정형화된 공식을 통해 보여준다. 바로 점이 고질적 문제로 지적 받지만 오히려 속에 선입견과 풍자라는 코드를 집어넣어 특유의 진부함을 어떻게 풀어내느냐가 영화를 가늠하고 즐기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또한 성장기 영화인 만큼 동시대적 감수성과 과거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또한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면 뻔한 공식에는 무엇이 있을까? 그야말로 미국 고교 생활의 전부다. 뻔한 짝사랑 얘기부터 시작해서, 부모, 선생, 친구, 이성과의 갈등, , 마약, 파티, 프롬나이트(!), 자동차 (지금은 핸드폰, 문자질과 마이스페이스까지), 잘나가는 운동부 남자들과 퀸카 클릭, 전학생, 동양인 공부벌레, 인종차별, 왕따, ‘정말눈에 띄지 않는 아이 등등 불변하는 학교라는 사회적 설정을 가지고 동시대의 트렌드적 요소를 부각시킨다.

특히 감수성이 예민한 시절 배경의 이야기인 만큼 사운드트랙은 아주 중요한 요소다. 영화를 보면 시절의 (혹은 지금의) 아이들이 무슨 음악을 듣고 즐기고 싫어하고 있는지 음악들은 문화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를 엿볼 있다.

세계가 80년대 레트로 광풍에서 아직도 많이 빠져 나오지 못한 만큼 영화의 르네상스라고도 있는 80년대 휴즈 영화를 소개하는 것은 왠지 식상하게 보일 같기도 하고 이후 영화는 어떻게 변해왔나 그리고 지금 동시대의 느낌은 어떤지 궁금해져서 2000 이후의 영화를 뽑아봤다. 물론 이건 베스트 리스트 아니다! 음악과 함께 있는 재미있는 영화의 추천 정도가 되겠다.




섹스 아카데미
Not Another Teen Movie, 2000

번역된 제목만 보고는 쓰레기 영화 취급 당하기 쉽다. (어떤 관점에서는 풍자와 조롱이라는 측면에서 섹스 아카데미라는 제목도 뭔가 의미가 있을 하지만) 어쨌든 99 [American Pie] 기존 미국 영화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 했다면 [섹스코미디] 원제가 시사하듯 기존 영화의 공식을 따르며 지금까지 나온 걸작 영화들에 대한 치밀한 패러디 설정을 통해 조롱과 오마쥬를 동시에 바친 기념비적 작품이다. 영화만큼 사운드트랙도 걸작이다. 휴즈와 브랫팩으로 대변되는 영화의 르네상스가 80년대였던 만큼 Soft Cell, Depeche Mode, New Order, The Cure, The Smiths, a Flock of Seagulls, Nena 대표 뉴웨이브 음악들이 The Smashing Pumpkins, Muse, Marilyn Manson 등과 같은 (2000)동시대를 대표한 밴드에 의해 커버되며 다른 맛을 제공한다.

참고로 영화의 전체적 설정은 [She’s All That] [10 Things I Hate about You] 따르고 있다.

Prom Night  음악 Scene



웃긴 장면 모음






퀸카로
살아남는
Mean Girls, 2004

제목은 유치하지만 원작인 [Queen Bees and the Wannabes] 토대로 여고생들의 생활 속에 존재하는 무시무시’(?) 감성을 풀어낸 작품이다. 소위 학교에서 나가는퀸카 클릭, 클릭의 구성체계 그리고 멤버들 사이에서의 묘한 갈등 관계의 전개와 끔찍한 복수는 80,90년대 영화의 전설인 [클루레스] [헤더스] 연상시킨다. 또한 아역 시절과 파티걸의 이미지만 요란했던 린지 로한을 새로운 무비 퀸으로 만들어준 녀의 대형 출세작이기도 하다.

사운드 트랙은 아주 뛰어나진 않지만 80년대 영화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듯 뉴웨이브 스타 블론디의 One Way or Another 지속적으로 흘러나오며 영화 중요한 트랜지션 내러티브를 이어준다. 또한 음악이 지배적이었던 영화 사운드가 점차 Urban Club 음악 분야도 적극적으로 품기 시작하는 움직임을 엿볼 있다. (비록 영화가 처음 시도한 것은 아니지만) 특히 영화의 피날레는 주로 드럼과 기타 사운드로 시작되는 락의 전유물이었지만 영화의 엔딩에 흘러 나오는 음악은 바로 80년대 레이브 문화의 Anthem 이나 다름 없었던 Orbital Halcyon On & On이다.

Jingle Bell Rock



Trailer





주노
Juno, 2007

영화의 공식을 따른다기 보다는 전형적인 인디 영화다. 주노라는 16 소녀의 이른 임신으로 전개되며 “Juno Effect”라는 미디어 용어까지 탄생시킬 만큼 평론과 관객의 찬사는 물론 대립되는 Pro-Life (임신 중절 합법화 반대) Pro-Choice (임신 중절 합법화 지지) 모두에게 호응을 얻은, 그대로 무슨 마법에 취한듯한 아름다운 영화다.

마법의 요인은 크게 가지다. 바로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16 여성 주노를 연기한 엘렌 페이지의 열연과 당해보지 않고서는 누구도 이해할 없을 16 소녀의 절망, 두려움, 희망, 감성 등을 가슴에 후벼 파듯 대변하며 영상과 절묘하게 블렌드 되는 포크/인디팝/ 사운드트랙이다. 특히 감독은 음악 선정에 있어 엘렌 페이지의 의견을 많은 부분 수렴했고 결과는 영화 전체의 엠비언트적 내러티브를 책임진 싱어송라이터 킴야 도슨의 참여였다. (엘렌은 하나의 싱어송라이터인 캣파워의 Sea of Love 커버를 추천하기도 했다.)

주노라는 캐릭터의 감성을 찾아내기 위한 엘렌 페이지와 라이트먼 감독 사이의 창의적이고 열린 대화 느낌은 영화 중간 소닉 유스의 카펜터스 커버에 대한 주노와 마크 대화 속에서 나타난다. 이는 영화 속의 다른 이야기로 음악에 대한 내러티브를 즐길 있는 씬이기도 하다. 밖에 흘러 나오는 Belle & Sebastien, Yo La Tengo, The Velvet Underground 등의 음악들은 관객을 더욱 주노에게 몰입하게 만든다.

All I Want is You



Anyone Else but You by Michael Cera & Ellen Page






와일드
차일드
Wild Child, 2008

쥴리아 로버츠의 조카인 엠마 로버츠의 출연만으로도 충분한 하입거리를 제공하는 작품으로 평론보다는 오히려 관객의 호응을 많이 이끌어낸 영화다. 에어헤드로 대변되는 캘리포니아의 부잣집 금발 소녀가 영국의 엄격한 시골 기숙사 학교에서 겪는 이야기로 [클루레스] [퀸카로 살아남는 ] 이리저리 섞어 놓은 듯한 뻔한 설정 속에서 풀어내는 솔직한 감수성이 오히려 돋보이는 가벼운 영화다. 영화에서 주목할 점은 바로 요즘 시대 아이들 생활 양식을 가볍게 나마 엿볼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 Mp3, 아이폰, 이메일, 동영상 메일 10대들의 필수가 되어버린 디지털 매체 그리고 특히 문자질 의한 언어의 파괴 측면이 특히 눈에 띈다. (예를 들어 S.U.L.A등과 같은 지나친 문장의 축약적 사용과 US Weekly 유에스를 어스로 발음하는 장면까지).

사운드 트랙 또한 기존 영화에서 많이 보여주던 음악의 포션이 크게 줄어들고 요즘 세대들에게 많이 어필하고 있는 Rihanna, DJ Feddie Le grand, Nelly Furtado, NYPC, Girls Aloud, Sophie E. Bextor, Timabland, M.I.A 등의 어반, 클럽, 댄스 음악으로 채워져 있어 동시대 십대들의 음악 취향도 함께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퀸카로 살아남는 ] the Burn Book 소녀들의 콜라쥬 앨범을 떠올리는 엔딩 장면과 왕년의 섹시 스타 나타샤 리챠드슨을 만날 있는 것도 영화의 묘미 하나 ^^.

Trailer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PVUW 이후 클럽컬쳐 매거진 BLING에 연재되는 새로운 음악 컬럼입니다. 잡지와는 한 달 정도의 시차가 있습니다. 혹시 퍼가시게 될 때에는 꼭 출처를 밝혀주시는 센스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Ambient 04: Film & Electronica::: 우리의 지난 날은 진정 화려했나?

By Groovie (http://electronica.tistory.com)

경기가 나빠지며 가장 자주 듣는 단어, 거품. 그 안에서 우리가 얼마나 화려한 과거 생활을 해왔을까라는 생각을 막상 해봤다. 금융권에서 위기의 신호탄을 발사해줬을 때 주위에는 고소해하던 사람들도 많았다. 물론 자신들에게 돌아올 후 폭풍을 감지하면서도 그 동안 소위 돈 장난치던 금융권 '애들'의 사고가 만천하에 공개 된 것이 내심 통쾌했던 것이다. 어찌하였건 경기도 나쁘고 앞으로 어떤 더 큰 폭풍이 불어 닥칠 지 모르는 상황에서 한번쯤 뒤를 돌아보는 시간도 괜찮을까 싶어 음악과 함께하는 영상 두 개를 소개한다. 시간을 돌아본다는 것은 회상이라는 낭만과 자숙이라는 반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지경까지 치닫게 된 경제 문제뿐 만 아니라 우리 현대 문명 사회가 어떻게 진화 되어왔는지를 돌아보자.

 



잃어버린 10년을 되돌려라,

[
버블로 Go!! 타임머신은 드럼방식]:  Disco & 90s Retro

영화의 설정은 간단하다. 장기 불황의 여파에 의해 일본이 국가적 도산 위기를 맞자 드럼 세탁기 방식의 타임머신을 타고 거품 시대로 되돌아가 호황을 계속 지속시켜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을 되돌린다. 물론 설정은 황당하기 그지없지만 호황에 의해 화려하고 행복하기 그지 없던 (돈이 돈 같지가 않던) 90년대의 재현과 디스코 풍의 사운드 트랙이 백미인 영화다.

 


90년대 유명 그룹 프린세스 프린세스의 93년 히트 곡인 [다이아몬드]가 흐르며 거품 가득한 환락의 로뽕기를 보여주며 시작하는 90년대 재현은 영화의 하이라이트나 다름 없다. 아이돌의 음악과 함께 도시의 풍경을 보여준 후 카메라는 이내 디스코 장으로 이어진다. Boys Town Gang[Can't Take My Eyes Off You] [Cherry]가 차례로 흘러나오며 쾌락의 정치학이라고 불린 디스코 코드와 함께 한다. 돈다발은 휘날리고 모두들 걱정은커녕 그야말로 흥청망청 인생을 즐기고있다. 특히 노래, [Can’t Take…]는 영화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흘러나오며 영화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책임지고 있고 엔딩 크레딧에 나오는 영화 테마송인 마리야 카토의 [Eyes on You] 또한 이 음악의 에센스를 끝까지 지켜낸다. 그리고 재현 씬의 마지막, 행복과 희망 가득한 동경의 밤 하늘 아래 폭죽이 터지며 마이킹에 시달렸던 미래에서 온 주인공 마유미(료코 히로수에 분)는 샴페인을 들고 토스트를 외친다. "거품, ~!'

 

영화에서 주목할 요인은 바로 이 거품이다. 샴페인의 생명이 기포인 것처럼 디스코처럼 신나는 호황의 거품이 끝나고 이들에게 남은 건 드럼 세탁기에서 나온 세제 찌꺼기의 거품뿐이다. (여기서 왜 드럼 세탁기가 타임머신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의문이 풀린다.) 어떻게 보면 90년대의 낭만을 향수하게 하면서도 허탈감을 안겨주는, 그야말로 거품 같은 영화다.

 

상황에 맞춰 한번 즘 음미해 볼만한 Princess Princess[Diamonds] 가사 부분:

지금 나를 움직이고 있는 그런 기분 / 아무것도 모르는 아아, 어린아이로 돌아가서 / 아아, 다시 시작하고 싶은 밤도 종종 있지만 / 그 때 느꼈던 아아, 기분은 진정한 것 / , 지금 나를 움직이는 건 다이아몬드

 





Godfrey Reggio의 삐딱한 세상 바라보기

[Qatsi 3
부작]: Minimalism & Civilization

어느 잡지에서 한 평론가의 말이 인상적이었다. 만약 외계인에게 지구를 표현하기 위한 가장 아름다운 영화 한편을 보낸다면 주저 없이 [카치 3부작]을 고르겠노라고. 그 만큼 아름다운 영상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현대 문명을 바라보는 거대한 스케일을 가지고 있다. 음악의 설정 또한 특이하다. 영상에 대한 컨셉트를 감독과 음악 담당인 필립 글래스가 공유한 후 서로 개별 작업을 통해 만든 후 합쳐졌다. (또한 이 영상을 발견(!)한 죠지 루카스,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은 훗날 자신들의 이름을 걸고 영화 홍보에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3부작 모두 (제목에서 오는) 일관적인 한 가지 테마만 존재할 뿐 어떠한 논지도 주장도 결론도 펼치지 않는다. 그저 현대 문명을 바라보는 느낌만을 전해줄 뿐이다. 그 느낌에 어떻게 반응할지 각자의 관점에서 관객이 자유롭게 해석할 수 있는 그야말로 열려있는영상이다. 어떤 이는 쾌감을 느낄 것이고 다른 어떤 이는 위기를 느끼기도 할 것이다. 하나의 그림은 1000가지의 이야기를 할 수 있다라는 감독의 말이 딱 들어맞는 설정이다. 특히 특정 공식과 논리에 의해 만들어진 인간의 언어로 인한 나레이션이 없기 때문에 필립 글라스의 미니멀리즘 음악이 특히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음악만이 가지고 있는 (인간 언어와는 다른) 추상성과 미니멀리즘의 점진적 요소가 관객을 이 아름답고도 거대한 오디세이로 이끈다.

 

카치 3부작은 아래와 같이 나뉘며 제목은 미국 호피 인디언의 언어에서 파생되었다. 짧은 지면 상 자세한 설명을 할 수 없고 약간의 소개만 해본다.



Koyaanisqatsi (1982-presented by George Lucas): 불균형적인 삶 (코야니스카치)

-테크놀로지와 도시의 삶으로 대변되는 현대의 기계 문명과 자연이라는, 지구 상에 동시에 존재하지만 전혀 다른 것만 같은 두 시공간에 대한 이야기.




Powaqqatsi (1988-presented by Francis Ford Coppola): 변화/변형 속의 삶 (포와카치)

-전 세계의 (특히 제3세계) 인종과 특정 문화를 바라보며 느끼는 다양성 그리고 소위 선진국형으로 다시 변화해가는 그들의 삶의 방식을 확인한다.




Naqoyqatsi (2002-presented by Steven Soderburgh): 전쟁으로서의 삶 (나코이카치)

-현재 인간은 테크놀로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테크놀로지를 살아가고 있다는 감독의 생각을 대변하듯 화려한 최첨단 그래픽으로 펼쳐지는 대서사시인 동시에 정치, 스포츠 등으로 분화되는 전쟁의 문명화에 대한 느낌을 전한다.

 




필자는 옛날 업무 관계로 레지오 감독을 인터뷰 할 수 있는 영광(?!)을 누린 적이 있었다. 그리고 가장 인상적이었던 대목이 바로 진실을 좇는 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오랜 시간 동안 수도 생활을 한 그에게 가장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친 이는 바로 친 형이었다. 어느 날 갓프리, 넌 진실을 찾는 법을 아니? 진실이란 신문이나 책 따위에는 나오지 않는 거야. 가령 네가 어떤 물체에 대한 진실을 알고 싶다면 그 물체를 뚫어지게 바라봐봐. 움직이지 않는 물체라도 언젠가는 조금씩 달라 보이기 시작하는 시점이 있을 거야. 그 잠깐의 순간이 바로 진실의 경험이야.”라고 말했다고 한다. 형의 말은 바로 바라보는 관조에 관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 관조의 미학이 30년에 걸친 거대한 스케일의 3부작 영상으로 태어난 것이다.

 

관조야 말로 위기와 절망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현재 우리를 돌아보기 위해 더욱 필요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PVUW 이후 클럽컬쳐 매거진 BLING에 연재되는 새로운 음악 컬럼입니다. 잡지와는 한 달 정도의 시차가 있습니다. 혹시 퍼가시게 될 때에는 꼭 출처를 밝혀주시는 센스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Ambient: Film & Electronica 03:

Saturday Night Disco Fever


올해 겨울은 유난히 춥지 않을 거라 예상되지만 명색이 겨울인데 자연스럽게 따뜻한 것이 그리워질 때다. 그 뿜어내는 열정과 환희 때문에 그런지 쾌락의 정치학이라 불리는 디스코는 어딘가 따스한 느낌의 음악 장르다. 그런 따뜻한 디스코와 함께 하는 영화를 소년의 성장기라는 관점에서 골라 보았다.

 

ROLL BOUNCE
 :::
소년, 친구들과의 우정을 심고 롤러스케이트를 타다.


10대 초 중반의 어린 소년에게 가장 중요한 건 아마 남자끼리의 우정이 아닐까? 항상 패거리를 만들고 이리저리 사고도 치고 돌아다니며 우연히 만나게 되는 여자친구는 세상에서 제일 소중한 사람일까? 아마도 친구들과의 우정 사이에서 한번쯤 깊게 빠지게 되는 십대의 고민 사항이다.

이러한 십대만이 가질 수 있는 특권이나 다름없는 감성을 가볍고 행복하게 담아내고 있는 영화가 바로 롤 바운스다. 특히 롤라장을 무대로 흑인 게토의 캐릭터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사운드트랙 또한 흑인 감성이 물씬 풍기는 Soul Funk가 가미된 디스코와 R&B가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Bill Withers Lovely Day Michelle Williams Let’s Stay Together를 개인적으로 강추한다)



SATURDAY NIGHT FEVER
 :::
소년, 연상의 여인을 만나며 성숙해지다.


디스코하면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걸작이다. 존 트라볼타를 당대 최고의 스타로 만들고 이 영화를 잊을 수 없었던 감독 퀜틴 타란티노는 잊혀졌던 존 트라볼타를 그의 영화 [펄프 픽션]에서 다시 부활 시키며 제 2의 인생을 걷게 해주기도 했다.

전형적인 트렌드와 여자에 관심 많은 청년과 연상의 여인의 러브 스토리로 펼쳐지는 이 영화를 자세히 들여다 보고 있노라면 영화 포스터에서 느껴지는 그 화려함과 행복 보다는 상당히 무거운 내러티브를 가지고 있다. 바로 그 시절 미국 뉴욕의 이탈리아계 가정의 감성을 적나라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연상의 여인을 만나 춤을 통해 사랑을 느끼지만 아직 준비되어 있지 않고 책임이라는 것과 거리가 먼 10대 청년의 맹목적이고 열정에만 가득 찬 반 쪽짜리 사랑의 이야기를 다루는 성장기 영화이기도 하다. 

너무나 많은 명 장면들을 가지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은 것은 바로 그 시대 디스코에 미친 서민 젊은이들의 감성을 느끼게 해주는 오프닝 씬이다.  뉴욕의 스카이라인을 비추며 강렬한 빨간색 타이포그라피 그리고 서민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의 상징인 지하철이 출발하며 비지스의 Stayin’ Alive가 흐른다. 페인트 통을 들고 멋들어지게 차려 입은 알바생 토니의 거리 활보 모습은 영락없는 폼생폼사 청년의 모습이다. (거기다가 지나가는 여자 한 명 한 명 다 체크하는 모습하며!) 바로 나의 밤은 당신의 낯보다 화려하다는 말이 딱 들어맞는 그런 느낌이다.

음악적으로 가장 유명한 건 역시 호주 출신 팝 디스코 그룹인 비지스의 주옥 같은 음악들이지만 이들 말고도 MFSB, KC & the Sunshine Band, David Shire 등의 화려한 정통 디스코 음악을 경험할 수 있는 최고의 사운드트랙을 가지고 있는 영화다.



THE LAST DAYS OF DISCO
 
:::
소년, 사회와 성인이란 장벽에서 지난 날을 향수하다.


아마도 영화계에서 가장 말이 많은 감독을 꼽는다면 할 하틀리와 리차드 링클레이터 정도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이 영화의 감독인 윗 스틸만 또한 영화를 말 그대로 로만 채워놓는 감독으로 유명하다. 이 감독의 특징은 20대 중 후반에서 30대 초반까지 대학교 졸업반 혹은 갓 사회 경험을 하며 성인의 길을 걷고 있는 젊은이들의 사상을 담고 있는 것으로 특히 유명하다. 이 영화도 마찬가지로 학생의 모습을 벗고 성인의 길을 접어들게 되는 나이 먹은 소년들의 고민과 꿈을 디스코 음악에 투영하고 있다.

또 하나 재미있는 것은 감독의 캐릭터들이 항상 어느 정도 공부도 하고 어느 정도의 상류 사회의 삶을 살고 있는 캐릭터로 채워져 있는 만큼 디스코의 무대 또한 허름한 클럽이 아닌 Studio 54를 연상시키는 화려한 고급 클럽이다. 또한 머리 속에 이론만 가득하고 한번도 즐겨보지 못한 디스코 문화에 뛰어들며 모든 것을 날려버리고 성인의 길을 찾아가는 모습은 영화의 제목인 디스코의 마지막 나날들처럼 마치 그들의 마지막 소년기를 상징하고 있는 듯하다.

역시 감독의 스타일 상 영화는 철학적 사상과 끊임 없는 대화로 가득 차 있다. 하지만 Chic, Alicia Bridges, Cheryl Lynn 등의 화려한 디스코 음악은 이렇게 다소 지루해 질 수 있는 분위기의 충분한 보완 장치 역할을 하고 있다. 



BOOGIE NIGHTS
 
:::
소년, 가장이 되어 가족을 만들다.



다른 영화들과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디스코에 관한 영화라기 보다는 디스코 음악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70년대 포르노 영화 사업의 흥망성쇠를 그려내는 큰 스케일의 드라마. 마크 윌버그의 연기는 항상 조금어설픈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이 영화는 그의 그 어설프고소년 같은 모습이 너무나도 잘 어울리는 영화이기도 하다. 포르노에 관한 영화이면서도 사운드 트랙을 온갖 디스코 사운드로 수놓으며 롤러걸 캐릭터까지 등장시키지만 영화는 다소 무겁다.

 

미국 영화/문화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은 바로 가족이다. 그리고 그 가족의 문제는 이 영화 안에서도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모두 다른 연령, 색깔,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 사회에서 절대 용인 될 수 없는 난잡한 성행위에 관한 영화를 찍는 이들의 모습은 서로를 아끼고 채찍질하는 그 이상적인 가족의 모습과 닮아 있다. (특히 영화의 엔딩에서 아이들을 챙기기라도 하듯이 영화를 찍으러 집이라는 공간을 걸어가고 있는 늙어버린 모습의 감독은 바로 그 가장의 모습이며 그 초라한 뒷모습에 눈물이 날 정도다.) 하지만 이 안에서 여신처럼 또는 어머니처럼 여겨지는 엠버가 사회에서 포르노 배우라는 이유로 아이의 양육권을 인정 받을 수 없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며 사회의 이해할 수 없는 부조리에 대한 모순을 보여주기도 한다.  

영화의 초반은 포르노 산업의 호황기를 다루는 만큼 사운드트랙은 화려한 디스코 음악으로 채워져 있다. 하지만 80년대 뮤직 비디오와 비디오 테이프의 등장으로 필름으로 찍던 포르노는 비디오의 대량 산업 체제로 바뀌며 위기를 맞는다. 그리고 타락의 상징인 코케인의 등장과 함께 변화의 시대를 반영하듯 음악 또한 팝과 락으로 이어지게 된다..

 

포르노 산업은 죽지 않았으나 나름 그 진화에 진화를 거듭했다. 영화가 보여주었던 비디오 테이프로의 전환뿐만 아니라 오늘 날 디지털 사회에 도달하며 포르노 산업은 다시 인터넷의 가장 큰 수익원이 되었다. 아마도 포르노는 이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진화에 가장 민감하고 빠르게 적응하며 대응하는 산업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PVUW 이후 클럽컬쳐 매거진 BLING에 연재되는 새로운 음악 컬럼입니다. 잡지와는 한 달 정도의 시차가 있습니다. 혹시 퍼가시게 될 때에는 꼭 출처를 밝혀주시는 센스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Ambient 02
: Film & Electronica

도시의 음악들


봄이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약간 들뜬 마음이라면 가을은 무언가의 끝을 준비하는 듯한 덤덤하고 무거운 느낌이다. 그 스산한 분위기 속에 하루쯤은 휴식을 위해 엠비언스 가득한 음악과 하는 예술 영화 한 편도 괜찮을 듯 하다.

 

ROCK: [Zabriskie Point, 1970] by Michelangelo Antonioni

건축가 출신답게 탁월한 공간감과 동시대 문화에 대한 날카로운 해석을 보여줬던 이 거장은 작년 세상을 떠나며 많은 영화인들을 슬프게 했다. 안토니오니 감독은 타 감독들 못지 않게 훌륭한 사운드트랙을 선사하며 영상미를 더욱 세련되고 철학적으로 덮어씌웠다.

[
자브리스키 포인트]는 클래식 락 음악의 거성들인 핑크플로이드, 제리 가르시아, 롤링 스톤즈 등을 내세워 70년대 미국 카운터컬쳐의 한 단면을 그려낸다. 두 명의 외톨이 같은 주인공들은 히피의 잔상과 베트남전 반대 운동에 대한 찬양을 보낼 듯 하지만 영화가 흐르며 이도 저도 아닌 회색 분자의 행적을 남긴다. 그들을 맞이하는 것은 정치도 이념도 존재하지 않는 엑스타시 속의 어느 한 무릉도원이다. 이 곳은 바로 미국 데스벨리의 자브리스키 포인트란 곳이며 제리 가르시아의 음악에 맞춰 펼쳐치는 집단 난교 씬은 충격적이면서도 아름답게 다가온다.
 
대담하게 내세운 초현실주의적 영상, 이념에서 벗어난 순수한 아담들과 이브들이 사막 위에서 서로 엉키어 뒹구는 공간을 채우는 가르시아의 블루지한 기타 선율의 엠비언스는 영화사에 길이 남을 만한 명 장면이다. 만약 자신이 이념과 물질주의를 모두 거부한 이 시대의 진정한 회색분자이자 노마드라고 자부한다면 적극 추천하고 싶은 저주받은 걸작이다. (개봉 당시 이 영화는 엄청난 흥행실패와 평단의 혹평을 받았다.
 








JAZZ
:
  [Manhattan, 1979] by Woody Allen

이번엔 잠시 달콤하고 낭만적인 스윙재즈로 넘어가 보자. 마틴 스콜세시 감독과 함께 맨하탄을 가장 사랑하는 감독이 바로 우디 알렌이다. 그는 아카데미에서 [애니홀]을 통해 처음으로 작품 상을 받았을 때도 자신이 정기적으로 연주하던 재즈바 일정 때문에 참석하지 않았다. 그 정도로 우디 알렌의 재즈 사랑은 그의 영화와 맨하탄을 향한 사랑 못지 않다. 특히 그의 영화는 감미로운 스윙 재즈 사운드로 맨하탄이라는 도시에 대한 애정을 로맨틱하게 표현한다.

 대표적인 영화가 바로 우디 알렌과의 최고의 케미스트리를 자랑하는 다이엔 키튼과 함께 한 흑백 영화, [맨하탄]이다. "챕터1, 그는 뉴욕 시티를 사랑했다"로 시작하는 오프닝 씬은 재즈와 클라시컬 음악의 크로스오버를 시도했던 죠지 거시윈의 '랩소디 인 블루'가 흐르며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시작으로 그 안의 삶의 군상들 그리고 마지막의 폭죽 셀레브레이션과 함께 마감하며 맨하탄이라는 공간을 사랑과 낭만의 엠비언스로 가득 채우고 있다. 진정 낭만이란 무엇인지, 사랑이란 무엇인지를 깨닫게 해주는, 도시라는 공간에게 바치는 최고의 데이트 영화가 아닐까 한다.



 

AMBIENT: [Wingsof Desire, 1987] by Wim Wenders

국내에서 [베를린 천사의 시]라는 이름으로 소개된 이 영화의 원제는 [욕망의 날개]. 코카콜라와 락큰롤에 취한 영원한 로드 무비의 아버지, 빔 벤더스는 여기서 삶에 대한 고찰과 동서독의 화합을 염원하는 세레나데와 같은 음악과 영상을 보여준다.

하늘과 인간 사이의 중간인 천사를 의미라도 하듯 울려 퍼지는 중성적인 첼로 선율과 함께 영화는 공중에서 도시를 바라보며 시작한다. 그것은 바로 하늘 위에서 인간 군상을 호기심과 애증 섞인 눈으로 바라보는 천사의 시점이다. 공허한 베를린의 도시를 채우고 있는 사람들의 마음 속에는 온갖 슬픔과 걱정이 교차한다. 그리고 천사는 질문한다, 인간으로 살아가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이렇게 영화는 인간과 천사의 시점을 오고 가며 통일 전 베를린이라는 도시의 캔버스를 채워나간다.


 이 영화에서 도시를 채워나가는 엠비언스는 여러 개의 레이어로 나뉜다. 사람들의 애환은 짙지만 스트링 선율과 함께 천사가 누비는 베를린은 너무나도 진공상태의 느낌을 줄만큼 고요하다. 동서의 통일에 의해 찾아올 복받치는 환희와 그 후 다가올 산더미 같은 경제와 이념 문제들로 인한 엄청난 폭풍의 전야와 같은 느낌을 전해줄 정도다. (물론 천사 다미엔이 인간이 되며 느낄 혼란의 이전상태도 포함해서)


다음은 여기저기서 들리는 인간 마음의 목소리들이며 비극적인 자신들의 삶에 대한 불만과 걱정으로 채워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목소리들이 곧 공허하고 슬픔 가득한 베를린이라는 도시를 채워나가는 요인들이다. 그리고 전파를 타고 흐르는 TV와 라디오의 방송은 그 사람들을 조종하는 미디어를 의미한다.

 하지만 중간중간 데미안은 마리아 릴케의 시를 지속적으로 읊는다. "아이가 아이였을 때"로 시작되며 반복되는 이 모놀로그는 인간의 삶에 존재하는 것이 비극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것을, 우리가 잊어버린 중요한 무언가를 계속해서 일깨워 준다. 그것은 호기심에 가득 찼던 데미안이 인간으로 거듭나 색깔을 보고 환희를 느끼고 곡예사와 관계를 가지며 느끼는 그런 삶을 지탱하게 해주는 감정, 바로 사랑이다. 결국 사람들이 잊어버린 그 사랑이란 느낌으로 도시는 비극에서 벗어나 동서간 그리고 사람간 사랑과 화합이라는 환희의 공간을 기약하며 매듭을 짓는다


 

ELECTRONICA: [Irreversible, 2002] by Gaspar Noe

그래도 클럽 문화 잡지 블링인데 순수 전자댄스 음악에 대한 얘기가 없으면 허전하기에 다프트 펑크로 이야기를 돌린다. [돌이킬 수 없는]은 다프트 펑크의 반 쪽 토마스 뱅갤터가 사운드트랙을 맞았고 충격적인 영상과 내러티브의 전개로 깐느 영화제 그랑프리 후보로까지 오른 2002년의 화제작이었다.

 하나의 트랙으로 듣기에는 Paris by Night을 절대적으로 추천하지만 (특히 펼쳐지는 영화의 긴장과 엑스타시 후에 느껴지는 허무함에 대한 총합으로서)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시작부터 약 15분 동안 펼쳐지는 사운드 디스토션이 영화의 사운드적 클라이맥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멀미가 날 정도로 뒤틀리는 영상과 뱅갤터의 잡음과 같은 사운드 이펙트는 영화의 긴장과 처절함에 무게 감을 더한다. 클럽, 지하도, 밤거리와 같은 실제 공간은 물론 영화가 말하고자 했던 섹스 그리고 인간의 심리적 공간을 묘사하고 있는 것이 바로 [돌이킬 수 없는] 사운드 트랙이 가지고 있는 엠비언스적 매력이다.

.

"시간은 모든 것을 무너뜨린다"라며 시작하는 영화의 대사는 한번쯤 음미해 볼 만하다. 물리학에서 공간의 차원은 4차원이든 10차원이든 존재한다. 그렇지만 시간의 차원은 언제나 하나임으로 시간을 되돌릴 수도 앞당길 수도 없다. 하지만 시간을 자유자재로 뒤틀며 시공간의 경험을 바꿀 수가 있는 마법사가 있으니 그는 바로 DJ. 지금 당장 클럽으로 뛰어들어 스테이지의 엠비언스를 가득 메울 DJ와 함께 시간이 당신을 무너뜨리기 전에 먼저 시간을 무너뜨려버려라.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클럽 컬쳐 매거진 블링에 연재 중인 일렉트로니카 이야기 관련 칼럼인 PLUR & Vibe Upon the World 옛 하드카피 원고들입니다.
hyperlink를 통해 좀더 나은 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아직 연재 중인 컬럼이니 잡지와는 시차를 두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퍼가시게 될 때는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 블링에 연재 돼었던 PVUW의 마지막 회입니다.. 그동안 감사했습니다.. ^^ㅋ
    앞으로 [Ambient: Film& Electronica]라는 새로운 시리즈로 만나 뵙겠습니다.
                                                                                                                                      -Groovie


PLUR & Vibe Upon the World 22:
               
최초의 Invitation-Only 파티,
                          David Mancuso’s Loft Party


고아원의 기억, 그리고 로프트 파티의 탄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디스코가 언더그라운드 음악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던 1965년 경 데이비드 만쿠소라는 한 사나이가 뉴욕의 647 브로드웨이에 로프트 하우스를 처음으로 얻게 되었다. 거주 공간이 아닌 사무 공간으로 꽤 넓은 규모를 가졌던 이 곳에 처음 들어섰을 때 그의 머리 속에는 고아원에서 보낸 자신의 어린 시절이 필름처럼 스쳐갔다.

고아원의 아이들이 삼삼오오 모여 앉아 수녀님이 차려준 저녁을 먹으며 함께 했던 그 식탁 위에는 항상 레코드 플레이어 한 대가 놓여 있었다. 거기서 흘러나오는 음악은 이 버려진 어린 아이들에게 평화와 행복을 제공했고 그들을 하나로 만들어주는 일종의 매개체 역할을 했다. 고아원의 넓지만 텅 빈 듯한 내부 공간과 허름한 건물은 이 작은 아이들의 외로움과 고독을 상징하는 듯 했지만 맛있는 음식과 분위기를 한층 돋구는 음악 그리고 여러 친구들과 함께 한 시간은 그들에게 작은 파티나 다름 없었다. 이제 어엿한 성인이 되어 마련한 만쿠소의 로프트 하우스의 넓고 낡은 공간은 마치 그를 어린 시절의 행복한 시간으로 돌려 놓는 것만 같았다. 언제나 음악과 사람을 사랑했던 만쿠소는 자신의 로프트에서 그 때의 경험을 재현하고 싶다는 생각을 떠올렸다. 이 때가 바로 뉴욕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었던 전설의 언더그라운드 파티인 로프트 파티 The Loft Party가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참여자들이 만들어 가는 순수한 파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만쿠소의 파티는 여느 클럽 이벤트와는 전혀 다른 특별한 성격을 갖고 있었다.  입장하기 위한 티켓을 팔지도 혹은 배포하지도 않았으며 음식과 마실 것들은 제공될 뿐, 팔지 않았다. 참여자들 하나하나의 작은 기부를 통해 파티와 렌트 자금을 마련하고 음식을 준비했다. 지인들 간의 인비테이션 온리 Invitation-only 파티였기에 준비하는 과정 속에 친구와 공동체를 위한 정성이 들어있었던 것은 물론이다. 더군다나 사랑과 어우러짐의 모토와 함께 로프트 파티의 분위기는 그야말로 '훈훈'했다. 프로모터나 DJ가 밥상 차려주듯 내놓는 것이 아닌 참여자들 모두가 함께 만들어나는 분위기와 경험이 바로 로프트 파티만이 가진 '특별함'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로프트 파티의 또 하나의 특징은 사람들 간의 평등함이었다. 자신의 옆 사람이 부자였건, 높은 사회 지위를 가진 사람이건, 게이나 레즈비언이건 혹은 유색인종이었든 간에 로프트 안에서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차별이 존재하지 않았다. 로프트를 꽉 매운 음악과 행복의 열기 속에서는 모두가 평등했다. 만쿠소가 파티를 진행해가며 원했던 것이기도 하지만 실제로 경험하면서도 감사하고 신기했던 현상이었다.

로프트 파티가 그 규모와 유명세를 쌓아가며 서서히 연예인들과 같은 유명인들도 참석하기 시작했지만 로프트 공간 밖에서 '특별했던' 사람들은 내부에서는 똑 같은 로프트 베이비들이었다. 보통 식당이나 파티에 갔을 때 유명한 영화 배우라도 목격할 때 사람들은 대부분 "야, 야, 저기 XX가 왔어 봐봐, 우와"하며 수군거리곤 하지만 이런 촌극은 로프트에서는 볼 수 없는 광경이었다. 참여자 한 명 한 명 모두가 로프트의 경험에 작은 일조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함께한 시공간에 대해 서로 의무감과 보람을 느꼈고 이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만쿠소의 마술 같은 음악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Loft Party에서만 느낄 수 있는 독특한 DJ 철학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아원 시절 수녀님이 마련해준 레코드 플레이어처럼 사람들의 유대감을 높여주는 것은 바로 음악이었다. 파티를 위해 만쿠소는 정성껏 그의 설렉션을 테이프에 담았으며 이 테이프들 속에는 다양한 장르의 빠르고 느린 음악들이 섞여 있었다. 오늘 날 하우스 클럽 음악의 모태가 되는 라틴 리듬과 소울 풍의 보컬 음악 등이 흥을 돋구는 한편 밴 모리슨의 애스트랄 위크 <Astral Weeks>의 음악들이 흘러 나오기도 했다. 여러 배경의 사람들을 상대로 했던 이비자의 DJ 알프레도 피오리오와 비슷한 맥락의 선상에 서있었다.

또한 기본적인 DJing 스킬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만쿠소는 로프트 파티를 이끌어가는 DJ로서 믹서나 헤드폰을 사용하지 않았다. 물론 음악이 끝나기 전 다른 음악으로 넘어가버리는 트랜지션도 없었다. 음악 하나하나가 처음부터 마지막 순간까지 울려 퍼졌다. 음악에 가해지는 볼륨, 피치조정, 리믹싱과 같은 어떠한 인위적 '조작'과 '분절'은 원작자가 의도하고 그 음악만이 가지고 있는 생명력/감성과 듣는 이와의 커뮤니케이션을 단절 시키는 행위라고 만쿠소는 믿고 있었다. 시작과 끝의 결말을 맺음으로 그 음악으로부터 하여금 자신의 목소리를, 감정을 표현하게 하는 음악에 대한 존중과 배려라는 그의 독특한 DJ 철학이었던 것이다. 만쿠소에게 DJing란 오히려 하나의 긴 여정과 같았으며 파티가 시작해서 끝나는 시점까지의 음악들이 모여 하나의 거대한 세트를 이루는 것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실력파 사운드 디자이너 리챠드 롱 Richard Long과 함께 일구어낸 로프트의 사운드 시스템 또한 한 몫 했다. 주류에서는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을 언더그라운드 음악이 만쿠소의 손을 떠나 매킨토시 McIntosh 앰프를 타고 클립쉬혼 Klipschorn 스피커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순간 사람들은 완전히 빨려 들어갔고 로프트의 바이브Vibe를 최 절정으로 끌어냈다. 알콜 음료도 제공되지 않았던 이 곳에서 만쿠소의 음악에 취해 행복의 눈물을 흘리는 로프트 베이비들을 볼 수 있는 것은 놀랍지 않은 일 이었다. (로프트의 사운드 시스템은 그 당시 패러다이스 개러지와 함께 거의 세계 최고 수준으로서 아직까지 전설로 회자 되고 있을 정도다.)


언제나 되돌아오게 되는 로프트 베이비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린 아이의 생일 파티나 크리스마스 파티를 연상 시키듯이 준비된 여러 풍선 장식과 어디서도 볼 수 없는 거대한 디스코볼이 반사하는 불 빛 아래 수많은 사람들… 그렇게 30년 정도의 시간 동안 지속된 로프트 파티에 당시 젊은이에 불구했던 로프트 베이비들은 성인이 되고 가정을 가진 후에도 자신들의 아이들과 함께 로프트를 찾았다. 만쿠소에게 있어 이 보다 큰 보상과 보람은 없었다. 이런 특별한 로프트 만의 경험은 수많은 로프트 베이비들로 하여금 인생의 변화의 순간을 맞이하게 해주었다.

  

"개인적으로 로프트 파티는 일종의 라이프 스타일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당시 성행하던 주류 바Bar나 클럽club에 대한 작은 반란이기도 했지요. 전 항상 무언가 개인적인 일을 하고 싶었어요. 정형적인 주류의 시스템에서 벗어난 아주 단순한 일 말이죠."라고 만쿠소는 지나간 시간들을 이렇게 회자하고 있다.


Trivia:

*로프트 파티 이름의 유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처음에는 'Love Saves the Day' (대략 '사랑으로 오늘을 구원하다'라고 풀이된다)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파티가 거듭나며 사람들 사이의 대화 속에서는 "오늘 (만쿠소의) 로프트로 간다"라는 식의 말이 자주 오고 갔다. (한국말로 풀이해 봐도 "사랑으로 오늘을 구원하다 파티에 간다" 보다는 훨씬 덜 어색해 보이듯)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파티의 명칭도 '로프트'로 변하게 된 것이다. 참고로 로프트 파티에는 수많은 전설의 DJ들도 함께 했다. 그 이름을 몇 열거하자면, 디스코 DJ인 프랑수아 케보르키안 Francois Kevorkian, 시카고 하우스의 대부 프랭키 넉클스 Frankie Knuckles, 데니 크리빗 Danny Krivit, 역사 상 가장 위대한 DJ로 칭송 받는 래리 러반 Larry Levan, 데이비드 모랄레스 David Morales, 닉키 시아노 Nicky Siano 등이 있다. 만쿠소의 로프트 하우스 파티는 이들 모두에게 특별하고 소중한 음악적 영감과 경험을 선사했다.

현재 데이비드 만쿠소의 Loft Party는 런던에서도 1년에 4회씩 진행 중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클럽 컬쳐 매거진 블링에 연재 중인 일렉트로니카 이야기 관련 칼럼인 PLUR & Vibe Upon the World 옛 하드카피 원고들입니다.
hyperlink를 통해 좀더 나은 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아직 연재 중인 컬럼이니 잡지와는 시차를 두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퍼가시게 될 때는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LUR&VIBE UPON THE WORLD 21 6월자:
 
 
The Birth of Rave

매시브 레이브와 상업적 파티 프로모션의 탄생


2nd Summer of Love의 애시드 광풍을 뒤로하며 꿈만 같던 88년을 마감하고 영국 런던의 애시드 하우스 씬도 그 두 번째 진화에 돌입했다. 이 시기에 진입하며 슬슬 Rave Raver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애시드 하우스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뒷북을 치던 미디어 뿐이었다. 이비자의 순수한 분위기와 60년대 히피를 떠올리던 사랑과 이상의 분위기는 사라져갔고 새로운 변화가 찾아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큰 변화는 바로 철저한 상업정신으로 무장한 2세대 파티 프로모터들의 등장이었다. 점점 많은 사람들이 애시드 하우스를 경험하며 떠올린 것은 바로 이 정도면 나도 할 수 있겠는걸, 이거 돈 좀 되겠네 하는 생각들이었다. (거기다가 세금도 낼 필요도 없고 한 방에 큰 돈이 굴러들어오니 이처럼 매력적인 장사도 어디 있었겠는가?) 이상보다는 비즈니스적 개념이 앞선 이들의 생각은 자연스럽게 레이브의 대형화를 불러왔다. 100 명 남짓을 위한 좁디 좁은 클럽의 공간 보다는 1000, 10000명을 위한 넓은 아웃필드의 공간이 더욱 이득이 많아 보이는 건 당연했고 이로 인해 그 유명한 M25 오비탈 하이웨이나 넓은 대 자연의 공간을 활용한 매시브 레이브가 성행하기 시작했다. 아이러니컬 하게도 사랑, 평화, 존중으로 대변되는 이상적인 문화의 대명사인 레이브는 이렇게 상업주의적 접근과 함께 태어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업주의적 파티 프로모션의 붐을 불고 온 중심 인물은 Tony Colston Hayter (이하 토니)라는 21살의 청년이었다. 어렸을 적부터 천부적인 사업가 기질과 남의 이목을 받는 것을 중요시 여겼던 토니는 애시드 하우스를 경험하며 일찍이 파티 프로모션의 상업성에 대해 눈을 뜨고 곧장 실행에 옮겼다. 대형화와 거대함을 추구한 토니는 손수 미디어를 불러 애시드 하우스의 현장으로 끌고 왔다. 하지만 자극의 사회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아이들이 파티를 통해 즐겁고 뜻 깊은 경험을 가지게 되는 것 따위는 뉴스거리가 되지 않았다. 따라서 미디어의 초점은 약에 빠져 허우적대는 위험한 아이들로 맞추어 졌고 미디어에 의한 대중의 패닉은 시작되었다. 덕분에 더 많은 아이들이 생각 없이 애시드 하우스가 너도나도 해야 할 쿨한 최신 트렌드인양 생각하며 모여들었고 당시 애시드 문화 속에 그나마 남아있던 일말의 순수함마저 없애 버렸다.

 

이렇게 토니는 레이브라는 제2의 애시드 세상의 문을 열었고 그의 선라이즈 파티는 승승장구하며 영국의 모든 청소년들을 거대하고 화려한 유포리아의 시공간으로 이끌었다. 이를 기점으로 에너지, 월드 댄스, 바이올로지 등의 대형 레이브 이벤트들이 속출하기 시작했고 이처럼 우후죽순처럼 늘어가는 레이브 파티에 의해 프로모터들 간의 치열한 경쟁은 불가피 했다. 따라서 좀더 많은 사람들을 모으기 위해 파티는 좀더 이벤트적 성격을 띄어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먼저 스타 DJ 라인업이 형성되기 시작하며 종전처럼 한 명의 DJ가 오랜 시간 동안의 여정을 책임지는 리츄얼식의 분위기가 사라졌다. 각각의 DJ들은 짧은 시간을 할당 받고 자연스레 여러 음악의 조화라기 보다는 빠르게 사람들을 열광하게 만들 수 있는 Anthem 위주의 사운드로 방향을 틀 수 밖에 없었고 결국 어느 파티에서나 거의 같은 설렉션을 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업리프팅한 하우스 그리고 트랜스 음악이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두 번째로 파티를 화려하게 장식할 이벤트성 장치들이 세분화 되었다. 엑스터시와 최고의 궁합을 자랑하는 라이팅 시스템은 점차 다양해지고 각 파티 플라이어에는 어떠한 사운드 시스템이 사용되어지는지 구체적으로 표기 되었다. 이 밖에 거품 샤워, 대형 풍선의 등장 등 대형 레이브의 분위기는 시간이 갈수록 더욱 거대하고 시끄러움을 향해 달려갔다. 자연스레 이비자 베테랑들은 거의 종적을 감추었으며 주 참여자도 자극적인 것에 민감한 어린 연령층으로 한정되기 시작했다.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레이브 문화는 이렇게 태어났고 진화했으며 프로모션의 상업주의적 의도와는 또 다르게 레이버들은 자신들만의 유포릭하고 잊을 수 없는 경험을 가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고로 레이브는 엄중한 대정부의 차원의 단속 속에 진행된 불법 파티였다. 따라서 천 명이 넘게 모이는 레이버들을 위해 24시간 파티를 가지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었다. 경찰의 단속 뿐만이 아니라 레이브의 상업성에 눈독들인 축구 갱단의 위협에 의해 잠시 몸을 숨기고 있던 토니는 디지털 시대에 걸맞을 만한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휴대폰을 사용한 보이스 뱅크의 활용이었다. 파티 플라이어에 장소를 언급하지 않고 전화번호만을 남겨 놓거나 레코드 샵의 지인들에게만 전화번호를 알려준 후 이 번호로 연결되는 보이스 뱅크에 토니는 장소를 수시로 바꾸며 메시지를 남겨놓았다. 그리고 마지막 순간에 확정된 파티 장소를 알리며 경찰의 수사망을 이리저리 빠져나가게 되었다. 레이브의 이러한 전통은 훗날에도 계속 이어졌고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확장되며 휴대폰, PDA, 이메일, 인터넷 커뮤니티 등의 디지털 매체가 레이브 문화 속에서 크게 활성화가 되었다. 또한 이러한 숨바꼭질 같은 여정을 걸쳐 장관 속에 펼쳐지는 레이브의 경험은 레이버들에게 인디아나 존스라도 된 듯한 일종의 어드벤쳐 식의 짜릿함마저 안겨주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간이 지나며 경찰의 단속 방법 또한 심화되었고 급기야 89년에는 파티의 불법화를 강화시킨 그래엄 브라이트 빌이 통과 되기도 했다. 하지만 레이브나 파티가 가지고 있는 무궁무진하고 매력적인 사업성은 프로모터나 갱단들만이 간파한 것은 아니었다. 매시브 레이브와 매드체스터 이후 런던과 맨체스터 같은 영국의 각 도시들은 엑스터시에 의한 대중의 패닉이 잠잠해지면서 클럽과 파티의 규제를 서서히 완화시켰고 도시의 주수입원으로의 효자 문화 상품으로 길들이게 되었다.  

 

국내에서 성행하는 많은 파티들 중 눈을 찌푸리게 하는 안 좋은 소문들이 종종 들리곤 한다.자본주의 세상에 살고 있는 이 사회에서 무슨 일을 하던지 돈과 미디어와의 관계를 끊을 수 없는 것은 진리다. 한 아이가 자라 성인이 되면서 많은 것을 잃어버리듯 어차피 한 문화가 대중의 수면 위로 올라오는 순간 그 순수함은 없어져 버린다. 따라서 이윤과 세인의 관심을 중요시 하는 파티 프로모션을 무작정 욕만하며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한 맥락 속에서도 24시간을 넘게 미친 듯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던 레이버들이 중요시 한 건 내가 남에게 환영의 손을 내미는 것이었지 나의 콧대를 높이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이 문화에 대한 사랑과 지킴이라는 숙제는 DJ만도, 프로모터만도 아닌 우리 레이버들과 클러버들 모두에게 달려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클럽 컬쳐 매거진 블링 연재 중인 일렉트로니카 이야기 관련 칼럼인 PLUR & Vibe Upon the World 옛 하드카피 원고들입니다.
hyperlink를 통해 좀더 나은 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아직 연재 중인 컬럼이니 잡지와는 시차를 두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퍼가시게 될 때는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PLUR&Vibe Upon the World 20:
2008년 5월자
My House in Montmarte:
French House

몽마르트 언덕의 하우스: 프렌치 하우스의 역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우스
간단역사: 테크노와 하우스는 미국에서 태어났고 영국은 엑스터시의 요소를 집어 넣어 애시드 하우스에 사이키델리아를 추가했다. 바톤을 이어받은 이태리는 피아노 리프 등의 멜로딕한 요소를 통해 좀더 말랑말랑한 사운드를 만들어냈고 마지막 타자인 프랑스는 특유의 "French Touch" 앞세워 디스코의 Funky 함을 되살려 냈다.


 

70's Disco & Cerrone: 프랑스식 디스코 사운드의 방향성 제시

사용자 삽입 이미지
70년대 디스코의 가장 흐름을 본다면 Salsoul 레이블 식의 funk, 소울, 오케스트랄, 보컬이 가미된 미국식 디스코와 조지오 모로더와 그의 아이스 도나 섬머를 중심으로 하는 차갑고 반복적인 유럽식 일렉트로 디스코가 대륙을 지배하고 있었다. 프랑스는 디스코의 사이드 장르라고 있는 우주적인 테마의 스페이스 디스코 분위기에 매료되었었는데 Cerrone이라는 걸출한 아티스트가 1977 [Super Nature]라는 스페이스 테마의 일렉트로 디스코를 들고 나오며 공전의 히트를 쳤다. 비록 조지오 모로더의 아류라는 원성도 많았지만 모로더 사운드의 공식을 그대로 받아들여 소울과 섹슈얼한 요소를 더했고 모방은 창작의 어머니다라는 진정한 예를 보여주며 훗날 프랑스를 전자 댄스 음악의 중심으로 올려 놓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게 된다. 모방 카피를 통해 전혀 새로운 것을 만들 있다라는 관점 그리고 기계음의 조작을 통한 안드로이드적 이미지는 훗날 다프트 펑크에게 까지 이어지는 "French Touch" 통한 하우스 사운드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초석이 된다.


 P.S
. 디스코텍이라는 명칭 자체는 프랑스에서 왔지만 어원의 종주국이라는 타이틀에 어울리는 사운드는 세론의 등장 이후에서야 터져 나오는 듯싶었다.


 


French House
의 탄생: Daft Punk와 Motorbass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90년대 중반은 프렌치 하우스가 위용을 들어낸 중요한 시기였다. 가장 주목할 만한 아티스트가 바로 다프트 펑크와 모터베이스다. 그때까지만 하더라도 프랑스는 하우스 음악의 생산자라기 보다는 즐기는 입장에 가까웠기에 미래의 프렌치 하우스 아티스트들은 80년대 언더그라운드 클럽과 레이브를 통해 테크노와 하우스 사운드에 매료 되어있었다. 디트로이트 테크노 사운드에 빠져 있던 Z'dar 힙합에서 하우스 DJ 거듭나며 Etienne de Crecy 함께 Motorbass라는 프로젝트 그룹을 만들고 96 [Pansoul] 앨범을 통해 전형적인 디트로이트 테크노를 연상케 하는 하우스 사운드를 내놓았다. 디스코 시절 세론이 보여주었던 모방의 미학은 다시 부활하게 셈이었다. (Z'Dar 본인도 자신은 디트로이트 사운드를 만들어 내고 싶었다라고 토로한바 있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모터베이스 말고도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프랑스에 새로운 아티스트가 혜성처럼 등장했는데 이들에 의해 잠시나마 디트로이트 쪽으로 방향을 틀었던 초기 프렌치 하우스는 시카고 애시드 하우스 쪽으로 방향을 틀게 되었다. 세론의 모방의 미학은 물론이고 70년대 스페이스 디스코의 향수와 성향을 겸비한 새로운 듀오는 바로 다프트 펑크였다. 작은 게이 클럽에서 시작된 Respect 파티를 시작으로 다프트 펑크는 버진 레코드와 계약을 하고 99 [Home Work] 앨범을 내놓았고 듀오의 반쪽인 토마스 뱅갤터는 여러 프렌치 디스코 아티스트들과의 깊은 연계를 통해 오늘 우리가 알고 있는 전형적인 프렌치 사운드를 구현했다. 당시 지속 되던 유로 하우스 특유의 디바 보컬과 멋들어진 남성 , 몽롱한 신스 패턴에 식상해 하던 클러버들과 리스너들은 로우패스 필터 스윕을 무기로 다프트 펑크가 만들어 내는 신종 프렌치 사운드에 즉각 매료되었다. 시절 (90년대 중반/) 오랜 문화적 라이벌 영국이 내놓은 트리합과 정글 사운드에 어깨를 견주며 스타일쉬한 프렌치 특유의 감성을 세계에 다시 한번 떨어뜨려 놓았다.


P.S.
Urban Dictionary에서 다프트 펑크를 검색하면 세계가 프랑스를 우습게 없는 한가지 이유라는 말이 나온다. 전자 댄스 음악사에서 프랑스를 살펴보면 그들은 항상 발짝 물러서 있었다. , 생산자라기 보다는 항상 즐기는 입장에 가까웠다. 이러한 맥락에서 프랑스의 자존심은 다프트 펑크다라는 정의가 그다지 과장돼 보이지 않는다.


 


1998
년, 프랑스에 의한 전자 댄스 음악의 지각 변동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98년은 모든 것이 끝장 나면서 전혀 새로운 물결이 시작되던 해였다. Cassius "1999' Stardust "Music Sounds Better with You" 연달아 터져 나왔고 사람들은 "대체 이게 뭐야?" 외치며 새로운 프렌치 사운드에 열광했다. 그리고 2000 Chic Soup for One 샘플링 Modjo Lady 성공은 프렌치 하우스가 이제 세계 점령에 성공했다는 사실에 대한 확인 사살이나 다름 없었다. 이때부터 미니스트리 오브 사운드나 크림과 같은 대형 레이블의 컴필레이션 앨범 그리고 영원한 파티의 고향인 이비자는 즉각 프렌치 사운드를 채용하며 좀더 상업적인 렌더링을 가미하기 시작했음은 물론이고 싱클라는 유럽 MTV 프렌치 하우스 특집 스포트라이트를 받기도 했다. 그리고 2002 동안의 프렌치 하우스 사운드의 집대성이라 있는 컴필레이션 앨범인 My House in Montmarte 발매 되며 기념비적인 성격을 더하게 된다. ( 앨범에 수록된 프렌치 하우스 아티스트로는 Daft Punk, Cassius, Air, I Cube, Dimitri from Paris, Alex Gopher, DJ Mehdi, Superfunk, Alan Braxe 등이 있다)


P.S.
 Motorbass Z’dar 몸담은 Cassius, 아웃 라운지 하우스의 Air, 프랑스에 처음으로 하우스 음악을 소개한 Dimitri from Paris 일렉트로니카 아티스트 최초로 국가에서 내리는 예술을 통해 국가를 빛낸 이들을 위한 기사작위를 수여 받았다는 사실은 프렌치 하우스가 세계의 문화에 끼친 영향력이 실로 엄청났음을 있다.


 


Present: 세대 교체 그리고 90년대로의 전환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0 초반부터 이미 일렉트로에 관한 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 레트로가 문화 영역의 트렌드를 만들어 내고 있었던 만큼 전반적인 전자댄스 음악도 일렉트로 성향을 띄며 점차 바뀌어 나갔다. 즈음해서 Funky 프렌치 디스코 하우스도 퇴색되어갔고 이들은 일렉트로에서 대안을 찾아냈다. 당시 주류 클럽 사운드였던 트랜스와 하우스 모두 일렉트로 사운드를 장착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었다. 트랜스 쪽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돋보였던 베니 베나시의 펌핑 하우스 스타일 또한 프렌치 하우스에서 깊은 영향을 받았고 에드 뱅거와 키추네 레이블을 위시로 프랑스는 뒤에서 하니 버티고 있는 다프트 펑크의 백업과 뮤직 블로그들의 전폭적인 지지에 의해 일렉트로와 성향을 가미한 강하고 헤비한 일렉트로 하우스를 선보였다. 2 다프트 펑크라 불리며 나타난 이들이 Justice.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로부터 현재까지 동안 프랑스의 Justice 전선의 사령관이 되어 Simian Mobile Disco, 독일의 Digitalism, 캐나다의 MSTRKRFT 함께 세계 클럽 사운드의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또한 이들은 댄스 성향에 오픈 Klaxons, the Teenagers 등의 밴드들과의 밀접한 연계를 통해 80년대 뉴웨이브 시절을 떠올리는 락과 댄스의 크로스오버를 다시 한번 보여주고 있다. ( 현상을 이끌고 있는 군단은 키추네와 에드 뱅거 레이블을 주축으로 하며 소속 아티스트들로는 Uffie, Yelle, SebastiAn, DJ Mehdi, DJ Feadz, Mr.Oizo, Hot Chip, Gun ' n Bombs, Cut Copy, Crystal Castles 등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나 특징이 있다면 90년대 출현했던 다프트 펑크 등의 프렌치 아티스트들이 소싯적 80년대 문화를 향유하며 에센스를 그들의 사운드에 담아낸 만큼 이들은 다음 세대임에 걸맞게 90년대를 향유했고 향수를 담아내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테크토닉 댄스의 불을 당긴 Yelle A Cause des Garcons (Tepr Mix) 뮤직비디오에서도 펌프 운동화, 원색적인 색상 등이 이미 90년대를 향수하고 있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고 일렉트로 하우스 DJ들의 믹스셋을 들어봐도 80년대는 물론90년대의 팝송들이 간간이 끼워져 있음을 확인할 있다. 5 떠들어 대던 80년대 레트로 현상은 개인적인 관점에서 80년대 말에서 90년대 초로 넘어가던 레이브 문화 시절의 감수성을 많이 지니고 있는 듯하다. 90년대 문화를 향유했던 세대들이 학생의 신분을 떠나 사회에 발을 들여놓은 만큼 90년대 레트로는 이미 오래 전에 시작되었다고 있다. 단지 미디어에서 떠들어 대는 시점이 언제가 것인지가 문제일 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S. 2008 4 이제 사라진듯한 90년대의 프렌치 하우스와 관련된 작은 사건이 하나 터졌었는데, Louis La Roche라는 십대 영국 DJ 자신의 처녀작을 토머스 뱅갤터의 신보로 알리며 데뷔한 깜짝 사건이었다. 프랑스의 일렉트로 하우스가 아직까지 약발이 빠지지 않은 만큼 10 전의 사운드의 부활시킨 청년이 전체 댄스 음악의 판도를 바꾸지는 못할 보이지만 지독하리만큼 90년대 프렌치 하우스의 감성을 담아낸 그의 데뷔 앨범은 오랫동안 만나지 못한 친구에게 뜻하지 않게 받은 반가운 안부편지와 같은 느낌을 선사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rench House Playlist~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클럽 컬쳐 매거진 블링 연재 중인 일렉트로니카 이야기 관련 칼럼인 PLUR & Vibe Upon the World 옛 하드카피 원고들입니다.
hyperlink를 통해 좀더 나은 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아직 연재 중인 컬럼이니 잡지와는 시차를 두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퍼가시게 될 때는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

PLUR&Vibe Upon the World 19:


도시를 그려내는 사운드, Bristol Dubstep & Berlin Minimal Techno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울이라는 도시의 영혼을 담은 음악이 나오길 기다리며

몇 십 년이 넘도록 공장기계처럼 찍어내는 사랑타령이 지겹다. 도시에서 뿜어져 나오는 역사, 다양성, 규모 면에서 세계 어느 곳에도 뒤지지 않는 곳이 바로 서울이다. 따라서 이 곳에는 신파 말고도 다양한 삶의 모습이 담겨 있다.

잠깐 눈을 돌려보자. 도시의 중앙을 가로 짓는 한강은 강남/북의 경제적 분단이라는 자본주의적 상징이전에 흘러간 역사를 소리 없이 담아내고 있는 역사적/ 자연적인 스케일의 웅장함을 담고 있다. 도시 이곳 저곳의 공간들은 낯과 밤마다 카멜레온 같은 모습으로 변하며 시공간을 뒤트는 포스트모더니즘적 메타포가 담겨 있다. 또한 블로그의 힘이 커져가며 옛날 보다 더 길어진 특정 맛 집 앞의 줄서기 그리고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클럽과 브런치 카페의 이런 저런 풍경들도 그 질을 떠나 우리가 살고 있는 동시대적 삶의 풍경이다. 잔해로 변해버린 숭례문, 시멘트 덩어리로 물리적 상징화가 되어버려 기억 속에서 생동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고리타분한 유물이 되어버린 시청 앞 광장, 그리고 물질주의와 루키즘에 얽매여 쓰러져가는 도시 속의 지친 영혼들 등 컨텐트는 여기저기 널려있다.


테크노/하우스//포크, 어떤 음악이던 상관 없다. 음악을 듣고 단번에 서울을 떠오르게 만들어줄, 우리가 살고 있는 이 공간의 삶을 담은, 영혼이 숨쉬는 사운드를 듣고 싶은 마음에서 새롭게 현대의 도시를 재해석하고 있는 베를린과 브리스톨의 사운드를 소개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erlin,  Ellen Allien:
텅 빈 도시를 채워나가는 테크노 비트

베를린은 일단 규모 면에서 엄청난 위용을 자랑한다. 오랜 역사는 물론이고 씻을 수 없는 전쟁의 아픔까지 껴안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는 몰라도 독일, 베를린 하면 떠오르는 건 대게 차갑거나 텅 빈 이미지다. 장벽 붕괴 이후 소음으로 성낼 이웃도 없고 렌트비도 싼 옛 동독을 중심으로 테크노, 트랜스, 하우스 언더그라운드 문화가 꽃 피웠다. '참을 수 없는 가벼움'에 의해 많은 미움을 받았던 트랜스 장르 이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대형 사건은 터지지 않았다. (그저 러브 퍼레이드가 지구촌 소식을 매년 장식하는 정도였을 뿐.) 하지만 그 동안 독일의 언더그라운드 DJ들은 지속적으로 테크노 사운드를 계승하며 실험하고 있었다. 이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바로 여성 DJ인 엘렌 앨리엔이다. Bpitch Control 레이블의 설립자이기도 한 그녀는 오랜 시간 동안 베를린이라는 도시를 자신의 사운드에 그려 넣었다.

과연 그녀가 시도하고 있는 실험적인 미니멀 테크노 사운드에 담겨지고 있는 베를린이라는 모습은 무얼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녀의 몇몇 뮤직 비디오를 보면 거대한 메트로 시스템을 통해 도시를 떠돈다는 느낌을 받는다. 거대하고 텅 빈 도시를 하나의 타이트하면서도 역동적인 유기체로 묶어 주는 것은 바로 이 교통 인프라스트럭쳐가 아닐까? 지하철, 택시, 버스 그리고 자전거와 걸음, 이렇게 도시의 수많은 사람들은 매일 자신만의 동선을 그리며 도시라는 세포를 숨쉬게 하고 있다. 크라프트베르크의 아우토반과 트랜스유럽 익스프레스를 연상시키기라도 하듯 엘리엔의 미니멀한 테크노 비트 속에는 철로의 마디에 의해 반복적으로 덜컹거리는 역동적인 무브먼트가 담겨있다. 그리고 이 사운드는 그녀의 말처럼 감성적이고, 몽롱하고, 신비스러우며 섹시하다. 바로 이러한 아티스트들의 실험과 열정이 베를린의 문화의 자존심을 지키며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아닐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Bristol, Dubstep: 인상에 의한 도시의 풍경

브리스톨은 오랜 사운드 시스템과 브레이크의 문화를 자랑한다. 음악을 향한 오픈 마인드를 통한 실험적 정신을 토대로 지속적으로 동시대 전자 댄스 음악의 '대안'을 내놓았다. 4월말 발매를 앞두고 있는 트립합의 황제 포티스헤드가 그 위용을 들어내었고 드럼 엔 베이스 이후 그다지 큰 이슈거리를 만들어내지 못했던 UK Garage Grime 씬 이후 Dubstep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런던과 브리스톨을 중심으로 엄청난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덥스텝이라는 장르가 세인의 입에 오르내리기 시작한 것은 약 2,3년 정도 되었지만 덥스텝 아티스트 중 최초로 정규 앨범을 낸 베리얼의 출현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주목 받기 시작했다.

138 142 bpm 사이의 빠르기를 오고 가며 느리지도 빠르지도 않은 듯 한 덥스텝은 최초 출현 이후 2Step Garage를 기본 토대로 테크노, 브레이크, 드럼 엔 베이스, , 레게, 하우스 등의 요소를 흡수하며 자체적인 사운드의 진화를 거듭해 왔고 아티스트들의 성격 또한 조금씩 다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서 언급한 베리얼의 경우 엠비언트한 정글의 에센스를 담고 있다면 애플블림과 핀치의 경우 좀더 테크노적인 사운드를 보여준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들의 공통점을 찾으라면 바로 덥, 베이스 사운드로 인한 진하고 깊은 뎁스와 인상적인 퍼커션의 요소다.

덥스텝, 특히 베리얼의 사운드에서 눈에 띄는 것은 바로 드럼이다. (브리스톨이라기 보다는 런던 베이스의 DJ이지만 대중에게 접하기에 가장 가까운 사운드의 구사라는 면에서 소개한다.) 시퀀서를 쓰지 않는 베리얼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드럼 패턴을 만들어 자신이 원하는 곳에 '떨어뜨린다'고 한다. 그리고 그는 이것을 드럼 사운드라 부르지 않고 impression of drum sound, '드럼의 인상'이라 표현하는데 바로 여기에 덥스텝의 에센스가 담겨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서 언급한 엘렌 엘리엔을 위시로 한 베를린 사운드가 도시의 살아 숨쉬는 맥박, 그 유기체적 역동성과 미니멀리즘의 점진성을 서로 묶고 있다면 덥스텝은 한마디로 '풍경'을 담고 있는 듯하다. 떨어지는 듯한 리듬은 UK garage의 톡톡 튀는 듯 직설적이고 작위적이었던 2Step 리듬을 좀더 추상적으로 뭉개 놓았고 정글(드럼 엔 베이스의 모태)의 에센스를 담아내는 듯한 엠비언스와 에픽한 엣모스피어릭의 요소로 풀어내는 도시의 풍경은 마치 인상파 화가인 모네의 작품을 보는 듯하다. (수많은 점들이 만들어 내는 그 스냅샷 같은 풍경의 인상이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밀레니엄 바로 이전 트립합은 근 미래를 앞둔 도시 속 인간의 우울함과 불안감을 뼛속 깊은 곳 까지 느끼게 해주었고 정글과 드럼 엔 베이스는 그 정교하고 과학적인 리듬과 엠비언트적인 요소를 통해 매일 정해진 시간과 매트릭스적 시스템 속에서 일개미 마냥 분주히 생활하는 도시인들이 만들어내는 시티스케입을 보여주는 듯 했다. 덥스텝은 트립합과 드럼 엔 베이스/정글을 연상 시키는 그 도시의 황량함, 음산함, 우울함이라는 사운드적 향수를 통해 분절된 리듬의 연속일 뿐이라는 다소 단조로운 UK Garage의 구조를 한 차원 더 승화시켰다. 그리고 더 나아가 미니멀리즘에 영향을 받은 전자 댄스 음악 특유의 점진적 진행을 통해 새로운 도시의 인상적인 풍경을 만들어 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분명 지금 세계의 모습은 샴페인을 터뜨리는 파티 분위기는 아니다. 잃어버릴 10년을 준비하고 있는 미국을 바라보며 노심초사하고 있는 세계의 경제, 무너져 내리는 남극이 보여주는 자연 환경 파괴의 심각성, 극심해지는 노령화와 저 출산으로 야기되는 세계 인구와 복지 문제의 심각성 등, 우리는 아주불안한 시기를 살아가고 있으며 그 대부분의 문제는 도시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다. 베를린의 미니멀 테크노와 브리스톨의 덥스텝, 바로 이런 위기의 순간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모습을 담은 사운드가 아닐까 한다.



Recommended Berlin Minimal Techno Artists:

1.    Ellen Alllien

2.     Siriusmo

3.     Paul Kalkbrenner

4.     Apparat

5.     Modeselektor

Recommended Dubstep Artists

1.    Burial

2.     Skream

3.     Pinch

4.     Cluekid

5.     Mala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클럽 컬쳐 매거진 블링 연재 중인 일렉트로니카 이야기 관련 칼럼인 PLUR & Vibe Upon the World 옛 하드카피 원고들입니다.
hyperlink를 통해 좀더 나은 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아직 연재 중인 컬럼이니 잡지와는 시차를 두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퍼가시게 될 때는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PLUR & Vibe Upon the World 17:

             Shibuya-Kei Pt1: 살롱뮤직에서 아방가르드 팝까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re-years: Salon Music & Flippers Guitar
사용자 삽입 이미지
60년대 정치적 메시지가 담긴 통기타 포크 음악을 시작으로 90년대 마초 락 밴드까지 일본의 언더그라운드 씬은 락의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또한 J-Pop의 어쩔 수 없는
대중 성향에 의해 일본에서 흘러나오는 사운드에 고리타분함을 느끼는 이들도 슬슬 늘어나기 시작한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유럽 지향적 사운드를 장착한 80년대 Salon Band 살롱 밴드의 출현은 시부야케이의 전초전을 알리는 조용한 알람 시계였다.

비록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지만 살롱 밴드는 시부야케이의 시초로 불리는 Flipper's Guitar 플리퍼스 기타를 발굴해낸다. 그리고 1990년 심야 드라마 [클램 스쿨 부기]의 테마송인
Young
, Alive, in Love가 대 성공을 거두며 플리퍼스 기타는 본격적인 성공가도를 달리게 된다.

1991년 플리퍼스 기타는 해체되지만 이 때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시부야케이의 물결이 시작된다. 플리퍼스 기타의 오자와는 상업적 노선을 밟으며 시부야케이와의 연계성이 단절 되지만 오야마다는 Cornelius 코넬리어스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시부야케이를 통한 일본 문화 장악에 들어간다.    



시부야케이의 시작, 90년대 초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90년대 초반 플리퍼스 기타(이후 코넬리어스)와 함께 안티-대형 레이블의 이름을 걸고 다양한 음악적 접목을 시작한 이들로 샤다라파(SDP)Pizzicato 5 피치카토 5가 있다. 특히 피치카토 5는 오야마다와의 합작품인 1993년 앨범 <Bossanova 보사노바>에서 동시대 댄스 음악의 흐름과 60년대 유럽 지향적인 사운드의 크로스 오버를 통해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전형적인 시부야 사운드를 구축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90년대 중반, 오자와가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고 있을 때 코넬리어스는 Tratoria 트라토리아 레이블을 설립하며 당시 일본에서 구하기 힘들었던 외국 앨범의 발매와 일본 인디 그룹의 양성을 통해 시부야케이의 발전에 이바지 한다. 이 때 Towa Tei 토와 테이가 그룹 딜라이트를 떠나 흐름에 합류하고 Denki Groove 덴키 그루브, Love Tambourine 러브탬버린, Venus Peter 비너스 피터 등의 신진 세력들이 씬의 활력을 불어 넣는다. 코넬리어스의 애인인 Kahimi Karie 카히미 카리에 또한 데뷰 앨범을 발표하는데 Jane Birkin 제인 버킨과 Serge Gainsbourg 세르지 갱스부르그의 영향이 극단으로 나타나며 시부야케이의 유럽지향적 성격을 확고히 다지고 코넬리어스의 95년 작 <69/96>는 일본 베트스 셀링 앨범으로 기록되기도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네오 어쿠스틱, 매드체스터, 이탈리안 사운드트랙, 재즈
, 하우스 등 유럽의 여러 음악 요소들이 하이브리드를 이루는 이들의 사운드에 일본 젊은이들은 매료 되고 이내 언더그라운드 씬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80년대 주를 이루었던 일본의 클럽 씬은 말 그대로 쿨하고 댄디한 이들의 모임이었지만 곧 클럽과 패션 일번지인 우라 하라주쿠 일대는 대형 레이블과 대중 문화에 반감 어린 시부야케이에 영향을 받은, 보드 셔츠로 무장한 중산층 중고등 학생으로 가득 차게 된다. 이 때 Bathing Ape 베이딩 에입 패션 레이블은 코넬리어스와의 깊은 연계를 통해 젊은 층 패션디자인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 한다. 그리고 이 새로운 문화의 출현을 감지한 미디어는 곧바로 시부야케이에 떠들어대기 시작한다.



전성기, 90년대 말

사용자 삽입 이미지
90년대 말 온 일본 열도는 시부야케이에 의해 들썩거린다. 트라토리아 레이블에 이어 나카 마사시의 Escalator Record 에스컬레이터 레코드, 코니시 야수하루 (피치카토 5)의 Ready Made 레디 메이드 레이블 등을 통해 Yukari Fresh 유카리 프레시, Losefeld 로즈펠드, Fantastic Plastic Machine 판타스틱 플라스틱 머신, Manfield 맨스필드, Minekawa Takako 미네카와 타카코 등 시부야케이의 얼굴 격인 이들이 본격적으로 데뷰한다. 그리고 코넬리어스의 97년작 <Fantasma 판타즈마>는 지금까지 시부야케이 씬을 집대성한 명작으로 기록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90년대 말의 시부야케이 전성기는 그 상업적 가능성을 인정받는 시기기도 했기에 이 때부터 그 하이브리드 형태의 음악적 접목의 뿌리가 되어온 철학, 디자인, 패스티시, 탈 대중 문화적 성격을 잃어 버리고 일종의 트렌드와 문화 현상으로서 받아들여지게 된다
.  2000년이 찾아오며 이미 시부야케이는 카페나 대중 잡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쿨한 문화 아이템으로 전락한다. 2001년 코넬리어스의 <Point 포인트> 앨범은 이미 식어버린 원조 시부야케이들의 입장을 반영하며 씬의 죽음과 아방가르드적인 새로운 실험적 형태의 방향을 제시한다. 에스컬레이터 레코드 또한 뉴욕과 베를린에서 한창 진행 중이던 일렉트로와 댄스 펑크로 전환하고 레디메이드는 보다 성숙했지만 그 전과 똑 같은 시부야케이 사운드를 만들어내고 있는 실정이었다. (판타스틱 플라스틱 머신 마저 시부야케이를 버리고 하우스 DJ로서 새로 거듭났다.)



죽음, 2000년대 초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해서 2000년 이후 음악계에서는 신진 세력에 의한 세대교체가 일어난다. 이것은 일종의 시부야케이의 후기 현상으로서 Havard 하바드 등과 같이 기존 시부야케이 멤버들에게 발탁된 직계 손들이 나타난 반면 Quipthone 큅쏜, Paris Match 파리스 매치, Akakage 아카카게, Cymbalse 심벌즈 등은 시부야케이와의 직접적 연계를 거부하며 자신들만의 길을 개척해 나간다. 이들은 시대의 문화와 사운드적 흐름에 동참 했을 뿐 시부야케이의 정통을 이어나가는 식의 장인 정신은 가지고 있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논란의 요지는 있지만) 따라서 엄격히 따질 때 이들을 시부야케이라고 부를 수도 없는 것이고 이들 또한 자신들이 그렇게 불려지는 것에 언짢을 것이다. 이 밖에 시부야케이 원조들이 어린 시절 유럽 음악에 영향을 받았듯이 중고등학교 시절 시부야케이를 들으며 자란 Aprils 에이프릴즈, Dahlia 달리아, Petset 펫셋, Pictogram Color 픽토그램칼라, Capsule 캡슐 등이 있다. 이들도 파리스 매치와 같은 부류와 마찬가지로 시부야케이의 정통성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그들의 과정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성향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초기 아티스트들이 유럽지향적이었다면 이들은 ‘유럽지향적이었던 시부야케이’ 지향적이었다. 즉 샘플링에 의존한 크로스오버라는 점을 감안할 때 사운드만 더 세련되어졌을 뿐 똑 같은 과정의 반복이었다..



후기 현상: Perfume, YMCK 그리고 아방가르드 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부야케이의 죽음 이후 눈에 띄는 3가지 후기 현상이 있다. (필자가 주관적으로 주목하고 싶은 현상 일 뿐 정의 내리는 것은 아니다) 첫 번째는 이번에 j-pop 아이돌, Ami Suzuki 아미 스즈키의 싱글 참여로 화제가 된 캡슐의 Nakata Yasutaka 나카타 야수타카가 배출해 낸 그룹 Perfume 퍼퓸으로 기존 J-Pop 영역의 문을 두드리며 좀더 상업적인 성격을 더한 일렉트로 팝과 기존 일본 아이돌의 귀여운 이미지를 접목하고 있다. (아마도 야수타카는 퍼퓸을 통해 Kraftwerk 크라프트베르크의 헬로키티 버전을 구상하고 있는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 번째는 Usagichang 우사기짱 레코드의 YMCK, Fine AM 파인 AM, Sonic Coaster Pop 소닉 코스터 팝처럼 아방가르드와 디즈니랜드의 유치하고 판타지적인 요소가 접목된 퓨처팝으로 퍼퓸과 거의 비슷한 맥락에 서있지만 좀더 비 상업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지막으로 2000년대 초 코넬리어스와 카히미 카리에가 취했던 실험적인 측면과 비슷한 맥락에서의 Avantgarde Pop 아방가르드 팝 현상을 들 수 있다
. 제시한 3가지 흐름 중 가장 엘리트 적이고 순수한 실험 정신을 바탕으로 한 흐름으로서 포스트락과 엠비언트 음악의 성향을 가지고 있고 형식적인 면에서 Glitch 글리치 음악이라고도 불린다. (시부야케이는 죽었고 그 이후의 음악적 현상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몇 몇의 시부야케이 원조들이 이러한 엠비언트와 아방가르드의 노선을 선택했다고 하는 것이 더 옳을 것이다.)

아직은 티비나 라디오를 통해서 보다는 비엔날레나 Sonar 소나르 페스티벌에서 더 듣기 쉬운 이 음악들은 오선지에 뿌려놓은 콩나물이라는 정형적인 음악적 한계에서 훨씬 벗어나
소리의 레이어를 통한 텍스쳐 구축이 더 돋보인다. Tsujiko Noriko 츠지코 노리코, Piana 피아나, Takaki Masakatsu 타카기 마사카츠 등은 이미 이 영역에서 자신의 입지를 확고히 구축해 나가고 있는 대표적 인물들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DJ나 그룹이라기 보다는 사운드 디자이너/아티스트들에 더 가까운 이들의 음악은 최근 덥스텝 (Dubstep) 현상과 같이 미니멀리즘과 아방가르드의 요소가 주류 음악 요소에 침투한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퍼퓸과 YMCK의 음악이 아직도 시부야케이가 가지고 있었던 모더니즘과 페티시적인 레트로 퓨처리즘 그리고 소비주의 사회의 찬양에 대해 빠져 있다면 그 어느 때 보다 환경 오염과
느린 삶이 대두되고 있는 현 사회에 있어 올가닉한 가이아의 개념이 스며든 이들의 음악이야 말로 진정한 미래 지향적인 퓨쳐팝Future Pop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흐름은 비단 일본의 것만이 아닌 유럽을 필두로 한 전 세계적 언더그라운드/사운드 디자인적 현상이다.)     




Spike Me into Space by Salon Music               Youg, Alive, in Love by Flipper's Guitar


         Twiggy, Twiggy by Pizzicato 5                       Good Morning World by Kahimi Karie


Cherish Our Love by Love Tambourine                  Hands by VenusPeter


Flashback Disco by Denki Groove                          Butterfly by Towa Tei


Dear Mr.Salesman by FPM ft Nomiya Maki       Star Fruits Surf Rider by Cornelius


Beautiful, but Noir by Dahlia                                  PLastic Girl by Capsule



Chocolate Disco by Perfume                                   Milky Blue by YMCK


White Film by Tujiko Noriko                                Something's Lost by Piana


                             Camera! Camera! Camera! by Flipper's Guitar
                         (미켈란젤로 안토니니의 영화 Blow Up을 패러디 한 듯한)


              보너스 Bonus: 상업전선을 선택하고 성공한 플리퍼스의 오자와 켄지의 Lovley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클럽 컬쳐 매거진 블링 연재 중인 일렉트로니카 이야기 관련 칼럼인 PLUR & Vibe Upon the World 옛 하드카피 원고들입니다.
hyperlink를 통해 좀더 나은 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아직 연재 중인 컬럼이니 잡지와는 시차를 두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퍼가시게 될 때는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Plur & Vibe Upon the World 16:

                                   Madchester Part2


808 State & A Guy Called Gerald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번 파트1에서는 매드체스터의 시작과 그 중심에 있던 밴드들을 소개했다. 그렇다면 대체 DJ들은 어디 있었는가? 표면 상으로 볼 때 먼데이즈와 로지즈는 인디밴드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여기서 들여다 보고 있는 것은 애시드 '하우스' 붐의 한 사건인 매드체스터다. 역사의 기록이라는 것이 항상 상대적일 수 밖에 없듯이 정통 인디밴드의 역사를 자랑하는 맨체스터를 향한 미디어의 영향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즉 기존의 락 관련 미디어는 흑인 태생의 하우스의 영향을 무시했고 백인으로 구성된 락의 정신을 가진 듯한 인디밴드를 띄울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지고 보면 먼데이즈와 로지즈 모두 댄스 문화를 받아들이며 비로소 애시드 문화의 한 일원이 되었다. 먼데이즈의 경우 워낙 복합적인 음악 성향과 리믹스의 활용 그리고 하우스씬에 대한 관여도 면에서 애시드 문화와의 이질성이 발견되지 않지만 로지즈의 경우 'Fool's Gold'를 통해 하우스 음악과의 연관성을 발견할 수는 있어도 어디까지나 정통 인디락 밴드의 성향을 고수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보편적 애시드 하우스의 사운드를 품은 초기 그룹은 바로 808 State. 퓨전 재즈, 일렉트로, 신스팝을 중심으로 한 808 State 1988 'Pacific State'를 통해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다. 이 그룹의 멤버였던 제랄드 심슨은 '가이 콜드 제랄드'라는 이름을 통해 808 state에서 탈퇴하고 'Voodoo Ray'를 발표했는데 이는 당시 애시드 하우스 클럽의 앤섬이 될 만큼 Pacific State에 못지 않은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제랄드 심슨은 차기 앨범 준비에 있어 레코드 회사의 상업화 아이디어의 신물을 느끼고 언더그라운드로 잠적하고 90년대 중반 철저한 실험정신을 바탕으로 한 프로듀서의 모습으로 다시 모습을 드러내며 '드럼 엔 베이스'의 모태가 되는 '정글' 씬을 탄생 시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심슨을 떠나 보낸 808 State는 오히려 상업 레이블과 좋은 관계를 맺으며 애시드 하우스의 선봉장 역할을 훌륭하게 소화했다. 이들의 성공은 동시대 아티스트들 (칠아웃 장르를 탄생시킨 KLF, 뉴에이지 이상을 담은 The Shamen, 사이키델리아를 통한 하우스의 정치적 좌파 성향을 더한 Primal Scream )이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는 초석을 마련했다.

애시드 하우스가 오늘 날 회고될 때 먼데이즈와 로지즈의 그늘에 가려져 있는 이들이야 말로 사운드적 크로스오버와 댄스를 통해 음악과 몸이 하나가 되는 진정한 하우스 문화의 이상을 사운드로 풀어낸 주역들이었다
. (그들에게 있어 하우스 문화의 폭발은 펑크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었다. 펑크가 자신의 팔의 완력을 최고조화 시켜 기타를 부셔버리는 물리적인 분노의 폭발이었다면 하우스는 몸의 완력을 댄스에 맞추어 완화 시키며 일체화 시키는 트랜스적 경험에 관한 것이었다.)  



몰락
 

  

사용자 삽입 이미지
런던과 마찬가지로 마약에 의한 갱들의 개입과 정부의 불법 클러빙 및 레이브 탄압이 시작되었다. 1989 7월경 16살의 클레어 레이튼이라는 소녀가 엑스타시 과다복용으로 사망한 사건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런던과 같은 운명의 스텝을 따르게 되었다. 언제나 그렇듯 미디어는 야단 법석이었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아무것도 모르는 트렌디/애시드 테드로 구성된 어린 청년들을 애시드에 빠져 허우적대게 만드는 역효과를 내버렸다.

그리고 당시 악명 높았던 살포드 폭력단의 개입과 더불어 역사적으로 서브컬쳐의 죽음의 상징이 되어온 마약, 코케인이 다시 등장했다. (갱들은 엑스터시에는 그다지 큰 관심이 없었다. 그들의 주 수입원은 언제나 코케인이였기에) 잦은 갱들 간의 마찰과 살인 사건, 마약의 유통 등은 경찰의 강한 제지를 불러들였고 하시엔다에서는 총기류 검문을 위한 메탈 디텍터가 등장했다.

이때부터 맨체스터는 매드체스터에서 건체스터Gunchester로 불렸고 물론 파티를 돈벌이의 수단으로 보는 클러빙/레이브 프로모터들도 늘어나기 시작했다. 매드체스터의 기간 동안 사랑과 우정, 이상과 희망으로 쌓아 올린 공동체 의식이 완전히 붕괴되기 시작하며 파도와 같은 사이코시스와 파라노이아를 불러일으켰다. 91년 즈음 하시엔다가 문을 닫은 것은 물론이고 하시엔다와 어깨를 겨누며 시대를 풍미했던 썬더돔과 컨스퍼러시 클럽들 마저 문을 닫게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드체스터를 대표하던 먼데이즈와 로지즈 또한 비슷한 운명을 걷는 것 같았다. 로지즈는 스파이크 아일랜드 이후 종적을 감추었고 먼데이즈는 저명 음악지 NME지와의 인터뷰에서 매드체스터의 종결을 알리는 듯한 사건을 터뜨린다. 그들은 그 동안 지켜 왔던 노동계급층의 대변자의 위치를 던져버리고 소비주의적 시선에서 돈에 대한 찬양, 게이에 대한 혐오감, 여성 비하 발언 등을 늘어뜨려 놓았다. 물론 이것은 미디어와 대중에게는 용서될 수 없는 비윤리적 발언이었고 즉각 모든 이들이 먼데이즈의 몰락을 예감하게 되었다.

또한 밴드 리더 션 라이더의 헤로인 중독 이후 빚어진 차질과 이로 인해 연기된 뉴오더의 차기 앨범 등의 문제로 인해 팩토리 레이블이 부도가 나는 참사까지 일어났다. (하지만 90년도 말에 출시 된 먼데이즈의 <Pills 'n' Thrills and Bellyaches> 앨범은 수많은 사건 사고를 떠나 매드체스터 시대를 총망라한 마지막 위대한 앨범으로 기록된다.)  


Epilogue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광기의 매드체스터 향연의 빛이 서서히 꺼졌을 때 맨체스터의 클럽들은 다른 출구를 찾기 시작했다. 까다로운 도어 폴리시를 완화하는 곳도 있었고 도시의 외각지역에서 이벤트를 여는 클럽도 생겨났다. (갱들과 경찰의 눈을 피하기 위해) 대표적인 예가 게리 매클라란의 딜라이트 클럽으로 이곳에서 알렉산더 코이라는 새로운 전설의 DJ 클러버들을 광분의 도가니로 이끌었다. 매드체스터의 마지막 자락에 혜성처럼 나타난, 믹스매그 매거진이 신의 아들이라고 칭송한 그의 또 다른 이름은 Sasha 사샤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밖에 주목할 점은 갱들과 경찰의 탄압을 피해 사람들이 눈을 돌린 곳이 바로 게이 클럽이었다는 것이다. 억압받는 사회적 소수의 하나인 게이 커뮤니티는 그 특성 상 자신들만의 '아지트'를 구축하고 있었고 이는 디스코와 마찬가지로 애시드 하우스가 그 숨결을 다시 내 쉴 수 있는 적절한 공간을 마련했다. 이로서 백인 남성 성향의 모습을 보여주었던 하우스 클럽에서 디스코 댄스에 맞추어 옷을 벗고 춤을 추는 근육질의 남성들, 레즈비언, 드래그퀸들이 씬의 모습을 채워가고 있었다. 물론 도어폴리시가 강한 곳이 태반이었으며 조금이라도 의심이 갈 시에는 바운서 앞에서동성'의 친구에게 프렌치 키스 등을 감행하며 자신이 '스트레이트'가 아니란 것을 보여주어야 했다는 비화도 있다. 이 움직임에 하시엔다 클럽도 맨체스터의 새로운 게이 클럽으로 변모했다. 맨체스터가 매드체스터, 건체스터에 이어 '게이체스터 Gaychester'로 거듭나는 순간이었다.  


매드체스터의 한파로 인한 나이트 라이프의 때 아닌 붐은 곧 도시 수입의 기특한 효자 노릇을 했다. 따라서 광기의 분위기가 잠잠해지고 길들어졌을 때 즈음 혹독했던 클럽 라이센스 규제들은 완화되었다. 종전에 비해 바와 클럽은 두 배로 늘어났고 24시간 쉬지 않는 문화와 클러빙 레져의 메카로 맨체스터는 거듭났다. 하지만 갱들 간 마찰, 마약 뒷거래와 같은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았고 오히려 그런 특성의 문화가 이제는 도시를 먹여 살리고 있다는 어쩔 수 없는 딜레마를 남겼다. 어찌하였건 96년 즈음되어 애시드 하우스는 이제 '올드 스쿨' 사운드가 되어 정글, 테크노, 개러지와 같이 세분화 된 다양한 장르에 문화의 중심 자리를 내 주게 되었다.  

 


 

Recommanded Acid Tracks (순위 기준 없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1.Give Me Some Love by Love Corporati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2.Beat Dis by Bomb the Bass



사용자 삽입 이미지
3.Activ-8 (Come with Me) by Altern 8



사용자 삽입 이미지
4.Everything Starts with an E by E-Zee Possee



사용자 삽입 이미지
5.What Time is Love? By The KLF



사용자 삽입 이미지
6.Theme from SExpress by SExpress



사용자 삽입 이미지
7.Pacific State by 808 State



사용자 삽입 이미지
8.Voodoo Ray by A Guy called Gerald



사용자 삽입 이미지
9.We Call it Acieed by D Mob



사용자 삽입 이미지
10.Move Any Mountain by The Shamen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PLUR & Vibe Upon the World 12 월자: MADCHESTER part 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국 문화의 중심, 맨체스터  

 박지성 선수로 인해 한국인들에게도 친숙한 도시 , 맨체스터는 오랜 동안 영국의 중요한 현대 역사의 순간을 장식해 왔다. 근대 산업혁명의 중심지였던 이 곳은 빅토리안 시대의 기업과 상업을 발전 시키며 '세계의 굴뚝'이라는 별명까지 가지고 있었다 . 사회주의자였던 엥겔스가 머물렀었고 칼 마르크스가 공산당 선언의 아이디어를 얻게 했을 정도였다니 시절의 엄청난 위용은 충분히 상상할 만하다.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의 생리대로 제조업은 서서히 힘을 잃어갔다 . 이에 대한 탈출구를 새로운 문화와 레져 사업에서 찾게 되며 맨체스터는 음악, 미디어, 스포츠 등을 통해 서서히 영국 문화의 중심지로 우뚝 올라서게 되었다. 도시가 가진 경제력을 통해 얻어지는 추진력과 크지도 좁지도 않은 땅덩어리로 인한 내부 커뮤니티 형성의  용이함을 통해 구축된 탄탄한 음악산업의 인프라스트럭쳐는 케미컬 브라더스, 오아시스, 뉴오더, 찰라탄즈, 스미스 등과 같은 걸출한 음악인들을 배출해 내는 원동력이 되어왔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New Order    

영원한 인디락의 도시 맨체스터가 하우스 음악에 빠진 발단은  지금으로부터 약 27년 전으로 돌아간다. 1980, 'Love will Tears us Apart'로 친숙한 70년대 인디락 밴드, 조이 디비젼 Joy Division의 카리스마틱한 보컬 이언 커티스는 그 동안 가지고 있던 우울증의 영향으로 자살을 하고 만다. 이언을 떠나 보낸 나머지 멤버들 (버나드 섬너, 피터 훅, 스티븐 모리스 )은 키보디스트였던 모리스의 여자친구를 새로이 영입한다. 이 때부터 이들은 뉴오더라는 이름 하에 기존 밴드 형태에 일렉트로닉 시퀀서와 드럼 머신을 겸비하고 새로운 전자 음악 사운드의 여행을 떠나게 된다. 뉴오더의 사운드에 대한 미국과 영국의 반응은 실로 엄청났었고 그룹 이름이 의미하듯 이들의 새로운 등장은  맨체스터 인디락 씬의 죽음을 선언하고 다가올 전자 댄스 음악의 물결을 예고한 것이었다. (그들의 히트곡  'Blue Monday'는 지금까지 영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싱글 앨범으로 기록되고 있을 정도로 그들은 큰 반향을 일고 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Hacienda Club & Thunderdome  

뉴오더와 각종 신흥 인디 밴드의 고향이었던 팩토리 레이블의 프로듀서 토니 윌슨 (얼마 전 많은 이들의 축복 속에 타계 했고 암 투병 속에서도 의지와 희망을 간직했던 그의 모습은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 1982년 맨체스터 나이트 라이프 문화의 전설로 남게 될 하씨엔다 클럽을 열게 된다. 뉴오더의 앨범 판매를 주 수입원으로 한 이 클럽은 당시 트렌드에서 앞서 나가는 인더스트리얼 디자인 미학을 보여주었다 . 초기 사운드는 소울, 재즈 펑크, 라틴 계열의 음악을 주를 이루지만 1990년까지 6년 동안 이어진 마이크 피커링의 '누드 나이트'가 시작 되며 크라프트베르크 사운드에게 영향을 받은 일렉트로, 힙합 , 테크노팝, 애시드 하우스 등을 소개하고, 88년 즈음 본격적으로 트랙스 레코드, 디제이 인터내셔널에서 흘러 들어온 정통 애시드 하우스가 큰 인기를 얻게 된다. 이는 당시 클러버들의 주를 이루었던 대학생들과 트렌디들 보다 저돌적이고 보헤미안의 성격을 가진 노동계층의 청년들을 불러들이는 계기가 되었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거칠고 가난한 노동 계층에게의 어필이라는 현상은 히피의 영향이 강했던 런던의 2nd Summer of Love와 크게 차이를 보인 것이었고 많은 이들이 진정한 맨체스터만이 가진 애시드 문화의 의미를 찾게 해주었다. 이 모더니즘적인 사운드에 노팅햄의 개러지 클럽과 세필드의 자이브 터키 클럽도 가세했고 DJ 스투 알렌의 버스 디스 Bus Dis 라디오 쇼가 이 사운드를 소개하며 더욱 힘을 실어 주었다. 그리고 혜성처럼 등장한 해피 먼데이즈의 미쳤다 싶을 정도의 정열적인 퍼포먼스는 Freaky 프리키 댄싱이라는 표어를 만들어 내고 이른바 Madchester 씬을 형성하기에 이른다. 드디어 런던과 함께 맨체스터 서브컬쳐가 애시드 문화에 장악된 것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애시드 문화가 그 덩치를 키워가며 하시엔다 클럽 또한 런던의 슘과 마찬가지로 인사이더들만의 공간으로 변모해 있었다 . 이렇게 해서 맨체스터의 애시드 클럽씬은 크게 남북으로 나뉘게 된다. 남쪽은 좀더 도회지향적이고 학생들과 미디어에 친화적인 성격을 가졌지만 북부의 경우 앞서 말했듯이 거칠고 척박한 삶을 살아가던 노동 계층의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 이 때  북부를 상징한 클럽이 바로 썬더돔 Thuderdome이었다. 하시엔다의 사운드가 디스코 디바 앤섬 식의 부드럽고 말랑말랑 한 것이었다면 스핀마스터즈와 스티브 윌리엄즈가 선사한 썬더돔의 사운드는 벨지안 하드비트를 연상 시키는 듯한 강하고 거친 것이었다 . 썬더돔의 위치 또한 맨체스터의 게토에 해당하는 올드햄 로드였고 특유의 하드코어적 사운드와 무너질 듯한 클럽의 내부는 외부인에게 위험한 이미지를 심어주었지만 거친 삶을 살아가던 노동계층 맨체스터 젊은이들의 천국과 같은 공간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Happy Mondays  & Stone Roses 

런던의 두 번째 사랑의 여름과 마찬가지로 맨체스터의 젊은이들 또한 마가렛 데쳐를 향한 증오는 끝없이 불타올랐다 . 런던과 대비해 덜 엘리트적이고 낮은 사회 계층에 속해 있던 맨체스터의 청년층은 데쳐 정부가 펼쳐 놓은 웰페어 시스템에 적응하기는커녕 오히려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80 년대 말 찾아온 대규모 실업 상황은 그들로 하여금 어둠의 경로를 통한 수익을 찾게 만들었다. 이 때 주 수입원은 짝퉁 디자이너 옷들이나, 해적 레코드/컴퓨터 게임들의 유통, 마약 거래 , 신용카드를 이용한 사기 등이 주를 이뤘다. 이런 현상은 취업이나 어떠한 일에도 관심 없는 수많은 젊은 룸펜-프롤레테리아 (부랑자 혹은 집에서 빈둥거리는 실업 남성)들을 탄생하게 했다 . 이러한 흐름에 동참하며 하씨엔다에 나타난 밴드가 바로 해피 먼데이즈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피 먼데이즈 그들 또한 엄청난 경력의 마약 거래를 자랑했고 ( 그들이 성공한 후에는 팬들에게 공짜 마약을 건네주며 함께 즐겼을 정도였다) 맨체스터 뿐만이 아니라 런던 등의 외부지역까지 손을 뻗쳤다. 하지만 오히려 이 경력이  오크폴드와 같은 런던의 두 번째 사랑의 여름의 주역들과 긴밀한 커넥션을 만들어 주는 계기가 되었다. '생각지도 말고 상관치도 말고 그냥 질러버려! 24시간 자지도 말고 파티다!'로 요약할 수 있는 그들의 사상과 하층 노동계층 출신의 이력은 당시 맨체스터 젊은이들의 이상과 불만을 풀어줄 수 있는 호소력을 사운드 안에 심어 주었다 . (물론 그들의 분신이나 다름없는 엑스터시도 함께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60년대 비틀즈에게  롤링 스톤즈와 비치 보이즈라는 숙명적 라이벌이 있었듯이 이들에게도 스톤 로지즈 Stone Roses라는 걸출한 라이벌이 있었다. Funk, 노던소울, 펑크 등의 다양한 음악 장르 요소를 갖추고 있었던 해피 먼데이즈와는 달리 스톤 로지즈는  비틀즈에서 이어지는 60년대의 정통 사이키델리아를 계승하고 있었다. 또한 이언 브라운이라는 영국 특유의 콧대 높은 보컬의 카리스마까지 가세해 이들의 기세는 하늘을 찌를 듯 높았다 . (롤링 스톤즈가 이들에게 자신들의 컨서트에서 서포트 밴드가 되어 줄 것을 요청 했지만 이언 브라운은 오히려 롤링스톤즈가 우리의 서포트 밴드가 되어야 한다며 단번에 묵살해 버릴 정도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찌하였건 이들의 활약으로 1989년 말 애시드 붐이 언더그라운드에서 대중문화 현상으로 확대되며 미디어 또한  매드체스터를 발견하게 된다. 11월 로지즈가 런던의 알렉산드라 팔레스에서 8000명의 관객을 상대로 성공적인 퍼포먼스를 가지고 해피먼데이즈가 영국의 탑 오브 더 팝스에 처음 데뷰하게 된 쾌거가 계기였다. 하루 아침에 영국의 모든 젊은이들이 맨체스터 씬의 하나가 되길 원하는 것만 같았다 . 1990년도 맨체스터 대학교의 지원자 수가 갑자기 전년도 대비로 치솟아 올랐고, 엑스터시의 영향으로 축구 훌리건들의 폭력 사건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비록 89년과 90 년 사이의 단기적인 현상이긴 했지만 언더문화 평론가인 스티브 레드헤드는 그 해 겨울 시즌을 "사랑의 겨울'이라 부를 정도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런던과 마찬가지로 매드체스터의 엑스타시 현상은 순수한 사랑과 이상의 거대 공동체 의식을 형성했다 . 그렇게 1990년을 치달으며 먼데이즈는 지미 머핀과 808 State의 서포트에 힘입어 G-Mex 센터에서 8000 명을 상대로 성공적인 이벤트를 마치게 되며 매드체스터 최절정의 순간을 장식한다. 이에 질세라 두 달 후 로지즈 또한 30,000명을 상대로 폴 오큰폴드, 프랭키 본즈 등과  함께 스파이크 아일랜드를 달구었다. 그리고 90년도 여름 뉴오더가 영국의 월드컵 테마송을 맡으며 대형 사고를 치게 되는데 그들이 내놓은 'E for England'이라는 음악 때문이었다 . 표면적으로 E는 잉글랜드의 첫 알파벳을 의미했지만 사실 엑스터시 Ecstasy 마약의 'E'라는 의미 또한 내포되었다. 하지만 그 당시 인사이더들을 제외하고 그 누가 'E'의 의미를 알았겠는가. 그리고 그 덕분에 영국 전체가 "E for England!"를 외치고 있었다. 역사에 길이 남을 만한 아이러닉 한 사건이었다. ( 엑스타시와의 연관성이 의심되어 심의에 의해 'World in Motion'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발표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PLUR & Vibe Upon the World 11: Rave Typology

* 분류는 로빈 사일비안의 트랜스포메이션 <Trance Formation>을 참고했음을 밝힌다.

 

인터넷에서 이런 글을 읽었다. 자동차에 대해 말할 때 요즘은 그저 스포츠카라고 부르는 것을 뛰어 넘어 로드스터와 쿠페를 구분할 줄 아는 세대로 접어 들었다고 한다. (사실 난 그 차이를 잘 모른다. 시대에 뒤떨어져 가는 것인지) 마찬가지로 그저 파티가 아니라 자신이 어느 형태의 레이브 혹은 클러빙의 경험을 하고 있는 지 알아두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 같다.

 

웨어하우스 언더그라운드 레이브 (Underground Warehouse Type)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레이브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형태다. 하우스의 고향으로 일컬어지는 프랭키 넉클스의 시카고 웨어하우스(창고) 파티에서 그 어원을 찾아볼 수 있다.  웨어하우스와 언더그라운드라는 단어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듯이 참여와 준비에 있어 상당히 비밀스러운 과정을 요하며 레이브 시절 초기에 성행했다. 대게 버려진 창고 같은 곳을 찾아 원-샷 이벤트 식으로 열렸기 때문에 경찰의 눈을 잘 피해야 했고 당연히 모이는 사람들도 소위 말하는 '인사이더'들이었다. 웨어하우스 레이브가 계획되면 지인들이나 동네 언더그라운드 레코드 가게들을 통한 플라이어를 얻어 (혹은 이메일이나 자동응답을 통해) 날짜와 연락처를 받게 되는 식이었다. 그리고 이벤트가 시작되기 몇 시간 전 연락처로 전화를 걸어 녹음된 메시지로 장소를 확인 하는 경우가 많았다. 혹 더욱 비밀스럽게는 그 장소에 도착했을 때 레이브 관련자가 그 곳에서 직접 장소를 말해주고 레이버들은 그에 따라 다시 방향을 돌리는 식이었다. 또한 클럽과는 달리 오프닝과 엔딩 세레모니가 따로 마련되어있기도 했다. 이런 비밀스러운 '모임' 의 분위기는 레이버들이 서로에게 가지는 유대감을 더욱 강화시켰고 일종의 '자신들만'의 이벤트로서 일종의 종교적인 측면을 강조 시키기도 했다. 물론 이벤트 플래너들의 일거리도 만만치 않았다. 그 날의 '확실한' 경험을 위해 DJ 부킹은 물론 사운드, 비쥬얼, 데코레이션, 먹거리 (특히 물), 경찰로부터의 안전 보장 등 힘든 과정을 거쳐야 했다.

레이브와 클러빙의 성공여부는 바이브를 끌어낼 수 있었느냐에 달려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 웨어하우스 레이브의 경우 이 '바이브'를 느끼기에 가장 수월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레이브의 첫 경험은 단순한 행복과 쾌감을 뛰어 넘어 인생관의 전환점을 맞게 했다고 많은 1세대 레이버들은 증언하고 있다. (흔히 레이브가 성공적으로 끝났을 때 “It went-Off’란 텀을 쓴다)

대게 밤 10시~12시 이후에 시작되고 피크타임은 새벽 3,4시 정도이다. 레이브가 끝난 후 레이버들은 집에 돌아가 휴식을 취하거나 오후까지 열리는 애프터 파티로 향하기도 한다.

90년 대의 초기 미국 샌프란시스코 레이브 씬이 이 웨어하우스 파티로 유명하다. 그레그 해리슨 감독의 영화, '파티는 시작되었다 (Groove,2000)'이 모습을 잘 묘사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클럽, 바, 라운지 (Club Typ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즈음 국내에서 '클러빙','파티'라고 하는 이벤트의 대부분이 이 분류에 해당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레이브/클러빙의 첫 경험을 하게 되는 공간이다. 앞서 말한 웨어하우스 레이브와 근본적으로 다른 것은 웨어하우스가 '언더그라운드'인 반면 이들은 어느 정도 혹은 완전히 '오버-그라운드'라는 것이다. 법적으로 승인을 받은 장소에서 행해지는 만큼 언더그라운드 파티와는 달리 마약이 규제되고 술이 합법적으로 판매된다. 또한 이 곳을 가기 위해 '인사이더'일 필요도, 지인을 알아서 때와 장소를 알아내야 할 필요도 없다. 입장료만 있으면 언제나 '웰컴'이다. (따라서 엄격히 따질 때 요즈음의 클럽을 순수한 차원에서 레이브라고 부를 수는 없다) 이러한 상업적 측면은 그만큼 시공간적 접근성을 높이기 때문에 클러빙과 레이빙의 첫 경험을 이곳에서 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비주류 레이브보다는 덜 유토피안적이고 타인과의 허물없는 시간을 보내기 힘들기 때문에 레이브에서 느낄 수 있는 바이브를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다. (엑스터시 때문이라기 보다는 현재 클럽 씬의 분위기 그 자체의 문제로 보여진다)

클럽 오너가 직접 주기적으로 파티를 계획하는 경우도 있고 이 공간을 빌려 서로 다른 프로모터들이 돌아가며 자신들의 파티를 여는 경우도 있다. 상업적 측면이 강한 유명 DJ들의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웨어하우스 레이브와는 대조적으로 종교적이고 유대적인 오프닝, 엔딩세레모니, 애프터 파티가 생략되고 새벽 2~5시 사이에 (법적인 문제로) 문을 닫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즘 대부분의 클럽이 이 형식에 속하며 80년대 후반 애시드 하우스로 물들은 영국 씬은 이른바 클러빙의 르네상스라고 할 수 있다. 토니 윌슨의 하씨엔다와 더불어 이비자의 발레릭 씬에 영향을 받은 닉키 할러웨이, 폴 오큰폴드, 대니 램플링의 트립, 스펙트럼, 슘  클럽 등이 유명하다. 특히 슘은 영국 최초의 레이브 클럽으로 그 안에서 느낄 수 있었던 사랑과 환희의 바이브는 아직까지 전설로 남아있을 정도다. (아무래도 이 때는 초기 애시드 하우스 시절이었던 만큼 언더그라운드 적 현상으로서 클럽과 레이브에서 엇비슷한 바이브를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


 


대규모 상업 레이브 (Massive and Commercial Type)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규모가 엄청난 만큼 '매시브'라고도 불린다. 실내/야외 이벤트를 포함하며 몇 백에서 몇 만까지의 인파가 몰려든다. 큰 이벤트인 만큼 기업체의 스폰스를 받기도 하고 매체를 통한 광고도 대대적으로 펼친다. 따라서 장소가 '공개'된다는 측면에서 언더그라운드 레이브와 대립된다. 사운드 시스템, 조명 등 화려하고 압도적인 분위기 연출에 있어서 많은 투자를 하며 주 라인업은 로컬이 아닌 수퍼스타 DJ들이 장식한다. 따라서 일종의 락 콘서트를 방불케 하는 현상이 종종 일어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레이버들 간의 유대감은 소규모 클럽 보다도 더욱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이벤트를 준비하는 프로모션 또한 이상적이고 유토피아적인 레이브 분위기의 연출 보다는 상업적 목적을 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참여 연령대가 다양하지 않고 비교적 어린 층으로 한정되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야외 레이브 (Outdoor Typ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언더그라운드 레이브의 유토피아적인 이상을 창고라는 갇혀진 공간에서 자연이라는 넓고 포용적인 공간으로 확대 시킨 개념으로 보면 된다. 이러한 야외 레이브 또한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등 전 세계적인 규모로 펼쳐지고 있다. 야외에서 펼쳐지는 만큼 여느 클러빙이나 레이브처럼 20,30분 운전해서 갈 거리가 아니다. 따라서 각자의 짐을 챙겨 여행을 떠나야 하는 만큼 이벤트에 가기 위해서 좀더 많은 시간과 체력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이 결과 자동적으로 참여자의 '필터링' 작업이 펼쳐진다. 간단히 말해 이런 귀차니즘을 극복하고 진짜 '모일 사람들'만 모이니 그 유대감과 경험의 레벨은 당연히 높아질 수 밖에 없다. 특히 숨막히는 자연경관과 함께 일체감을 느끼는 초월적인 경험은 감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문트라이브의 풀 문 게더링 (Full Moon Gathering)이 대표적 사례로 꼽히며 다큐멘터리인 '베터 리빙 스루 서키트리 (‘Better Living Through Circuitry,1999'가 야외 레이브 씬을 잘 묘사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etter Living Through Circuitry, 라스트씬>


 

페스티벌(Festival Typ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야외 레이브의 한 갈래라고 볼 수 있다. 하루가 아닌 2,3일 또는 일주일 동안의 기간 동안 진행되는 일종의 '일시적 커뮤니티' 개념이 녹아 들은 이벤트다. 유명한 페스티벌들인 글라스튼베리, 크림필드, 홈랜드, 코첼라, 버닝맨, 러브 퍼레이드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 여기서 몇 가지의 성격으로 구분될 수 있지만 우선은 두 가지로 간단하게 생각하면 된다: 상업적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며 우드스톡적 성격을 어느 정도 계승하는 것 (히피적이거나 이상주의적인 성향: 스톤헨지)과 그렇지 않은 것 (크림필드).

자연 경관이 뛰어난 사막이나 초원 등지에서 펼쳐 지기 때문에 위에 언급했듯이 장소에 가기 까지 어느 정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도심지에서 열리기도 한다) 또한 몇 일이 넘도록 수많은 인원들이 같이 생활을 하게 되기 때문에 하루, 이틀에 불과했던 야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레이브의 일시적 커뮤니티 개념이 좀더 확장된다. 우드스톡도 그러했지만 이런 대규모 야외 음악/예술 페스티벌을 향한 기성세대의 시선은 오래 전부터 좋지 만은 않았다. 그 결과 (70년대 이후 포스트 히피 세대들) 테크노와 에시드 하우스, 락이 혼합된 페스티벌의 주역들인 영국의 피스 콘보이 (뉴에이지+히피), 지피(히피+80년대 후반 테크노), 스파이럴 트라이브 등이 정부와 기성 세대에 맞서 스톤헨지, 캐슬모튼, 글라스튼베리 등지에서 때로는 피를 흘리며 자신들의 위치를 지금까지 지켜 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 하나 주목할 것은 단연 독일의 러브 퍼레이드다. 요번 '하이 서울 페스티벌에 왔던 DJ 닥터 모트에 의해서 음악을 통한 평화와 이해라는 모토로 시작된 이 페스티벌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로서 (89년 100명 남짓한 인원으로 시작해서 2003년엔 75만명, 2006년에 이르러 120만 명을 끌어 모았다) 베를린 전체가 레이버들과 클러버들의 잔치판이 된다. 이는 레이브로 대변되는 전자댄스음악 문화가 얼마나 주류 문화에 깊이 파고 들었는지를 보여주는 극단적인 예다. 오후, 저녁 시간을 이용한 도심 퍼레이드로 시작해 새벽을 향한 광란의 크고 작은 애프터 파티들로 이어지는 베를린의 러브 퍼레이드는 레이버들에게 일종의 성지 순례이며 정부,시청 입장에서도 나치 국가의 이미지 쇄신과 관광, 문화 수입원이 대단한 만큼 안전, 화장실 제공, 청소 등 아낌 없는 지원을 펼친다. 하지만 세상 모든 것이 일장일단이 있듯 몇 일간 시끄러워지는 이 도시를 견딜 수 없어 시간에 맞추어 딴 곳으로 여행을 떠나버리는 베를린 사람들도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라스튼베리 페스티벌

 


                        <Love Parade 2006 Anthem- United States of LOVE by Westbam>

리트리트(Retreat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면 상의 문제로 자세한 설명은 못하지만 위에 언급한 형태들보다 새로운 개념의 진화된 레이브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이 리트릿을 레이브로 부를 수 있는 타당성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다.)  게더링 오브 트라입스(Gathering of Tribes), 리듬 소사이어티 (Rhythm Society), 트라이벌 하모닉스(Tribal Harmonix) 등이 대표적인 예로 꼽히는데 종교적이고 유토피안 커뮤니티와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음악과 댄스가 난무하는 레이브 뿐만 아니라 워크샵이나 명상 활동 등을 치밀하게 계획하여 레이브의 원형이 추구하던 이상적인 개념을 (사랑, 평화, 평등, 존중 등) 가르치고 토론하고 실천한다. 바로 서로 존중하고 평화로운 ‘건강한 커뮤니티 구축’에 깊은 뜻이 있다. 더 나아가 이 리트릿에 참여 했던 이들이 사회에 나가서도 자신들의 일상적인 삶에 이 이상이 녹아 들 수 있도록 노력한다. 이들 그룹은 자체적으로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있으며 참여 또한 추천에 의해 가능한 ‘작고 닫힌’ 사회다. 그런 만큼 자신들의 덩치를 키우는 것에도 민감하다. (사람이 사람을 존중할 줄만 알아도 얼마나 편한 세상이 될까… 정말 이상적이기는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ntention 6 - Tribal Harmonix Community Event>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클럽 컬쳐 매거진 블링에 연재 중인 일렉트로니카 이야기 관련 칼럼인 PLUR & Vibe Upon the World 옛 하드카피 원고들입니다.
hyperlink를 통해 좀더 나은 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아직 연재 중인 컬럼이니 잡지와는 시차를 두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퍼가시게 될 때는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PLUR & Vibe Upon the World 09: P2P의 추억 그리고 MP3 블로그까지…

살면서 한 차례 인생의 폭풍이 지나갈 당시엔 정신이 없어 아무것도 깨닫지 못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많은 기억과 추억들이 남는다.  P2P 관련 공유 프로그램의 붐 또한 인터넷 역사에 많은 추억을 남겼을 것이다. 인터넷 서핑을 하다 문득 이제 사용하지 않는 p2p의 개인적인 추억이 떠올라 몇 자 끄적거려 본다.


Kazaa, StreamRipper & Digitally Imported.com Radio


사용자 삽입 이미지
P2P 프로그램에 빠져 새로운 음악세계를 발견해가던 순수하고 열정적인 시절이 있었다. 그 중 대표적으로 사용하던 P2P 프로그램이 카자(KaZaa)다. 영화 십계명 중 모세가 험난한 바다 한 중앙을 뚫어 내듯이 전 세계 네티즌들에게 '공유'라는 엄청난 '길'을 뚫어준 냅스터(Napster)의 몰락 이후 가장 많이 애용 되었던 카자! 어디선가 신보가 나왔다는 소리를 듣고 그 제목을 쳐보면 항상 누군가 적어도 1 명씩은 그 파일을 올려 놓았다 (아주 감사하게도). 카자에서 가장 매력적이었던 것은 '쪽지' 기능이었다. 요즘 쪽지 기능 없는 사이트가 어디 있겠냐마는 그 당시 내게 '쪽지'기능은 너무나 매력적이었다. 어느 정도 보관함에 음악이 쌓이게 되면 그 특정 유저에 대한 음악적 취향을 가늠할 수가 있게 된다. 그 후 취향이 비슷한 사람끼리 자연적으로 쪽지를 보내며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 나도 전 세계의 몇 명의 유저들과 친해지게 되었다. 몇은 메신져까지 등록해 놓고 활발한 정보 공유를 했던 기억이 난다. 그 중 한나라는 독일 친구가 기억에 남는다. 몰피어스Morpheus (카자의 전신 격) 프로그램을 통해 만나게 된 이 친구를 통해 독일 내의 언더그라운드 인터넷 음악 채널이나 DJ들의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었다. 근데 나중에 생각해보며 신기한 것은 그 당시 우린 서로의 얼굴, 연락처도 몰랐다는 것이다. 심지어 서로의 나이에도 관심이 없었다는 것. 우리가 의례 사람들을 만날 때 가장 처음 물어보는 것들이 이 세계에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느덧 시간이 지나니 유저들이 나에게서 다운로드 해가는 횟수가 더 많아지기 시작했다. 급기야 큰 맘먹고 산 나의 새 데스크 탑은 불과 몇 달 만에 털털거리는 달구지로 전락해버렸다.  그렇게 P2P의 마력에 빠져 있던 어느 날 또 하나의 메가톤 급 프로그램이 나를 찾아 왔다. 이름하여 스트림립퍼StreamRipper. 말 그대로 윈엠프를 통해 인터넷 라디오에서 흘러 나오는 음악들을 통째로 '다운로드' 받는 프로그램이었다. 이 녀석이 가진 막강한 기능은 혼자 알아서 특정 mp3의 처음과 끝 부분을 감지할 수 있는 전지전능한(?) 능력이 있었으니 50분을 틀어 놓고 있으면 5분짜리의 통짜 mp3 파일이 아닌 50분 분량의 mp3 파일'들'이 제목, 아티스트의 정보와 함께 나의 폴더에 정리되어 있었다. 이 프로그램에 가장 잘 어울리는 라디오는 바로 1999년 트랜스 단독 채널로 개설된 디지털리임포티드 라디오(DI FM)였다. 스트림 리퍼가 나왔을 때 즘 DI 라디오 채널은 트랜스에서 하우스, 하드 하우스 등으로 다양한 채널로 늘려가며 스트림리퍼와 카자가 장착된 컴퓨터와 잠들지 않는 나날을 보냈다. 그리고 mp3 저작권 문제가 심각하게 불거지며 상당 수의 유저들이 (나 또한) p2p를 떠났다. 2,3세대 p2p 시절은 그렇게 흘러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밖에도 오디오 갤럭시나 소울식 같은 p2p 프로그램도 빼놓을 수 없다. 특히 2002년에 시작된 소울식 같은 경우 p2p의 바람이 빠진 지금에도 심심치 않게 활동하는 유저들을 꽤 볼 수 있을 정도로 음악 매니아 층들을 형성한 p2p로 유명하다.)


Music Services

뒤늦게 발끈한 음악 산업체들은 끊임없는 저작권 관련 소송을 걸어 왔고 p2p 공유에 대한 바람은 어느 정도 잠 재운 듯싶었다. 하지만 한번 인터넷을 통한 음악 유통의 맛을 본 유저들에게는 새로운 음악 산업 시스템이 필요했다. 기존의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음반 구입과 TV나 라디오를 통한 음악 감상 체제로는 음악 산업 또한 비참한 결말을 맞을 것은 뻔한 현실이었기에. 따라서 지금까지 인터넷 상에서는 다양한 음악 서비스 세계가 화려하게 펼쳐지고 있다. 그 중 판도라와 라스트 에프엠을 소개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andora는 현재도 진행 중인 Music Genome Project의 하나인 인터넷 라디오 서비스다. MSN 라디오가 바로 이 판도라 테크놀로지를 이용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좋아하는 특정 음악이나 아티스트를 바탕으로 리듬, 싱코페이션, 토날리티, 하모니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좋아하는 취향의 음악을 선곡해서 들려주는 형식이다. 이는 음악을 분석하는 특정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음악을 사랑하는 이들끼리 모여 분담하여 하나하나의 음악을 분석한 데이터 베이스를 토대로 한 것이다. 이런 노가다 데이터 베이스의 구현은 정말 존경하다 못해 경악할   만하다. (단, 클래식 음악은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Last.FM은 이젠 제법 사용자도 많아지고 그 인터페이스도 많이 발전한 대표적인 웹2.0형 맞춤형 인터넷 라디오 서비스다. 판도라와 비슷하게 사용자의 음악적 취향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판도라가 특정 아티스트나 음악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라스트 애프엠은 사용자가 청취하는 음악들을 분석하여 좋아할만한 취향의 음악을 추천해 줌은 물론이고 비슷한 성향의 유저들을 만나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물론 라스트 에프엠에 더욱 많은 자신의 정보를 올릴 수록 시스템이 분석하기 편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Hacking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저들이 많은 프로그램에는 그에 따른 여러 해킹 프로그램도 곧 출몰하게 된다. 마이 스페이스도 한창 이 때문에 골치를 썩힌 것으로 안다. 그리고 물론 위에 소개한 두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여러 유명 뮤직 서비스들의 음악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많은 해킹 프로그램들이 존재한다. 또한 구글에서 특정 코드만 입력하면 손쉽게 다운로드 가능한 음악 정보를 알아 낼 수도 있다. 여기서 그 이름들과 방법은 굳이 소개하지 않겠다. 하지만 이는 인터넷 세상에서의 영원한 딜레마인 것은 분명하다. 해킹 툴은 아무리 목을 잘라내도 끊임없이 다시 생겨나는 인터넷 세상의 히드라의 머리와 같다. (신화에서 헤라클레스가 아홉 머리를 가진 히드라의 머리 하나를 잘라냈을 때 바로 두 개의 머리가 재생되었다고 한다.)


MP3 BLOG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말 그대로 뮤직 포스팅 블로그다. 블로거들이 특정 테마를 바탕으로 새로운 혹은 잘 알려지지 않은 음악 이야기와 음악들을 소개하는 식이다. 물론 다운로드도 가능하다. 하지만 p2p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직접 찾는 방식을 취하는 것에 반해 이는 블로거가 추천하는 음악을 들어야 하는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취한다. 그리고 이들은 항상 저작권에 침해되는 경우 음악을 내리겠다는 메시지와 이 음악을 구입할 수 있는 링크를 항상 마련해 놓는다. 하지만 이것이 그들로 하여금 100% 저작권법의 테두리 안에서 자유롭게 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이들이 포스팅 하는 음악들은 대부분이 언더그라운드 씬에서 흘러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의외로 홍보 효과가 많기도 하다. 실제로 많은 인디 밴드와 언더그라운드 아티스트들이 이들에 의해 세상의 빛을 보는 경우가 많았는데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Pitchfork에서 발굴해 이제는 락 음악계의 미래가 되어버린 캐나다 출신 밴드 Arcade Fire다. (아마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찾는 음악 블로그는 Pitchfork일 것이다.) 2003년 즈음부터 성행하기 시작한 이 MP3 블로그들은 이제 수천 개가 넘으므로 일일이 살펴보는 것은 사실 상 불가능하다. Mp3 블로그의 시초로는 스테레오검Stereogum과 플럭스 블로그 Flux Blog가 유명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가 유럽 어느 도시의 작은 콘서트에 가지 않아도 한국 내 방안에서 지중해 너머의 실력 있는 신예들을 바로 만날 수 있는 것은 분명 인터넷 세상과 MP3 블로그들에 감사할 일이다. 하지만 이 블로그들에도 저작권 관련 외에 문제들이 많다. 이러한 블로그들이 많아 지며 이젠 세계 음악 영역에서 상당한 힘을 가지게 된 것이다. (항상 필자가 외치는 것이다. 쪽수가 많아지면 어쩔 수 없이 정치적으로 변한다는) 위에 언급한 피치포크Pitchfork같은 경우 그들의 리뷰 한마디 한마디가 아티스트와 산업계에 큰 힘을 불어 넣을 수도 있고 한 순간에 망쳐 놓을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싸구려 저질 대중 음악들이 판치는 상황에 좋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지만 이 블로그들의 힘이 너무 강한 나머지 인터넷을 통해 음악 정보를 얻는 경우 음악적 트렌드가 이들 위주로 난폭하게 돌아간다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표적인 예가 바로 포스트 펑크, 일렉트로카 류의 음악 장르를 다루는 Bigstereo, Fluokids, Acid Girls, Palms Out Sounds등을 들 수 있다. (팜즈 아웃 사운드의 경우 정기적으로 베이스먼트 잭스나 다프트 펑크등의 유명 하우스 아티스트들이 리믹스한 원곡들을 찾아 올리는 등 인기 상승세에 있다) 이 인기 블로그들은 비슷한 취향의 음악을 제공한다. 바로 요즘 대세라고 할 수 있는 Kitsune, Ed Banger 레이블 등의 신종 French House 사운드다. (물론 100% 프랑스 사운드만 내세우는 것은 아니다) 이들 음악은 1996년 즈음 시작되어 눈길을 끈 Daft Punk의 사운드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기존 프랑스 하우스 특유의 (밥 싱클라 등) 세련되고 깔끔한 사운드와는 정반대로 퇴폐하고 거친 데스 디스코Death Disco 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블로그들은 서로간의 과열 경쟁에 의해 자주 도마 위에 오른다. (시기상조의 음악 유출 등으로 인한) 바로 여기서 문제가 생긴다. 국내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 어디라도 특정 블로그들을 통한 정보에 치우치다 보면 이른바 이들이 ‘밀고 있는’ 특정 소재의 레이블이나 사운드가 정말 대세인양 착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들이 미는 음악 성향이 대세일 수 있고 가장 새로운 사운드일 수 있다. 하지만 걱정되는 것은 이들의 음악을 제공받고 있는 네티즌들, 또 이들의 음악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클러버들 (포스트락 음악의 영역도 마찬가지다)이 자신의 음악적 주관성과 객관성 모두를 상실하는 ‘다양성의 부재’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NME지가 Nu Rave 장르를 선포했을 때 발끈 했던 이 블로그스피어를 보며 어쩔 때는 이들의 의견에 수긍하면서도 그 안에서 대형 미디어 시스템을 향한 그들의 불필요한 정치적 간섭과 견제를 볼 수 있었다. 바로 이때가 요즘 Web 2.0 운운하며 인터넷 세상의 진정한 민주화를 외치는 ‘우리들’의 ‘간섭’이 진정 필요할 때가 아닌가 싶다. 개개인의 음악적 성향과 감수성은 다양하기 때문에 누구는 질이 낮은 음악을 듣고 누구는 질이 높은 음악을 듣는다고 단순히 정의 내리기도 힘들며 서로를 무시할 수도 없다. 어느 무엇도 나로 하여금 ‘음악 좀 들을 줄 아는’ 사람으로 만들어 줄 수 없다. 나, 개인의 가장 솔직하고 순수한 감성을 건드려 줄 수 있는 음악을 찾아내고 간직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다 보면 진정으로 자신만의 색깔이 담겨 있는 ‘쌔끈한’ 내 생애 최고의 플레이 리스트가 완성되어 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Recommended MP3 Blogs

1.       www.Bigstereo.com

2.       www.pitchforkmedia.com

3.       www.palmsoutsound.com

4.       http://music.for-robots.com/

5.       http://hypem.com/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클럽 컬쳐 매거진 블링 연재 중인 일렉트로니카 이야기 관련 칼럼인 PLUR & Vibe Upon the World 옛 하드카피 원고들입니다.
hyperlink를 통해 좀더 나은 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아직 연재 중인 컬럼이니 잡지와는 시차를 두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퍼가시게 될 때는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07년 2월자


PLUR and Vibe Upon the World 05:
               (Bye 80s Hello 90s 2) We Will Rock U All Night Long


Electroclash
온갖 비난을 받으며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점차 사라지지만 Electro Synth 탐구는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클럽/ 레이브 문화의 한줄기 빛이다. Electroclash 창시자인 Larry Tee 뉴욕 문화를 망쳐놓은 빌어먹을 인간 3위로 뽑힌 2004년의 시점에서 지금까지 전자 댄스 음악 문화는 대체 어디로 흘러가고 있었던 것일까?


80s Revival House, Ministry of Sound

사용자 삽입 이미지
Electroclash의 거품이 빠지며 80년대 서브컬쳐 재건이 실패로 돌아갔다. 결국 2002년 즈음하여 80년대 복고 움직임은 매스 미디어로 넘어가게 된다. 하드코어 synth, 섹스, 죽음, 양성 등의 '대중적 도덕성'에서 벗어나는 요소들은 배제되고 킴 와일드와 마돈나를 떠올리는 80년대 주류 패션과 어느 클럽에서나 환영 받는 하우스 튠으로 대중은 80년대 복고에 비로소 눈을 뜨게 된다.

이 서막을 울리게 된 것은 바로 2004년 발매 되자 마자 5주간 영국 댄스 싱글 넘버 원을 차지했던 에릭 프리즈Eric Prydz
'Call on Me' (Live 버젼 클릭) 다. (프리즈의 믹스에 넋 나간 원작의 주인공 스티브 윈우드는 새로운 보컬을 만들어 주었고 Ministry of Sound 선정 올해의 Sexiest Music Video로도 선정되었다.) 에어로빅을 주 테마로 한 이 뮤직 비디오는 80년대 요소로 가득 차 있다. (붐 박스와 카세트 테이프, 헤어 밴드, 라이크라와 줄무늬 의상, 레그워머 그리고 80 년대 특유의 화려한 원색 등) 더 나아가서는 Ministry of Sound의 신 사업인 (일종의 '몸짱'
붐을 위한) Fitness와 맞물리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싱글이 발매 된 후의 클럽 하우스 댄스 음악을 살펴보면 무자비하게 쏟아지는 80년대 레트로 풍의 사운드라는 패턴을 쉽게 발견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클럽 하우스 음악에 있어 진정한 80년대 복고 사운드는 2002년의 So Much Love to Give’뽑을 수 밖에 없다. 주인공은 바로 80s 사운드의 끝없는 재 탐구를 해왔던
Daft Punk의 Thomas Bangalter다. 클럽 음악을 통한 진정한 유포리아(Euphoria)를 느끼고 싶다면 들어보라. 클럽에서의 하룻밤 그리고 이 튠이 흘러나온다면 분명 당신은 그날의 DJ에게 평생 감사하게 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Wigan Pier:

전자 댄스 음악계의 영원한 이단아라면 바로 Happy Hardcore 있다. 아무도 음악적 가치를 인정하지도 않고 관심 조차 기울이지 않는 독특한 문화다. 하지만 장르도 진화를 거듭하여 지금은 Freeform이라는 이름까지 얻었다. 그도 그럴 것이 ' ' 함을 중요시하는 미디어가 특유의 '유치함 '에는 혀를 두를 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Wigan Pier 클럽 산업의 침체기 속에서도 사람들이 꽉꽉 들어차는 안 되는 클럽 중에 하나다.

 
  Wigan Pier
사운드는 Happy Hardcore 식의 90 년대 anthem 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여기서는 old skool 또한 90년대 anthem이다 )여기에 모이는 이들은 주류 클럽 문화에 속하지 못하고 오직 자신들만의 '자유분방함 ' 내세운다. 씬을 막말로 표현하자면 미친 망아지들이 날뛰는 현장 같다. 하지만 이것은 우리에게 중요한 점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사한다. 클럽 산업의 침체기 라는 사실 하나만으로 전자 댄스 음악 문화 전체의 황폐화라는 착각을 하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산업 자체는 내리막길을 걷고 있어도 문화만큼은 세분화되고 다양화 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특정
DJ 미디어 또는 프로모션에 의해 수동적으로 따라 가는 것이 아닌 자신에게 맞는 분위기를 찾아 서로 모이는 . 옛날처럼 우리의 정신세계를 바꿔 버릴 만큼 충격은 주지 못할지언정 다양함 안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고 좀더 편한 유대감을 유지할 있는 자연스러움을 통해 침체기 라기보다는 성숙기로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Nag Nag Nag: 

80 년대 Electro 그룹 Cabaret Voltaire 음악에서 이름을 따온 클럽 나이트는 주로 양성애/게이 /고딕 등 다양한 서브 컬쳐 인파가 주를 이룬다. 70, 80년대 일렉트로, , funk playlist 들은 얼핏 보면 electroclash와 다를 바 없어 보이지만 오히려 선전적인 hype 순수하고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일렉트로와 punk 요소가 가미되어 하나의 가능성과 다양성 보여준다.
Nag Nag Nag
나이트의 중심 인물인 Johnny Slut electroclash와의 차별성을 더욱 강조하지만 시기적인 측면 등을 둘의 연관성은 깊다. 2000 년에서 2002 사이 뉴욕과 베를린을 중심으로 무섭게 성장하던 일렉트로클래시 신의 중심에서 런던의 공백은 미디어들을 불안하게 했다. (아무리 hype 이라지만 세계 댄스 음악의 중심이라 자처하는 런던에 꼽을 만한 일렉트로 클럽이 없었다는 것에 대한 불안함이었을까?) 어찌하였건 뉴욕의 Larry Tee 와는 조금 다른 노선에서 시작했을지는 모르지만 이미 Batcave 나이트의 경험이 있는 Johnny Slut

사용자 삽입 이미지
Nag Nag Nag 특유의 페르소나와 맞물려 미디어와 트렌드 리더들을 비롯한 런던 서브 컬쳐 크라우드가 느끼던 '공백' 채우기에 안성맞춤이었다.

50,60
정도의 규모에서 별과 사이에 Nag Nag Nag 댄스 플로어는 몰려들어온 인파로 차게 것이다. 런던 클럽은 케이트 모스, 그웬 스테파니 , 보이 조지, 비욕 등의 주류 패션가 사람들의 잦은 방문으로 미디어의 덕을 보기도 했다. 항상 트렌드에 민감하면서도 싫증도 잦은 패션가 사람들은 사라지긴 했지만 오히려 클러버들은 시점부터를 즐겼다는 후문도 들린다.  





Nu Rav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10월경 NME 지가 새로운 장르를 선포했다. 이름하여 "Nu Rave." (80년대 말과 90 년도 초에 성행했던 레이브 문화와 그 동안 자라나고 있던 electro-rock (혹은 dance-punk) 크로스오버다. 즉시 언더 음악 관련 유명 블로그들은 일제히 우려와 반감의 목소리를 높이며 술렁였다.

요점인
자신들만의 언더문화가 미디어의 횡포에 휘둘리는 것에 대한 반발이었다. 하지만 블로그들도 NME 같은 거대 미디어가 없이는 언더 밴드들의 지속적인 성장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학생에서 사회인으로 발돋움 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아무리 아티스트가 영원한 '언더' 지향한다 하더라도 꾸준한 성숙과 성장을 위해 주류로 나가야 밖에 없는 그리고 빈자리는 다시 새로운 사운드로 대체된다는 . 일종의 반복되는 사이클이다. 하지만 블로거들이 우려하는 것은 그러한 사이클의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졌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지금 자라려고 하는, 아직 성숙하지 않은 문화를 구태여 끄집어내어 장르를 선포하고 과대선전하고 결국엔 1년도 안돼 장르의 죽음을 선언하는 . 'xx 시대는 갔다. 이제는 oo이다!' 공식에 의한 그들의 언더문화의 요절이 눈에 뻔히 보이기에 이토록 흥분하는 것이다. (지금 필자가 Nu Rave 단어를 쓰며 이런 이야기를 끄적거리고 있는 조차 어떻게 보면 모순적이라 있지만 적어도 3,4개월의 시점을 두고 지켜보고 개인적인 느낌을 담는 정도로 이야기해보도록 한다)

     
Nu Rave
대체 무엇인가? 음악 장르인가, 문화 현상인가? 확실치 않다. 요즘 미디어에서 유행하는 장르에 이름 덫붙이기 정도로 보면 된다. Nu Nu Wave, Nu Electro 등등처럼. 따라서 무작정 NME 추천을 좇아 새로운 장르의 탄생을 널리 퍼뜨리고 환영하는 또한 위험할 있다

   
어쨋든 NME 선포한 Nu Rave 장르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성숙한 것은 사실이다. 굳이 특징을 찾아보자면 락밴드의 3 요소인 기타, 베이스, 드럼에 신디사이저의 자리가 중요하게 자리잡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electro-rock 혹은 dance-punk 불리는 밴드의 모습과 다를 것은 전혀 없지만 좀더 몽환적인 가사와 보컬, 그리고 레이브 문화를 직접적으로 받아들인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들의 뮤직비디오나 파티씬을 보면 레이브의 아이콘인 스마일리 페이스, 배기 팬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로우스틱의 재 출현과 90년대 초의 분위기들이 많이 보인다는 것이다. 일렉트로니카 관련 음악 평론가인 사이몬 레이놀즈는 음악의 복고 유행은 20년마다 주기적으로 찾아온다 했다. 따라서 ' Nu Rave' 라는 현상은 테크노보다는 얼터너티브와 브릿팝과 같은 락과 친숙한 90년대 중후반을 향유했던 어린 세대들을 위해 20년 만에 돌아온 80년대 레이브의 새로운 포장이라 있다.

NME
지가 Nu Rave 선포하며 앞장세웠던 밴드, Klaxons 조차 자신들이 레이브라는 이미지를 통해 알려졌지만 어떠한 문화적 장르나 움직임에 관여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 시점에 과연 Nu Rave 운운하는 것이 과연 잘하는 짓일까? 아니면 미국을 중심으로 움직이던 Dance-Punk 대한 영국의 응답쯤으로 봐야 하는 것인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 만의 레이브의 부활과 +전자음악의 재결합이라는 것이 진정한 의미라면 우리는 Happy Mondays, New Order, Paul Oakenfold 등을 떠올리면 된다. 혹은 시절을 상상해 보면 된다. 락과 신스와 테크노 /하우스 음악이 한데 어우러져 사랑과 희열이 크로스오버되었다는 80년대에서 90 년대로 넘어가던 시점을 말이다. 굳이 Nu Rave 라는 ' 장르' 굴레에 우리를 맞추어야 하는가? 락커들을 위한 댄스 음악, 헤드뱅잉이 가능한 댄스음악, 글로우스틱을 돌릴 있는 락음악, 댄스와 락의 만남. 간단하고 포괄적이지 않은가? 굳이 레이브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거나 혹은 않다거나를 떠나서 한판의 신명나는 춤판 혹은 헤드뱅잉 (?) 벌어질 있는 그런 점에 흥분 되는 것이다
.



   
몇몇 밴드들을 살펴보자. 소개되는 모든 밴드의 공통점은 년간 진행되고 있는 70,80 년대 펑크와 일렉트로 사운드의 부활의 흐름에 있다는 것과 추기에 좋은 -댄스 사운드라는 것이다. 또한 영파워들은 인터넷 세대인 만큼 미국의 싸이월드인 myspace 적극활용하며 자신들을 홍보한다. 비디오 구글이나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사이트들도 많은 만큼 이들을 만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댄스와 락의 접목에서 가장 주류에 많이 알려진 것은 아마 Scissor Sisters 아닐까 싶다. 밴드의 유명세로 이미 많은 음악 애호가들이 언더음악 세계에서 이미 락과 댄스의 결합이라는 거룩한 크루세이드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체감했을 것이다. '가위자매 (^^)' 이젠 너무 주류라서 싫고 너무 언더그라운드적인 것도 부담스럽다면 The Raptures 있다. 이미 House of Jealous Lovers 노래로 3 영국의 클럽가를 달군 저력이 있는 밴드는 락음악을 통해 춤을 춘다는 것이 어떤 매력으로 다가올 있는 지를 뼈저리게 느끼게 해준다.

   
물론 NME 의해 Nu Rave 통해지는 Klaxons, Shitdisco, DataRock, New Young Pony Club 등은 아직까지 대중의 눈에 띄기에는 성숙하지 않은 사운드지만 (모자란 실력이 아니라 소위 말하는 ' 다듬어짐' 없다는 것이다. 그런 것이 오히려 매력이고) 앞서 말했듯 레이브 문화와 90년대를 향한 향수를 쉽게 느낄 있다. Techno sound 중심으로 하는 Simian Mobile Disco 또한 빼놓을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지막으로 소개하고 싶은 것은 80,90년대 복고의 선두에 수많은 여성들의 활약이다. 90년대 그런지 열풍에 의해 묻혀버린 대표적인 음악문화 흐름이라면 단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레이브 스매슁 펌프킨으로 통하는 -그런지 음악이 있다. 그리고 완전히 언더에 묻혀 사라질 뻔한 펑크 성향의 Riot Grrrl 음악이다. 주로 미국 서부와 KIll Rock Stars 레이블을 중심으로 D.I.Y 외치며 70년대 펑크 사운드 재건을 꾀한 여성 파워들이다. L7, Sleater Kinney, Bikini Kill 등이 이에 속한다. (Riot Grrrl 문화도 결국 매스 미디어에 흡수되어 펑크 정신이 상실된 'Girl Power' 라는 이미지로 주류에 편입되었다. 기괴한 현상이 물리고 물려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는데 계보를 잠깐 언급한다면 Shampoo-> Spice Girls->Britney Spears 정도를 있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찌하였건 90 년대 라이엇 걸들을 직접적으로 떠올리게 하는 수많은 밴드들의 등장은 반갑기 그지 없다. 일렉트로 신스 성향이 강한(일렉트로클래시의 MIss Kittin 이나 W.I.T ) 밴드들은 소닉 유스의 고든과 블론디의 끈적하고 퇴폐스러움을 떠올리는 반면 DeadDisco Teenagers in Tokyo 같은 그룹은 바로 언급한 Sleater Kinney Bikini Kill 연상케 한다.

또한
물방울 무늬의 원피스가 인상적인 피펫츠The Pipettes 50년대 여성 코러스를 연상케 하며 직접적인 사운드로 어필한다. 80,90년대 복고 이야기에 뜬금없는 50년대 얘기냐 있겠지만 이들 또한 50년대 바비돌 이미지로 자신들을 포지셔닝하는 동시에 역설적으로 Riot Grrrl 에센스를 담아내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들의 매력은 이들의 유치한 율동과 음악 속에 담겨 있는 흥겨움이 아닐까 한다. (펑크 밴드 Thee Headcoatees에서 퇴폐적이고 거친 요소를 배제한 그룹이라 있다.)

                 

80년대 복고의 약발은 이미 떨어졌다. 아마 2,3년은 지속되겠지만 작은 변화만이 있을 것이다. 트렌드에 민감한 이라면 이미 90년대 복고가 도래했다는 것을 충분히 체감하고 있을 것이다. 짧은 지면 하나하나 꼬집어 설명은 못하지만 지금의 음악과 클러빙/레이브 트렌드는 이미 90년대로 넘어가고 있다. 2007년의 씬을 바라볼 가장 흥미로운 것은 바로 (Sasha, Digweed 대변되는)정통 하우스 사운드 씬과 -댄스의 크로스 오버 누가 승자일 인가다. 당신은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80s Retro House Tune recommended

1.      So much love to give by Thomas Bangalter

2.      Call on me by Eric Prydz

3.      Stupidisco by Junior Jack 

4.     I like love by Solitaire

5.      Out of Touch by Uniting Nations


Rock-Dance Crossover (Nu-Rave, Dance Punk, Electro Rock, whatever…) recommended

1.       Klaxons (rock, rave) -Majik

2.       Datarock (rock, rave) - Fafafa

3.       Deaddisco (dance punk) - Automatic

4.       The Pipettes (surfing, candy pop) - Pull Shapes

5.       Simian Mobile Disco (techno, electro) - Hustler (18세 미만 절대 클릭 금지!)

6.       The Rapture (Dnace Punk) -  Woooh Alright Yeah


 



 
Ice Cream by New Young Pony Club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