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름대로 재밋게 본 아동영화였다.

머시기의 나침반, 반지의 제왕류 판타지나  디즈니, 픽사의 아동 영화류가 이제 조금 지겹다 싶은 사람들이 보면 옛 판타지 영화생각이 날 정도로 진부한 정통 아동 스토리 설정의 영화다. (하지만 이 점이 참 좋았다!)

특히 영화도 그리 길지 않아 더 좋다!
액기스만 척척 나오니...

예를 들어 맨날 햄버거만 먹다가 하루 쯤은 핫도그를 먹어주었을 때의 그런 신선함이랄까나?

몬스터들의 모습도 신선하다기 보다는 옛날의 향수를 일으킨다. 왠진 몰라도 토마토의 습격이나,네버엔딩 스토리, 그렘린 같은 옛날 영화 그리고 고전 몬스터 물 게임 캐릭터들이 떠오르게 한다..
특히 파이널 판타지도! (왠진 모르겠따)

거기다가 정말 오랜만에 보는 엄마역의 메어리 루이즈 파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가지 짜증 나는 점이 있다면, 1인2역을 소화해낸 프레디 하이모어의 '열정적인 연기'다.
영화를 보러 가기 전 봉봉짱에게 요즘 하고 있는 리얼리티 쇼 얘기 하나를 들었다.

무슨 영화배우 지망생들 나오는 모양인데
한 후보가 "열심히 하겠습니다" 했더니
심사 패널의 한 감독이 "연기는 열심히 한다고 되는게 아니에요"라는 식으로 말했나보다...
거기다 후보가 너무 열심히 연기하니까,
너무 열심히 하지말라고 오히려 더 짜증난다는 식으로 얘기했다는 말이 떠올랐다.

그렇다... 프레디 하이모어의 너무너무 열심인 연기가 너무 작위적으로 느껴지고 오히려 불편했다... 너무 열연하니...
차라리 꽥꽥데는 사라 볼거의 연기가 훨 자연스럽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포일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의 명장면이 하나 있다면 한 방에 모든 괴물을 싹쓸어 버리는 피를 상징하는 토마토 즙이 온 집안을 뒤덮는 장면이었다.
요정과 몬스터들이 나오는 아동 영화가 한 순간에 처참한 피바다의 고어 영화로 변해버리는 순간이었다!
오, 애들 보기에 얼마나 잔인한 장면인가하면서도,

기억에 남는 명 장면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극장 에티켓 또 하나! 떠드는 아이들!
음.. 애들 영화라 애들이 떠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하지만 애가 너무   떠든다 싶으면 주위 사람 생각해서라도 예의상,
"사람들 많은데 조용해야지"라고
립 서비스 한번 해주는 센스는 필요하지 않을까?
어차피 애들 영화 중 애들이 떠드는 건 누구나 다 감안하고 왔을 터라 이해는 할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극장 에티켓 둘! 중간에 나가면 커튼은 닫고 나가자!
간혹 영화 중간에 바깥에 나갔다 오는 관객들이 있다.
근데 문제가 종종 커튼을 닫지 않는 경우가 있다.
앞쪽 사이드 자리에 앉게 되는 관객은 이 경우 비상구 사인의 밝은 불 빛 때문에 영화 관람에 큰 지장을 줄 수 있다.
자꾸 신경이 딴 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커튼은 닫고 나가고 닫고 들어옵시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간만에 재밋는 영화를 봤다.
길예르모 델 토로 감독 영환 줄 알았다가 원래는 제작인걸 미디어가 깜쪽하게 만들걸 깨닫고 기분이 좀 나빠 기대를 별로 안했었는데..
우하하 ... 재밋었다...


관객과 영화의 싱크 공간, 극장!
TV가 나와도 비디오가 나와도 DVD가 나와도, 그리고 지금 컴퓨터 다운로드가 판을 쳐도 여전히 사람들은 극장으로 향한다. (아무리 요즘 영화계가 죽는 소릴 해도 영화는 굳건한 일등 산업 중에 하나다)

저마다 극장이란 공간에 대한 매력에 대한 한마디를 가지고 있고 많은 논문들과 해석들도 존재한다.
그 중 가장 친숙한 것이 아마도 폐쇄된 어둠 속의 공간과 스크린에서 뿜어져 나오는 빛이 만들어 내는 일종의 자신을 잃어버리는 경험에 관한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것 말고도 그장을 좋아하는 이유가 하나 있다. 바로 극장이란 공간 안에서 관객과 영화의 인터랙션이 액티브하게 오고갈때의 순간이다.

물론 내면적인 것도 있지만 겉으로 표출되는 싱크의 경험이 너무 좋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험상 몇 가지 예를 들면
-[인정 사정 볼 것 없다]에서 장동건이 출연할 때 서울극장 개봉 첫날 첫회의 몇몇 여성들은 오르가즘에 가까운 탄성을 질렀다.
-[미스트]에서 자신을 신이라 칭하는 짜증나는 기독교 아줌마에 총 한방 갈겼을 때, 극장 여기저기서 기립 박수가 터져 나왔다.

이러저러한 소소한 관객들의 반응이 영화의 재미 그리고 그 공간 안에서의 경험을 한 층 돋구워 준다.

외국 극장에서는 많이 봐온 일이지만 유독 국내 극장에서는 관객들이 참 얌전하다는 생각을 한적이 많다. 물론 극장 에티켓을 넘어서서 무리한 반응을 보이는 건 좋진 않지만... 영화 관람에 에너지를 더해주는 그런 '싱크의 순간'이 있다...

제일 좋은 예는 아마도 컬트 영화일 것이다.
[록키 호러 픽쳐 쇼]를 보며 코스튬을 차려입고 장면 장면마다 행동이나 따라하는 대사 혹은 관객의 대답 등이 따로 존재하고...(굉장히 형식적이긴 하지만)

아무튼 종종 그런 관객과 영화의 인터랙션이 있을 때 극장을 나서며 기분이 참 좋은데..
이번 [오퍼나지:비밀의 계단] 같은 경우도 그런 경우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종의 판타지 공포물인 까닭에
사람 깜딱깜딱 놀라게 하는 장면이 많은데...
공포물을 볼 때 꼭 지 옆에 여자친구 놀랠 킬려고 이상한 타이밍에 "워!"하면서 판을 깨는 이들이 있는데 그런 족속들은 없었고... 혼자 놀라 자빠지는 이들의 탄성이 기가막히게 싱크가 됬다.
효과는 공포감의 극상승이었다.
다운로드 받고 집에서 혼자 볼 때는 절대 느낄 수 없는 군중 속에서 함께 느끼는 그 긴박감!

그건 분명 '개인'이 아닌 '무리'안에서만 느낄 수 있는 경험이다. (집단이 한 번에 미치광이가 되는 현상처럼)

오죽 했으면 화장실 가는 긴 생머리 여성의 실루엣을 보고 나를 포함한 몇 몇 관객들이 씨껍했고 그 여성 또한 놀라 자빠질 뻔 했다.

어쨋든 열에서 백까지 열거할 순 없지만 간만에 관객과 영화가 하나된 재밋는 경험이었다.


영화도 일품!
이런 관객의 인터랙션이 존재하고 영화까지 좋았으니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듯 돈이 아깝지가 않았다.

기존 헐리우드나 디즈니 영화를 보면 지나치게 '가족주의'를 내보이며 '아이'를 신성시 하는 경향이 있다. 이건 어디까지나 가족의 중요성을 붕괴시키려는 그들의 '세뇌의 장치'일 뿐이다. (물론 다는 아니겠지만)
그런 것들 때문에 애들 나오는 영화가 많이 식상할 때가 있는데...

[판의 미로]같은 경우 잔인하고 현실적인 동화의 진수를 느낄 수 있어 굉장히 좋은 기억이 있었는데 [오퍼나지] 또한 아이들을 그렇게 까지 내러티브적으로 학대하진 않지만 유럽 동화식의 내음을 느낄 수 있어 좋았다.
 

여기서부턴 스포일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더 게임]과 비교되는 열린 결말
가장 기억에 남는다기 보다는 영화의 결말도 한번 생각해 볼만 하다. 여느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죽었어요, 안 죽었어요?" 식의 두 가지 해답을 모두 가능케 하는 흔한 결론이긴 하다.

근데 최근 한국 영화였던 [더 게임]을 본 터라 둘다 열린 결말로 끝맺는 부분이 사뭇 비교되었다.

물론 [오퍼나지]의 경우 비중이 아이는 벌써 죽고 어머니는 약 때문에 꿈을 꾸거나 죽기전 환상을 겪은 것 뿐이다라는 이야기에 더 힘이 들어가긴 하지만 판타지적으로만 보면 실제로 그 아들을 만났다고 할 수도 있다. (헌데 이 해석은 조금 약하다)

어쨋든 이런 열려있는 결말 행함에 있어 마지막 관객에게 실망을 주는냐, 여운을 주느냐는 그 결말까지 끌어오는 영화의 내러티브가 얼마나 촘촘하고 그 개연성이 있는냐에 따른다.

헌디 [오퍼나지]의 경우 직접적인 판타지적 climax 영상은 마지막까지 아껴두고 현실 세계 속에서 그 암시만 지속적으로, 끈질기게 내보내는 전략을 통해 그 판타지적 열린 결말을 자연스럽게 만들었다.
이 부분 만큼은 그동안의 내러티브와는 전혀 개연성이 없는 분위기의 결말을 이끌어 냄으로서 (몇 몇 장치는 있었지만) 관객에게 허탈감만을 안겨준 [더 게임]이 배워야 하지 않을 까 하는 부분이다.

또한 이 부분이 다시 한번 관객들로 하여금 한국영화를 품게 만드는 중요 요인일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반응형
반응형

간만에 대형 간판 걸고 나온 한국영화보고 숨통이 좀 트인 기분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 자체가 다루고 있는 이야기에서는 그리 신선하지 않다. 하지만 외국영화에서 그 고리타분한 몇 몇 장치들과 담론들이 한국이라는 사회 실정에 맞추어져 빛을 낸 수작이 아닐까 한다.
(예를 들어 [바람난 가족]이 국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가 외국에 나가서 진부한 이야기라는 도장을 받고 판정패 당한 것의 반대 현상이 아닐까?)

또한 영화의 백미인 골목길 추격씬과 영화 오프닝의 서울의 영상같이 도시를 담아내는 기법은 기존 홍콩 느와르 영화나 프룻챈 감독의 영상이 많이 떠오른다.

영화의 좋은 점들에 대해서는 여러 블로그들이 이미 열을 내며 목소리를 내고 있으니 거기다 더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

그래도 개인적으로 좋았던 건 간간이 보여지는 '작은' 장면들이었다.

예를 들어 누군가를 연상시키는 잠바의 시장에게 똥을 던진다던지, 아줌마들의 주책 때문에 큰 사고가 두 건이나 벌어진다던지 하는 장면... 공무원 (경찰 등)들의 일처리가 왜그리 속터지는지, 뛰고 또 뛰는 주인공 등등
감독이 사회적으로 꽤 할말은 많은 사람이란걸 느낄 수가 있었다...ㅎㅎㅎ 물론 동감도 하고...


붉은 십자가에 묻혀 버린 서울 외곽의 스카이 라인
특히 인상적이었던 장면은 망원동의 스카이라인이었다. 어렸을 때부터 항상 서울의 밤을 보면 어두운 스카이라인에 빽빽이 박힌 붉은 십자가들을 보며 공동묘지와 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다.

영화에서 시체들은 집 앞 뜰에 묻혀 있지만 경찰들은 망원동의 산을 뒤짚어 엎는다. 하지만 이 장면 자체가 서울이라는 도시 자체가 교회의 붉은 십자가에 의해 묻혀버린 시체의 도시라는 느낌을 강하게 주고 있다. 더군다나 더욱 각박해진 우리네 삶을 바라보며 일에 미쳐 돈에 미쳐 소비에 미쳐 꽥꽥되며 시계바늘 처럼 살아가고 있는 모습은 좀비와 별다를 바가 없다...
그렇게 밀도 높은 십자가의 박힘 속에 공동묘지에서 깨어나 일을 나가고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서울의 삶... 그런 느낌을 받았다..

어린이..구구절절 코드 장치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 하나 마음에 들었던 점은 어린아이 캐릭터의 처리다. 개인적으로 많이 짜증나 했던 부분을 조금 완화시켜 준 것이라 상당히 주관적인 의견이긴 한데, 어린아이의 비중을 타 영화에 비해 상당히 낮춰주어 한결 나았다.

어린이라는 캐릭터를 빌미 삼아 그 지겨운 신파류의 질질짜기, 연민, 사랑 등의 구구절절한 코드를 억지로 끌어내는 장치가 다소 약했던 감독의 연출에 박수를 보낸다..


느슨한 후반부
이래저래 2시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참 재밋게 즐긴 영화였다. 하지만 언제나 영화보고 대화를 나눌때 튀어나오는 말이지만 1시간 30분으로 줄여도 충분한 이야기...
엄중호-미진-미진의 딸의 삼각관계에 대한 트라이앵글 설정에 막혀 후반부에서 영화는 이 실타래를 푸느라 초반과 중반의 탄탄함을 다소 잃어버리는 듯 싶다
.
긴박감있게 잘 끌어가다가 마지막에 가서 느슨해지고 좀 구구절절해지는 면이 없지 않아 있지만 기존의 타 영화들 보다는 훨씬 잘 풀어낸 듯 보인다.

하정우 캐릭터에 대한 문제점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한 하정우의 캐릭터에 대한 설정이다.
개인적 의견은 아니지만 상당히 동감하는게 '봉봉구리'짱의 의견에 따르면 여성에게도 남성에게도 모두 강한 모습을 보이는 살인마의 캐릭터가 조금 설득력을 잃은 듯 싶다.

영화가 전반적으로도 현대 한국 사회의 모습을 간간이 잘 보여주고 있는 것 처럼 살인마 지영민의 캐릭터 또한 조금 더 그것에 닮아 있더라면 했던게...

어쩔 수 없이 전형적인 가부장적 한국 사회에서 보통 남성들은 여성에게 맘껏 목소리를 높인다. (특히 여성 운전자에게) 하지만 같은 남성 특히 건장한 장정에게는 끽 소리 못하거나 위축을 당하기 쉽상이다. 어떻게 보면 지금은 많이 없어졌겠지만 옛날 일터에서 동성(남성)에게 깨지고 와 집에 들어와서 마누라 패던 모습의 잔재가 남아있다고 할 수도 있다. (비약적으로 말하면)

또한 전형적으로 여성을 타겟으로한 남성 연쇄 살인마들의 특성을 보면 주로 여성에게 잔인할 정도로 폭력적이지만 같은 동성인 남성에게는 상당히 약한 모습을 보인다. (마초들은 이 때 "이 기집애같은(ㅜㅜ) 새끼"라고 욕을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영화가 자주 비교 당할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의 살인마 캐릭터는 전제적으로 페미닌한 느낌을 가지고 있어 다소 야누스적인 측면이 떨어졌는데 [추격자]의 지영민은 (꼰대에게 열내는 거나 여형사에게 찝적거리는 장면은 있었긴 하지만)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달라붙는 쌈닭으로 거듭나며 좀 더 충격적으로 다가올 수 있는 야누스적 캐릭터를 잃어버린 것 같다.




하지만 어쨋거나 저쨋거나 저예산/독립 영화판을 벗어나 대형간판을 건 상업영화에서도 이렇게 준 수작의 작품을 만난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특히 자기들이 파놓은 함정에서 빠져나오지 못해 허우적 대는 한국 영화판에서 그런 빛을 보았을 때 기분은 더하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Champagne II


사용자 삽입 이미지


"Remember, gentleman, it's not just France we are fighting for, it's Champagne!"
 - Winston Churchill on British troops during WW II





Champagne Time
[Lounge / Uptempo] by Rithma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시 Upstair at Larry's 컴필레이션에 수록된 곡으로 번잡한 파티 분위기 가득한 트랙..








You Can Dance
[Lounge / Uptempo] by Q Burns Abstract Messag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도 UPstair at Larry's 수록 곡으로 장난스러운 분위기가 샴페인 속 버블링을 떠오르게 하는 트랙











Bumblehaun
[Chill Out / Uptempo] by Fila Brazilia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래 좀 소풍가는 듯한 느낌이 나는 트랙이긴 한데 정말 괜찮은 샴페인 맛을 보았을 때 먼가 탁 트이는 느낌이 좋다.











Champagne
[Electro Pop] by Cherry Bikini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목은 샴페인이지만 노래 내용은 좀 야하다. 한창 일렉트로 팝이 얼굴을 들이밀 때 나온 트랙으로 일렉트로클래시랑 아마 겹치기도 할 듯.  므흣...^^ㅋ








Berceuse in D-Flat, Op.57 (Chopin)
[Classical Romatic] by Nikita Magaloff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무리 밝고 경쾌한 느낌의 샴페인이라도 로맨틱 시대의 아트 뮤직도 상당히 어울린다..
그 중에서도 쇼팽은 탁월한 쵸이스가 아닐까?












--------------------------------------------------------------------------------------------------

역시위키피디아 출처에 번역은 내 맘대로 편집임...ㅜㅜㅋ..아...썩어빠진 귀차니즘이여...


샴페인, 그 문화적 의미

샴페인의 대대적인 홍보효과로 인해 희소성과 상류층의 상징적 의미가 많이 부각되었다. 특히 이러한 부와 권력이라는 신분 상승적 상징 효과는 중산층이 소비사회의 주류로 뛰어들며 더욱 가속화 되었다.

중산층 사이에서의 샴페인의 인기는 산업혁명 시대의 효과적 마케팅을 통해 이루졌다. 산업 발달로 인한 자본주의 사회의 성격 상 전통적 위계 질서가 붕괴되며 신분상승을 경험한 중산층들은 샴페인을 통해 자신의 풍족한 삶을 확인하고 부각시켰다. 이는 시대의 퇴폐적이고 방자한 분위기를 조성하기도 했다.  (그렇다 소비주의 사회로 인한 소돔과 고모라... 데카당스의 얼굴이다)

산업사회에서 본격적인 소비사회로 진입한 19세기 샴페인은 이미 사회적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는 중요한 심볼이 되었다. 이 때 샴페인은 부르주아 사회의 핵심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이러한 전통적 계급  사회의 규범을 답습하는 듯한 분위기는 샴페인의 대중적이고 상업적 확산을 위한 샴페인 업체들로 인해 바뀌게 되었다. 좀더 시대에 맞는 풍족한 삶과 즐거움 행복 등의 요소들이 새로이 자리를 잡은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계 1차대전 이후 질좋은 샴페인 생산국가로서 프랑스는 샴페인의 나라라는 상징적 이미지를 부여 받았다. 세계 2차 대전 당시 영국 수상 윈스턴 처칠은 영국 병사들에게 이렇게 외쳤다고 한다.
"병사들이여 기억하라, 우리가 지금 싸우는 건 프랑스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샴페인을 위해서다!"라고..
이제 샴페인은 부와 권력의 아우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의 문화적 보물로서 거듭난 것이었다.


그 특별한 문화적 의미를 부여 받은 샴페인은 여러 장르의 예술 속에 나타난다.


미술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많은 샴페인 생산업체가 아티스트들과 계약을 맺고 아름다운 포스터들을 만들어 냈다. 이는 샴페인의 미적 효과를 부각시키게 되었다.

샴페인 포스터 아트로 유명한 이는 삐에르 보나르, 알퐁스 무샤, 월터 크레인 등이 있다. 이 밖에도 광고 용 포스터가 아닌 미술 작품 자체에서도 샴페인의 묘사를 보는 경우가 많아졌다. 에두아르 마네의 1882년작 "Un Bar aux Folies-Bergere", 세잔느의 1879작 "Chez le Pere Lathuile" 등이 그 예다.




문학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대의 변화와 샴페인의 문화적 의미 발견으로 인해 여러 문학 작품에서도 샴페인은 중요한 메타포적 장치로서 사용되었다. (에밀 졸라의 Nana, 알렉산더 푸쉬킨의 Eugene Onegin, 괴테의 Faust 등)
또한 샴페인의 신분상승 효과의 아우라라는 소재를 가지고 엘리트와 중산층을 풍자할 때 쓰이는 중요 요소로도 곽광 받았다.






음악
뮤직홀이나 비어홀이 인기있었던 시절 "샴페인 챨리"나 "루인아트-폴카" 같은 노래가 인기를 얻었다.
또한 락, 팝, 힙합 등의 현대 음악 아티스트들에게도 많이 사랑을 받았다.

영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샴페인과 연계된 가장 긴 대중 문화로서는 이언 플레밍의 [007] 시리즈가 있다. Prestige Cuvees 샴페인을 엄청나게 사랑하는 인물이 바로 제임스 본드였다. 22개가 넘는 007 영화 시리즈 중 제임스 본드가 샴페인을 마시는 장면은 35개가 넘는다고 한다. 그 중 17개가 Bollinger 볼링거였고 7개가 Dom Perignon 돔 페리뇽이었다.

샴페인은 여러 영화 감독들에게 새로운 감각적 연출의 감성을 불어 넣었다.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은 28년도 무성영화였던 [샴페인]을 찍었다. (이 영화는 샴페인 글라스의 바닥 장면에서 시작하여 샴페인 글라스의 바닥 장면에서 끝난다고 한다)
빌리 와일더 감독은 [샴페인 왈츠]라는 영화를 통해 샴페인 속에 담긴 환희-흥분의 요소를 담아냈다.
 
이 밖에도 샴페인이 자주 모습을 들어내는 영화로는 [카사블랑카],[An Affair to Remember]. [Gogo] 등이 있다.


상징적 사용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샴페인은 오랜동안 흥분되고 의식적인 셀레브레이션의 넘쳐흐르다 못해 분출하는 분위기를 담아내는 아이콘적 장치였다. 이는 샴페인에 비해 그다지 "의식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 않은 와인과 비교적이다. 포뮬라 1에서 비롯된 샴페인 떠뜨리기의 의식은 귀족적 혹은 높은 레벨의 이벤트 혹은 사건 후 값진 물건 혹은  값지고 희귀한 무언가의 과대한 '낭비'를 통한 의식이라는 벨 에포크의 시대 정신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러한 '낭비'의 레가시는 오늘날 에도 계속 되고 있는데 락 그룹 U2가 항상 컨서트의 끝자락에 관객에게 샴페인을 퍼 붓는 것으로 유명하다. 마를린 몬로 또한 350병의 샴페인으로 목욕을 즐겼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샴페인 플룻가 달리) 빅토리안 쿠페라고도 불리우는 납작한 샴페인 글라스는 유명 섹스 심볼의 상징적 의미를 담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샴페인 쿠페는 전설적인 사치의 여왕이었던 프랑스의 마리 앙트와네트의 가슴을 모델로 한 디자인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물론 믿거나 말거나다)사실 이 쿠페의 디자인은 1663년 영국에서 스파클링 와인을 위해 특별히 제작되었다고 한다. 물론 이 시기는 앙트와네트보다 훨씬 이전의 이야기다. 어찌하였건 이 잔은 샴페인의 냄세를 앗아가고 산소가 쉽게 유입됨으로서 맛을 해친다는 이유로 많이 이용되지는 않는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Among the Guys, Angelics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창 남자들에 둘러쌓인 홍일점으로 밴드 구성이 이루어지는게 흔했던 시기가 있었다.
대부분 얼굴마담 격의 역할 정도만 수행했으나  강한 캐릭터, 음악성 등으로 밴드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진 여성들도 있었다. 여기 소개된 그녀들은 밴드 리더는 아니었지만 그에 못지 않은 인기를 얻었던/얻은 이들이다. 메인 보컬도 아니어서 가끔이나마 듀엣이나 솔로를 할 때 follower들은 열광했다.. 그리고 종종 참여하는 남성 보컬 뒤의 코러스 등은 그 시절 '천사표 목소리'의 꼬리표를 달아 주기도 했다.


Georgia Hubley YO LA TENGO
[Rock] Tom Courtenay (Acoustic)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뉴 저지 호보큰 출신의 대표적인 크로스오버 인디락 밴드인 Yo La Tengo! 죠지아 허블리는 여기 소개한 이들 중 유일한 드러머 및 보컬이다.
그녀의 너무나도 맑은 목소리는 천사라는 꼬리표를 달아도 무방하다. Camp Yo La Tengo 싱글에 수록된 Tom Courtenay의 리메이크 곡으로 학창 시절 방짝이 구한 LP 판을 보고 엄청나게 부러워 했던 기억이 난다. 물론 나는 CD로 구입했어야 했지만...







Kim DealTHE PIXIES
[Rock]
Gigantic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두가 영국 출신으로 착각했던 (왜 인지는 모른다) 80,90년대 록 음악의 전설, the Pixies. 여기서 베이시스트였던 킴 딜은 훗날 The Breeders, The Amps를 만들고 활약했다.









Fontaine Toups VERSUS
[Rock]
Forest Fir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 소개한 밴드 중 아마도 가장 Force는 부족할 것이다. 본의 아니게 딴 밴드들이 워낙 전설급 들이라.. 그래도 개인적으로 선호했던 뉴욕 베이스의 인디락 밴드 Versus. 독특한 점은 밴드의 핵심 멤버였던 Baluyut 형제가 필리핀계로 90년대 초반 인디락 붐에서 아시안 파워를 톡톡히 보여주었다는 점. 홈일점 폰테인 툽스는 베이스와 기타를 맡았었다.






Kim GordonSONIC YOUTH
[Rock] Bull in the Heath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말이 필요 없는 Post Punk와 no Wave Rock 계열의 전설 소닉 유스 그리고 베이시스트 킴 고든... 그녀의 보컬과 퇴폐스런 Femme Fatale적 이미지는 굳이 천사표 목소리로 따진다면 루시퍼에 더 가깝지 않을까? 그녀는 리더 썰스튼 무어랑 결혼했고 얘는 쓩쓩크고 있는 듯 하다. 그리고 밴드는 여전히 훌륭한 음악을 만들어내고 있다.






D'ArcyTHE SMASHING PUMPKINS
[Rock]
...Said Sadly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90년대 너바나 로 인한 얼터너티브 폭풍으로 인해 손해를 본 대표적인 밴드였던 스매슁 펌프킨즈 그리고 밴드의 베이스 플레이어 다르시. 그녀의 연주 스타일은 듀란 듀란의 존 테일러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밴드 멤버였던 제임스 이하와 사귀기도 했다. 그리고 리던였던 빌리 코건과 상당한 관계 악화로 인해 밴드에서 '퇴출' 당했다. 코건은 한 인터뷰에서 그녀를 가리켜 '코케인 찌들은 미친년'이라고까지 폄하했었다. 어쨋든 그동안 벌어놓은 돈으로 농장과 엔틱 샵을 꾸려 잘 살아가고 있는 듯 하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Champagn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샴페인...
와인은 이제 대중 문화로 잡아가는 것지만 샴페인 아직인 것 같다.
아직도 몇 몇 군데에서 샴페인은 특별한 오케이션에 마시는 '이벤트 주'라는 인식이 보인다.
틀린 말은 아니다..
탄산수 같은 스파클링의 톡톡함과 샴페인만의 달콤함 그리고 하이라이트인 뻥~하고 코르그를
터뜨리는 순간의 분위기는 분명 어떤 celebration에 어울리긴 한다..
하지만 밑의 음악의 가사에서도 나오듯 아침부터 저녁까지 언제나 즐길 수 있는
간단한 음료수로서 부담없이 마시면 좋더라...
특히 질 좋은 살라미나 햄... 혹은 샌드위치 입에 물고
한잔 꿀꺽 해주면 정말 꿀맛이다..
와인처럼 오래된 숙성의 맛 보다는 가볍고 갓만들어진 듯한 아삭함에서 오는 상쾌함이 느껴지는
음료수..

하지만 (드라마에서) 긴자의 룸싸롱에서 "돔 뻬리~ 추가"를 외쳐대는 손님과 언니들을 볼때면 조금은 위축되긴 한다...ㅜㅜㅋ 아... 허해...




Green Sheik of Araby
[Lounge / Uptempo] by Greens Keepers
사용자 삽입 이미지
라운지를 소제로 한 많은 컴필레이션 중 Upstairs at Larry's는 샴페인을 그 주테마로 삼으며 굉장히 신선한 느낌을 주었다.

음악 또한 샴페인이 가지고 있는 스파클링의 분위기에 어울리게 밝은 업템포의 라운지 음악이 주를 이룬다.

이 음악은 이 컴필레이션의 첫 곡으로 늘어지다 땡겨주는(?) 색소폰 소리가 인상적이다.




Bubbles in the Wine
[Lounge / Uptempo] by Dex Bubiou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 역시 래리스 컴필레이션이 수록된 곡으로 직접적으로 샴페인에 대해 표현하고 있다. 아침 점심 저녁 언제나 즐길 수 있는 즐거운 음료수..

"How about some Champagne now?"

"Wonderful!"






Overture Da Promesse Promesse
[Lounge] by Bruno Canfora (Bacharach Cov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카라흐 원곡으로 시나는 빅 밴드 보사노풍의 라운지 음악이다.
샴페인은 왠지 몰라도 신나고 즐겁고 흥겨움이라는 문화적 코드에 완전히 박혀 버린 듯 하다..
기분 울쩍하다고 샴페인을 드는 일은 아마도 극히 드문일이 아닐까?








Love Boat Theme
[Disco] by Charo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졸졸졸졸 따르는 샴페인에서 일어나는 거품이 연상되는 곡이다..
한 잔 쭉 들이키고 탄산의 작용으로 더 빨리 취하게 만드는 샴페인에
기분좋아져서 해벌래해져 행복한 모습...
원래는 좀 로맨틱한 디스코 트랙이다..
동명의 유명 드라마 주제가로 쓰였다...









Mr. Sandman(Squeak E. CLean and Desert Eagles Club Classic)
[Lounge / Dub / Break] by The Chordette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조금은 알딸딸한 기분이 이런 느낌 아닐까 하는...
좀 기분좋게 알딸딸한 경우..
근데 술도 어느정도 좀 깨서 제 정신이 돌아올랑 말랑하는 그런...










When You're Smiling (The Whole World Smiles with You)
[Jazz / Swing] by Dick Hyman Chorus & Orchestra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디 알렌의 마이티 아프로다이티 사운드 트랙으로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나오는 경쾌한 딕 하이만의 곡이다.

술이 다 떨어졌을 때 그 아쉬움이 떠오르는 노래다...
맛좋은 술을 맛봤을 때 특히 아쉬움이 남는데...
이 음악의 흥겹고 희망찬 메시지는 샴페인과 잘 맞아 떨어지는 듯~~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샴페인 즐기는 법과 팩트들

-wikipedia에서 살짝 퍼옴 (번역은 내 맘대로)


우선 재미있는 부분 먼저... 팩트는 나중에 (ㅜㅜㅋ_ 아...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여...)


샴페인 즐기는 전통적 방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샴페인 플룻 (flute)이라 불리우는 기다란 글라스에 서브된다. 리델(Reidel)이 이 글라스의 생산으로 유명한데 다른 생산업체는 이 디자인을 카피하여 좀더 저렴한 가격에 내놓는다. 마리 앙트와네트의 가슴이란 별명을 가진 빅토리안 쿱은 냄세를 분산시키고 와인이 지나친 산소가 유입되는 이유로 권하지 않는다고 한다.

-글라스는 보통 베이스나 스템 부분을 잡는데 이는 지나치게 찰랑거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테이스팅의 경우 보르도 와인에 쓰이는 큰 레드 와인 글라스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아로마 향이 넓은 글라스의 넒은 공간에서 좀더 잘 퍼지기 때문이라 한다.  샴페인 플룻에는 보통 2/3 정도 따르고 와인 글라스에는 한 1/3정도 따른다.

-항상 차게 마셔야 맛이 좋다. 7도에서 9도 사이가 가장 적합한 온도라 한다. 

-차게 마셔야 되는 이유로 샴페인을 위한 아이스 버켓이 따로 존재하기도 한다.

-아이스 버켓은 코르그를 제거하기 전 샴페인의 칠링을 위한 것임으로 코르그 제거 후 다시 아이스 버켓에 돌려 놓지 않는다. 계속 얼음에 노출될 경우 제대로된 플레이버를 느낄 수 없다.




샴페인 에티켓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호주에서는 샴페인 플룻 안에 딸기 넣어 준다고도 한다...  맛이 더 좋데나?
(근데 딸기나 딸기 케이크랑 먹으면 궁합은 잘 맞긴 하는 것 같다)
-샴페인 떠뜨리는 전통은 1967년 르망 24시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떠뜨리는 경우 너무 많은 샴페인을 버리게 되고 방향을 잘못 틀었을 때 사람이 다치게 되는 위험 요소도 있다.

-샴페인을 열때는 코르그를 붙잡고 보틀을 돌린다 (코르그를 돌리지 않는다)
-이 때 보틀을 45도 각도로 틀어주면 샴페인 보틀 안에서 최상의 표면 면적을 보장하게 됨으로 버블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샴페인 코르그를 널 때 여는 소리는 "뽕~"하는 pop이 많이 알려져 있지만  Whisper 속삭임이라는 소리도 있다. 이는 Le soupir amoureux (loving whisper)라 하여 사랑의 속삼임이란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뽕~" 열기와 비교하여 맛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양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특별한 경우에는 세이버를 이용한 사브라지라는 아주 멋있는 방법의 코르그 따기도 있다.



Trivia
-리딩 대학과 칼리가리 대학 연구 발표에 의하면 샴페인이 알츠하이머나 파킨슨 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믿거나 말거나 자유다)
-딴 술에 비해 샴페인에 의해 빨리 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탄산수의 성질이 몸 안으로의 알콜 섭취를 더 빠르게 하기 때문이라 한다.




샴페인의 탄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와인에 탄산성이 가미된 형태로 프랑스의 샴페인 리젼에서 생산된다.  법적으로 보호 받는 이름이기에 (적어도 유럽에서는..) 엄격히 따지면 프랑스 샴페인에서 나오는 스파클링 와인만을 샴페인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샴페인 지방의 와인 생산은 중세부터 알려졌고 주로 성찬용으로 교회에서 생산되었다.  17세기부터 샴페인은 일종이 셀레브레이션을 위한 음료로 널리 인기를 끌었는데 특히 영국이 열렬했다.
최초의 상업용 스파클링 와인은 1535년 Languedoc의 Lomoux 지방에서 생산되었고 우리가 지금 아는 샴페인은 1700년 즈음 만들어졌다.
대체적으로 돔 페리뇽 (Dom Perignon)이 처음 발명한거라 알려져 있지만 이미 30년전 설탕 첨가를 통한 세컨드 발효 방식은 영국의 과학자겸 물리학자인 크리스토퍼 메렛에 의해 행해졌다고 한다.  하지만 어쨋거나 저쨋거나 돔 페리뇽 목사의 스파클링 와인에 대한 업적은 무시할 수 없다.


샴페인의 등장

샴페인이 처음 세계적으로 각인된 것은 프랑스 국왕들의 Anointment (기름을 부어 성령의 임재를 나타내는 상징적 행위라고 함)에서 사용됨으로서였다.  이때부터 샴페인은 luxry+Power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서 유럽 전역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때서부터 각종 샴페인 생산 업체들이 생겨났고 중산층의 샴페인을 향한 흥미 또한 늘어나게 되었다.  (역시 그때나 지금이나 물질 소비를 통한 신분 상승의 욕구는 다름 없나보다ㅜㅜㅋ)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신분상승의 심볼로서의 샴페인 마케팅

1866년 일종의 마케팅 개념이 탑재된 샴페인 홍보가 시작되었는데 그 시절 유명 엔터테이너였던 Geroge Leybourne과 Moet (모에 샹동 생산체)의 만남이 바로 그것이다. 모에는 그를 통해 샴페인이 가진 출한 맛, 부유하고 풍족한 삶의 상징성을 표현했다.  (지는 대중앞에서는 무조건 샴페인만 마시기로 계약까지 했다는...) 이렇게 해서 '샴페인 찰리'라는 별명까지 얻은 그의 대중적 이미지는 무척이나 지적이고 철학적이었다고 한다. 따라서 이런 그의 높은 대중적 신뢰도는 샴페인이 가지고 있는 신분상승적 이미지를 깊이 심어주었다. 그리고 이 성공은 지금까지 샴페인이 인기를 끌어오게된 마케팅적 쾌거였다.






드라이한 Brut 샴페인의 탄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1800년대 샴페인은 오늘 날보다 훨씬 달았었는데 단걸 좋아한 러시안들의 영향이 강했다고 한다. 좀더 드라이한 샴페인 생산의 트렌드는 페리에 쥬에 (Perrier-Jouet)가 런던 수출용 1846년 빈티지 생산에 있어 스위트한 요소를 제거하고 드라이하게 나가게 함으로서 시작되었다. 이 드라이한 샴페인이 바로 오늘 날 우리가 즐기는 Brut Champagne 브뤼 샴페인이며 정확히는 영국에서 1876년에 생산된 것이다.
(그러고 보니 샴페인 생산 혁신에 있어서만큼은 프랑스보다 영국이 더 영향을 많이 끼친 듯 하다)


샴페인 용어에 대한 논란과 혼란
프랑스 샴페인 지방은 샴페인에서 나오는 스파클링 와인만이 '샴페인'이라고 대대적인 교육과 홍보 그리고 법적 조취를 통해 알렸것만 아직도 많은 이들이 "화이트 스파클링 와인=샴페인"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샴페인의 법적 보호 장치는 1891년 마드리드 협정을 통해 정해졌으며 유럽 연방 및 다른 국가들에게 조취가 취해졌다.  그리고 1차대전 이후 베르사이유 조약을 통해 다시 한번 확인 되었다.
따라서 샴페인이라는 용어의 사용이 제재된 상황에서 여러 나라의 스파클링 와인 업체들은 각기 다른 용어들을 사용하게 되었는데....열거하자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페인=카바 (Cava)
-이태리=스푸만떼 spumante라 부름
-이태리=Muscat 포도에서 만든 이탈리안 스파클링 와인은 DOCG Asti라 불림
-남아프리카=캡 클라식 (Cap Classic)
-독일=Sekt
-프랑스의 Burgundy와 Alsace=크레멍 Cremant
등이 있다.

이런 엄격한 이름들 말고도 샴페인과 구별을 위해 간단히 스파클링 와인이라고도 한다. 단 미국의 경우 2006년 3월 10일 이전 '샴페인'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업체에 한해서는 세마이-제네릭 명칭 사용을 허가하고 있다.


샴페인 법적 범위 사항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암튼 이렇게 골치 아픈 법적 조취 과정을 겪고 있는 샴페인 지방은 그 법적 효용성을 더욱더 세세하게 강화시키고 있다. 체계화의 예를 들어 포도가 자라는데 가장 적합한  환경; 가장 적합한 포도 종류 (샴페인에 주 재료로 쓰이는 포도 종류엔\에는 샤도네이 Chardonnay, 삐노 느와 Pinot Noir, 삐노 뮤니에 Pinot Munier가 있다); 포도 재배 요구사항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요구사항들에 부합할 시에만 샴페인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가능케 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프랑스의 와인 애펄레이션을 총괄하는 부서인 INstitut National Des Appellations d'Origine은 1927년 이후 대대적인 법적 범위의 재검토를 행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로 인한 가격 인상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시장에 불이익을 안겨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와인 하우스들 사이에 돌고 있다고 한다.


샴페인 만드는 과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첫번째 발효와 보틀링 이후 두 번째 알콜 성분의 발효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두 번째 발효 과정에서 각 사만의 고유한 방식의 yeat와 록 슈가 첨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랑스 어펠레이션 오리진 컨트롤 부서는 1.5년을 샴페인 혹은 스파클링 와인이 제 맛을 낼 수 있는 최소의 기간으로 지정하고 있다.  하지만 Millesime라 하여 포도 풍작을 겪는 시기에는 질 좋은 샴페인의 생산을 위해 3년 동안 숙성시키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그동안 샴페인 병은 크라운 캡으로 막아 놓게 된다. 그리고 yeat의 잔여가 neck 목 부분에 남게 되는 시점에서 다시 그 부분을 얼리고 캡을 없엔다. 이렇게 생겨난 병 속의 수압은 얼음 알갱이들을 밖으로 분출 시키는데 이 안에 yeat의 잔여들이 모여 있다.  그리고 재빨리 코르그를 씌워 샴페인의 탄산 성분을 유지 시키는데 이 부분에서 상당한 장인 정신이 필요한듯 하다.


샴페인 생산업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샴페인 지방에는 무려 100개가 넘는 샴페인 하우스들이 있다고 한다. 이들 생산자들은 레이블에 새겨져 있는 이니셜을 통해 구분할 수 있는데...
-NM (Negociant manipulant): 이곳은 포도를 사서 만든다
-CM (Cooperative de manipulation): 멤버로 지정된 재배자들이 직접 생산한 포도를 사용한다
-RM (Recoltant manipulant): 재배도 하고 와인도 같이 만든다. (5%의 구입은 허용) - 말 그대로 조합이다
-SR ( Societe de recoltants): 조합은 아니고 일종의 연합이나 단체 규모 임
-RC (Recoltant cooperateur): 조합의 레이블 하에 만들어진 샴페인을 판매하는 조합이다
-MA (Marque auxiliaire) : 생산자나 재배자와는 관계가 없는 브랜드를 말한다.
-ND (Negociant distributeur): 자신의 이름으로 와인을 판매하는 상인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랑이란 이름 하나로 지갑을 열게 만드는 그 날,
이제는 체제나 마케팅이라기 보다 우리 자신이 우리를 더 종속 시켜버리게 된듯한 느낌이 나는 날,
언제부턴가 스트레스로 다가온 그 날,
직장에선 동료들과 상사들 챙기느라,
학교에선 교수님과 선배들, 친구들 챙기느라,
보통 ABC 초코렛 가지고는 안된다고 고민하는 이들도 생기게 된 그 날,
초코렛만 받고 말 것이냐... 저녁은 쏴야지... 지갑 걱정보다 예약 전쟁이 더 두려운 그 날,
초코렛만 받고 말 것이냐... 언제부턴가 생긴 화이트 데이 생각이 불현듯 떠오르는 그 날,
교통 상태가 더 무서운 그 날,
그래도 다 먹고 살려고 그러는거 아니겠어, 나를 위로하는 그 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도 사랑이란 이름 하나로 버티는 그 날,
그래도 사랑이란 좋은 것이라...
어찌하였건...
전부다 이렇게 느끼는 건 아닐지만,
정말 이 날을 순수하고 행복하게 지내는 이들도 많을 터...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클럽이건 나이트에선 발렌타인이라 많은 뻐꾸기들이 오고 갈까나..

어쨋든...

Have a Lovely Bloody Kinky Happy Valentine's Day~




[Pop / Rock / 80s] Somebody's Baby by Jackson Browne



[Rock] Somebody's Baby by Yo La Tengo



Well, just - a look at that girl with the lights comin' up in her eyes.
She's got to be somebody's baby.
She must be somebody's baby.
All the guys on the corner stand back and let her walk on by.
She's got to be somebody's baby.
She must be somebody's baby.
She's got to be somebody's baby.
She's so fine.
She's probably somebody's only light.
Gonna shine tonight.
Yeah, she's probably somebody's baby, all right.
I heard her talkin' with her friend when she thought nobody else was around.
She said she's got to be somebody's baby; she must be somebody's baby.
'Cause when the cars and the signs and the street lights light up the town,
She's got to be somebody's baby;
She must be somebody's baby;
She's got to be somebody's baby.
She's so....
She's gonna be somebody's only light.
Gonna shine tonight.
Yeah, she's gonna be somebody's baby tonight.
I try to shut eyes, but I can't get here outta my sight.
I know I'm gonna know her, but I gotta get over my fright.
We'll, I'm just gonna walk up to her.
I'm gonna talk to her tonight.
Yeah, she's gonna be somebody's only light.
Gonna shine tonight.
Yeah, she's gonna be somebody's baby tonight.
Gonna shine tonight, make her mine tonight.
728x90
반응형
반응형

Aerobics ... Breath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래 에어로빅의 의미는 산소를 이용한다라는 뜻으로 운동을 하며 공기를 빨아들였다 내쉬며 몸의 상태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운동들과 관련되어 있다. 어쨋거나 저쨋거나 80년대 하면 뺴놓을 수 없는 아이템, 에어로빅... 그 테마의 음악들...



Let's Get Physical
[Pop Dance]  by Sara Love

사용자 삽입 이미지
80년대 하면 뺴놓을 수 없는 것이 헬스 붐에 따른 에어로빅이다.
그리고 에어로빅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Let's Get Physical의 주인공 Olivia Newton John... 그리고 그녀의 트랙을 리메이크한 사라 러브의 곡.
노래가 흘러다닌지는 꽤 되었는데... 이제야 제대로 된 정보들이 나돌고 있다.
심장박동과 일맥상통하며 하나 둘 하나 둘 움직이는 규칙적인 몸동작에 들어있는 운동감이 백미다... 물론 뺴놓을 수 없는 섹시한 클래식 음악.







What a Feeling
[Pop Dance] by Irene Cara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에어로빅 식 댄스의 결정판이었던 제니퍼 빌즈의 영화 플래시 댄스의 주제곡...
뭐 별 설명은 필요 없을 듯 하다.
훗날 내놓은 아이린 카라의 음악들은 이 곡과 상당히 유사한 방향으로 흘러나갔고 대중적인 성공도 함께 거머쥐었다.
전형적인 업비트의 댄스 트랙.






Teenage Color (Russ Chimes Remix)

[House Electro] by Colleg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곡들이 전형적인 레벨 1의 에어로빅 형 음악이면 이 음악은 한 레벨 2정도? ㅎㅎ
에어로빅 음악이라긴 뭐하고 위의 80년대 풍 댄스 음악의 신디사이저와 비트 등 일렉트로와 신스의 요소를 프로그레시브하게 풀어낸 수작이다.

앨범 커버 또한 엄청나게 80년대 틱 하다...
그리고 저 보라색 기의 머리 빛갈은 톰 크루즈가 주연했던 영화 칵테일의 포스터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Addicted to Love
[Rock No Wave] by Ciccone Youth (Sonic Youth)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음... 이정도면 레벨 4나 5 정도라고 해야 하나.
소닉 유스가 마돈나를 컨셉으로 한 The Whitey Album에 수록 된 곡이다. 치코니란 이름도 마돈나의 본명에서 따 왔다.
마돈나의 80년대 히트송들을 연상케 하는 '뻔한' 비트를 바탕으로 신랄하게 조롱한다..
어쨋든 다른 관점으로나마 에어로빅의 변종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소닉유스.... 그들이 아직도 음반을 내고 있는 것에 감사한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Jean-Jacques Beineix [DIVA], 1981

90년대 국내 카페란 카페에는 죄다 걸어놓았던 베티 블루 포스터를 기억하는 이가 있는지 모르겠다...
그 시절에는 국내 영화팬들의 프랑스 사랑은 남달랐던 것으로 기억된다.. 소피 마르소는 드봉 광고를 찍기도 했었고 이자벨 아자니, 쥴리엣 비노시 등 수많은 프랑스 여배우들도 큰 인기를 얻었었다.

암튼 국내에서 가장 팔린 영화 포스터라는 베티 블루의 감독인 쟝 자크 베네 감독의 걸작, [디바]

훗날 모든 헐리우드 영화의 추격씬의 교과서가 될 만큼 당시 볼 수 없었던 충격적이고 현란한 추격씬을 선보였다.

수많은 씨네필들을 오페라의 길로 빠져들게 했던 영화이기도...



지금 보기에는 그저 그럴 지 몰라도 이 영화가 나오기 이전 이런 추격씬은 볼 수 없었을 정도로 당시에는 충격적이었다.



Trailer

728x90
반응형
반응형

LOVE,
Heartbeat.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랑, 그 벅차 오르는 순간!
그리고 아기자기하고 올망졸망한 그런 기분들...
사랑이 시작될 때는 이런 느낌이 아닐까?

어찌하였건 소비주의 사회가 만들어 놓은 또 하나의 걸작품인 발렌타인 데이가 요번 주다.
바로 그 날이 오며 꽁꽁 얼려 놓았던 우리들의 지갑은 열린다...
이 무슨 열려라 참깨도 아니고 알라딘의 요술 램프도 아니고...
하지만 덫은 아주 깊게 놓여져 있어 빠져나가긴 힘들다..
지갑을 열고 즐기던지..
지갑을 닫고 투쟁하던지...

어쨋거나 저쨋거나 이런 저런 사랑 테마의 음악들~^^


 
Love's Theme
[Disco/Soul]  by Love Unlimited Orchestra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랑의 테마라 하면 단연 베리 화이트를 뽑고 싶다.
사랑, 희망, 행복에 관한 수 많은 음악을 남겼지만 정작 자신은 우울증에 시달렸다고 한다.

베리 화이트의 프로젝트 격 그룹인 무한한 사랑의 오케스트라 ^^ㅋ의 사랑의 테마는 바로 그 안에서 뿜어져 나오는 사랑의 벅차오르는 느낌을 그대로 소리에 실어 전해 준다..

디스코의 여명기에 다른 한 편에 서서 소울이 흠뻑 담긴 사운드로 여러 사람의 맘을 자극했었던 역사적인 트랙이기도 하다.







First Love
[Electro Rap]  by Uffie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입부 샘플링이 먼지 잘 생각은 안난다.. Time After Time이었나....가물가물
암튼 문근영이 울나라 국민 여동생이라면 Uffie는 힙합계의 국제 여동생이다. ^^ㅋ

첫사랑이라는 노래 제목만큼 무언가 첫 시작을 알리는 듯한 리듬이 좋다.

근데 왠지 언제부턴가 보코더 섞인 음성 조절이 나오면... 상업으로의 전환이라는 키워드가 생각나는지...ㅜㅜㅋ






Together Forever in Love
[Rock-Garage] by Go Sailor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인들 항상 자주하는 말이 "사랑해 영원히.."
그리고 헤어져 지난 날 생각하면 얼마나 부질 없는 짓이었는지 깨닫는다.. 혹은 좋은 추억으로 남기는 사람들도 있겠고...

암튼 그런 맥락을 생각해 보면 장난감 같은 이 갸라지 락 튠에 정말 잘 어울리는 간편하고 귀여운 곡이다...








One in a Million

[Electro Pop] by Private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백만번 중의 하나...
바로 너다라고...
가사나 비트나 굉장히 프로그레시브한게 상당히 확고한 느낌을 전해 준다..
사진의 분위기에서도 느껴지듯 오히려 남성적인 강한 마음이 더 나타나는 듯한 그런 느낌...
확고하고 힘이 있으면서도 가볍게 들을 수 있는 일렉트로 팝

음...운명을 만날 확률 보다는 로또 대박 날 확률이 더 낮다는..
.ㅜㅜㅋ





Summer of Love
[Pop]  by Helen Hoffn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헬렌 호프너의 사진이 없어 페이 웡의 사진으로 대신...
이유는 한 10년 전 페이 웡이 이 노래를 리메이크 하며 홍콩 전체를 발칵 뒤짚었었기 때문... ㅜㅜㅋ

제목에서 느껴지듯 여름 햇살 안에서 듣는 가벼운 팝송
가사는 뭐 여느 사랑 노래가 그렇듯 뻔하다.. ^^ㅋ












You Make Me Feel Like (Peace & Love & Happiness)

[House Deep]  by A:xu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랑처럼 좋은 약도 없다 했나..
당신 때문에 평화, 사랑, 행복을 느낀다는...
거의 이 정도면 콩깍지 수준의 상태에 다달은...
두 눈은 하트로 불켜지고...

헤드칸디 비치 하우스 컴필레이션에 수록되었던 곡으로 칠한 딥하우스의 편안함과 따뜻함이 느껴진다.









Love is You

[Disco] by Carol William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랑, 행복 이런 요소라면 디스코처럼 잘 표현할 수 있는 음악도 드물 것이다.
디스코는 설명이 필요 없다...그냥 듣고 몸으로 표현하는 거다...

이 노래 들음 Modjo나 Spiller의 Groovejet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꽤 있을 것...









Tell Her (You Love Her Each Day)

[Pop-Oldies]  by Frank Sinatra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랑 노래라면 이런 올디한 팝 분위기 하나 정도는 끼워 줘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ㅋ

아주 간단한 사랑 공식에 대해 노래한다.

매일 매일 "사랑해" 한 마디 씩 그녀에게 해줘라..
그 간단한 한마디가 그녀에겐 삶의 의미가 되리니...

음... 로맨틱 한 것 같기도 하고.. 어느 면에선 상당히 마초적인 것 같기도..

자꾸 프랭크 시나트라와 갱단을 연계시키게 되서 그런 느낌이 나는지도.. 암튼 피날레로는 이 노래 만한 것도 없을 듯...




728x90
반응형
반응형


 

For, To the Respected, Loved one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명인을 향한 사랑고백 혹은 그들을 향한 존경, 감사를 테마를 한 음악들...



Julie Christie
" I'm looking for a lucky charm"
[Rock Indie] Tom Courtenay by Yo La Tengo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노래를 처음 들은 후부터 10몇년이 지난 지금까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노래다.. 평생 노래 하나만 듣고 살으라면 이 노랠 택하겠다..
그룹의 3박자가 완벽히 떨어지는 잊을 수 없는 명곡이다.

쥴리 크리스티, 스윙윙 런던 시절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던 영국의 팝 아이콘이었다. 노래의 제목인 톰 커트니(둘 사이 섬씽이 있었음)와 슐레진져 감독의 [빌리 라이어] (강추영화!)로 데뷰했고 훗날 히트작 [닥터 지바고]에서 주연을 맡았다.훗날 헐리우드에 건너와 세기의 바람둥이 워렌 비티와 관계를 가지기도 했다.

그리고 음악은 밴드 멤버 죠지아의 선호 영화 중 하나였던 빌리 라이어의 주인공들을  토대로 (연결이야 어쨋건) 엉뚱한 비틀즈 재건 계획에 대한 노래다. 노래에서 나오는 폴은 폴 맥카트니를 상징한다. (^^ㅋ)




Mick Jagger
"It costs a lotta cash."

[Rock Indie] Mick Jagger's Birthday Bash by Bullseye
사용자 삽입 이미지

WSH (Who Shot Hollywood)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 틴에이져 밴드의 음악으로 한창 로컬 씬에서 인기를 얻었던 노래다.
제목 만큼에서 느껴지듯 화려할 것 같은 대 스타 믹 재거의 생일 노래에는 수많은 스타들의 이름과 백태로 가득차 있다.











Scarlett Johansson
"I’ll sell my mum to be lost with you Lost in Tokyo or anywhere else"
[Electro Rock] Starlett Johanson by The Teenagers
사용자 삽입 이미지

Homecoming으로 한창 인기몰이를 했었던 댄스락 밴드 틴에이져스의 스칼렛 요한슨을 향한 고백형 러브레터.

이미 홈커밍에서 보여줄건 다 보여준지라 요한슨을 향한 사랑고백 따위는 이들에게 부끄럽지도 않다.

틴에이져스라는 밴드의 이름답게 청춘스타를 향한 사춘기 세대의 순수함을 담고 있다. 물론 순수함+욕정이다.










Daft
"~in the House, Yeah."
[House French] Teachers by Daft Punk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까지 살면서 다프트 펑크 만큼 들어보고 안좋다는 사람 못봤다.
이러기도 힘든데....
프렌치 하우스의 영원한 거성 다프트 펑크의 '선상님들'이란 트랙
"*** in the House"의 가사로 쭉 이어지는 트랙, 이 이름의 주인공들은 분명 다프트에게 지대한 영향을 준 이들이리라.









Karen Carpenter
"the band doesn't sound half bad"
[Rock No Wave] Tunic (Song for Karen) by Sonic Youth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닉유스의 메이져 레이블 (게펜) 마스터 피스 중 하나인 Goo 앨범에 수록된 음악. 거식증으로 심한 스트레스를 격고 결국 하늘나라로 가버린 비운의 가수, 카펜터스의 카렌 카펜터에 대한 추모곡이다.
소닉유스의 리 러날도의 카렌의 이야기에 대한 집착이 이 곡을 낳았다고 한다.
미디어의 스포트라이트에 격심한 스트레스를 겪으며 비운의 삶을 마감한 카렌의 삶과 메이져로 갓 데뷰한 소닉 유스의 팬들에 대한 입장이 미묘하게 교차되는 명 곡. 




David Bowie
"
I'm falling in love,
my walkman and me,
with David Bowie."
[Rock Indie Pop] With David Bowie by Veruca Salt
사용자 삽입 이미지
90년대 말에 나타난 락그룹(팝에 좀 가까웠다.. 특히나 이 곡이 수록되었던 그들의 두 번째 앨범은) 버루카 솔트의 데이비드 보위를 향한 러브레터.
워크맨을 들으며 그와 함께 하는 상상을 하며 흥얼거리는 그녀의 모습들이 눈에 선할만큼 그들의 마음을 잠 담아내고 있다.



2nd Summer of Love Heroes
"to the Government I stick my middle finger up with regards to the Criminal Justice Bill"

[House] Weak Becomes Heroes by The Streets
사용자 삽입 이미지

Outta respect for Jonnie Walker, Paul Oakenfold, Nicky Holloway, Danny Rampling, and all the peolple that gave us these times 라는 가사도 포함되어 있다.
80년대 말 영국 애시드 하우스의 영웅들에게 바치는 노래다.
그리고 그 시절 그들이 마련해준 환경을 즐기고 있던 자신들의 모습을 묘사한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그래도 한국 사람이다 보니 한국 영화에 대한 애정이 있다보니 간만에 극장서 돈주고 본 한국 영화에 대해 너무 매몰찼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뒤늦게 우석훈 씨의 <88만원 세대>를 막 읽은 시점이라 영화와 88만원 세대와의 연결 고리가 생각나 몇 자 끄적여 본다.
분명 말하지만 이건 꿈보다 좋은 해몽이다..


<88만원 세대>라는 책에 관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책을 비판하는 자들은 대부분 너무나 유럽모델 지향적이어서 한국 실정에는 비현실적이다라는 이유를 들고 있는 걸 보았다.
뭐 틀린 말은 아니다. 그리고 설사 그럴지라도 그런 간단한 이유 하나 때문에 이 책을 외면할 이유는 없다.

경영이 아닌 한국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눈높이를 낮추어 많은 세대로 하여금 가늠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또한 지금 10,20대들이
"왜 나는 안되는가?" "이 노무 세상 좆같은 세상"을
하염 없이 외치지만 잡히지 않았던 이유의 뿌리를 알게 해준다 - 바로 시스템적 문제라는 것.

또한 기성 세대들에게는
"왜 내 자식은 이 모양 이 꼴인가?"
"사교육비는?" "부동산은?"이라는
생활적 어려움의 근본적 이유와 자식 세대와 겪는 격심한 세대 차이에 대해 이해를 도와 준다.

바로 상생을 위해 서로에게 손을 내밀자라는 사회적 합의를 유도하고 있는게 <88만원세대>가 말하는 것이다.

결국 책을 읽고 난 후의 내 결론과 느낌은 여타 사람들의 의견과 비슷한듯 싶다.
'재테크'에 미친 젊은이들이여 공부하자...
그것만이 다양성이 중요시 될 미래에 가질 수 있는 단 하나의 자양분이 될 것이다.
인문과 과학의 소양은 결국 흐름을 읽게 해주고 결국엔 자신의 목소리를 자신있게 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그렇다고 경제 경영 관념 다 때려 치라는게 아니다.
하지만 너무나 많은 시간과 열정이 '재테크'에만 쏠리고 있다는 것은 지적하고 싶다.

어쨋든 이런 이유들만으로도 <88만원세대> 현 지옥같은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모든 세대에게 꼭 꼭 권장하고 싶은 책이다. 



<88만원 세대>와 [더 게임] 무슨 연결 고리인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는 전 포스팅에서도 부르짖었듯 잘만들긴 커녕 지루하다. 영상적으로나 내러티브적으로나 말 그대로 꽝이다.

하지만 요즘 젊은 세대들의 모습이 그나마 옅게 녹아들어 있다. (그 옅음이 문제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사회적인 이슈와 모습을 조금씩이나마 담으려는 의지가 있긴 하지만 너무나 미약하여 오히려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려는 조그만 장치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예를 들어 사채 때문에 조폭들에게 협박받으며 간간이 꽃집으로 연명해 가는 신하균의 여자 친구 캐릭터가 그러하다.
그녀는 신하균에게 스타벅스 커피를 내밀며,
"오빠, 그래도 가끔은 이런 것 좀 마셔 줘야지"라고 한다.
된장녀 신드롬의 원산이었던 스타벅스를 영화 초반에 전면으로 내세우며 프랜차이징과 대 기업의 마케팅에 사로 잡힌 10,20대들을 보여 주는 장면이라고 해석할 수 있겠지만 거기서 더 나아가지 않는다..
"에이 ... 그래도 난 자판기 커피가 좋더라."
라는 신하균의 대사 한마디로 모든게 뭉뜽그려 진다.

된장녀라 부르짖으며 그녀들을 욕했던 (같이) 못 가진 마초 성향의 된장남들이 그래도 맞는 생각이라는 가난한하고 공허함 공감대만을 부르 짖을 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그러한 '된장'을 여자 친구로 두고 있는 된장남들은 된장녀들을 욕하면서도 그저 사랑스러운 여자 친구라는 이유로 ,
 "그래, 그래도 넌 내 여자 친구니까...그래도 난 자판기 커피가 좋더라"며
나의 된장'녀'를 인정하고 끝까지 된장'남' 습성을 버리지 않고 그저 합리화 시켜 버린다.

이게 현실의 탁월한 묘사라면 묘사겠지만...
이러한 처리와 메시지는 그저 지금 10,20대들이 속해 있는 현실에서 그저 사랑 하나로 모든게 합리화시키는 것을 인정해버리는 듯한 태도는 너무 공허하다 못해 더 위험하다.

더군다나 이렇게 민감한 이슈에 대한 영화의 미지근한 처리는 스타벅스 브랜드가 카메라에 잡힘과 동시에 스타벅스 스폰서 받은 PPL이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들게 한다.

된장얘기는 여기까지 하고 세대 이야기로 넘어가 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선 변희봉과 신하균은 88만원세대에서 다루고 있는 세대 간의 대립과 꼭 같은 설정이다.

변희봉은 대표적으로 모든 부귀영화를 거머쥐고 사회의 시스템을 장악한 기성세대다. 바로 10대를 인질로 삼고 20대를 착취하는 악질적인 '꼰대'의 전형이며 기업과 정부라는 시스템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신하균은 거리에서 초상화나 그리고 겨우겨우 삶을 연명해 가는 비정규직 20대다.

그리고 기성 세대의 20대 착취 현상의 메커니즘은 변희봉이 신하균에게 '그럴듯한' 게임을 제시하며 작동한다.
말 그대로 궁한 비정규직 20대 신하균 앞에 돈을 떡하니 내밀고 그를 게임을 끌어들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럼 여기서 돈은 어떤 의미인가? 여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경제권을 주고 자식의 독립을 지체시키며 운명을 좌지우지하고 있는 현 세대의 부모들이며,
-10대 여성들한테까지 화장을 부추기며 그들의 부모의 지갑을 열게 만들 잔인한 마케팅을 펼치는 대기업이며,
-인문과 과학적 소양을 통한 다양성이 필수인 젊은 세대에게 재테크, 공무원 시험, 토플, 다단계를 부축이는 악질적이고 슬프디 슬픈 현재 대한민국 경제 시스템의 모습이다
.


결국 그렇게 힘없고 발언권 없는 불쌍한 비정규직 20대 신하균에게 펼쳐지는 건 무엇인가?
악랄한 정도로 이어지는 그 노동 착취는 바로 몸의 뒤바뀜에서 이루어 진다.
어쩌면 20대에게 가장 크고 유리하고 값진 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 젊음을 앗아간 것이다.
노인의 몸을 가진 20대는 그 부실한 육체적 고통과 그로 인한 거동의 힘듬을 이어받음으로서 개미지옥에 떨어지고 있는, 악질 경제 시스템의 먹이감의 우리에 갇혀진 완벽한 가축이 되어 버렸다.

아니, 이미 그나마 쓸만하던 육체까지 앗아같으니 가축보다 더 낮은 레벨이 되어버렸다. 쓸만한 것 없으니 그냥 버려지는 것이다.
그래도 경마들은 은퇴한 뒤 전원으로 돌아가 그나마 원만한 성생활만은 누린다고 했다. 하지만 젊은이들을 착취하고 있는 기성세대가 그런 자비까지 베풀것 같은가?
그냥 죽어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의 마지막인, 바로 패자부활전에 속하는 두 번째 게임의 승자는 결말을 보지 않아도 누가 될지 뻔하다.
경험, 지식, 권력, 경제력 이 모든 면에서 월등히 앞서 나가 있는 기성세대에게 오늘 날 처럼 연약하고 심리적 고통 만이 가득 차 있는 20대는 잽도 안된다.
그저 남아 있던 핏골까지 뺴먹혀 버릴 수밖에 없다.

결국 이러한 다음 세대에 대한 착취가 고 연령 세대를 맞이하고 있는 그들한테도 불리하게 작용될 것이지만 상관하지 않는다. 오히려 우선 나 살고 보자 하며 그것을 깨달을 수록 오히려 더 착취현상만 심해질 것이다.
바로 그게 우리나라가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루며 얻지 못한 사회적 문화적 소양으로 인해 일어나는 비극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국 영화의 마지막은 신하균이 공원에서 잠에서 깨어나는 장면으로 돌아온다.
이 장면은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1. 결국 게임에서 변희봉이 이기고 신하균의 대리 인생을 시작했다
-결국 승자는 기성세대이고 20대는 무참히 착취당하고 전사했다. (근데, 일말의 반항이나 있었는가?)
-결국 88만원 세대를 착취하여 얻은 이득으로 또 다른 화려한 실버 라이프를 즐기는 셈인데...
이러한 결말이 맞아 들어갈까? 여기서 영화는 스릴러의 마지막씬의 장치적 모방으로 인해 이런 문화적인 담론을 이끌어내지 못한다...( 의도되었건 아니었건 간에 그렇다는 얘기다)
어쨋든 현실적으로 젊음을 다시 찾은 듯한 화려한 실버 라이프는 1차원적으로는 당연한 얘기다.
그만큼 부를 거머줬으니 이젠 즐기고 살아야 되지 않겠는가?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을 것이다.
다음 세대의 다양성과 실력, 경험 부재... 즉 그들의 바톤을 이어받을 다음 세대의 실종은 결국 시스템의 붕괴로 인해 함께 괴멸할 수 밖에 없다는 엄청난 재앙을 불고 올 것이다.

그래도 '선택'받은 대한 민국 2% 상류층은 나라 망해도 살아 남긴 할 것이다.. 말 그대로 '선택'받은 신의 자식들이기 때문에 열받긴 해도 그들에게는 해당 안돼는 사항이다.

2. 모든건 현실이 아닌 꿈이었다.
-신하균이 꾼 일종의 백일몽이었다는 결말이다.
아님 뭐 구운몽 정도로 작가의 의도를 해석하면 되나?
어쨋든 덥썩 10만원을 거머쥔 비정규직 20대 신하균이 꾼 일종의 악몽이었다.
이러한 내러티브로도 기성세대의 20대의 착취 매커니즘은 똑 같이 설명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결말이 다르니 결말에 대한 해석은 달라야 하지 않을까?

결말이 이렇게 되도 상황은 밝지 않다.
한 달에 88만원이나 벌을까 말까한 20대 비정규직 신하균의 흔치 않을 재수 좋은 날에 불과할 뿐이다.
그리고 그렇게 모은 10만원은 저축으로 들어갈까?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힘든 삶을 겪고 있는 여자친구에게 들어갈 것 같은 설정이 더 강하다.
저축은 없다.. 복권으로 당첨된 돈이 더 빨리 새어나가듯 자신의 규칙적 수입이 아닌 이 10만원은 신하균의 경제적 현실에 도움이 되기는 커녕 그 10만원을 한 번에 소비해 버리며 소비에 대한 눈높이와 경험만 더 높게 만들어 버릴 것이다.

벤츠 타던 사람이 하루 아침에 1000cc급 자동차타라면 타겠는가? 같은 이치다. 
그렇게 소비 패턴의 고급화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의해 더 심화되고 들어 오는 족족 지갑을 열어대는 젊은 세대는 결국 경제권을 쥐고 있는 부모의 지갑을 열 것이며 그런 부모 조차 존재하지 않거나 그런 부모 조차 경제권이 흔들리면 그들의 삶의 괴리감은 더 커지기만 하고 불행한 삶만 살게 될 것이다.

주위를 둘러보면 모두들 잘 살고 있는 것 같고...
음식점, 편의점 알바를 하며 그들에게 버릇없이 구는 손님들 중 기성세대 보다는 그들의 또래에게 더 큰 상처를 받을 것이 분명하다.
이렇게 상대적 괴리감은 자신의 또래에게 창을 겨누게 만들고,
'선택' 받은 이들을 향한 심리적 상처와 분노 게이지는 높아진다.
이렇게 해서 파시즘적 사회로 돌진하게 될 것이다.


----------------------------------------------
역시 꿈 보다 좋은 해몽이었다.

88만원 세대의 내용이 많이 들어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그나마 영화에서 보여지는 작은 부분들이 있어 조금은 작위적으로 관계를 맺어 보았는데...

정말 아쉽다...
더 깊은 사유와 고찰을 가능케 하는 영화가 아니었다는게...

어쨋든 이번 설 연휴는 정말 여러모로 괴로운 설연휴가 될 것 같다.
현실적 경제적 어려움과 부모와 자식 세대간의 괴리감이 이렇게 절정인 지금...

과연 새해 복 많이 받을 수 있을까?
새해에도 잘 살아 남으세요?


728x90
반응형
반응형


엄청난 스케일의 나라, 중국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 7,8년 전인가 처음 중국에 가서 정말 숨막히는 경험을 했다.
그 놈의 넓은 땅덩어리에 수 많은 인간들 등...
미국과는 또 다른 차원과 느낌, 정말 말 그대로 Scale의 압박이 정말 대단했다.

아마 중국에 처음 간 사람들은 나와 비슷한 느낌을 받았으리라 생각한다.

명장도 이러한 맥락과 같이 한다.
명장에서 펼쳐지는 스펙터클한 전쟁 씬은 시종일관 중국 특유의 스케일의 압박에 의해 정신은 멍해지는 느낌이다.

명장이 전체적인 영화를 두고는 그리 잘 만든 영화라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스케일'을 두고 하는 게임에 있어서는 중국을 넘을 만한 나라가 과연 있을까 하는 생각이다. 바로 그 면을 명장의 전투 씬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스케일에 인한 압박은 바로 미국 헐리우드 영화에서는 절대 느낄 수 없는 것이며 처음 중국을 방문한 이들의 충격과 비슷한 것이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말로 표현 못한다.
이건 눈으로 보고 확인해야 한다.



화려함과 강렬함이 배제된 색감의 미학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명장]의 또 하나 색다른 면이 있다면 바로 색감과 분위기다.
중국 문화도 타 문화 못지 않게 거대하고 화려한 것을 좋아하는 문화로 큰 스케일에 오바스럽다고 까지 할 수 있는 화려함이 항상 더해진게 우리에게는 친숙하다.
예를 들어 [패왕별회]나 몇 년 전 개봉했던 [황후화]를 떠올려보면 그 영화들이 스케일+화려함 속에 미학에 빠져들었던 생각이 난다. 또한 화려함의 하모니가 없다면 강한 색감도 돋보이는 것이 내가 느끼던 중국 영화의 특성이라면 특성이었다.

하지만 [명장]은 다르다.
분명 그 안에 스펙터클과 어떤 Sublime한 느낌이 존재하지만 우리가 친숙한 색감의 화려함이 존재하지 않는다.
영화는 시종일관 침체된 Saturate 청색톤의 색감으로 일관하고 있으며 그 액션이 펼쳐지는 무대 또한 텅 비고 좁으며 답답해 보인다.
특히 마지막 유덕화의 씬은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Full Metal Jacket 풀 메탈 자켓]을 연상 시킬 정도다.

이것에 대한 설명을 가능케 하는 것은 주연 캐릭터의 설정이다.
이연걸은 전쟁에 패해 비겁하게 살아남은 장군이고 금성무와 유덕화는 산적이다.
어쨋든 이들은 서로 연결되어 새로운 나라의 병사로 거듭나고 새로운 성공, 즉 단순한 가족의 의무를 떠나 어지러운 세상을 다시 한번 뒤집어 엎는 대업을 실현 시켜 나가게 된다.

중요한 것이 그들의 태생과 신분 자체가 왕족이나 귀족도 아닌 것이 사회의 가장 밑 단에서 시작하여 장애물을 하나하나씩 쳐나가며 성장하는 것이 그런 어둡고 음침하며 고통스러운 색감과 분위기 연출과 잘 맞아들어간다...

마지막 난징을 점령하고 들어가는 이연걸의 씬을 보라... 얼마나 거대한 동시에 공허한가!

물론 그들의 마지막 또한 마찬가지다.

항상 밑 바닥의 삶과 부딪혀 온 그들에게 작은 전쟁에서 승리하고 그 의미를 다지는 술파티를 할 만한 귀족의 여유란 없다. 그저 앞으로 처절하게 전진할 뿐이다... 이렇게 되면 영화의 색감과 분위기 연출은 탁월한 선택이 된다.


현대인의 처절한 삶의 녹아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명장]의 또 하나 특이한 점은 바로 그 안에 담겨 있는 시대정신이다. 말은 거창하긴 하나... 별거 아니다.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명장의 장면 장면들은 시대극으로서 옛날의 분위기를 느낀다기 보다는 지금 현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을 느끼게 해주는 부분들이 상당히 많다. 그것도 여러 장치들이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금성무가 적장의 목을 따고 하늘로 치켜 들고 표효하는 장면이다.
이 장면을 보고 이라크를 떠올리지 않을 이들이 얼마나 될까?
더군다나 고 김선일씨 사태를 겪은 한국인들에게는 더욱 더 큰 아픔과 자극으로 다가온다.

또 하나는 출신과 처세에서 비롯되는 사회적 운명으로서의 개인이라는 점이다.
이건 비단 현대에만 존재하는 것이 물론 아니다. 하지만 보이지 않는 큰 손들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슬픈 운명이다.

중산층의 개념 뿌리 자체가 흔들리고 있는 한국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이들에게 명장에서 보여지는 구슬픈 운명은 오래 전 무협/사극 속의 이야기만은 아닐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진짜 공은 그들이 만들어내고 결국 그들은 처단 당한다. 그것이 게임의 법칙이다
.

'선택'받은 자가 아닌 사람은 공을 세워도 결국은 위협이 되고 만다. 그리고 그들을 기다리는 것은 무서운 제거다.

뒤엎으려면 모든 걸 뒤엎어야 한다.

일정 한계 이상의 큰 일을 해냈다면 더더욱 그래야 한다. 자기 윗사람이 있다면 윗사람을 처단해야 하고 자신이 완벽하고 새로운 기득권 자리에 올라야 한다. 가족도 친구도 연인도 처단해야 될 때는 처단해야 한다.

그것이 지금 세상이 향해 가고 있는 게임의 법칙이다.

"어떻게 인간이 그럴 수 있습니까?"라는 말은 약자의 투덜거림으로 비추어 질 것이다.


깨져버린 삼국지의 미학(스포일러 약간 있음)

세 명의 의형제 맺음은 삼국지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를 떠올린다. 유,관,장이란 어떤 캐릭터들인가? 바로 의로 똘똘 뭉친 의의 대표 캐릭터들이다.

하지만 결국 치열한 삶의 기로는 전쟁터에서만 펼쳐지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돌아가는 음모라는 것을 까발리고 아주 오랜 동안 사랑받던 대의와 신의를 중요시하던 삼국지의 미학을 당당하게 깨버리고 개인의 삶과 사회는 무서운 게임의 법칙으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의를 떠받고 올바른 세상을 만들겠다는 유비의 캐릭터를 대신한 듯한 이연걸의 대의는 그 진의성이 자신의 행동과 일치하지 않았다. 결국 전쟁의 패장이라는 상처받은 자존심을 치유하기 위해 사람들을 이용했고 그가 가지고 있던 어떠한 대의를 떠받칠 만한 그릇도 작았다.
또한 전쟁터에서의 용병술을 겸비한 뛰어난 무장일지는 몰라도 처세술에서 만큼은 엉망인 소인배에 불과했다.

인간과 신의를 중요시 여기는 관우를 떠올리는 유덕화의 캐릭터는 어떠한가...
그의 무식할 정도로 강한 우직함에 의해 그는 조직내에서의 돌아가는 숨은 법칙을 어기고 제거 제 1대상이 되고 만다. 또한 군복을 입고 서있는 전직 산적의 그의 모습에서는 어떠한 '선택'되지 못한 자의 신분상승 욕구와 만족감마저 느껴진다.
결국 관우가 오나라의해 처형 되었던 설정은 믿고 있던 제 형제에 의해 (나라의 어명이었지만) 무참히 살해된다는 설정으로 재 구성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장비를 떠올리는 듯한 금성무는 어떠한가...
어설픈 대의와 보이지 않는 신분 상승 욕구의 가장 큰 피해자이다.
결국 장비처럼 복수를 외치며 칼을 들지만 그 칼은 오나라를 향한 것이 아닌 제 형제를 향한 것이었고 그는 그 무식함과 우직함이라는 '의'를 끝까지 따라간다.

마지막 제거되는 이연걸의 최후를 보고 현대인은 어떻게 받아들일까?

어릴적 삼국지 연의에 눈물흘리며 보던 이들은 아마도 일궈 내지 못한 대의와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느냐며 기득권 세력에 분노했겠지만,
냉철한 삶의 게임을 펼쳐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는 아마도 당연한 귀결이었다고 느껴졌을 것이다.


그게 영화 [명장]의 미학이다.

---------------------------------
마지막으로... 금성무는 연기 수업 좀 더 해야 겠다...
유덕화는 정말 많이 발전한 것 같은데... 명장에서의 금성무는 [인정 사정 볼 것 없다]의 장동건을 보는 느낌이었다.


뒷담...

중국이 영원한 저질 카피캣으로만 남진 않을 것이다
디자인계에서 중국은 후진국이며 카피를 일삼는 무도덕군자로 인식된다. 하지만 중국 문화 전체를 두고 그렇게 말할 수는 없다. 디자인은 디자인계 나름의 상업적 진화 속에 중국도  후발 주자로서 그러한 단계를 지나가는 것일게다. 우리나라디자인도 중국의 지금 상황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리고 심지어 이것 저것 베껴대는 카피캣의 습성을 아직도 떨궈 내지 못한 상태에서 중국만 두고 저질이다 뭐라 하고 있기만 하면 금방 역전 될 것은 뻔하다.

디자인 얘기는 뒷전으로 두고..
사실상 중국 영화의 역사 자체는 그리 선진이라고도 할 수는 없다. 장예모 감독과 공리가 세계를 재패한 시절은 일종의 중국 영화의 거품의 시기였다.
그나마 홍콩의 느와르 영화들이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선전을 펼치긴 했지만 그것 또한 '한 때' 였다.
미국, 유럽, 일본과 같이 깊은 영화 역사를 가지지 못한 것이 중국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들의 실력이 떨어지는가?
그런 것은 아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1.음식물 제거 찝찝 찍찍 쯥쯥 소리 좀 내지 맙시다...ㅜㅜㅋ

사용자 삽입 이미지
뭐 영화도 영화였지만 분위기도 한층 안좋은 분위기에서 본 영화라...
우선 극장 에티켓부터 얘기해본다.

개인적으로도 무척 싫어하지만 이 상황에서는 더더욱 남들도 듣기 싫을 소리라 생각한다. 이빨에 낀 음식물 찍찍 소리내며 빼는 소리... "찍찍 쯥쯥 쭙쭙..." 
팝콘이나 기타 음식 먹는 소리야 워낙 익숙하고 그 사운드 또한 그리 신경을 곤두세우게 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찍찍 쯥쯥 소리는 좀 아닌 것 같다...

영화도 재미 없었는데 뒤 쪽 자리에서 어떤 사람이 줄기차게 찍찍 쯥쯥 대고 있으니 영화에 대한 인상도 더 안좋아졌다.

한국 식당에서 밥먹고 나면 그런 소리 많이 듣는다.
일종의 문화로서 받아들이라면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밥상에서 밥먹으면서는 더더욱 듣기 싫고 밥먹고 들어도 기분 나쁜 소리인데..
영화보는 시종일관 내내 듣고 있으려니 미치겠더라...

이런 소리에 신경쓰지 않는 사람들도 물론 있겠지만 민감한 사람도 엄청 많다는 거 알아줬으면 한다...


2.신발은 벗어도 양말 발꼬락 꼼지락 대는 거 옆 사람 보여줄 필요는 없잖아요?
1번의 경우 그리 많이 겪지는 못했지만 2번은 종종 보는 경우긴 한다.
같은 날 옆자리의 한 남성분.. 신발 벗고 4자로 다리꼬고 회색양말에 발가락의 아름다운(?) contour를 자랑하며 꼼지락 대던데....
안 보면 그만이지만... 사실... 시야에 들어오면 어쩔 수 없이 신경쓰게 된다...
눈에 넣어도 안 아플 사랑스런 여인은 그 모습을 봐도 좋을지 모르겠으나 생판 모르는 사람의 발까락 꼼지락 거림 보는거 상당히 껄끄러운 사람들도 많다는 걸 알아주길 바란다...ㅜㅜㅋ



한마디로 영화는 재미없었다!
좀 깐깐해 보이긴 하지만... 어쨋든 위의 상황과 물려 영화는 한층 더 재미 없었다.
뭐 별로 할말도 없다.
스릴러 치곤 긴장감도 없고,
반전이라 봤자 어느정도 예상 가능한 뻔한 반전이고,
결말도 후다닥 끝내 버리는 것이... 정말... 척박한 수준이었다. (심하게 말하자면..)
원작인 일본 만화 또한 끝에가서는 지리멸멸 후다닥 끝내버리는 성급한 결말이라던데..
나쁜것만 다 닮은 영화인가?
소재의 참신함이 영화화되며 완전히 죽어버린 결과였다.

또 하나 지적하고 싶다면... 배우들 연기가 제각각이다. 매 씬마다 전혀 다른 영화들을 짜집기 해놓은 기분이랄까?
주연급들 중 분명 연기 못하는 배우는 없다. 하지만 그들이 만들어 내는 하모니가 없다.

오래간만에 보는 반가운 이혜영은 혼자서 연극용 연기를 하며 따로 몰두해 있고..
정말 웃긴 손현주는 나름대로의 손현주표 연기를 하고 있고...
(그나마 이들 둘의 연기가 젤 볼만하다... 이 영화에서 볼만한거 하나 꼽으라면..)
신하균은 마당극 연기를 하고 있고...
변희봉은 뭐라고 표현해야 될 지 모르겠지만 '꼰대'스러움과 '노인'의 요소를 억지로 제거하고 대학생 연기를 하려고 하는 막말로 억지 연기가 (또 다른 의미로서의 억지다 이건) 꽃핀다...

이렇게 서로 다른 튀는 개성들이 모여 럭비공 튀는 따로 튀고 있으니... 영화가 제대로 될리가 없다..

거기다가 스토리 전개니 긴장이니 이런 것도 없으니...
뭐 따로 분석도 하기 싫다..

재미 없었다...ㅜㅜㅋ

영화를 보고 얘기를 나눴다...

"그런데 한국 영화 힘들다고 외쳐대던 옛날에는 극장에서 개봉 되는 한국 영화들도 괜찮은 거 진짜 많지 않았냐?"
"그렇지.."
"근데 그 때가 언제냐?"
"기억 안난다..."

그렇다 기억은 안나지만... 힘들게 모은 내 돈 내고 봐서 크게 만족하고 잘만든 한국 영화들이 분명 있었다.. 내 말은 꽤 많이 있었다... 다 어디로 갔음매?

728x90
반응형
반응형

MOOG Music


사용자 삽입 이미지

로버트 무그 (모우그라 발음한다)가 만든 신디사이저로 전자 음악 뿐만 아니라 음악 전반에 걸쳐 엄청난 영향을 미친 신디사이저다..
모듈라 신스는 보다 시피 사이즈가 엄청 났다...
무그 신디사이저를 통한 혁신은 포터블한 사이즈인 미니무그가 나오면서부터 였다.
이 장난감 같은 소리를 내는 괴물을 보고 수많은 음악인들이 비웃었지만 어떤이들을 새로운 가능성을 보았다.. 그리고 지금 오늘 날 음악계를 보라...
신디사이져의 영향이 뻗치지 않은 곳이 얼마나 될지..




E.V.A.
[Moog Music] by Jean Jacques Perrey
사용자 삽입 이미지

페레이는 원래 의학생이었다. 하지만 전자 음악의 매력에 빠져 학교를 때려치고 본격적인 전자 음악의 세상으로 그 인생의 방향을 돌렸다. 로버트 무그의 친분의 영향도 있었지만 어찌했건 무그 신디사이저를 가장 처음으로 다룬 아티스트 중 하나다..
그리고 이 EVA는 장난감 사운드같은 무그 시디사이져로도 떳떳한 성인음악(?) 혹은 제대로 된 음악(?)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당시 안티-신디사이져 인들에게 날린 어퍼컷 같은 걸작이다.





Mary France
[Moog Music] by Jean Jacques Perrey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 하나의 페레이 작품으로 발랄한 무그 음악에 팝 소프라노 보컬이 가미된 트랙












NBC Mystery Movie Theme
[Moog Music] by Archie Ulm
사용자 삽입 이미지

NBC 미스테리 무비는 70년대 미국 텔레비젼 시리즈로 한국에도 잘 알려진 콜롬보, 맥클라우드 등을 배출해낸 사랑받던 프로그램이다.
원래 이 시리즈의 테마는 헨리 만치니가 맡았었고
이 음악은 전자 음악 뮤지션인 아키 율름의 앨범에 수록된 무그 버젼이다.








Domine Ad Adjuvandum (Monteverdi)
[Moog Music] by Wendy Carlos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그 신디사이져 음악의 일대 혁신을 가지고 왔던 웬디 카를로스의 Switched-On-Bach의 후속 앨범인 The Well-Tempered Synthesizer에 수록 된 트랙으로 이 앨범에서는 바하 뿐만이 아니라 몬티베르디, 스칼라티, 헨델의 음악을 포함하였다.
무그 모듈라 신디로 작업되었고 이 때는 성전환 수술 전이어서 남자 때 이름인 월터 카를로스로 발표되었다.
이 앨범에 수록되어 있는 바흐의 브렌든버그 콘체르토 4악장을 가리켜 지금까지 존재한 것 중 최고의 해석이라고 글렌 굴드는 극찬했다고 한다.





Basket Case (Green Day Cover)
[Moog Music] by The Moog Cookbook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친구 놈이 CD 정리 할 때 단돈 2불에 산 스마트 한 앨범.
일종의 패러디와 트리뷰트 앨범으로 너바나, 그린 데이 등 여러 유명 음악들의 '무그 버젼'이 수록되어 있다.
90년대 나타난 이들은 그 모습에서는 스페이스 디스코 그룹 '스페이스'의 모습이 담겨 있다.
밴드의 이름은 로버트 무그의 부인이 냈던 78년도 앨범에서 따왔다고 한다.





Moog Acid (Jackson Mix)
[House acid/progressive] by Jean Jacque Perrey and Luke Vibert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우스 DJ 룩크 바이버트와 페레이가 만났다..
당근 예측할 수 있듯이 모던과 레트로의 극적인 만남이었고 그 결과물은 ... 들어보면 안다....
현대 프로그레시브 속에 페레이의 레트로적 무그 사운드들이 세월의 힘을 잊은 듯 지배하고 있는 트랙이다... 강추!




728x90
반응형
반응형
Michelangelo Antonioni [Beyond the Clouds (Par Dela Les Nuages)], 1995



사용자 삽입 이미지
노쇠로 인해 사실 상 원활한 인간의 의사소통 능력을 잃어버린 안토니오니 감독을 위해 빔 벤더스가 조감독을 하겠다고 참여한 과정자체가 감동적인 영화...(당시 안토니오니 감독은 Yes/No 정도의 의사 표현 정도가 가능했다고 한다)

옛날 안토니오니 감독이 끄적여 놓았던 단편 영화 시나리오들을 그 부인이 대신 창고에서 꺼내주어 태어나게 된.. 사실 상 장편으로서는 안토니오니 감독의 유작이 되어버린 영화..
그래서 그런지 왠지 감독의 지난 날에 대한 향수가 느껴지는 듯한 애절한 마음이 찡하게 느껴지는 영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each Sequence

U2의 음악이 흘러나오는 말코비치와 소피 마르소의 비치 시퀀스 중 한 장면인데... 사실 말코비치가 좁은 골목을 통해 소피 마르소를 천천히 뒤쫓아 가는 장면이 더 압권이지만... 유튜브에 없다.ㅜㅜㅋ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이렌느 쟈코브와 빙상 페레의 씬으로.... 정말 달콤쌉싸름한 마지막 장면 쟈코브의 한마디가 인상적이다...양심 상 스포일러는 올리지 않는 것이 나을 듯...

728x90
반응형
반응형
클럽 컬쳐 매거진 블링 연재 중인 일렉트로니카 이야기 관련 칼럼인 PLUR & Vibe Upon the World 옛 하드카피 원고들입니다.
hyperlink를 통해 좀더 나은 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아직 연재 중인 컬럼이니 잡지와는 시차를 두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퍼가시게 될 때는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Plur & Vibe Upon the World 16:

                                   Madchester Part2


808 State & A Guy Called Gerald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번 파트1에서는 매드체스터의 시작과 그 중심에 있던 밴드들을 소개했다. 그렇다면 대체 DJ들은 어디 있었는가? 표면 상으로 볼 때 먼데이즈와 로지즈는 인디밴드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여기서 들여다 보고 있는 것은 애시드 '하우스' 붐의 한 사건인 매드체스터다. 역사의 기록이라는 것이 항상 상대적일 수 밖에 없듯이 정통 인디밴드의 역사를 자랑하는 맨체스터를 향한 미디어의 영향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즉 기존의 락 관련 미디어는 흑인 태생의 하우스의 영향을 무시했고 백인으로 구성된 락의 정신을 가진 듯한 인디밴드를 띄울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지고 보면 먼데이즈와 로지즈 모두 댄스 문화를 받아들이며 비로소 애시드 문화의 한 일원이 되었다. 먼데이즈의 경우 워낙 복합적인 음악 성향과 리믹스의 활용 그리고 하우스씬에 대한 관여도 면에서 애시드 문화와의 이질성이 발견되지 않지만 로지즈의 경우 'Fool's Gold'를 통해 하우스 음악과의 연관성을 발견할 수는 있어도 어디까지나 정통 인디락 밴드의 성향을 고수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보편적 애시드 하우스의 사운드를 품은 초기 그룹은 바로 808 State. 퓨전 재즈, 일렉트로, 신스팝을 중심으로 한 808 State 1988 'Pacific State'를 통해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다. 이 그룹의 멤버였던 제랄드 심슨은 '가이 콜드 제랄드'라는 이름을 통해 808 state에서 탈퇴하고 'Voodoo Ray'를 발표했는데 이는 당시 애시드 하우스 클럽의 앤섬이 될 만큼 Pacific State에 못지 않은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제랄드 심슨은 차기 앨범 준비에 있어 레코드 회사의 상업화 아이디어의 신물을 느끼고 언더그라운드로 잠적하고 90년대 중반 철저한 실험정신을 바탕으로 한 프로듀서의 모습으로 다시 모습을 드러내며 '드럼 엔 베이스'의 모태가 되는 '정글' 씬을 탄생 시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심슨을 떠나 보낸 808 State는 오히려 상업 레이블과 좋은 관계를 맺으며 애시드 하우스의 선봉장 역할을 훌륭하게 소화했다. 이들의 성공은 동시대 아티스트들 (칠아웃 장르를 탄생시킨 KLF, 뉴에이지 이상을 담은 The Shamen, 사이키델리아를 통한 하우스의 정치적 좌파 성향을 더한 Primal Scream )이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는 초석을 마련했다.

애시드 하우스가 오늘 날 회고될 때 먼데이즈와 로지즈의 그늘에 가려져 있는 이들이야 말로 사운드적 크로스오버와 댄스를 통해 음악과 몸이 하나가 되는 진정한 하우스 문화의 이상을 사운드로 풀어낸 주역들이었다
. (그들에게 있어 하우스 문화의 폭발은 펑크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었다. 펑크가 자신의 팔의 완력을 최고조화 시켜 기타를 부셔버리는 물리적인 분노의 폭발이었다면 하우스는 몸의 완력을 댄스에 맞추어 완화 시키며 일체화 시키는 트랜스적 경험에 관한 것이었다.)  



몰락
 

  

사용자 삽입 이미지
런던과 마찬가지로 마약에 의한 갱들의 개입과 정부의 불법 클러빙 및 레이브 탄압이 시작되었다. 1989 7월경 16살의 클레어 레이튼이라는 소녀가 엑스타시 과다복용으로 사망한 사건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런던과 같은 운명의 스텝을 따르게 되었다. 언제나 그렇듯 미디어는 야단 법석이었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아무것도 모르는 트렌디/애시드 테드로 구성된 어린 청년들을 애시드에 빠져 허우적대게 만드는 역효과를 내버렸다.

그리고 당시 악명 높았던 살포드 폭력단의 개입과 더불어 역사적으로 서브컬쳐의 죽음의 상징이 되어온 마약, 코케인이 다시 등장했다. (갱들은 엑스터시에는 그다지 큰 관심이 없었다. 그들의 주 수입원은 언제나 코케인이였기에) 잦은 갱들 간의 마찰과 살인 사건, 마약의 유통 등은 경찰의 강한 제지를 불러들였고 하시엔다에서는 총기류 검문을 위한 메탈 디텍터가 등장했다.

이때부터 맨체스터는 매드체스터에서 건체스터Gunchester로 불렸고 물론 파티를 돈벌이의 수단으로 보는 클러빙/레이브 프로모터들도 늘어나기 시작했다. 매드체스터의 기간 동안 사랑과 우정, 이상과 희망으로 쌓아 올린 공동체 의식이 완전히 붕괴되기 시작하며 파도와 같은 사이코시스와 파라노이아를 불러일으켰다. 91년 즈음 하시엔다가 문을 닫은 것은 물론이고 하시엔다와 어깨를 겨누며 시대를 풍미했던 썬더돔과 컨스퍼러시 클럽들 마저 문을 닫게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드체스터를 대표하던 먼데이즈와 로지즈 또한 비슷한 운명을 걷는 것 같았다. 로지즈는 스파이크 아일랜드 이후 종적을 감추었고 먼데이즈는 저명 음악지 NME지와의 인터뷰에서 매드체스터의 종결을 알리는 듯한 사건을 터뜨린다. 그들은 그 동안 지켜 왔던 노동계급층의 대변자의 위치를 던져버리고 소비주의적 시선에서 돈에 대한 찬양, 게이에 대한 혐오감, 여성 비하 발언 등을 늘어뜨려 놓았다. 물론 이것은 미디어와 대중에게는 용서될 수 없는 비윤리적 발언이었고 즉각 모든 이들이 먼데이즈의 몰락을 예감하게 되었다.

또한 밴드 리더 션 라이더의 헤로인 중독 이후 빚어진 차질과 이로 인해 연기된 뉴오더의 차기 앨범 등의 문제로 인해 팩토리 레이블이 부도가 나는 참사까지 일어났다. (하지만 90년도 말에 출시 된 먼데이즈의 <Pills 'n' Thrills and Bellyaches> 앨범은 수많은 사건 사고를 떠나 매드체스터 시대를 총망라한 마지막 위대한 앨범으로 기록된다.)  


Epilogue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광기의 매드체스터 향연의 빛이 서서히 꺼졌을 때 맨체스터의 클럽들은 다른 출구를 찾기 시작했다. 까다로운 도어 폴리시를 완화하는 곳도 있었고 도시의 외각지역에서 이벤트를 여는 클럽도 생겨났다. (갱들과 경찰의 눈을 피하기 위해) 대표적인 예가 게리 매클라란의 딜라이트 클럽으로 이곳에서 알렉산더 코이라는 새로운 전설의 DJ 클러버들을 광분의 도가니로 이끌었다. 매드체스터의 마지막 자락에 혜성처럼 나타난, 믹스매그 매거진이 신의 아들이라고 칭송한 그의 또 다른 이름은 Sasha 사샤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밖에 주목할 점은 갱들과 경찰의 탄압을 피해 사람들이 눈을 돌린 곳이 바로 게이 클럽이었다는 것이다. 억압받는 사회적 소수의 하나인 게이 커뮤니티는 그 특성 상 자신들만의 '아지트'를 구축하고 있었고 이는 디스코와 마찬가지로 애시드 하우스가 그 숨결을 다시 내 쉴 수 있는 적절한 공간을 마련했다. 이로서 백인 남성 성향의 모습을 보여주었던 하우스 클럽에서 디스코 댄스에 맞추어 옷을 벗고 춤을 추는 근육질의 남성들, 레즈비언, 드래그퀸들이 씬의 모습을 채워가고 있었다. 물론 도어폴리시가 강한 곳이 태반이었으며 조금이라도 의심이 갈 시에는 바운서 앞에서동성'의 친구에게 프렌치 키스 등을 감행하며 자신이 '스트레이트'가 아니란 것을 보여주어야 했다는 비화도 있다. 이 움직임에 하시엔다 클럽도 맨체스터의 새로운 게이 클럽으로 변모했다. 맨체스터가 매드체스터, 건체스터에 이어 '게이체스터 Gaychester'로 거듭나는 순간이었다.  


매드체스터의 한파로 인한 나이트 라이프의 때 아닌 붐은 곧 도시 수입의 기특한 효자 노릇을 했다. 따라서 광기의 분위기가 잠잠해지고 길들어졌을 때 즈음 혹독했던 클럽 라이센스 규제들은 완화되었다. 종전에 비해 바와 클럽은 두 배로 늘어났고 24시간 쉬지 않는 문화와 클러빙 레져의 메카로 맨체스터는 거듭났다. 하지만 갱들 간 마찰, 마약 뒷거래와 같은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았고 오히려 그런 특성의 문화가 이제는 도시를 먹여 살리고 있다는 어쩔 수 없는 딜레마를 남겼다. 어찌하였건 96년 즈음되어 애시드 하우스는 이제 '올드 스쿨' 사운드가 되어 정글, 테크노, 개러지와 같이 세분화 된 다양한 장르에 문화의 중심 자리를 내 주게 되었다.  

 


 

Recommanded Acid Tracks (순위 기준 없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1.Give Me Some Love by Love Corporati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2.Beat Dis by Bomb the Bass



사용자 삽입 이미지
3.Activ-8 (Come with Me) by Altern 8



사용자 삽입 이미지
4.Everything Starts with an E by E-Zee Possee



사용자 삽입 이미지
5.What Time is Love? By The KLF



사용자 삽입 이미지
6.Theme from SExpress by SExpress



사용자 삽입 이미지
7.Pacific State by 808 State



사용자 삽입 이미지
8.Voodoo Ray by A Guy called Gerald



사용자 삽입 이미지
9.We Call it Acieed by D Mob



사용자 삽입 이미지
10.Move Any Mountain by The Shamen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Electronica 일렉트로니카 음악이라?
엄밀히 따지면 1995년 테크노 등의 전자 댄스 음악의 대중 활성화를 위해 MTV와 미디어가 만들어낸 미디어 용어다.
이 단어는 테크노 뿐만 아니라 정글, 트랜스, 하우스 등 셀수 없이 존재하는 전자 음악 장르들을 그럴싸하게 표현한 것 뿐이다..
미디어가 만들어낸 것이니 오죽 세련되었겠는가.. 일-렉-트-로-니-카... 어감도 좋지 아니한가?

어쨋든 단어의 탄생이야 어쨋든...
미국과 영국을 떠나 전 세계 전자 음악 팬들에게 그동안 일렉트로니카 단어는 '희소성'의 프라이드를 안겨 주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는 몰라도 테크노의 미국 공략 실패는 곧 대중 친화와의 결렬을 뜻했고 이 음악들은 다시 언더그라운드 지하세계로 들어갔다...
따라서 이 일렉트로니카라 불리는 변종의 전자 음악들을 듣는 이들은 나름 '언더지향적'이고 '희소성'의 음악을 독차지한 일종의 프라이드를 얻었다.... 쉬운 말로 ... 나 "음악 좀 들어.."

이런 현상은 비단 일렉 음악 쪽에만 속한 말은 아니지만...

언제 부턴가 부비부비니 뭐니 하면서 사랑과 열정으로 개척해 왔던....그래도 척박했던 한국 클러빙 환경을 한순간에 쑥대밭 개판으로 만들어 놓더니.. 이젠 일렉트로니카란 용어가 버젓이 쓰이고 있다.. (쓰는게 뭐 잘못 되었겠냐마는...)
시대정신 따위는 아예 바라지도 않지만 맹목적인 상업효과만 의식한 이 짓거리도 이젠 적응하다 못해 따를때도 되었건만.. 볼때마다 화는 치밀어 오른다..

여기서 저기서 일렉음악이건, 시부야 케이 비스므리한 음악이건, 쌍팔년도 유로 댄스 팝시런 음악이건 뭐건 뭣 좀 들어가면 '무슨 무슨 일렉트로니카' 음악이라 떠들어 댄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엄연히 따지면 유치뽕짝 쌍팔년도 식 댄스 음악도 엄격히 일렉트로니카 범주에 들어간다...)

어쨋든 '일렉트로니카' 음악을 들어 온 이들에게 만족을 안겨준 그 희소성의 가치는 이제 다 한 듯 싶다..
이렇게 해서 일렉트로니카는 그 태생으로 돌아간다...
그 천박하고 저주받은 1995년의 미디어 과대 선전의 의미 속으로 ....

이제부터 일렉트로니카 하면 ARS ELECTRONICA를 떠올리는 것이 심신에 도움이 될 듯...

Bonus:
WOW by Siriusmo


728x90
반응형
반응형

Sea... Deep Down

(深淵)

사용자 삽입 이미지



Lament for Atlantis
[New Age] by MikeOldfield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틀란티스가 과연 있었을까? 트로이를 발견한 이도 그리고 그의 아들도 아틀란티스 탐험 착수 준비를 하며 이유 모르게 죽거나 실종 되었다...










Ocean of Light (Club Mix)
[Trance] by Hyperi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항상 이 음악을 들으면 해저 속을 스피디하게 뚫고 지나가는 느낌이 난다.. 깊은 바다 속의 중압감을 확실하게 느끼게 해준다. 그리고 그 속에 한 줄기 떨어지는 빛과 함께













Into the Sea (Original Mix)
[Trance] by Adam Dived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것도 트랜스만이 표현할 수 있는 direct하면서도 독특한 분위기다. 수압과 해저의 기분을 소리로 이렇게 느낄 수가 있다니...









The Leaden Sea
[Ambient] by Coelacanth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래 해저를 테마로 한 곡은 아니지만 무언가 심연 속에서 생명체들의 움직임을 떠올리게 하는 음악이다.













Deep Blue Sea
[Psych Folk] by Dan Rossen (Grizzly Bear)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포크 송... 무언가 한바탕 사건이 끝나고 영화의 마지막 크레딧에 나오는 것 같은 그런..














Under Water
[Trance Vocal] by Delerium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저라기 보다는 얕은 어떤 곳을 빠르게 헤엄쳐 가는 그런 느낌의 보컬 트랜스 트랙......









728x90
반응형
반응형


Claire Denis  [J'ai pas sommeil (I Can't Sleep)] 1994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트 하우스에서 이 영화를 본 순간 자리를 뜰 수 없었다...
두 번 밖에 상영을 하지 않아 첫회를 보고 당장 한번 더 보기로 마음 먹었었다..
거기다가 감독인 클레어 데니스가 와서 토론을 벌인다하여 들뜬 마음에 일주일을 기다려 다시 갔으나...
감독의 개인사정으로 토론회는 취소되었다는 절망적인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하지만 다시 봐도 푹 빠져 버릴 수 밖에 없었던 걸작...

물론  오래 전 일이라 스토리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어쨋든 욕망이란 어떻게 채워지는가...
자신이 바라는 최후의 만족감을 느끼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지만 부분적으로 욕망을 채울 수는 있다는 철학을 담고 붙잡을 수 없는, 형체 없는 욕망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묘사한다...

물론 배경이건 설정이건 캐릭터건 침울하고 어둡고 비관적이다. 하지만 영화를 보며 그 사이키델릭한 몽환에 빠져 허우적거리게 만든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