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 1년에 한번있는 노동절...
낼 출근은 안습이지만... 그래도 평일날 하루 쉬는 건 직장인들에겐 정말 꿀맛같다...
날씨도 좋고 기분 좋구만...
이어폰이나 고치러 가야겠다...

하드한 프로그레시브/일렉트로/하우스 사운드의 니드와 샌씨...

M.U.S.I.C. (SymbolOne Remix) by Nid Sancy


My Rave (Sluttt Don't Fuck Remix) by Nid & Sancy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 출처: http://plfoto.com/



[Dance to Rock]
한창 프로그레시브 락이 잘나가던 70년대 시절 이야기다.
당시 락 전도사들이 보는 전자댄스음악의 이미지는 좋은게 아니었다. 아니, 오히려 애들 장난인듯 엄청나게 폄하하며 댄스음악을 경멸했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1.아직 크게 발달되지 않은 장난감 같은 전자 시디사이저 사운드 때문이고,
2.디스코 때문이었다. 엄청난 철퇴를 맞고 한 순간에 사라진 디스코 씬, 그리고 그를 대신한 락의 부활...

뭐 큰 분위기야 어쨋든, 전자음악과 락 사이에 수많은 인터랙션이 그 당시부터 진행되고 있었다는 건 부인할 수 없다.
Pink Floyd의 위대한 앨범들도 전자기기의 사용을 도입했고, 독일에서는 크라우트락을 통해 전자음악과 락의 크로스오버가 이미 진행 중이었다,
물론 밥 딜런고 통기타를 집어던지며 '전자'를 껴안았다.

이후 전자 음악 영역에도 기타를 집어든이는 얼마든지 많았다. 가장 대표적인게 70,80년대 성행했던 뉴 웨이브 신스 밴드들이다.

언제나 전자 댄스 음악과 락은 서로 어울리지 않는 관계이면서도 긴밀한 화학적 관계를 다져왔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혹은 오히려 지금 상황이 옛날보다 더 자유로운 것 같다.
락밴드들은 훨씬 수월하게 그리고 직접적으로 리믹서들과 연계하며 작업한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 선풍적인 관심을 모았던 Klaxons가 아직도 락 밴드인지 모르는 이들도 많을 정도다.
그 만큼 그들의 음악 전자댄스로 리믹스가 많이 되었고 클럽/페스티벌에서 이를 접하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전자음악과 좀더 깊은 관계를 맺는 일렉트로 락 계열 음악이 있는가 하면 이와 비슷한 선상에서 Danceable 댄서블한 락 사운드를 구사하는 밴드들도 꽤 많다. 이는 댄스와 펑크의 혼합 요소로 간단하게 댄스 펑크라 불러도 괜찮을 듯 싶다.

뭐 어쨋든 락이던 테크노던 하우스던, 사람의 신체와 정신을 자극하는 건 댄스 음악이 가진 가장 큰 매력이다.


밑은 걍 즐겨듣는 일렉트로 계열 락과 댄스 펑크 트랙들


Thursday (The Twelves Remix) by Asobi Seksu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키 치쿠다테라는 일본인 여성 보컬을 두고 있는 뉴욕 베이스의 3인조 밴드로 아소비 섹스는 일본말로 "즐거운 섹스"라는 뜻이라고 한다. 슈게이즈 성향을 많이 보이는 밴드로 그들의 히트곡 중 하나인 Thursday 리믹스는 원본이 가지고 있는 몽롱한 측면이 많이 죽고 좀더 밝은 분위기를 만들어 내고 있다





Men's Needs (CSS Remix) by the Crib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당히 댄서블한 트랙으로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그룹인 Cribs의 곡으로 영국 차트 13위까지 올라갔던 트랙이다.. 리믹스 담당인 CSS는 Cansei de ser Sexi라는 브라질리언 밴드로 신선한 댄스 펑크 사운드를 구사하는 한 아저씨와 몇몇 귀여운 어린 아가씨들로 구성됐다.
대중저거 인지도도 상당히 높은 그룹으로 요번 섹스 피스톨즈 리유니온 컨서트에 초대되기도 했다..
그래도 어느정도 펑크 성향이 있는 밴드라 후렴부에서 외쳐대는 "Men's Nee---d"라는 가사는 따라 부르고 있노라면 절로 흥이 난다 ㅋㅋ





Paris is Burning by Ladyhawke
사용자 삽입 이미지
뉴질랜드 출신으로 본명은 핍 브라운이다. 이 노래 나오고 한동안 자주 들었었는데 그의 바이오를 살펴보면 그녀의 음악적 영향과 뿌리가 개인적으로 호감이 많이 간다. 스티비 닉스, 조안 제트, 너바나, 홀, 반 헬렌, 딥 퍼플 등의 70,80년대 영향을 받았다는데 특히 헬스장 음악이라고 불리우는 하드락 사운드에서 남근성이 완전히 사라지고 여성성이 부여된 그런 느낌이다. 디스코스러움이 다소 묻어있어서 그런진 몰라도...








Music is my Hot Hot Sex(Kill the noise Remix)  by Cansei De ser Sexi
사용자 삽입 이미지
뉴레이브 바람이 불던 몇 년전 그리고 댄스펑크하면 가장 먼저 떠올랐던 그룹들이 바로 뉴영포니클럽과 칸세이데세르섹시가 아니었나 싶다. 이들의 가장 큰 히트곡은 아마도 Let's Make Love and Listen to the Death from Above가 아닐까?
루이자 하나에 마츠시타가 본명인 일본께 브라질 메인 보컬인 Lovefoxxx의 독특한 캐릭터의 인기가 독보적이기도 하다.
밴드의 사운드는 락그룹 키스와 롤링스톤즈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느낄 수 있다.
밴드 이름의 뜻은 "섹시하기엔 너무 피곤해"라는 뜻

특히 이 음악은 화제가 되기도 했던 영국의 18세 소녀 닉 헤일릭의  iPod 관련 광고 영상에 삽입된걸로 알고 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커버 아트는 티벳의 깃발아래 기타 포스를 작렬하는 Sonic Youth의 Thurston Moore



시청 앞 광장에서 벌어진 중국인 유학생들의 티벳 관련 난동 사건의 동영상을 보고 알 수 없는 분노와 억울함이 밀려왔다.

그넘의 돈,경제... 당장 먹고 살게 문제라 한국은 올림픽 보이콧도 못한다.그리고 듣기에는 그 난동부린 중국인들 다 훈방 조치 시켜줬다 한다. (일본은 싸그리 다 잡아드렸다 한다...들은 얘기지만)

그리고 어느 새 내 기억 속에서 잠시 사라졌던 추억의 앨범 하나가 또 올랐다.
한창 음악과 영화에 빠져 살던 시절 3장짜리 박스셋 라이브 씨디 앨범, 이름하야 [Tibetan Freedom Concert]!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등학교 시절 티벳이란 이름은 들어봤어도 그곳의 통탄한 역사에 대해서는 무지했다. 이 앨범도 티벳보다는 열거된 화려한 락스타들의 리스팅에 이끌려 산 것이었다.
지금 한창 지구촌 최대 규모 축제인 코첼라가 진행 중인데, 티베탄 프리덤 콘서트는 96-01년 사이 열린 음악축제로 그 라인업은 절대 코첼라에 뒤지지 않는다...단지 락 음악에 한정되어있다는 것 말고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쨋든 앨범 구입의 원인은 라인업이었으나 그나마 눈 앞에 펼쳐진 조그만 관점의 세계와 혈기만 넘치던 나라는 고딩에게 처음으로 티벳에 대해 알려준 앨범이어서 지금 더욱 특별하게 기억이 난다.

더군다나 이러한 상황, 정치적 메시지와 시대/체제에 대한 반항의 성격이 섞인 락 음악처럼 어울리는 장르도 없지 않을까? 락의 정신은 바로 이런 상황을 위한게 아닐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페스티벌은 역시나 '깨어있던' 아티스트들인 비스티 보이즈에 의해 조직 되었고 엄청난 성공을 이끌어냈다. 물론 수익금은 티벳을 위해 씌여 졌다.

물론 미디어를 통한 일종의 하입에 가득 찬 쇼 케이스라던지 티벳 따윈 관심 없고 엄청난 라인업에 의해 단지 음악을 듣기 위해 모인 인파라는 비아냥을 들을 수도 있다.. 그리고 들었었다.

하지만 이런게 바로 연예인(?)-깨어있는 아티스트로서의-이라는 공인으로서의 힘이 아닐까...
적어도 내가 이 앨범을 통해 티벳의 사정에 대해 알게 된 것 만으로도 감사하게 생각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만약 (이상적인 생각이지만)이 컨서트에 모인 사람들이 진정으로 티벳을 위해 모였고 중국의 성화봉송이 진행 중이었다면 과연 어떤 상황이 벌어졌을까?

폭력에 대한 응징은 다시 폭력으로 이어졌을까?
대규모 유혈사태가 일어났을까?
혹은 쪽수가 모자라는 중국 유학생들 서로 돈 모아 지내나라 10억인구 비행기 태워 미국으로 불러 쪽수 채워 컨서트 현장을 짓밟으려 했을까? (참고로 98년 워싱턴 컨서트 때 참가자는 12만명의 인파가 몰려 들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속의 중국인들의 모습을 보면 그러고도 남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얼핏 스쳐간다...

오늘 같은 날, 락 음악과 함게 '분노'하고 싶다...

아래는 티베탄 프리덤 컨서트의 트랙 리스팅과 영상자료들..

   DISC 1: TIBETAN FREEDOM CONCERT, NEW YORK CITY, JUNE 7, 1997:
  1. Begining Day Prayers - Monks From Depung Loseling Monastery/Nuns From The Tibetan Nuns Project
  2. Ground On Down -
Ben Harper
  3. Blues Explosion Man - Jon Spencer Blues Explosion
  4. Om Mani Padme Hung - Yungchen Lhamo
  5. About A Boy - Patti Smith
  6. Fake Plastic Trees - Radiohead
  7. Oh My God -
A Tribe Called Quest
  8. One -
U2
  9. Cast No Shadow - Noel Gallagher
  10. Wildflower - Sonic Youth
  11. Meija - Porno For Pyros
  12. Celebration, The - Nawang Kheehog
  13. This Is A Call - Foo Fighters
  14. The Bridge Is Over / Black Cop / South Bronx Medley -
KRS-One
  15. Star Spangled Banner / Nobody Beats The Biz - Biz Markie
  16. Closing Prayers - Monks From Depung Loseling Monastery/Nuns From The Tibetan Nuns Project
 
 
DISC 2: TIBETAN FREEDOM CONCERT, NEW YORK CITY, JUNE 8, 1997:
  1. Opening Prayers - Monks From Depung Loseling Monestary/Nuns From The Tibetan Nuns Project
  2. Yellow Ledbetter - Eddie Vedder/Mike McCready
  3. Noise Brigade - The Mighty Mighty Bosstones
  4. Type Slowly -
Pavement
  5. Gyi Ma Gyi - Dadon
  6. Heads Of Government - Lee Perry/Mad Professor/Robotiks Band
  7. She Caught The Katy -
Taj Mahal/The Phantom Blues Band/John Popper
  8. Beetlebum
-
Blur
  9. Electrolite - Michael Stipe/Mike Mills
  10. Ajo Sotop -
Chaksam-pa
  11. Wake Up - Alanis Morissette
  12. Hyper-Ballad -
Bjork
  13. Harder They Come, The - Rancid
  14. Root Down
- The Beastie Boys
  15. Closing Prayers - Monks From Drepung Loseling Monastery/Nuns From The Tibetan Nuns Project
 
 DISC 3: TIBETAN FREEDOM CONCERT, SAN FRANCISCO, JUNE 15-16, 1997:
  1. Birthday Cake - Cibo Matto
  2. Asshole -
Beck
  3. Me, Myself And I -
De La Soul
  4. Fu Gee La -
Fugees
  5. Bulls On Parade - Rage Against The Machine




 



No Shelter (TFC '96) by The Rage Against Machine



Root Down by The Beastie Boys




One by U2
728x90
반응형
반응형

Dream...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 출처: www.kristinsweetland.com

꿈은 현실 속의 소원을 성취 시켜주는 일종의 장치라고 프로이드는 말한 적이 있다.
물론 그 말에는 '억압된 성적 욕망에서 빚어진'이라는 말이 따라가긴 하지만...
어쨋든 꿈은 언제나 우리에게 신비로운 현상이며 경험이다
동시에 내가 존재하며 존재하지 않는
그런 신비로운...
그런 신비로운 꿈의 길로 인도하는 듯 한 음악들...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is the royal road to a knowledge
 of the unconscious activities of the mind
- Sigmund Freud




Cloudless
[Rock-Ethereal/Shoegaze/Gothic] by Cranes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딕 계열 그룹 크레인즈의 트랙
잔잔하고 반복적인 기타 선율과 에더리얼한 보컬이 몽환적인 dream state의 분위기를 연출한다.
더군다나 조금은 애기같은 (롤리타적인) 목소리가 마치 꿈의 세계로 오라고 손짓하는 요정의 속삭임 같다







Dream
[New Age] by Ryuichi Sakamoto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말 뉴에지라는 이름이 어울릴만한 트랙...
방울 방울 무언가에 꿈 속으로 빠져드는 듯한..
또 다른 세계로 넘어가는 다리위를 걷는 듯한..













Dream Long
[Folk / Psychedelic] by Christina Cart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시 몽환적인 기타 선율과 에코 가득한 보컬이 연출하는 꿈 속에서의 방황 같은 트랙










Together in Electric Dreams
[Indietronica/Lo-Fi] by Lali Puna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죠지오 모로더의 음악을 랄리 푸나가 리메이크한 곡...
곡이 이렇게도 변할 수도 있다니..
죠지오 모로더와 크라프트베르크가 절묘하게 조합된 듯한 트랙...








Questions in a World of Blue
[Dream Pop/Ethereal] by Julee Crui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신비함, 에더리얼 하면 빠질 수 없는 목소리가 바로 쥴리 크루즈다..
데이비드 린치 영화 사운드 트랙의 단골 손님으로 신비하면서도 어딘가 어둡고 두려움-고독을 자아내는 듯한 분위기의 목소리의 주인공이다
이 노래 역시 데이비드 린치의 Twin Peaks 삽입곡이다.







Precious
[Indie Pop / Shoegae] by Minipop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서히 꿈에서 깨어나는 듯한 느낌을 받는 트랙이다.
한창 꿈 속에 빠져있다 문득 현실의 지각과 교체되는 잠깐이지만 길고 영원한듯한 그 묘한 순간 같은 트랙...










728x90
반응형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뮤직 비디오나 음악이 들어가는 영상작업을 하면 항상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영상이 음악을 먹어버리는 경우...
어떻게 하면 음악을 돋보이게 할 수 있을까?

iPod를 지속적으로 애용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출퇴근 시간마다 짧게 짧게 담아 볼 수 있는 TED 영상 때문인데 뭐가 새로 나왔나 간만에 뒤적뒤적 거리다가 반갑게도 음악에 관한 발표가 나왔다.

Jakob Trollback이 만들었고 음악은 느무느무느무느무나도 위대한 시대의 뮤지션들인 David Byrne과 Brian Eno가 만들었다...

오우... 이펙트도 너무 좋고 음악과 영상이 상당히 싱크도 잘되고...
특히나 영상이 보조적인 역할을 하며 음악에 대한 이해도를 훨씬 높여주는 잘만든 작품이다.
뭐.. 입이 마르도록 칭찬밖에 할 수 없는 뮤직 비디오 영상...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말을 보내고 또 먼넘의 재미난 일들이 일어나나 살펴보다 어제 Louis La Roche라는 이의 음악을 듣고 화들짝 놀랐다.
(거기다 오늘 아모르님 블로그를 가보니 어느 새 거기도 포스팅이 올라와있고 ㅋ)

발렌타인 데이 즈음 해서 Love란 곡이 다프트 펑크의 토머스 뱅갤터의 신곡으로 흘러다녔었는데,

알고보니 Luois La Roche라는 한 17세 영국인 청년의 자작극이었다는...ㅋㅋㅋ
"토머스 뱅갤터의 신보입니다"하고 레이블들에 뿌린 모냥이다..

 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의  프렌치 하우스 사운드에 사람들이 지치며 슬슬 하드한  Justice류의 신종 프렌치 하우스 사운드로 넘어갔다. 그리고 정말 아무도 아무도 이런 사운드를 다시 안만들어 낼 줄 알았는데,
그 좋았던 시절 프렌치 하우스의 그루브를 다시금 이끌어냈다...
그것도 한 영국인 십대 청년이!

이거뭐 키추네니 에드 뱅거니 하두 잘나가는 프랑스라 침체기에라도 있었다면 그 옛날 제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성공에 비유할 만도 한데 현 상황은 그런 비유가 적절치는 않다.

어쨋든 오랜 문화적 라이벌인 두 나라 사이에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 보는 것도 상당히 흥미롭긴 하다.


이번에 실린 EP 속 모든 트랙들은 다 좋다... 그리고 그 중 가장 처음 귀를 자극하는 건 머니머니해도  Peach...

이 사운드도 이젠 올드스쿨 사운드라니 ... 시간이 참 빨리 간다는 생각이....ㅜㅜㅋ



[House / French / Funk] Peach  by Luis La Roche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추억의 90년대, 바닐라 아이스의 Ice Ice Baby  Remixes

이 음악이 처음 나왔을 때만해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었다.
패션이며 춤이며 다들 따라하고 있었고,
하지만 거의 병X 취급 받으며 욕도 많이 먹었지만 이젠 추억의 팝송이 되어 90년대 유년시절의 향수를 자극하는 Vanilla Ice의 Ice Ice Baby.

백인이지만 거리의 아이로서 자라났다 떠들어 대다가 여느 부유한 중산층 백인아이의 삶을 자란 것으로 밝혀져 완죤 매장되어버린 비운의 주인공...

바닐라 아이스의 아이스 아이스 베이비 리믹스들

Yo, Word to yo mother~


[Electro / Break] Ice Ice Baby (Bertie P Mix) by Vanilla Ice


일렉트로 팝과 하우스 사운드가 가미 된 상큼한 Upbeat 분위기의 트랙...



[Electro / Hip Hop(?)] Ice Ice Baby (Miami Drop Mix) by Vanilla Ice



좀더 원곡에 가까운 사운드로 리믹스한 팀의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마이애미 베이스의 기본적인 브레이크 사운드가 섞여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태리의 유명 엔터테이너 Adriano CelentanoPrisencolinensinainciusol,

이태리에서는 거의 40년이 넘게 사랑을 받아오는 독보적인 존재라고 한다. 

 Alright이란 부제로 발매되었었다...

어찌하였건, 이 영상도 눈을 때지 못하게 만드는 코리오그래피의 매력이 잔뜩 담겨있다.
메스 게임이나 단체로 뭘 하는 걸 보면 뭔가 벅차오르는 것 같은 스케일을 통한 감동을 받는다.
군대의 행군도 그런 맥락이 아닐까...ㅜㅜㅋ

어찌했건 아드리아노의 독보적인 캐릭터도 돋보이지만,
무엇보다 눈에 띄는 것은 많지 않은 숫자의 댄서들을 사용하면서도 간단한 장치를 통해 스케일의 극대화를 일궈내며 웅장함을 보여준다는 것.

1.거울
-거울에 비치는 무한대의 댄서들을 통해 스케일의 극대화를 끌어냈다

2.큰 움직임
-댄서들의 춤이 보다 과장 되고 큰 움직임을 보여주는데 이건 거울이라는 장치를 통해 더욱 스케일의 효과를 더해준다.



플러스, 마지막 댄서들이 만들어내는 움직이는 박스 형태의 정렬 또한 눈여겨 볼만하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I Need that Record" [그 레코드가 필요해!]

디지털 Mp3와 대기업에 의해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곳은 과연 대형 음반사들 뿐일까?
그들이야 거의 기업 수준의 덩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신문에서 항상 죽어가는 소리를 들어도 '그들'의 죽어가는 소리다.

하지만 정작 죽어가는 건 그들만이 아니다.

우리에게 크고 작은 digging의 기쁨과 환희를 안겨주었던 그 크고 작은 음반 가게...

디지털 음원 뿐만 아니라 대기업식 시장과 정부의 무관심에 의해 그들을 거리로 내던져 지고 있다...

항상 그런 기억이 있다.
백화점이나 대형 음반 매장에서는 구할 수 없는 앨범들을 찾아 이리저리 해매다 수소문 끝에 어렵게 찾아가던 어디어디의 작은 음반가게에서 찾던 음반을 손에 쥐었던 그 희열감..

그리고 그 음반 가게의 주인 형/아저씨/누나/아줌마들은 항상 나름대로의 깊은 '테이스트'를 가지고 여러 사람의 음악에 대한 시야를 넓여 주었다...

그리고 그 곳에는 '사람들과 부딪히는 따듯한 정'이 숨쉬고 있었고 그것은 다시 커뮤니티를 만들어가고 결국 다양성이 공존하며 영양가 많은 문화를 만들게 했었다.

이 다큐멘터리는 지난 십년 간 3000여개가 넘게 사라져 버린 인디 음반 가게의 상황을 돌아본다...

10년 동안 터줏대감 처럼 지키고 있다 결국 문을 닫고 떠나며 이젠 무얼 할거냐는 감독의 질문에 아무 말도 못한 채 수심에 잠겨 있는 한 음반 가게의 주인의 얼굴을 보며 한없이 마음이 저려온다.

어찌하였건 국내 개봉은 못하겠지만...
중간중간 프리뷰에 나오는 유명인사들의 '한마디'들을 모아서 적어본다...






유명인사의 한마디들..

*Legs McNeil (작가, Punk 매거진, Spin 매거진)
 "지금 우리는 전쟁의 시대에 있어요..
그리고 우리는 미국 역사상 가장 멍청한 대통령을 두고 있습니다.
그 상황에서 레코드를 걱정한다구요?
레코드가게가 위험한가요?
레코드가게보다 더 위험한게 얼마든지 많다구요..."
(다른 것엔 관심 없는 정부와 권력을 비꼬는 분위기...)


* 누군가(?)
"레코드가게, 레스토랑 같은 작은 종류의 소규모 가게들이 망해가는 걸 볼 때 마다 그런 걸 느껴요. 속에는 커뮤니티의 개념이 녹아들어 있었는데 말이죠. 그리고 그런 커뮤니티의 느낌은 지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Ian Mckaye (Fugazi)
"대형 음반사에서 일하는 사람들 중 음악을 좋아하고 음반 시장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을겁니다. 하지만 이거 하나는 자신있게 말해드리죠. 그 대형 음반사를 가지고 있는 인간은 절대 음악에 대해 걱정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돈 밖에 생각안하죠."



*Patterson Hood (Drive-by Truckers)
"대형 라디오 방송국의 오피스에서 짜내는 한 개의 플레이 리스트가 전국 규모로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그건 음악의 지역성을 죽여버리는 일이죠."


*Mike Dreese (Newbury 코믹스)
"당신이 작은 마을 규모의 커뮤니티에 살고 있다면 다른 방도가 없습니다. 왜냐면 월마트가 모두를 집어 삼켜버리거든요. (미국에서 구입되는 5 개의 앨범 중 하나가 월 마트에서 구입됩니다)"


*Thurston Moore (Sonic Youth)
"요번에 50이 됩니다. 근데 아직도 제 꿈은 음반가게 하나 가지는 겁니다."


*Glenn Branca (아방가르드 아티스트, 작곡가)
"가게는 끝장 났어요. 아무도 아직도 모르나요? 지금 제가 뭔가 새로운 거라도 얘기하고 있나요? 끝장 났어요..."


Lenny Kaye (Patti Smith Group)
"항상 타운에 들어가면 음반가게에 들려 렉에 어떤 새로운 음반이 꽂혀져 있나 확인하는 걸 좋아했어요.. 전 항상 새로운 음반이 필요했기 때문이죠 ㅎㅎㅎ"


Noam Chomsky (작가, 활동가, 언어학자)
질문: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락 앨범이 뭔가요?"
촘스키: "ha ha ha... you got me on that one~^^"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거 뭐 전 세계 클럽 사운드를 쥐었다 폈다 하시는 거물급이라 올리기도 뭐하지만,

주말 어디 갈 일이 있어서 밤에 고속도로를 질주하다
날씨도 좋아 창문 찍 열어 놓고
초 여르므이 공기 흠뻑 퍼마시며
Shuffling되는 iPod에서 갑자기 Justice의 Phantom II가 흘러나오는데,

뭐 이리 기분이 좋을 수가 있는지...
순간 답답한 마음이 뻐엉~ 뚤리는 듯한!

사실 옛날부터 iPod 안에 작은 난쟁이들이 살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Shuffle 모드로 켜놓은면 어찌 그래 분위기에 잘 맞추어 음악이 나올때가 상당히 많은지...
출근 하는 비몽 사몽 아침에는 잔잔한 클래식을 떨어뜨려 주더니,
주말에는 업비트한 락 사운드나 클럽 사운드를 울려주고,
컴퓨터 앞에서 작업 할 때는 4차원으로 인도하는 엠비언트를 날려주고,

몇 번이나 뜬금없이 날아가버려 나를 절망에 차게 하지만 미워할 수 없는 초현실적인 이유!
(니들 지금 나보고 인금 인상하라고 시위하냐?)

정말 난장이가 살고 있다고 생각할 때가 한 두번이 아님...

사실 이 날도, Justice의 신랄한 일렉트로 하우스 사운드가 끝나니 마침 고속도로를 빠져나와 단지 안으로 들어올 참이었고 차의 속도가 줄어들며..
iPod 난쟁이들이 던져준 노래는 [그 여자 작사, 그 남자 작곡]의 휴 그랜트와 드류베리모어의 간질간질한 듀엣 발라드였다...

자동차며 나의 마음이며....순간 Calm down되는...

흐미...

낯 간지러...

개인적으로는 Soulwax remix를 추천!


Phantom Pt.2 (Soulwax Remix)  by Justice


Phantom Pt.2 (Boyze Noize Remix) by Justice


Phantom Pt.2 (Hydroz Remix) by Justice






728x90
반응형
반응형
Lykke Li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출처: Flickr: iheartmalmö



스웨덴의 일렉트로 팝 액트 중 하나인 Lykke Li의 새 뮤직 비디오인 I'm Good, I'm Gone이 새로 나왔다.

이번에도 상당이 괴팍한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이런 류의 음악을 별로 appreciate하지 않는 사람은 어쩌면 얼핏 보기에 왠 똘끼에 가득찬 이상한 여잔지 할 사람도 있을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다른 쪽으로는 천재성으로 읽어도 되지 않을까?
여느 보통의 팝 보다는 훨씬 높은 레벨의 음악성을 보여주고 엔터테이너 특유의 포퍼먼서적 성격까지 더해지 그녀,
엔터테인이라기 보다는 하도 괴팍하고 유별나기에 오히려 아방가르드에 더 가까운 전위적인 '몸부림...'

저 정도 미모면 '그들'이 좋아하는 그 '우아'하고 '지적'이고 '세련'되고 '청순'한 캐릭터 설정도 충분할 텐데
(거 대충 화장 좀 해주고 옷 좀 입히고 사진 찌고 포샵질 쫙 해주면 끝 아닌감?-에라이 그지같은 몸짱이니 얼짱이니..)

어쨋든 그녀는 분명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지닌 것만에는 분명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이오그래피도 특이 하다.
86년 생으로 음악하는 아버지, 사진찍는 어머니라는 예술가 가정에서 태어나서,
포루투갈에 한 5년 살다가 네팔과 인디아에서 작가 생활을 하다 돌여 스웨덴 TV 쇼 백댄서를 하기 시작했다.
그러더니 2008년 급기야 솔로 앨범까지 냈다.
그녀의 히트곡인 "little bit"의 발표는 07년도의 일이다.


난 개인적으로 전위적인 천재 쪽에 손들어 주고 싶다...

그렇게 무겁지만은 않으면서도 가볍지도 않은...

웃겨야 될 상황같으면서도 상당히 웃을 수 없이 진지하고...

기존 블랙 코미디 영화와는 또 다른 모순의 매력을 담고 있다.
 


 

I'm Good, I'm Gone by Lykke Li





이건 그녀의 전 트랙, Little Bit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으로부터 약 12년 전인 1996년의 일이었다.
한 창 나의 방짝으로부터 음악 영향을 많이 받던 시절이었다.
그 친구는 나에게 언제나 새롭고 실험적이고 신선한 앨범으로 날 감동 시켰다.
그 친구에 의해 한창 Jon Spencer Blues Explosion의 하드락+블루스 퓨전에 빠져 있던 나날 중 무슨 노리끼리한 페이퍼 케이스로 된 앨범을 가지고 오더니 한 마디 던지더라.

"너 버터08이라고 아냐?"
"몰라"
" 존 스펜서 블루즈 익스플로젼의 럿셀 시민즈랑 시보 마토 (Cibo Matto)랑 붙어서 앨범 냈다"
"음...."
"들어봐"
......
.......
......
"썅, 이거 장난 아니다"

---그 자식, 이 말듣고 음흉한 미소지음......


정말 고마웠던 그 친구,
고딩 졸업식날 대학가서 공부 열심히 하라며 나에게 선물 두 개를 주었다.

하나는 자기 어머니가 깐느 영화제가서 기념으로 사온 티셔츠랑,
Atari Teenage Riot의 미국 발매 바로 전 프로모션 뿌릴 때 만들었던 한정 페이퍼 케이스 씨디 앨범...

썅 고마워서 눈물날 뻔 했다.....

쉑히... 쿨하기는...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앨범 소개는 대충...
비스티 보이즈의 그랜드 로얄 앨범에서 출시되었는데,
여자 비스티 보이즈라 불이었던 일본계인 CIbo Matto와 ,
SKeleton Key의 ,릭 리,
Moby, Air, BLonde Redhead 등의 걸출한 음악인들의 뮤직 비디오 감독을 했던 마이크 밀즈,
그리고
Jon Spencer Bluse Explosion의 드러머인 럿셀 시민즈가 모여 만든 프로젝트 그룹이었다.

뭐 멤버 구성만 보아도...
나름 언더그라운드계의 엄청난 사건이나 다름없었따..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들어봐야 안다...

자... 상상하자... 이제부터 12년 전의 사운드로 돌아간다....


All Music by Butter 08


9mm


Shut Up


Butter of 69


Mono Lisa


What are you Wearing


Butter Fucker


728x90
반응형
반응형
또 날라갔다...
귀차니즘에 의해 바꾸지도 않는다...
귀차니즘은...
정말...

ㅜㅜㅋ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즘 얘길 다뤄 볼까 하다가
결국 몇 달 시간을 옛날 에기에 까먹고 요번 원고는 Dubstep으로 하기로 했다...
많은 얘기는 다루지 못해 조금은 아쉬운 감이 있지만...
어찌하였건...

위기의 도시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딱 어울릴 만한 동시대의 사운드 트랙이라 불리울 만한 사운드가 아닌가 싶다.


요거는 가장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Dubstep 아티스트 중 베리얼과 스크림의 트랙...


사용자 삽입 이미지
[Dubstep] Unite by Burial

사용자 삽입 이미지
[Dubstep] 2-D by Skream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멜로딕 팝 하면 항상 북유럽을 떠올린다.
북유럽하면 햇갈린다..
스웨덴과 노르웨이 그리고 덴마크...
다른게 뭔지?
현지 사람들도 이에 기분 나빠 한다...
어쨋든 좋은 복지 시스템에 살기 편해 자살률도 높다고 하는데 과연 이런 Happy한 멜로딕 팝들이 많이 터져나오는건 흥미로운 모순이다..

요즘은 Dubstep, Progressive와 함께 인디팝에 한껏 빠져 사는데,
Alphabeat의 음악은 보면 볼수록 들으면 들을수록 기분 좋아진다.
 
덴마크에서는 이미 상당한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인기 팝밴드라고 하는데,
Fascination이 UK 릴리즈가 되면서 그 쪽에서도 한창 인기를 얻는 모양이다..
스파이스걸즈의 리유니언 컨서트 때 오프닝 밴드로 초대되었는데, 음악 스타일이 맞지 않는 다는 이유로 고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아, 엿같고 우울한 나날, 단거 하나 빨아 먹는 기분으로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남성 보컬인 Anders SG는 상당히 오바스러운 upbeat 막춤과 열정이 매력이다..
그리고 앤더스가 비교적 캐쥬얼 스타일인 반면 여성 보컬 Stine은 나름 센스가 돋보이는 패셔니스타다..  예쁜 얼굴은 아니지만 상당히 귀여운 매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나머지 밴드 멤버들도 장난기와 얼굴에 함박 웃음 가득한 독특한 캐릭터를 지니고 있다.


[Pop] Fascination by Alphabeat
그들의 공전의 히트곡인 Fascination의 뮤직 비디오... 밴드 전 멤버의 모든 매력을 흠뻑 느낄 수 있다.




[Pop] Fantastic 6 (Muzzle Flash Remix) by Alphabeat
갠적으로 가장 좋아라 하는~





[Pop] Digital Love (Daft Punk Cover) by Alphabeat, Leon Jean Marie, Frankmusik
Daft Punk의 디지털 러브를 커버한 곡인데 이것도 나름 괜찮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오늘 날 정치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공정책의 제안, 입안, 결정 등에 대중이 참여하는 일은 거의 없고, 사람들이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단체조직도 없다. 마지막으로, 사람들은 먹고살기가 너무 바빠서 공공영역에서 벌어지는 의미 있는 일에 참가할 겨를이 없고, 설사 그런 기회가 있다고 할지라도 참가할 의욕이 없다. 이런 조건들 아래서 민주주의는 아주 가녀린 갈대에 지나지 않다."


"...월터 리프만의 구분대로라면 한쪽에는 "책임지는 사람들"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무식하고 어중이떠중이 아웃사이더"인 민중이 있습니다. 하지만 민주사회기 때문에 그런 민중도 어느정도 역할이나 기능이 있어야 한다고 리프만은 말합니다. 그 기능이란 참여자는 안 되고 구경꾼이 되어야 한다는 겁니다. 리프만의 표현을 빌리자면, 책임지는 사람들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입니다. 이른바 "선거"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민중은 집으로 가서 슈퍼볼 경기를 보거나 기타 정치와 상관없는 일을 해야 한다는 거지요.


<Chomsky, Democracy, Education> 중에서...


사용자 삽입 이미지

Oops~ 한방 먹었네...
입장이 이렇게 바뀌어야 돼는 거지?



Faces on Fire by Times New Viking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큼한 월요일 시작을 도와주는 기분좋은 음악이 하나 새로나왔다.
Titiyo의 음악으로,
Kleerup의 점진적이면서도 차분한 일렉트로 사운드가 편안하다.




Longing for Lullabies by  Kleerup ft. Titiyo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진 찾을 기분도 안든다...

짜증나는 삼국지...용의 부활...
뭐그리 국내 신파 드라마 스러운지... TV로 보는것만으로도 족할 것을...

삼국지...조자룡...
적어도 우리나라의 남성들에게는 특별한 의미로 다가올 것이다...
책도 책이지만...

십 몇탄이 나온 삼국지 게임을 통해 십년이 넘도록 일이년에 한 번씩 꼭 꼭 날밤을 까게 만들어 더욱 특별한 삼국지... 나도 그 중 하나다...ㅜㅜㅌ
사이드로 천지를 먹다 시리즈도 살짝쿵...

6권짜리 정비석의 삼국지를 옆에 끼고 마지막권에 나오는 인물열전 하나하나 체크해가며 게임을 즐겼던 오덕의 아우라를 서슴없이 뿜어내었던...
몇 번이나 읽어 재끼고 그것도 모잘라 이문열 삼국지에 고우영 삼국지까지...

한장면 한장면...  상상 속의 나래를 피게 만들었떤...
그 중에서도 가장 인기있는 캐릭터 중 하나였던 조자룡...
그를 유덕화 분으로 만나게 되었는데...

이게 왠일....
안그래도 나날이 늘어가는 유덕화의 이미지에 이연걸과의 전작이 너무 좋아 주저없이 선택하게 되었으나...
몹쓸 경험만 하게 되었다...

동양에서 젤 잘나가는 배우 중 하나인 유덕화를 전면에 세우고,
그 시절 그 사람들이 보고 사랑했을 법한 추억의 배우 홍금보을 사이드에 장착하고,
거 "인터네쇼날"한 배우 없나하고 뽑은 직한 메기 Q.....
(영어만 하는 메기 큐의 어설픈 더빙은 정말 최악 중의 최악이었다)...

증말 신물나는 혼자 잘나고 뭐든 척척 다해내고 마지막까지 장렬하고 위엄을 보여주는 영웅주의 미화...
간간이 나오는 신파스러운 장면들...
사극 드라마를 보는 듯한 늘어지는 따분한 내러티브들...

더군다나 "중국"영화라는 간판을 달 때 가장 어필하는 캐릭터인 '스펙터클'의 부재..
지금까지 본 중국 무협, 전쟁 영화 중 이렇게 초라하고 쪼잔한 스케일의 전쟁 씬이 있을까...

나관중 삼국지의 내러티브는 후다다다다다다다닥 결말지어지고 백발 노인이 된 조자룡을 내세워 픽션을 나래를 펼치며 영화는 이상하다 싶을 정도로 지금까지 욕먹어 온 한국형 내러티브를 떠올리게 한다...

거기다가 갑자기 조자룡이 계백 장군이 되더니 조영은 화랑관창이 되기도 하고 다시 조자룡은 이순신 장군까지 떠올린다..

마지막 조자룡의 비장의 출격 전 흐르는 썡뚱맞은 음악하며....

이거 혹시 한국 영화였나요?
사전 정보가 없어서 합작 영환줄 몰랐다...

아무리 좋게 보려 해도 그 망령의 아우라를 지울 수가 없다...

스태프, 배우 모두 중국으로 바뀌었건만 어찌 그래 영화를 잘도 망쳐놓을 수 있는지....

***여기서 말하는 '한국 스럽다'는 더 이상 창의니 철학이니 발견할 수 없을 정도로 한국 영화계를 망쳐놓은 현상의 의미로서 한국 스럽다 임 ******

그 옛날 한국 영화 힘들다며 스크린 쿼터 행진을 하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그 힘들었던 시절 영화관 간판에 걸려있고 비디오집에 진열되어 있던 진주 보석같은 한국 영화들을 잊을 수 없다...

어느새 투캅스-->친구-->태극기 식의 영화들이 한국영화 질을 떨어 뜨려 놓으며 급기야는 조폭 코미디 바람이 불고 저질 쓰레기들이 난무하며 더 이상 영화를 사랑하는 영화인들이 꿈을 펼칠 수 없고 더 이상 영화를 사랑하는 영화인들이 결국 한국 영화에 등을 돌리게 만들어 버린 지금... 과연 관객이 충무로를 욕하는게 부당할까?

힘들었던 그 시절...

난 아직도

김기덕 감독의 초기 작품의 거칠은 영상 속에 펼쳐지던 충격과 분노,
(악어와 파란대문!)
박종원 감독의 그 밀실같은 폐쇄된 공간 속의 긴장과 인간 군상,
(송어와 파라다이스 빌라!)
임권택 감독의 (욕도 많이 먹지만 그래도!) 고추장스러운 느낌의 연륜,
(태백산맥!)
홍상수 감독의 그 뻔뻔하고 너덜너덜스러움,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박광수 감독의 그 깊은 철학,
(그 섬에 가고 싶다!)
이명세 감독의 그 시간을 잊은 듯한 로맨스,
(첫 사랑과 남자는 괴로워!)
송능한 감독의 그 말빨,
(넘버 쓰리!)
장진 감독 초기시절의 그 신선함,
(기막힌 사내들!)
남기웅 감독의 그 기막힌 괴기한 상상력,
(대학로에서 매춘하다가 토막 살해 당한 여고생 아직 대학로에 있다!)
 그리고 대한 민국의 역사를 진지한 모습으로 살펴보게 해준 정지영 감독과 이창동 감독,
(남부군,하얀전쟁과 박하사탕!)
등등 .... 그리고,

마지막으로 잊혀지던 배용균 감독의 작품을 다시금 영화관으로 올려놓기도 한 수많은 국내 영화지킴이들의 열정을,
(검으나 땅에 희나 백성!)

개인적으로 내 인생관과 생각에 많은 영향을 준 작품들이었고
난 잊을 수 없다.....

한없이 그리워 진다....

다시금 그런 '좋은' 영화들...
우리를 돌아 볼 수 있게 만들어 줄 그런...
영화들을 이 땅에서 다시 만날 수 있을까?

돈만 가져다 푼다고 모든 일이 잘되는 건 아니겠지?
무턱데고 (디 워처럼) 우리것이 좋은 것이여 그래서 모두 다 우리 걸로 해야돼를  외쳐대는 것도 아니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땅에서 더 이상 나올게 없다고
딴 나라 기술, 딴 나라 이미지, 딴 나라 머시기 써도
그걸 써먹을 줄 모르고 볼 수 있는 '눈'이 없다면,
그것도 무용지물이겠지?

아 기분 드럽네.... 오늘....
옛날 영화나 한 편 보고자야겠다....ㅜㅜㅋ
728x90
반응형
반응형
클럽 컬쳐 매거진 블링 연재 중인 일렉트로니카 이야기 관련 칼럼인 PLUR & Vibe Upon the World 옛 하드카피 원고들입니다.
hyperlink를 통해 좀더 나은 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아직 연재 중인 컬럼이니 잡지와는 시차를 두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퍼가시게 될 때는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PLUR & Vibe Upon the World18:
 
       Shibuya-Kei Part 2.: 왜 된장의 사운드트랙인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기 침체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사용자 삽입 이미지
  90년대 초반 일본은 버블 경제 붕괴와 부동산 공황의 여파로 소위 '잃어버린 10년'이라는 경제적 침체기를 지내고 있었다. (어떻게 보면 10년 전 일본의 모습은 IMF 이후 경제적으로 악화 되어 가는 지금의 한국과 많이 닮았다 그리고 옆의 그래프는 잃어버린 10년 간의 미취업률 분포도이다.)

하지만 언제나 경제가 힘들 때 놀랍게도 언더문화는 발전해 왔다. 영국의 하우스 문화와 일본의 시부야케이가 아주 좋은 예다. 시부야케이는 경제의 침체 속에서 체제를 거부하며 젊음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정과 창의력 그리고 철학과 실험정신을 통해 시작된 일종의 문화 현상이었다. 결국 경제 침체 속의 분위기에서 그 새로운 문화는 어느 때보다 영광의 빛을 뿜어 내며 가, 애니메와 함께 전 세계에 일본의 선진 문화를 널리 알린 일등 공신이 되었다.
 

경제가 힘들때면 문화는 꽃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가적 경제 침체는 소비 시장의 위축을 불러 왔지만 이 새로운 물결은 그 공허한 빈자리를 신선함과 또 다른 열정으로 채웠다. 젊음의 언더문화는 뒷골목의 음침함을 걷어버리고 거리로 쏟아져 나와 춤을 추었다. 대기업의 유통망을 통하지 않은 새로운 패션 스타일과 브랜드들이 튀어나오기 시작했다.
 
이는 곧 음악 취향의 변화도 이끌고 왔다. 통기타와 락 그리고 대중 가요라는 뻔한 선택권 밖에 없었던 젊은이들은 테크노, 힙합, 하우스 같은 다양한 음악 장르에 심취하기 시작했고 이 것이 꽃피는 곳은 바로 클럽이라는 공간이었다.

더욱 많은 이들이 모여든다는 것은 무언가 흥미로운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었고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정보화의 흐름에 탄력 받은 디자인과 미디어 매체의 활성화도 따라왔다. 바로 창조적이며 열정적인 실천과 실험에 의해 문화적 다양성이 실현되는 숨막힐 정도로 아름다운 순간들의 연속이었다. 90년대 이 열정적인 문화적 움직임의 주역이 바로 시부야케이였던 것이다.    
 

정치적이지도 반항적이지도 않은 별난 언더문화
사용자 삽입 이미지
헌데 시부야케이는 언더문화로서 특이한 면을 많이 가지고 있다. 한번 질문해 보자. 언더문화의 특징이 뭐냐 물으면 반항, 무정부주의적, 파괴, 폭력, 정치성과 같은 격한 이미지들이 보통 떠오를 것이다. 왜냐면 지금까지의 언더문화들이 그래왔기 때문이다.

펑크건 하우스건 그런지건 기성세대와 절대 권력을 향한 강하고 파괴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가장 최근에 일어났던 이모(Emo) 현상도 별 다를 바 없다. 겉으로만 찔찔 짜고 있을 뿐 내적으로는 철저히 자기 파괴적이라는 성향은 꼭 닮아 있다. 근데 시부야케이는 비폭력적이고 정치적 성향도 없다.

그 뿐인가, 히피와 LSD, 하우스와 엑스타시 처럼 마약과의 연관성을 찾아볼 수도 없다. (항상 언더문화의 부록처럼 따라다니는 것이 마약이건만) 그럼 대체 뭔가? 말 그대로 언더문화도 아닌 것 같은 것이 언더문화였던 괴물 같은 변종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현상의 원인은 그 출발 시점의 상황에서 발견할 수 있다. 서구의 언더문화를 보면 대부분 억압받고 위축된 젊은 세대들의 과격한 반항적 성격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이 주역들은 노동계층의 젊은이들이 대부분이었다. (물론 전부 다 그렇지는 않지만)

하지만 시부야케이의 경우 (서구보다 덜 반항적이고 순종적인 일본인들만의 특성인지 모르겠지만) 억압된 노동계층의 반란이라기 보다는 좀더 여유 있고 학구적인 중산층들이 시작의 발단에 서있었다. (그렇다고 선택된 엘리트들의 세련된 선택이라는 반 민주주의적 발언은 아니다.)

그리고 철학과 인문적 소양을 발판으로 한 이들의 문제는 마케팅 혹은 프로파간다적 미디어 세뇌를 무기로 한 주류문화에서 어떻게 탈출하는가에 관한 것이었다. 이는 오히려 60,70년대 반전을 외치며 정치적 선상에 서있던 우두스톡의 무리들과 정 반대편에서 나르시시즘에 빠져 물질/소비주의 사회의 실체를 바라보려 했던 벨벳언더그라운드와 앤디 워홀과 더 닮아 있다.
 
시부야케이는 이를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선택했다. 바로 세계화라는 거대한 흐름의 핵심인 소비주의 사회를 끌어 안으며 자신들이 어릴 적 즐겨 듣던 음악들에 대한 향수를 표현하는 것이었다.
 

글로벌리스트 소비 사회의 무정체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주의는 어디까지나 일본이 지향했던 미국 경제 모델이 발판이었고 그들의 현실을 힘들게 만든 주체임에도 불구 하고 그들은 반감은커녕 오히려 품에 안았다. 소비주의의 특성인 소비하고 수집하고 꾸미는 행위에 대해 언제나 열려있던 현대 일본 문화의 특징을 보면 시부야케이는 물론이고 무라카미 타카시, 요시모토 나라와 같은 걸출한 팝 아티스트들이 터져 나온 맥락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더욱 극적인 것은 그들이 찾아낸 표현의 탈출로가 그들이 소싯적 즐겼던 60년대 유럽 문화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90년대 세계의 음악적 흐름이었던 샘플링 컬쳐가 만나 하이브리드적 사운드를 만들어냈다. (동시대 흐름이었던 힙합, 하우스, 테크노와 그들의 향수 속에 존재했던 프렌치 팝, 이탈리안 사운드 트랙, 보사노바, 매드체스터, 아노락팝, 크라우트 락 등의 여러 요소들이 만나 일종의 짬뽕 세레나데를 일구어 냈다.) 열거한 음악 종류들을 보면서 현기증이 날 듯 하듯이 시부야케이는 어중간한 크로스오버의 레벨을 넘어선 새로운 변종이었다. (이는 1920년대 디자인의 극단을 보여준 다다의 브리콜라쥬와 패스티시를 연상시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과적으로 민족주의, 특정문화와 같은 절대적 도그마가 사라지며 '정체성'이란 것은 투명하게 사라졌고 테크놀로지, 모더니즘, 팝 아트가 묘하게 혼재된 아주 인공적이고 플라스틱한 레트로 퓨처리즘을 탄생 시켰다. 특히 이 인공적이고 플라스틱한 측면은 소비주의가 내세우는 '세계화' 혹은 글로벌리즘과 꼭 맞아 떨어진다. 세계화의 특징은 특정 문화에 영향 받지 않고 어디에나 침투할 수 있는 '무정체성'이다.

미국적 자본주의 시스템을 주체로 유럽피안적인 미학을 가미한 시부야케이의 동양적이지도 서양적이지도 않은 사운드의 무정체성은 현재(혹은 그 시대) 글로벌리스트 소비사회를 그대로 비춰주며 세계화 시대의 진정한 사운드 트랙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신자유주의라는 이름으로 일본은 물론 한국을 압박하고 있는 미국식 소비 사회의 찬양이라고 무작정 받아들여서는 안될 것 같다. 오히려 하이테크, 기업, 미디어, 소비 그리고 도시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동시대적인 현실의 감수성을 그대로 담아낸 헬로키티의 괴기한 거울과 같다고 하는 게 더 어울릴 것이다.


 
---------------------------------------------------------

그 외: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외로 짧게 나마 다루고 싶은 것이 두 가지가 있다. 먼저 Digging이라고 하는 수집의 미학이다. 숨어있는, 혹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사운드를 찾아내는 DJ의 필수 요소로 DJ Shadow와 DJ Spooky와 같은 턴테이블리스트들이 그 대명사로 꼽힌다.

     시부야케이가 샘플링 컬쳐를 껴안은 만큼 이 디깅의 미학도 빛을 보았다. 옛 유럽 음악들과 새로운 인디 밴드들의 사운드의 소개는 물론 일본에서 들을 수 없었던(그리고 전 세계에서 잊혀졌던) 사운드들이 시부야케이 음악 속에 샘플링 되어 담겨졌다. 저작권이라는 고질적인 문제는 아직도 풀리지 않았지만 이 디깅의 미학은 시부야케이 아티스트들의 보물 창고로서 그들의 음악성에 있어 절대적인 힘이 되었던 것이다. 시부야의 HMV에서 시부야케이 음악을 찾던 이들의 행위 또한 일종의 디깅이었고 이는 결국 시부야케이라는 용어를 탄생케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부야케이의 죽음 또한 디깅의 미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시부야케이가 거대한 대중문화 현상으로 떠올랐을 때 미디어는 호들갑을 떨었다. 결국 시부야케이가 가지고 있었던 디깅을 통한 희소성은 사라졌고 인사이더가 되거나 공들여 찾지 않아도 카페나 미용실에 얹혀져 있는 잡지에서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쿨한 트렌드 아이템으로 전락한 것이 바로 몰락의 원인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 번째로는 여성 아이콘에 관한 것이다. 이 것 또한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한 부분이지만 우선적으로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에 대한 상징적 의미 부여라는 점을 뽑고 싶다.
 
지금도 완전히 사라지진 않았지만 대부분의 그룹에서 여성은 귀여움, 섹시함 혹은 아름다움을 전면으로 내세우는 얼굴 마담의 역할을 전통적으로 행해 왔다. 하지만 그 기괴함을 떠나 카히미 카리에의 철학성과 음악성 그리고 최전선에 나서 코니시 야수하루의 음악에 피치카토 파이브의 그 퍼포먼스/행위적 성격을 더한 당차고 '멋진' 마키 노미야의 모습은 분명 동시대 남성 중심 사회에서 각개약진 하고 있던 여성들과 억압받던 소수에게 상징적인 의미로 다가왔을 것이다.

이미 그들은 시부야케이에서 빼 놓을 수 없는, 블론디의 데보라 해리에 필적할 만한 아이콘적 위상을 얻었다. 여성의 사회적 진출과 지위 향상에 대한 상징은 있었을지언정 시대의 문화적 아이콘으로서 '마키 노미야 폰'이라던지 하는 10대, 20대의 지갑을 노린 우스꽝스러운 소비주의적 마케팅은 없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주의 사회에 대한 말이 나온 마당에 하는 얘긴데,
90년대 중반 일어났던 일본의 카페 성황 속에 자리잡았던 시부야케이는 이미 상업전선에 합류된 이후의 일이다. 그 시절 잘 나갔던 카페 아프레미디, 엑셀시오르 커피샵(프랜챠이즈) 등의 아기자기하고 세련된 분위기 속에서 즐기는 커피와 보사노바 음악, 미용과 패션 정보 그리고 대화들은 시부야케이 문화의 대중화 속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말해도 과장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는 유럽이라기 보다는 '시부야케이가 지향했던 유럽에 대한 판타지적/페티시적' 성향에서 따온 것이었다. 이에 대한 좋은 예가 바로 유럽지향적 카페의 성공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96년 미국식 프랜차이즈 카페의 대명사인 스타벅스의 일본 상륙으로 다양한 커피들이라는 선택의 욕구는 채워졌지만 결국 승리자는 유럽지향적인 (특히 프랑스 파리) 카페였다.

전통적인 가부장 사회의 틀을 부수며 사회 진출을 하고 커리어를 쌓기 시작한 20,30대 여성들과 패션에 민감한 어린 세대를 위해 카페는 커피와 수다 뿐만이 아닌 혼자 커피 한 잔도 즐길 수 있는 그런 편안하고 세련된 공간을 만들어 주었다.

이는 실내 공간감을 더욱 살려주는 음악 그리고 커피와 더불어 다양하고 전문화된 이른바 Café Cuisine이라고 하는 음식의 요소를 더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하지만 말 그대로 그 공간은 '유럽'이 아닌 '유럽에 대한 페티시를 담은 판타지적' 공간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에서 스타벅스나 섹스 엔 더 시티를 통해 느끼는 것은 바로 뉴욕의 정서가 아닌 '자신이 상상하고 느끼고 싶은 뉴요커에 대한 판타지'라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리고 이는 이미 세계화를 특징으로 한 물질/소비주의 사회가 배출해낸 하나의 떳떳한 문화로 자리 잡았다. 그로부터 약 5~10년 사이 국내에서도 스타벅스, 브런치 문화와 함께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고 한바탕 된장 열풍도 겪었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 누가 스타벅스를 사고 미니 홈피를 시부야케이 음악으로 수놓는 그녀들을 향해 된장녀라 감히 욕을 하고 돌맹이를 던질 것인가? 그 '된장'이란 키워드가 만약 소비와 물질주의와 맞물려 있다면 시부야케이만큼 어울리는 음악도 없을 텐데 말이다.

오히려 자연스러운 선택이 아니었을까?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