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무이워(Mui Wo)에서의 여정이 이어진다. 영화 열혈남아 속 유덕화(소화)와 장만옥(아화)의 흔적을 따라가다 보니 어느새 영화의 과거와 '현실의' 현재가 교차하는 기묘한 감각에 빠져들게 되었다. 이번 목적지는 무이워에서 조금 더 남서쪽으로 내려간 부이오 (Pui O). 영화의 잔상을 간직한 한적한 곳, 바로 아화의 가게가 위치한 곳이다.
🎬 무이워에서 부이오까지 – 영화 속 공간의 의미
사실 열혈남아의 전개 속에서 홍콩 도심과 란타우섬 공간의 대비는 명확하지만, 란타우섬의 무이워, 부이오, 타이오가 각각 구분되어 묘사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촬영지로 나누어 보면 이 세 공간은 영화 속에서 각기 다른 감성을 품고 있다.
🚏 무이워(Mui Wo) – 선택과 기다림의 공간
- 홍콩 도심과 란타우섬을 연결하는 경계선. 안식처이자 도피처인 부이오로 가기 위해 혹은 그 곳을 떠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 이로 인해 강렬한 감정이 교차하며 선택과 갈등, 이별과 기다림이 공존하는 공간. (란타우섬 배경의 격정적 신은 모두 이곳에서 발생한다 - 공중전화 첫 키스, 선착장에서의 초조한 기다림과 옛 연인과의 조우 등)
🌿 부이오 (Pui O) – 평온하지만 영원할 수 없는 안식처
- 영화 속 두 사람이 가장 행복했던 공간. 격정적인 홍콩도심, 동적인 움직임으로 인한 벅찬 감정이 소용돌이치는 무이워와는 달리, 부이오는 조용하고 이상적인 일시적 안식처. 평온하지만 결국 떠나야만 했던 곳.
영화 속 그들이 오갔던 경로를 따라가면서 그 길 위에서 무엇을 느낄 수 있을지 궁금했다. 무이워에서 마주했던 시대의 변화처럼 부이오에서도 내가 본 영화와 또 다른 풍경을 보게 될까? 혹은 아직도 남아 있는 그 시절의 흔적을 찾을 수 있을까?
바로 이 길
| 🚌 무이워에서 부이오로가는 버스
3M 버스를 타고 부이오로 향한다. 약 15분이면 닿을 정도로 멀진 않다. 부이오의 로와이췬(Lo Wai Tsuen) 정류장에서 내릴 예정이다. 극 중 유덕화가 장만옥을 만나기 위해 버스 타고 지나다니던 루트다. 그리고 초반부, 장만옥이 홍콩 도심으로 가기 위해 무이워 페리 선착장으로 향할 때도 지났을 길.
영화 속에서 유덕화가 타던 버스는 이제 더 이상 없다. 영화가 나온지 벌써 50여 년이 다 되어가는 시간. 당시의 낡고 투박한 버스는 사라지고, 최신식 버스가 이 길을 달린다. 2등으로 탑승하게 되어 뷰가 제일 좋은 2층 맨 앞자리에 앉았다. 버스를 타고 무이워 마을을 벗어난다. 뭔가 흥분되는 순간이었다.
버스만 바뀐 것이 아니다. 영화 속 무이워, 부이오, 타이오—그 모든 공간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달라졌을 것이다. 이 세계의 아화와 소화는 영화에서 보여진 것 이상 이 루트를 수도 없이 반복하며 지나다녔을 것이다. 그 과정에서 어떤 풍경을 본 것일까? 그래도 란타우섬은 자연이 많이 보존되어 있는 곳이라 그 시절과 도심만큼 크게 변하진 않았을 거라는 망상을 해 보았다. 다만 1980년대 이 루트가 생기며 오전 6시 첫차 출발이라는 점은 50여년이 지난 지금에도 변함이 없다.
산속 차로 진입. 모든 도로가 1차로다.
영화 볼때도 꽤나 흔들리길래 옛날이라 그런 줄 알았는데 지금도 꽤나 덜컹거린다. 도로가 좁다 보니 좌측의 나무들이 버스에 부딪혀 후두둑! 후드득! 소리가 난다. 처음엔 약간 스릴도 있는 것이, 꽤나 날 것스러운 도로와 승차감의 경험을 느꼈다.
측면뷰로 보면 그 덜컹거림을 더 느낄 수 있다. 어느 정도 고도로 올라온 도로를 지나다보면 얼핏 보이는 먼발치의 풍경이 아찔해 보일 때도 있다.
영화 속 장면이 떠올라 뷰는 다르지만 측면도 잠깐 찍어 보았다. 영화속과 실제 여행의 밤낯 시간대가 완전히 다른건 아쉽지만 시종일관 흔들리고 덜컹거리는 버스 라이드 때문인지 꽤나 몰입할 수 있었다. 그냥 녹색 자연 속 좁게 뚫린 산길 도로의 연속이다.
사우스 란타우 로드(S.Lantau Rd.) 길을 빠르게 찍은 고화질 영상이다. 그가 이 길을 지나며 어떤 생각을 했을까? 순수히 사랑만을 향해 가는 길이었을까, 아니면 결국 떠나야만 하는 것을 알면서도 가야 했던 크나큰 무게가 얹힌 길이었을까?
1970년대부터 90년대 사이 부이오 Pui O 해변을 중심으로 교통과 관광 개발이 이루어지며 1983년 무이 워(Mui Wo)와 부이 오(Pui O)를 종점으로 하는 버스 노선이 생겼는데 그게 이 루트인 것 같다.
10분 조금 넘는 우당탕탕 사우스 란타우로드 버스 라이드가 끝나고 로와이췬(Lo Wai Tsuen)에서 내린다.
영화 속의 가게 바로 건너편 정류장은 실제로는 없었다. 그래봤자 장만옥의 가게까지 걸어서 1분도 채 안 되는 가까운 거리다. 심지어 얼핏 보인다. 나무 옆 건물 바로 옆이다. 처음 오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참 익숙한 풍경이기도 했다.
| 🏠 영화속 아화의 가게
이 공간은 두 사람의 삶이 교차하는 유일한 지점이다. 아화는 고향을 떠나고 싶었지만 결국 도심으로 나가지 못하고 여기에 머무르고, 소화는 홍콩도심을 떠나 여기서 머물고 싶었을 지도 모르지만 결국 돌아갈 수밖에 없는 운명이었다. 따라서 영화 속 현실에서 두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최선의 공간인 셈이다. 이를 반영하듯 부이오에서 촬영된 장면들(소화의 가게, 버스정류장 이별)은 평온하고 잔잔하며 정적이다. 실제 이 마을 또한 그런 느낌이다. 뭐도 별로 없고 조용하다.
내가 내린 정거장은 오른쪽 BMW가 지나고 있는 위치 즈음이다. 건물은 바로 앞에 모습을 드러내었지만, 영화와 뭔가 싱크를 어느 정도는 맞추고 싶어서 유덕화가 내린 곳으로 추정되는 지점까지 쭉 걸은 후 뒤돌아 건물로 다시 걸었다. 영화에서의 잔잔한 시골 마을 느낌이 그대로 전해진다.
그 지점에서 유덕화가 길을 건넌 것처럼 나도 건너 본다.
그리고 그 건물 정문 앞까지 가본다. 낡은 벽돌과 바뀌어 버린 색상, 하지만 그 형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마치 영화 속에서 두 사람의 사랑이 짧았지만 강렬했던 것처럼 이 공간도 변했지만 원형의 흔적은 완전히 지워지지 않았다.
| 🏛️ 건물의 역사 속 흔적
이 건물의 원형은 70년대 후반 란타우섬 관광 개발의 흐름과 함께 1990년 즈음 문을 연 것으로 추정되는 해풍주점(海風酒店 Sea Breeze Hotel)이라는 곳이었다.
찾아본 기록들에서 호텔&식당 관련 정보가 살짝 달라 정확한 년도를 파악하긴 힘들었는데 대략 아래와 같다.
✔️ 홍콩대학교 디지털 라이브러리 – 해당 건물의 등록 사진이 1980년으로 기록됨
✔️ 홍콩 화교일보 (華僑日報) – 1990년 12월 27일자 기사에서 Sea Breeze Hotel (해풍주점) 개관 축하 기사 게재
✔️ 란타우섬 부이오(Pui O), 수이하우(Shui Hau) 및 인근 지역의 문화 및 역사 연구 – 2022년 6월 보고서에 따르면 Sea Breeze Hotel & Restaurant이 1990년에 개관한 것으로 기록됨
✔️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SCMP) – 1978년에 건물이 처음 지어진 것으로 보도됨 (출처)
✔️ 영화 열혈남아 개봉 – 1987년, 촬영 당시 해당 건물은 이미 존재했음
인터넷의 흔적으로 보면 최소 1998년에 찍힌 사진이 있어 최소 그 때까지는 계속 명맥을 유지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어느 시점부 방치되었다가 Lantau International School Pui O Campus로 다시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 (2008년으로 추정). 란타우섬의 자연환경 속 국제학교라니!
뭐,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여행전 열혈남아 촬영지 찾아보기 포스팅 참고
왕가위 감독 데뷔 작 <열혈남아>의 홍콩 란타우섬 촬영지 찾아 본 이야기 ft.인터넷
올해 갑자기 10년 묵은 마일리지가 다 소멸되게 돼서 강제 주말 해외여행 계획들을 잡게 되었는데, 지난번 후쿠오카 여행에서 내 몸 상태를 망각한 채 과도한 일정을 소화하다가 2일 차 돌입하자
electronica.tistory.com
| 🚪👀 현재 모습과 작은 해프닝
지금은 이런 모습이다. 도심이긴 하지만 나도 어릴적 이런 국제학교를 다녔었는데 갑자기 그 시절 생각이 들어 향수를 더 자극했다. 아무튼 그때는 저 대문이 없었을 것이고, 두 캐릭터를 꿈같은 현실이자 안식처로 연결해 주는 열린 공간이었다.
시골 고향을 떠나고 싶어했던 아화, 이 안식처에서 편안함을 느끼고 싶었던 소하.
이곳은 짧은 시간이지만 그렇게 서로가 닿을 수 있었던 나름의 최선의 공간으로서 작용한다.
탐방 와중에 해프닝이 있었는데, 학교 건물 안에서 관계자분이 나와 굳게 닫힌 문 틈살 사이로 나를 바라보며 묻는다. "여기서 사진은 왜 찍고 있나요? 출근할 때 아까 버스에서부터 봐 왔는데 거기서도, 내려서도 계속 사진을 찍고 있는 당신을 주시하고 있었다. 근데 여기 학교 앞에서도 사진을 찍고 있는데 너 뭐 하는 사람이냐?" 대충 이런 내용이었다.
"미안하다. 나쁜 의도는 없다. 왕가위 감독 열혈남아 촬영지 온거다. 여기가 그 Sea Breeze Hotel 터라고 알고 있다"
쏼라쏼라...
그녀는 잠시 나를 바라보더니, 모든 오해가 풀렸다는 듯 피식 웃으며 말했다. '아, 너의 추억 여행이구나. 알겠다. 근데 그 호텔은 없어진 지 꽤 오래되었다' 나는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다. 'ㅇㅇ 알고 있다. 그래도 와보고 싶었다. 이제 충분히 보았으니 난 떠날 거고, 걱정 안 해도 된다.' 그녀는 다시 한번 고개를 끄덕였다. '좋은 여행이 되길.'
생각해 보니 나야 영화 촬영지에 취해 있는 건데, 학교 앞에서 사진 찰칵찰칵 찍는 것을 보는 학교 관계자에게는 이상하게도 보일만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걸로 장만옥(아화)의 가게 탐방은 이렇게 마무리가 되었다. 여기까지 온 김에 건물만 보기 아까워서 좀 더 마을을 돌아보기로 했다. 이후는 다음 포스팅에서..
| 📚 시리즈의 지난 포스팅들:
왕가위 감독 데뷔 작 <열혈남아>의 홍콩 란타우섬 촬영지 찾아 본 이야기 ft.인터넷
올해 갑자기 10년 묵은 마일리지가 다 소멸되게 돼서 강제 주말 해외여행 계획들을 잡게 되었는데, 지난번 후쿠오카 여행에서 내 몸 상태를 망각한 채 과도한 일정을 소화하다가 2일 차 돌입하자
electronica.tistory.com
란타우섬에서 만난 <열혈남아>의 여운과 현실: 촬영지 탐방기_01
1989년, 유덕화와 장만옥이 주연을 맡고, 왕가위 감독이 처음으로 메가폰을 잡은 영화 는 당시 영화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었다. 그 시절, 관객들은 오우삼의 같은 화려한 액션과 낭만이 가득
electronica.tistory.com
란타우섬에서 만난 <열혈남아>의 여운과 현실: 촬영지 탐방기_02 Mui Wo 선착장
영화 트레일 첫 번째 포인트인 무이 워 Mui Wo에 도착했다. | 열혈남아 란타우 트레일의 시작Mui Wo 무이 워는 광둥어로 '메이 웨이'라고도 불리우는데 북쪽의 Silvermine Beach 실버마인 해변과 함께 많
electronica.tistory.com
| 📌 위치
'CINEMA > 촬영지-로케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쿠오카] 해효의 노포 이자카야, 노기쿠 野菊 | 후쿠오카 촬영지 (0) | 2025.01.22 |
---|---|
[실종 さがす] 딸내미한테 잔소리 듣던 철딱서니 없는 아버지 | 오사카 촬영지 (0) | 2025.01.09 |
[이사벨라] 두 주인공이 배회하던 언덕의 거리 | 마카오 촬영지 (1) | 2025.01.04 |
[후쿠오카/후쿠오카] 소담과 제문의 에어비엔비 숙소 촬영지 (2) | 2024.12.22 |
[닥터 스트레인지] 홍콩 생텀의 모티브가 된 건물, 레이싱춘 (雷生春) (1) | 2024.12.11 |